KR20160005164A -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164A
KR20160005164A KR1020140082968A KR20140082968A KR20160005164A KR 20160005164 A KR20160005164 A KR 20160005164A KR 1020140082968 A KR1020140082968 A KR 1020140082968A KR 20140082968 A KR20140082968 A KR 20140082968A KR 20160005164 A KR20160005164 A KR 20160005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puzzle
board
character string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603B1 (ko
Inventor
정지일
황성수
조두년
Original Assignee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2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603B1/ko
Priority to PCT/KR2014/006109 priority patent/WO2015005644A1/ko
Publication of KR20160005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는 일면에 제 1 기호열을 구비한 다수의 교육 퍼즐 조각; 및 상기 교육 퍼즐 조각 각각에 해당하는 영역에 상기 제 1 기호열에 대응하는 보드 문자열을 구비한 퍼즐 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는 시각 장애인이 퍼즐 보드에서 교육 퍼즐 조각의 해당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하면서 언어 습득 및 수리교육을 위한 교육 목적으로 퍼즐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Educational puzzle apparatus for a blind person}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언어 및 수리 교육을 위한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및 어린이에 대한 지능개발 및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과 성인들의 심심풀이나 취미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퍼즐 기구가 개발되어왔다.
이러한 퍼즐 기구의 일례를 보면, 일정한 그림이 인쇄된 두꺼운 종이를 임의 형태로 절단하여 다수개의 조각(piece)을 형성한 후, 그 조각들을 흐트려 놓고, 다시 원래의 일정한 도형이 되도록 조립하는 형태로 완성하게 되면 풍경 또는 캐릭터 모양의 그림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퍼즐 기구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바, 일반인들이 이를 즐기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물체의 모양이나 빛깔을 구별할 수 없는 시각장애인(2010년 기준 249,259명)의 경우에는 이를 즐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 시각장애에도 불구하고 정상인들처럼 즐길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퍼즐기구가 제시되지 않아 장애에 따른 하나의 상실감이 있었다고 판단되는 바, 이러한 상실감을 해소하고, 지능개발, 취미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방식의 시각장애인용 퍼즐 기구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선행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각 장애인이 함몰선을 이용하여 퍼즐 조각을 해당 위치에 놓아 퍼즐을 조립하는 방식을 구현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은 시각 장애인의 입장에서 퍼즐 조각을 어떻게 해당 위치에 놓아야 하는지에 관한 방법이 부족하다.
또한, 종래의 복잡한 구성을 갖는 퍼즐 조각이나 특정 형상과 관련 없는 퍼즐 기구를 언어 습득을 위한 교육 목적을 위해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3-33563호(2003년 2월 4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 장애인이 퍼즐 보드에서 퍼즐 조각의 해당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하고 언어 습득 및 수리 교육을 위한 교육 목적으로 퍼즐을 즐길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는 일면에 제 1 기호열을 구비한 다수의 교육 퍼즐 조각; 및 상기 교육 퍼즐 조각 각각에 해당하는 영역에 상기 제 1 기호열에 대응하는 보드 기호열을 구비한 퍼즐 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에서 상기 교육 퍼즐 조각 각각은 타면에 상기 보드 기호열을 역방향으로 좌우 반전한 거울반사 형태로 배열 구비한 제 2 기호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에서 상기 제 1 기호열과 상기 보드 기호열은 사자성어, 동의어, 반대어, 및 언어별 대응 단어 중 어느 하나의 언어적 상관관계를 갖는 문자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에서 상기 제 1 기호열은 수수께끼 문자열, 숫자를 포함한 문제 수식 기호열 및 도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 기호열은 상기 수수께끼 문자열에 대한 정답 문자열, 상기 문제 수식에 대한 정답 기호열 및 상기 도형에 대한 정의 문자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에서 상기 제 1 기호열은 문자열, 양각의 문자열, 음각의 문자열 및 점자 문자열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에서 상기 보드 기호열은 문자열, 양각의 문자열, 음각의 문자열 및 점자 문자열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에서 상기 제 2 기호열은 상기 보드 기호열에 맞물리고, 문자열, 양각의 문자열, 음각의 문자열 및 점자 문자열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에서 상기 교육 퍼즐 조각 각각은 타면에 다수의 전극과 연결 도선을 구비하고, 상기 퍼즐 보드는 상기 영역에 상기 다수의 전극에 대응하는 다수의 보드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에서 상기 퍼즐 보드는 내부에 상기 교육 퍼즐 조각 각각이 상기 퍼즐 보드의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는 시각 장애인이 퍼즐 보드에서 교육 퍼즐 조각의 해당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하면서 언어 습득 및 수리 교육을 위한 교육 목적으로 퍼즐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조각의 정면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조각의 후면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보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조각과 교육 퍼즐 보드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조각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조각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보드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조각과 교육 퍼즐 보드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는 다수의 교육 퍼즐 조각(piece: 100), 및 교육 퍼즐 조각(100) 각각이 맞물리는 홈부(201)를 갖는 퍼즐 보드(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교육 퍼즐 조각(100)은 예를 들어 육면체의 형상을 갖고 상부면(101)에 언어 또는 수리 교육을 위한 제 1 기호열(110)을 구비한다. 이때, 제 1 기호열(110)은 도 1a에서 양각의 문자열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수께끼와 같은 문자열, 음각의 문자열, 구구단과 같이 숫자를 포함한 문제 수식, 도형, 또는 점자로 표시된 점자열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문자열과 각 문자에 대응하는 점자(도시하지 않음)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 퍼즐 조각(100)은 선택적으로 하부면(102)을 평평한 면으로 구비하거나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102)에 제 1 기호열(110)에 대응하는 제 2 기호열(12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기호열(120)은 음각의 문자열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수께끼의 답 또는 도형 명칭과 같은 문자열, 양각의 문자열, 구구단의 정답 숫자와 같은 수식, 또는 점자로 표시된 점자열로 구비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문자열과 각 문자에 대응하는 점자(도시하지 않음)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퍼즐 보드(200)는 교육 퍼즐 조각(100) 각각이 맞물려 삽입되는 홈부(201)를 구비하고, 이러한 홈부(201)의 바닥면에는 제 1 기호열(110)에 대응하는 보드 기호열(21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드 기호열(210)은 제 1 기호열(110)과 함께 "4자 성어"로 구성되거나, 제 1 기호열(110)의 국문 단어에 대응하는 동의어, 반대어, 언어별 단어 등의 상관관계를 갖는 단어로 구성되거나, 제 1 기호열(110)의 수수께끼에 대한 정답 문자열, 제 1 기호열(110)의 구구단 문제에 대한 숫자답 기호열, 제 1 기호열(110)의 도형에 대한 정의 문자열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보드 기호열(210)은 양각의 문자열로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 문자열, 음각의 문자열 또는 점자로 표시된 문자열로 구비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양각의 문자열과 각 문자에 대응하는 점자(도시하지 않음)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퍼즐 보드(200)의 보드 기호열(210)은 교육 퍼즐 조각(100)의 제 2 기호열(120)과 동일한 내용의 기호열이지만, 보드 기호열(210)은 양각으로 형성되고 제 2 기호열(120)이 음각으로 형성되어, 제 2 기호열(120)과 보드 기호열(210)이 서로 맞물려 탈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기호열(210)이 정방향 배열로 구비된 반면에, 제 2 기호열(12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 좌우 반전된 반사문자 형태로 배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2 기호열(120)과 보드 기호열(210)은 서로 거울반사 형태로 대칭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 기호열(110), 제 2 기호열(120) 또는 보드 기호열(210)에 병기되는 점자는 아래 [표 1]의 점자표를 이용하여 각 기호에 해당하는 점자로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러한 특징을 갖는 교육 퍼즐 조각(100)과 퍼즐 보드(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하여 퍼즐을 완성할 수 있어서, 각각의 교육 퍼즐 조각(100)이 퍼즐 보드(200)의 해당 홈부(201)에 삽입된다.
이때, 각각의 교육 퍼즐 조각(100)은 하부면에 홈부(201)의 보드 기호열(210)에 대칭하는 제 2 기호열(120)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각각의 교육 퍼즐 조각(100)이 홈부(201)에 잘 대응하여 끼워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교육 퍼즐 조각(100) 각각은 다수의 전극(121-1,121-2,121-3)과 연결 도선(121)을 구비하고, 퍼즐 보드(200)는 홈부(201)에 다수의 전극(121-1,121-2,121-3)에 대응하는 다수의 보드 전극(211-1,211-2,211-3)과 보드 연결 도선(2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교육 퍼즐 조각(100)이 홈부(201)에 끼워짐에 따라, 다수의 전극(121-1,121-2,121-3)과 다수의 보드 전극(211-1,211-2,211-3)은 서로 연결되어 도통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도통 상태에 대해 퍼즐 보드(200)에 구비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교육 퍼즐 조각(100) 각각이 퍼즐 보드(200)의 대응 홈부(201)에 정확하게 조합됨을 판단하고, 오디오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어 신호를 오디오부로 전달하고, 오디오부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예를 들어, '딩동댕'과 같은 효과음 또는 '네, 맞았습니다'와 같은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물론, 교육 퍼즐 조각(100)이 퍼즐 보드(200)의 해당 홈부가 아닌 다른 홈부에 끼워진 경우, 다수의 전극(121-1,121-2,121-3)과 다수의 보드 전극(211-1,211-2,211-3)은 서로 도통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제어부는 도통 상태에 해당하는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교육 퍼즐 조각(100)이 퍼즐 보드(200)의 해당 위치에 모두 맞춰져 조합이 완성되면, 제어부는 다수의 전극(121-1,121-2,121-3)과 다수의 보드 전극(211-1,211-2,211-3)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도통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퍼즐 조합이 올바르게 맞춰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도통 상태이면, 제어부는 퍼즐 완성신호를 오디오부로 전달하고, 오디오부는 수신한 퍼즐 완성신호에 따라 예를 들어 "퍼즐이 완성되었습니다"와 같은 음성 및 소리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는 시각 장애인이 퍼즐 보드(200)에서 교육 퍼즐 조각(100)의 해당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하면서 언어 습득 또는 수리 교육을 위한 교육 목적으로 퍼즐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교육 퍼즐 조각 110: 제 1 기호열
120: 제 2 기호열 121: 연결 도선
121-1,121-2,121-3: 전극 200: 퍼즐 보드
210: 보드 기호열 211: 보드 연결 도선
211-1,211-2,211-3: 보드 전극

Claims (9)

  1. 일면에 제 1 기호열을 구비한 다수의 교육 퍼즐 조각; 및
    상기 교육 퍼즐 조각 각각에 해당하는 영역에 상기 제 1 기호열에 대응하는 보드 기호열을 구비한 퍼즐 보드;
    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퍼즐 조각 각각은 타면에 상기 보드 기호열을 역방향으로 좌우 반전한 거울반사 형태로 배열 구비한 제 2 기호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호열과 상기 보드 기호열은 사자성어, 동의어, 반대어, 및 언어별 대응 단어 중 어느 하나의 언어적 상관관계를 갖는 문자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호열은 수수께끼 문자열, 숫자를 포함한 문제 수식 기호열 및 도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 기호열은 상기 수수께끼 문자열에 대한 정답 문자열, 상기 문제 수식에 대한 정답 기호열 및 상기 도형에 대한 정의 문자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호열은 문자열, 양각의 문자열, 음각의 문자열 및 점자 문자열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기호열은 문자열, 양각의 문자열, 음각의 문자열 및 점자 문자열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호열은 상기 보드 기호열에 맞물리고, 문자열, 양각의 문자열, 음각의 문자열 및 점자 문자열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퍼즐 조각 각각은 타면에 다수의 전극과 연결 도선을 구비하고,
    상기 퍼즐 보드는 상기 영역에 상기 다수의 전극에 대응하는 다수의 보드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 보드는
    내부에 상기 교육 퍼즐 조각 각각이 상기 퍼즐 보드의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KR1020140082968A 2013-07-10 2014-07-03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KR10162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968A KR101620603B1 (ko) 2014-07-03 2014-07-03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PCT/KR2014/006109 WO2015005644A1 (ko) 2013-07-10 2014-07-08 시각 장애인용 퍼즐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968A KR101620603B1 (ko) 2014-07-03 2014-07-03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164A true KR20160005164A (ko) 2016-01-14
KR101620603B1 KR101620603B1 (ko) 2016-05-13

Family

ID=5517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968A KR101620603B1 (ko) 2013-07-10 2014-07-03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6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563A (ja) 2001-07-23 2003-02-04 Tatsuko Kurihara 点字パズルおよび盲人絵ブロックパズル
JP2011206445A (ja) 2010-03-30 2011-10-20 Namco Bandai Games Inc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順路作成装置及び配列盤作成装置
KR101325487B1 (ko) * 2013-07-10 2013-11-07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용 퍼즐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603B1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94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sensory learning
US8641421B2 (e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teaching languages to young children
US10861347B2 (en) Device and method for teaching phonics using a touch detecting interface
US20150004570A1 (en) Block toy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KR102192379B1 (ko) 손끝으로 읽는 입체북
US20110014595A1 (en) Partner Assist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200019550A (ko) 교육용 인형 시뮬레이터
KR20170129391A (ko)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이용한 한글 학습 교구
Warne “So that the sense of touch may supply the want of sight”: Blind Reading and Nineteenth-Century British Print Culture 1
KR20060114171A (ko) 유아용 한글블록
Bryant Six dots: A story of young Louis Braille
KR100602591B1 (ko) 블록완구
KR101620603B1 (ko)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Michaelson et al. Using a new electronic Brailler to improve Braille learning at the Florida school for the deaf and blind
CN114613206A (zh) 面向读写障碍儿童的多感官语言拼读学习智能装置
Adusei et al. " Clicks" appcessory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KR102184413B1 (ko) 언어학습용 블록 세트
RU26621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учения рельефно-точечному шрифту Брайля слепых и слабовидящих детей
KR20210093081A (ko) 파닉스 학습교구
KR20080091318A (ko) 마그네틱 카드를 이용한 영어교육용 교구
CN2935302Y (zh) 触感发声教具
US11132912B1 (en) Electronic educational device
KR200287170Y1 (ko) 학습카드
Di Perri American Sign Language phonemic awareness in deaf children: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KR200363348Y1 (ko) 학습능률을 향상시키는 입체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