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807A - 헬리데크 운송장치 - Google Patents
헬리데크 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4807A KR20160004807A KR1020140083837A KR20140083837A KR20160004807A KR 20160004807 A KR20160004807 A KR 20160004807A KR 1020140083837 A KR1020140083837 A KR 1020140083837A KR 20140083837 A KR20140083837 A KR 20140083837A KR 20160004807 A KR20160004807 A KR 201600048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lideck
- support
- main body
- support member
- load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헬리데크 운송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운송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적재되는 제 1 헬리데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본체에 적재되되 상기 제 1 헬리데크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헬리데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하의 설명은 헬리데크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쉽(Drill 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Offshore plant) 또는 해상에서 오랜 시간을 체류해야 하는 선박들은 인원이나 물자의 이동을 위해 헬리콥터(Helicopter)를 운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선수 또는 선미에는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헬리데크(Helideck)가 설치될 수 있다.
헬리데크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deck floor)를 형성하는 팬케익(pancake)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팬케익부는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플랭크(plank)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beam)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헬리데크는 일반적으로 육상에서 제작된 후, 본격적인 설치를 위해 해상의 해양구조물 또는 선박으로 운송될 수 있다. 이 때 바지선이 이용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복수의 헬리데크는 바지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씩 나열되는 형태로 적재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복수의 헬리데크를 바지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씩 적재하면, 한번에 다량의 헬리데크를 운송하기 위해서는 대형 바지선이 필요할 수 있다. 만약 대형 바지선이 준비되지 않았다면, 바지선은 육상과 해상을 여러 번 왕복하면서 헬리데크를 운송해야만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량의 헬리데크를 효율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헬리데크 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다량의 헬리데크를 운송할 수 있는 헬리데크 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종래 대비 소형화된 헬리데크 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운송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적재되는 제 1 헬리데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본체에 적재되되 상기 제 1 헬리데크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헬리데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분포되어 상기 제 1 헬리데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헬리데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재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헬리데크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헬리데크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헬리데크와 상기 제 2 헬리데크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탄성재질의 패드로서, 상기 완충부재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상기 제 2 헬리데크의 하면과 상기 제 1 헬리데크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헬리데크 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량의 헬리데크를 운송할 수 있는 헬리데크 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대비 소형화된 헬리데크 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헬리데크가 적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헬리데크가 적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운송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운송장치(100)에는 복수의 헬리데크(10, 20)가 수직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적재될 수 있다. 적층되는 헬리데크(10, 20)의 수는 2개인 것으로 예시하나, 3개 이상의 헬리데크가 적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최하단에 적재되는 헬리데크(10)를 제 1 헬리데크, 상기 제 1 헬리데크(10)의 상부에 적층되어 적재되는 헬리데크(20)를 제 2 헬리데크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본체(110)는 헬리데크(10, 20)가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헬리데크 운송장치(100)가 바지선인 것으로 예시하였고, 따라서 본체(110)는 바지선 선체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헬리데크의 운송이 반드시 바지선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헬리데크는 육상의 특정 지역에서 제작되어 육상의 다른 지역으로 운송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헬리데크는 철도차량에 의해 운송될 수 있다. 헬리데크가 철도차량에 의해 운송되는 경우, 본체는 철도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트레일러(trailer)일 수 있다.
제 1 지지부(120)는 본체(110)에 적재되는 제 1 헬리데크(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지지부(120)는 제 1 헬리데크(10)를 상방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121) 각각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채 본체(110)의 상면에 분포될 수 있고, 그 분포 범위는 제 1 헬리데크(10)의 전체 영역과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헬리데크의 몇몇 영역에만 상방 지지력이 제공된다면, 나머지 영역에서는 헬리데크의 처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지지대(121)가 제 1 헬리데크(10)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상방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제 1 헬리데크(1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 지지대(121)의 상면에는 탄성재질의 완충패드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완충패드에 의해 제 1 헬리데크(10)의 하면과 지지대(121) 상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변형예에서는 제 1 지지부는 복수의 지지대가 아닌 일체형의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제 1 헬리데크의 하면과 본체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단면 크기 및 형상은 제 1 헬리데크의 하면의 단면 크기 및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이 때에도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상면에는 탄성재질의 완충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는 제 1 헬리데크는 본체의 상면에 직접 적재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본체의 상면이 제 1 지지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이 때에도 본체의 상면에는 탄성재질의 완충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헬리데크(10)의 상부에는 제 2 헬리데크(20)가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헬리데크(20)는 제 2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30)는 기둥부재(131), 지지부재(132) 및 보강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재(131)는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보강대(133)는 그 양단이 기둥부재(131)와 본체(11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132)는 기둥부재(131)의 일지점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2 헬리데크(20)의 일측을 상방 지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 2 지지부(130)는 본체(110)의 요동에 의해 횡방향 모멘트가 작용하는 헬리데크의 해상 운송 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제 1 헬리데크(10)와 제 2 헬리데크(20) 사이에는 완충부재(140)가 개재될 수 있다. 완충부재(140)에 의해 제 1 헬리데크(10)와 제 2 헬리데크(2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완충부재(140)는 탄성재질의 패드 형태인 것으로 예시한다. 완충부재(140)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제 2 헬리데크(20)의 하면과 제 1 헬리데크(10)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아울러, 완충부재(140)의 단면 크기 및 형상은 제 2 헬리데크(20)의 하면의 단면 크기 및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헬리데크(20)의 처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 운송장치(100)에 따르면, 우선 헬리데크(10, 20)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운송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2개의 헬리데크를 운송하기 위해서는 도 1을 기준으로 본체(110)의 우측 공간(1) 역시 헬리데크가 적재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헬리데크(10, 20)를 운송할 때 본체(110)의 좌측 공간만을 활용하면 족하므로, 우측 공간(1)은 다른 목적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우측 공간(1) 역시 헬리데크의 적재 공간으로 활용된다면, 종래 대비 한번에 운송 가능한 헬리데크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개수, 예를 들어 2개의 헬리데크를 운송한다고 했을 때,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크기의 본체(110)가 요구되는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의 절반 크기의 본체만이 요구되는바 헬리데크 운송장치(10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32)는 체결부재(30)에 의해 제 2 헬리데크(20)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32)에는 지지부재(132)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제 2 헬리데크(20)에는 체결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30)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그 일부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30)는 볼트인 것으로 예시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 2 헬리데크(20)는 지지부재(132), 더 나아가 제 2 지지부(130)에 고정될 수 있고, 따라서 제 2 헬리데크(20)의 안정적인 운송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기둥부재(131)는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지지부(130)는 기둥부재(131)의 하단과 연결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브라켓(13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본체(110)의 상면에는 체결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볼트로 예시되는 체결부재(40)는 브라켓(134)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그 일부가 본체(110) 상면의 체결홈에 삽입됨으로써 기둥부재(131)를 본체(11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체결부재(40)의 체결이 해제되면 기둥부재(131), 더 나아가 제 2 지지부(130)의 본체(11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로써, 헬리데크를 운송하지 않을 때 본체(110) 상의 공간은 다른 목적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헬리데크를 운송할 때에도, 기둥부재(131)의 탈착으로 인해 헬리데크의 적재가 더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지부재(132)는 기둥부재(131)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지지부재(132)는 체결부재에 의해 기둥부재(131)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 해제에 따라 지지부재(132)는 기둥부재(1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보통, 헬리데크(10, 20)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적재되는데, 제 1 헬리데크(10)의 적재 시 지지부재(132)는 제 1 헬리데크(10)의 경로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헬리데크(10)를 적재할 때에는 지지부재(132)는 기둥부재(131)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수 있고, 제 1 헬리데크(10)의 적재가 완료된 뒤에 제 2 헬리데크(20)의 적재를 위해 기둥부재(131)에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지부재(132)는 기둥부재(1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부재(132)는 기둥부재(131)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했듯이, 헬리데크의 적재 시 크레인이 이용될 수 있고, 크레인을 이용한 제 2 헬리데크(20)의 적재 과정에 있어서, 제 2 헬리데크(20)와 기둥부재(131)의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제 2 헬리데크(20)는 와이어를 통해 크레인에 연결된 채 이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헬리데크(20)가 적재되기 전에 지지부재(132)를 기둥부재(131)의 상단부에 위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 2 헬리데크(20)를 적재한 다음 지지부재(132)를 하강시켜 제 2 헬리데크(20)가 완충부재(140) 위에 정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 2 헬리데크(20)의 적재 시 제 2 헬리데크(20)와 기둥부재(131) 간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132)가 기둥부재(131)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기 위한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기둥부재(131)의 일측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에 지지부재(132)에 구비되는 돌기가 관통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부재(132)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또는, 와이어 및 윈치를 이용하여 지지부재(132)의 상하 이동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실린더 장치를 이용하여 지지부재(132)의 상하 이동을 구현할 수도 있다. 그 외에, 이 분야 통상의 기술자로서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지지부재(132)가 기둥부재(13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헬리데크(10, 20)가 적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헬리데크(10, 20)가 적재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제 1 헬리데크(10)가 본체(110)에 적재될 수 있다. 적재된 제 1 헬리데크(10)는 제 1 지지부(120)에 의하여 상방 지지될 수 있다. 제 1 헬리데크(10)가 적재될 때, 제 2 지지부(130)는 본체(110) 상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을 이용한 제 1 헬리데크(10)의 적재 시 제 1 헬리데크(10)와 제 2 지지부(130)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수월하게 제 1 헬리데크(10)을 적재할 수 있다. 한편, 제 1 헬리데크(10) 위에는 완충부재(140)가 적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헬리데크(10) 및 완충부재(140)의 적재가 완료된 후, 제 2 헬리데크(20)의 적재가 개시될 수 있다. 먼저 도 4의 과정에서는 설치되지 않았던 제 2 지지부(130)가 본체(1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지지부(130)의 지지부재(132)는 기둥부재(131)의 상단부의 일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 2 헬리데크(20)가 지지부재(132)에 적재될 수 있고, 이로써 크레인을 이용한 제 2 헬리데크(20)의 적재 시 제 2 헬리데크(20)와 제 2 지지부(130)의 기둥부재(131)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수월하게 제 2 헬리데크(20)을 적재할 수 있다. 제 2 헬리데크(20)가 지지부재(132)에 적재되었을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헬리데크(20)는 제 1 헬리데크(10) 및 완충부재(140)로부터 상방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지지부재(132)는 기둥부재(13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제 2 헬리데크(20)가 지지부재(132)에 적재되면, 지지부재(132)는 하강하여 제 2 헬리데크(20)의 하면이 완충부재(140)의 상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데크(10, 20)의 적재가 완료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제 1 헬리데크
20: 제 2 헬리데크
100: 헬리데크 운송장치 110: 본체
120: 제 1 지지부 121: 지지대
130: 제 2 지지부 131: 기둥부재
132: 지지부재 133: 보강대
140: 완충부재
100: 헬리데크 운송장치 110: 본체
120: 제 1 지지부 121: 지지대
130: 제 2 지지부 131: 기둥부재
132: 지지부재 133: 보강대
140: 완충부재
Claims (8)
- 본체;
상기 본체에 적재되는 제 1 헬리데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및
상기 본체에 적재되되 상기 제 1 헬리데크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헬리데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헬리데크 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분포되어 상기 제 1 헬리데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헬리데크 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헬리데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헬리데크 운송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헬리데크 운송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재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헬리데크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헬리데크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되는 헬리데크 운송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헬리데크 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헬리데크와 상기 제 2 헬리데크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헬리데크 운송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탄성재질의 패드로서, 상기 완충부재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상기 제 2 헬리데크의 하면과 상기 제 1 헬리데크의 상면에 접하는 헬리데크 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3837A KR20160004807A (ko) | 2014-07-04 | 2014-07-04 | 헬리데크 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3837A KR20160004807A (ko) | 2014-07-04 | 2014-07-04 | 헬리데크 운송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4807A true KR20160004807A (ko) | 2016-01-13 |
Family
ID=5517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3837A KR20160004807A (ko) | 2014-07-04 | 2014-07-04 | 헬리데크 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4807A (ko) |
-
2014
- 2014-07-04 KR KR1020140083837A patent/KR2016000480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9409B1 (ko) | 화물선용 래싱 브리지 | |
KR20120130239A (ko) | 개선된 유체역학적 성능을 갖는 텐션 레그 플랫폼 | |
US6932326B1 (en) | Method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a heavy load using a fly-jib | |
KR20170095206A (ko) |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 |
US6964552B1 (en) | Method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a heavy load using a deep water deployment system | |
CN104203746A (zh) | 具有用于干式停靠船只的可动潜式平台的半潜式平台 | |
CN102356021A (zh) | 用于装载和运输大结构的滑靴组件 | |
KR20150065442A (ko) |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
KR102130177B1 (ko) | 화물선의 갑판 위에서 운송되는 컨테이너들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 | |
KR100914385B1 (ko) | 대형블럭의 플로팅도크 탑재방법 및 이를 이용한해상건조공법 | |
WO2015136086A1 (en) |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 |
KR20160004807A (ko) | 헬리데크 운송장치 | |
JP6681191B2 (ja) | 浮体設備の建造方法、及び、浮体設備の浮体構造体 | |
US10618605B2 (en) | Semi-submersible maritime structure | |
KR102179904B1 (ko) | 컨테이너선 | |
KR101399596B1 (ko) | 복합식 해상구조물 및 그의 운용방법 | |
Yimtae et al. | Converted Barge for Wellhead Platform Decommissioning | |
KR102087177B1 (ko) | 부유식 발전 플랜트 계류 장치 | |
US20160040383A1 (en) | Floating system integration methodology | |
KR101584571B1 (ko) |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도킹 기기 및 상기 도킹 기기를 이용하여 바지선과 부유식 도크를 연결하는 방법 | |
KR101613215B1 (ko) | 시추 작업용 해양 구조물 | |
KR20130041541A (ko) |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 |
KR101112158B1 (ko) |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 |
KR101952978B1 (ko) | 부유식 해상구조물 | |
KR20170088699A (ko) |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