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613A - 차량용 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613A
KR20160004613A KR1020140083154A KR20140083154A KR20160004613A KR 20160004613 A KR20160004613 A KR 20160004613A KR 1020140083154 A KR1020140083154 A KR 1020140083154A KR 20140083154 A KR20140083154 A KR 20140083154A KR 20160004613 A KR20160004613 A KR 20160004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housing
sensor
rear surface
moun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613A/ko
Publication of KR2016000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부품을 기밀하기 위한 포팅부재의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감지센서는, 측벽 및 바닥부에 의해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삽입공에 삽입결합되어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고, 넓은 면적을 갖는 전면과 후면이 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장착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기밀시키는 포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 및 후면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은 상기 센서부의 후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감지센서 {SENS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부품을 기밀하기 위한 포팅부재의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다양한 센서가 장착되는데,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 범퍼에는 초음판 센서 등의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주/정차시 물체 및 장애물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감지센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감지센서의 평면도 및 단면구조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차량용 감지센서는, 하우징(10)과, 센서부(20)와, 회로기판(30)과, 포팅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장착공간(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20)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셀(21))과, 상기 센서셀(21)을 감싸면서 상기 센서셀(21)과 상기 하우징(10) 사이에 배치되는 러버캡(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단에 장착된다.
상기 회로기판(30)은 상기 센서셀(21)과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회로기판(30)은 넓은 상면 또는 하면이 상기 센서부(20)의 후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회로기판(30)의 측면은 상기 장착공간(15)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0)의 측벽(11)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포팅부재(40)는 상기 장착공간(15)에 충진되어 상기 회로기판(30)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기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포팅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에 회로기판(30)을 포함한 다른 부품을 조립완료한 후에, 상기 하우징(10)의 장착공간(15)에 액상의 상기 포팅액이 주입되어 경화됨으로써 형성된다.
최근에는 차량 범퍼 디자인이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차량용 감지센서를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 범퍼에 장착시, 차량 범퍼의 디자인에 따라 차량 범퍼 안에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백빔(BACK BEAM)과 간섭이 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차량용 감지센서와 백빔과의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감지센서의 크기를 줄인 제품을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감지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30)에 상기 회로기판(30)의 하부공간에 상기 포팅액이 잘 주입되도록 하기 위해 포팅액주입구(3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포팅액주입구(31)를 통해 포팅액을 조금씩 주입하게 되면, 상기 회로기판(30) 하부공간에 있는 공기는 상기 회로기판(30)과 상기 하우징(10)의 측벽(11) 사이의 간극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팅액이 과다하게 주입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3은 도 2에서 포팅액을 과다하게 주입되는 경우의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팅액이 상기 회로기판(30)의 상면 전체에 과다하게 주입되는 경우에, 상기 회로기판(30)의 하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A)가 외부로 잘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회로기판(30)의 하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A)가 상기 포팅부재(40) 내부에 갇혀 기포를 생성하는 에어 트랩 현상의 불량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포팅부재(40)와 상기 하우징(10)의 접착불량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수입 등이 유입되어 감지센서의 불량 등을 야기시키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331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범퍼의 백빔과 간섭을 방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된 포팅부재 내부에 기포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여 에어트랩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며, 하우징과 포팅부재 사이에 기포가 생성되지 않아 접착력을 증대시켜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내구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감지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감지센서는, 측벽 및 바닥부에 의해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삽입공에 삽입결합되어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고, 넓은 면적을 갖는 전면과 후면이 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장착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기밀시키는 포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 및 후면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은 상기 센서부의 후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와 이격되어, 상기 장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과 후면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는 외부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포팅부재가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에 충진되되, 상기 포팅부재는,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 사이, 상기 회로기판의 후면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 사이 및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사이를 포함하여 충진된다.
상기 센서부은, 상기 삽입공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된 러버캡,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센서셀, 상기 센서셀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체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체결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체결핀은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상기 센서부와 상기 회로기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체결핀은, 일단이 상기 센서셀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일단이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는 탄성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의 중심에 탄성홀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최대폭은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가 상기 관통공에 압입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러버캡의 직경은 상기 삽입공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과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하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타단이 외부기기에 연결되는 터미널핀, 내부에 상기 터미널핀의 타단이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기기가 장착되는 커넥터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미널핀은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고, 타단이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지센서.
상기 포팅부재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지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이 상기 센서부의 후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짐으로써, 상기 차량용 감지센서가 백빔에 간섭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상기 포팅액이 상기 장착공간에 보다 잘 주입되도록 하여 상기 포팅부재의 내부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와 이격되어 상기 장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과 후면이 서로 연통됨으로써, 상기 장착공간에 포팅액이 주입시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를 통해 상기 포팅액이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과 후면방향에 용이하게 채워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통해 상기 포팅액이 상기 장착공간에 용이하게 충진되고, 상기 포팅액이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 사이, 상기 회로기판의 후면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 사이 및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사이를 포함하여 충진됨으로써, 상기 포팅부재 내부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에 상기 체결핀이 관통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센서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의 중심에 탄성홀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최대폭은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가 상기 관통공에 압입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에 상기 센서부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러버캡을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에 결합하고, 상기 러버캡에 상기 센서셀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센서셀을 상기 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러버캡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의 하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짐으로써, 상기 차량용 감지센서가 백빔에 간섭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핀의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타단이 외부기기에 연결고, 상기 커넥터몸체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핀의 타단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감지센서의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져 상기 차량용 감지센서가 백빔에 간섭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감지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감지센서의 평면도 및 단면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포팅액을 과다하게 주입되는 경우의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감지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감지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감지센서의 회로기판과 센서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감지센서의 하우징에 포팅액을 주입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감지센서의 하우징에 포팅부재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감지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감지센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감지센서의 회로기판과 센서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감지센서의 하우징에 포팅액을 주입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감지센서의 하우징에 포팅부재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감지센서는 하우징(100)과, 센서부(200)와, 회로기판(300)과, 포팅부재(400)와, 커넥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센서부(200) 및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는 몸체로서, 측벽(110) 및 바닥부(120)에 의해 내부에 장착공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110)에는 상기 장착공간(111)과 연통되는 삽입공(112)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주입홈(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센서부(200)와 회로기판(300)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2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제작된 후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공(112)은 상기 주입홈(130)과 연통되고, 상기 센서부(200)가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단면의 형상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입홈(130)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상기 회로기판(300)과 포팅부재(400) 및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구멍이다.
상기 센서부(200)는 초음파의 발생 및 수신에 의해 물체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공(1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112)과 대응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12)에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200)의 전면은 상기 삽입공(112)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삽입공(112)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상기 센서부(200)로 송, 수신된 신호를 명확하게 송,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200)는 러버캡(220)과, 센서셀(210)과, 체결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러버캡(220)은 상기 삽입공(1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센서셀(210)을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러버캡(220)의 직경은 상기 삽입공(11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러버캡(220)의 외주면이 상기 삽입공(112)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러버캡(220)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러버캡(220)의 내부에는 상기 센서셀(210)이 수용되는 수용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셀(210)은 내측 바닥부(120)에 압전소자가 장착되어 펄스(PULSE) 형식의 전기적인 신호가 일정하거나 불규칙하게 인가되면 상기 압전소자에 진동이 발생되는 원리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압전소자의 진동에 의해 상기 센서셀(210)의 바닥부(120)와의 마찰로 인한 초음파를 송출한 후, 상기 하우징(100) 주변의 장해물에 부딪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초음파 신호가 상기 체결핀(230)에 의해 상기 PCB에 전달된다.
이러한 상기 센서셀(210)은 상기 러버캡(220)의 상기 수용홈(221)에 삽입되고, 상기 센서셀(210)의 직경은 상기 수용홈(221)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홈(22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수용홈(221)의 내주면이 상기 센서셀(210)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센서셀(210)이 상기 러버캡(2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상기 러버캡(22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삽입공(112)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핀(230)은 상기 센서셀(210)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300)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센서셀(210)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로기판(3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체결핀(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31)와, 탄성부(2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부(231)는 일단이 상기 센서셀(210)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300)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탄성부(232)는 일단이 상기 연장부(23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300)과 압입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회로기판(300)은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넓은 면적의 전면(310)과 후면(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주입홈(130)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111)에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 배치되고, 상기 체결핀(23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센서부(200)와 연결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300)에는 상기 체결핀(230)의 상기 탄성부(232)가 관통되는 관통공(3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330)에 관통되는 상기 탄성부(232)의 중심에는 탄성홀(233)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232)의 최대폭은 상기 관통공(3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232)가 상기 관통공(330)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홀(233)이 탄성압축되면서 상기 탄성부(232)가 관통공(330)에 압입방식으로 삽입된다.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232)가 외력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저지되고, 상기 체결핀(230)을 매개로 하여 상기 회로기판(300)에 상기 센서부(2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어 상기 회로기판(300)과 상기 센서부(20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300)의 장착방향이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방향과 상이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단면구조와 비교하여, 상기 회로기판(300)의 90도 수직으로 삽입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300)은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단면구조와 비교하여, 90도 수직이 아닌 약간 경사지게 삽입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로기판(300)의 전면(310)이 상기 센서부(200)의 후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300)의 후면(320)이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110)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300)의 전면(310)은 상기 센서부(200)의 후면과 이격되고, 상기 회로기판(300)의 후면(320)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110)과 이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차량용 감지센서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폭이 얇게 형성되어 차량용 감지센서를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 범퍼에 장착시킬 때, 차량용 감지센서가 백빔에 간섭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300)의 하면은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부(120)와 이격되어 삽입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300)의 하면이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부(120)와 이격되어 삽입 배치됨으로써, 상기 장착공간(111)의 내부에서 상기 회로기판(300)의 전면(310)과 후면(320)은 상호 연통되고, 상기 장착공간(111)의 내부로 주입된 액상의 포팅액이 상기 회로기판(300)의 전면(310) 및 후면(320)으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 감지센서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폭이 얇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상기 회로기판(300)과 포팅부재(400) 및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상기 주입홈(130)의 면적이 종래와 비해 작게 형성됨으로써, 수분 및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주입홈(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종래에 비해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포팅부재(4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외부로 개방 형성된 상기 주입홈(130)을 통해 상기 포팅액이 상기 장착공간(111)에 충진되어 형성된다.
상기 포팅부재(400)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등의 포팅액이 상기 주입홈(130)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111)에 충진되어 경화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회로기판(300)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기밀시킨다.
도 7에서 포팅액의 주입 및 이동경로를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상기 주입홈(130)을 통해 주입된 포팅액은 상기 회로기판(300)의 전면(310)과 상기 센서부(200)의 후면 사이, 상기 회로기판(300)의 후면(320)과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110) 사이 및 상기 회로기판(300)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부(120) 사이를 포함하여 충진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종래와 같이 상기 포팅액이 과다하게 주입되더라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300)의 전면(310)과 상기 센서부(200)의 후면 및 상기 회로기판(300)의 후면(320)과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110) 사이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상기 장착공간(111)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쉽게 유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포팅액이 경화되어 형성되는 포팅부재(400)의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0)는 상기 회로기판(300)과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커넥터(500)는 터미널핀(510)과, 커넥터몸체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미널핀(510)은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기기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핀(510)은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300)을 관통하고 타단이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부(120)를 관통한다.
상기 커넥터몸체부(520)는 내부에 상기 터미널핀(510)의 타단이 수용되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기기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몸체부(520)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폭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차량용 감지센서를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 범퍼에 장착시킬 때, 차량용 감지센서가 백빔에 간섭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감지센서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로기판(300)의 전면(310)이 상기 센서부(200)의 후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짐으로써, 상기 차량용 감지센서가 백빔에 간섭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상기 포팅액이 상기 장착공간(111)에 보다 잘 주입되도록 하여 상기 포팅부재(400)의 내부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300)의 하면이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부(120)와 이격되어 상기 장착공간(111)의 내부에서 상기 회로기판(300)의 전면(310)과 후면(320)이 서로 연통됨으로써, 상기 장착공간(111)에 포팅액이 주입시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부(120)를 통해 상기 포팅액이 상기 회로기판(300)의 전면(310)과 후면(320)방향에 용이하게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하우징, 110: 측벽, 111: 장착공간, 112: 삽입공, 120: 바닥부, 130: 주입홈
200: 센서부, 210: 센서셀, 220: 러버캡, 221: 수용홈, 230: 체결핀, 231: 연장부, 232: 탄성부, 233: 탄성홀
300: 회로기판, 310: 전면, 320: 후면, 330: 관통공
400: 포팅부재
500: 커넥터. 510: 터미널핀, 520: 커넥터몸체부

Claims (10)

  1. 측벽 및 바닥부에 의해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삽입공에 삽입결합되어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장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고, 넓은 면적을 갖는 전면과 후면이 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장착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기밀시키는 포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 및 후면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은 상기 센서부의 후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지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와 이격되어, 상기 장착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과 후면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지센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는 외부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포팅부재가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에 충진되되,
    상기 포팅부재는,
    상기 회로기판의 전면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 사이, 상기 회로기판의 후면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 사이 및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 사이를 포함하여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지센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은,
    상기 삽입공의 내부에 삽입되고,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된 러버캡;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센서셀;
    상기 센서셀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체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체결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체결핀은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어 상기 센서부와 상기 회로기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지센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은,
    일단이 상기 센서셀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로기판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일단이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는 탄성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의 중심에 탄성홀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최대폭은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가 상기 관통공에 압입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지센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러버캡의 직경은 상기 삽입공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지센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과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하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지센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타단이 외부기기에 연결되는 터미널핀;
    내부에 상기 터미널핀의 타단이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기기가 장착되는 커넥터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지센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핀은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고, 타단이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지센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팅부재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지센서.
KR1020140083154A 2014-07-03 2014-07-03 차량용 감지센서 KR20160004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154A KR20160004613A (ko) 2014-07-03 2014-07-03 차량용 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154A KR20160004613A (ko) 2014-07-03 2014-07-03 차량용 감지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13A true KR20160004613A (ko) 2016-01-13

Family

ID=5517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154A KR20160004613A (ko) 2014-07-03 2014-07-03 차량용 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6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1789A (zh) * 2021-04-13 2021-07-09 同致电子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新型的传感器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1789A (zh) * 2021-04-13 2021-07-09 同致电子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新型的传感器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869B1 (ko) 초음파 센서 조립체
US7591182B2 (en) Ultrasonic sensor mounting structure
JP4458172B2 (ja) 超音波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US9620099B2 (en) Ultrasonic transducer device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US9915557B2 (en) Ultrasonic wave sensing module
US20190004161A1 (en) Ultrasonic sensor
CN107367732A (zh) 超声波传感器
JP5938673B2 (ja) 超音波センサ
CN102692623B (zh) 超声波传感器
KR102131449B1 (ko) 초음파 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4613A (ko) 차량용 감지센서
DK2639788T3 (en) ultrasonic Sensor
US9823341B2 (en) Ultrasonic sensor
JP5814798B2 (ja) 超音波送受波器
KR101491508B1 (ko) 초음파 트랜스듀서
KR102121421B1 (ko) 초음파 센서 조립체의 조립방법
JP4532347B2 (ja) 超音波送受波器
KR102326056B1 (ko) 차량용 감지센서
JP2009141451A (ja) 超音波送受波器
KR102543526B1 (ko) 차량용 감지센서
KR20130126162A (ko) 센서장치
KR20140042539A (ko) 센서장치
KR20160013683A (ko) 차량용 감지센서
KR20160024186A (ko) 초음파센서조립체
JP3651475B2 (ja) 超音波センサ及びその超音波センサに用いられる超音波振動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