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520A -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520A
KR20160004520A KR1020140082898A KR20140082898A KR20160004520A KR 20160004520 A KR20160004520 A KR 20160004520A KR 1020140082898 A KR1020140082898 A KR 1020140082898A KR 20140082898 A KR20140082898 A KR 20140082898A KR 20160004520 A KR20160004520 A KR 20160004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civil engineering
mat
soft ground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008B1 (ko
Inventor
김윤태
윤대호
하용수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0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해저의 연약지반에 포설되어 고정되는 토목용 보강재와, 토목용 보강재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인공어초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인공어초의 자중을 토목용 보강재로 분산하여 침하를 최대한 억제하고, 포설된 토목용 보강재에 의해 연약지반의 세굴 방지를 극대화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Artificial reef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 for reducing settlement and scour}
본 발명은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목용 보강재를 이용하여 해저 연약지반을 보강하고, 보강재 위에 인공어초를 설치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人工魚礁; Artificial reef)는 어패류(魚貝類)나 각종 수중식물의 서식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바닷속에 설치하는 인공 구조물로서, 어획능력이 큰 저인망이나 권현망 등으로부터 어장을 보호하고 각종 어류나 패류의 산란장 및 도피처를 조성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러한 인공어초는 해저지반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침설형(沈設型)과 바닷속에 구조물을 계류(繫留)시키는 부표형 어초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여기서, 침설형 인공어초의 경우 콘크리트나 강철재 또는 유리섬유 플라스틱(FRP) 재질로 육면체로 제작된 형태가 대표적이다.
한편, 해저지반이 사질(沙質), 사니질(沙泥質; 모래와 뻘이 혼합된 지반으로서 니질성분이 약 70 ~ 90% 정도인 지반), 니질(泥質; 니질이 90% 이상인 지반)로 이루어지는 연약지반일 때에는 인공어초의 무게로 인해 인공어초(10)의 일정 부분이 해저지반으로 침하되었고, 이로 인해 인공어초를 설치할 수 있는 지역이 한정되었다.
이를 감안하여 개발된 기술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고자 한다. 먼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71844호(발명의 명칭 : 농업용 폐비닐을 이용한 연약지반용 인공어초)에 개시된 기술을 보면, 도 1에서와 같이 해저 지반에 다수의 H-빔을 격자로 배열한 철구조물(10) 위에 인공어초(11)를 적층하여 설치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철구조물(10)이 해저 연약지반에 매설하여 인공어초가 조류에 의해 흔들리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H-빔의 운송과 설치가 어렵다. 또한, 연약지반의 깊이가 고려되지 않은 경우, H-빔의 좁은 폭에 인공어초(11)의 무게와 H-빔의 자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H-빔이 연약지반에 매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H-빔과 연약지반이 접촉하는 부위를 중심으로 침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세굴현상과 더불어 인공어초가 유실될 수 있는 우려가 여전히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01호(발명의 명칭 : 석션파일을 이용한 인공어초)에 개시된 기술을 보면, 도 2에서와 같이 적층된 인공어초(20)가 얹혀진 베이스(21)와, 이 베이스(21)를 해저 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해 베이스(21)의 하부에 고정된 석션파일(22)을 구비한다. 따라서, 해저 지중에 다수의 석션파일(22)을 관입시키고, 이들 석션파일(22)에 베이스(21)가 평평하게 설치된 다음, 다수의 인공어초(20)가 적층된다.
그러나, 이 석션파일(22)과 베이스(21)를 이용한 기술은 경사진 해저지반에 인공어초(20)를 설치하기에 특화되어 있을 뿐, 연약한 해저지반을 보강하거나 세굴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기술이다. 이외에도, 이들 중량의 석션파일(22)과 베이스(21)를 이동시키고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이 석션파일(22)을 지중에 관입시키기 위해 별도의 중장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24134호(발명의 명칭 : 보강판을 구비하는 인공어초)에 개시된 기술을 보면, 도 3에서와 같이 인공어초(30)가 얹혀지는 보강판(31), 보강판(31)에 형성된 다수의 유통구멍(32)과, 보강판(31)과 인공어초(30)를 결합시키기 위해 보강판(3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형강말뚝(33)을 구비한다.
그러나, 형강말뚝(33)과 유통구멍(32)이 구비된 중량의 보강판(31)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고, 형강말뚝(33)으로 보강판(31)과 인공어초(30)를 결합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또한, 보강판(31)이 각각의 인공어초(30)와 결합되는 경우 보강판(31)을 단품으로 다수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하나의 보강판(31)에 다수의 인공어초(30)가 결합되는 경우 커다란 보강판(31)을 만들게 되면 중량이 되고, 이 중량으로 인해 운송과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1-0002356호(발명의 명칭: 침하(쇄굴)방지식 다목적 해중림 인공어초)에 개시된 기술을 보면, 도 4에서와 같이 사각틀을 만드는 H형강의 모서리에 결합된 콘크리트 구조물(40), 이 콘크리트 구조물(40)의 상부에 H형강을 이용하여 세운 철구조물(41), 이 철구조물(41)의 모서리를 연결하여 턴버클(42)을 매개로 연결된 다수의 철근로프(43), 철근로프(43)들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된 PP로프(44)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안정적인 해중림 조성과 수산생물의 군집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공어초을 제작하기 위해 많은 비용과 기간이 소요되고, 이 인공어초를 설치하기 위해 운송비용과 작업기간 등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71844호(2002.04.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01호(2010.12.3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24134호(2004.03.11.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1-0002356호(2011.03.08. 공개)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와 위사가 얽혀서 제조된 토목용 보강재가 고정부재를 매개로 해저 연약지반에 포설되어 고정됨으로써, 토목용 보강재 위에 적층된 인공어초의 하중을 고루 분산시켜 해저 연약지반의 침하를 최소화하면서 세굴 역시 최대한 방지하도록 된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는, 해저의 연약지반에 포설되어 고정되는 제1토목용 보강재; 제1토목용 보강재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인공어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토목용 보강재는 직물 형태인 직포, 부직포, 매트, 지오신세틱스, 지오그리드, 지오네트, 지오텍스타일, 지오멤브레인, 지오웹, 지오매트, 지오파이프, 지오커포지트, 폐어망 또는, 고분자 제품인 플라스틱 멤브레인, 압출판, 3차원 압출형성 구조물, 매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토목용 보강재의 포설 면적은 인공어초의 설치 면적 대비 1.3~1.5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1토목용 보강재는 연약지반이 10°이내의 경사면인 지역에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토목용 보강재가 직물 형태인 경우, 이 제1토목용 보강재를 연약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해 1개 이상의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이 고정부재는 제1토목용 보강재의 제1경사 또는 제1위사를 끼우는 환형의 제1머리부와,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제1몸체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고정부재는 제1머리부에 제1경사 또는 제1위사를 끼우기 위해 제1머리부의 단부가 제1몸체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개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토목용 보강재가 고분자 제품인 경우, 제1토목용 보강재를 연약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이 고정부재는 제1토목용 보강재를 관통하여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제2몸체와, 이 제2몸체보다 더 넓은 단면적이면서 제1토목용 보강재의 상면에 위치하여 제1토목용 보강재를 연약지반으로 밀착시키는 제2머리부를 구비하는 제2고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는 몸체의 하단 또는 하부 일부위로부터 측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굴절된 1개 이상의 굴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1토목용 보강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저의 연약지반에 제1토목용 보강재를 일정 면적의 지역에 포설하는 제10단계(S10); 제1토목용 보강재를 고정부재로 해저의 연약지반에 고정시키는 제11단계(S11); 제1토목용 보강재 위에 인공어초를 설치하는 제12단계(S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는, 해저의 연약지반에 포설되면서 해양식물이 생착된 해조류 매트와, 이 해조류 매트를 연약지반에 밀착시키면서 연약지반에 고정되는 밀착매트를 구비하는 제2토목용 보강재; 제2토목용 보강재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인공어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해조류 매트의 포설 면적은 인공어초의 설치 면적 대비 1.3~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조류 매트는 연약지반이 10°이내의 경사면인 지역에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해조류 매트는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토우, 분말상태의 수지성 보습첨가재(W)와,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거나, 코코스야자의 과실에서 채취한 섬유소인 코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한 코이어천, 코코넛칩, 코코더스트, 피트모스, 부숙된 바크, 천연비료와 무기계 미량원소 첨가제 등을 압착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밀착매트는 직물 형태인 직포, 부직포, 매트, 지오신세틱스, 지오그리드, 지오네트, 지오텍스타일, 지오멤브레인, 지오웹, 지오매트, 지오파이프, 지오커포지트, 폐어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밀착매트를 연약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해 다수의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이 고정부재는 직물 형태인 밀착매트를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부재이고, 이 제1고정부재는 밀착매트의 제3경사 또는 제3위사를 끼우는 환형의 제1머리부와,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제1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고정부재는 제1머리부에 제3경사 또는 제3위사를 끼우기 위해 제1머리부의 단부가 제1몸체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개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고정부재는 제1몸체의 하단 또는 하부 일부위로부터 측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굴절된 1개 이상의 굴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2토목용 보강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저의 연약지반에 제2토목용 보강재의 해조류 매트를 일정 면적의 지역에 포설하는 제20단계(S20); 해조류 매트 위에 밀착매트를 덮는 제21단계(S21); 밀착매트를 단독으로 또는, 밀착매트와 해조류 매트를 함께 제1고정부재로 연약지반에 고정시키는 제22단계(S22); 해조류 매트 위에 인공어초를 설치하는 제23단계(S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저의 연약지반에 토목용 보강재를 포설한 후 인공어초를 설치함으로써, 인공어초의 자중을 토목용 보강재로 분산하여 침하를 최대한 억제하고, 포설된 토목용 보강재에 의해 연약지반의 세굴 방지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하 및 세굴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오랜 기간동안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인공어초를 제작할 필요 없이, 통상의 인공어초를 이용할 수 있어 비용 및 기간 등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 토목용 보강재에 해양식물을 생착시켜 연약지반에 포설함으로써, 연약지반에 해양식물의 뿌리를 내리도록 유도하여 연약지반을 보강 및 강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인공어초의 침하와 연약지반의 세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인공어초 조립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토목용 보강재의 "A"부위가 확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인공어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고정부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토목용 보강재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의 제1토목용 보강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조립체의 설치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6의 제2토목용 보강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조립체의 설치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토목용 보강재의 "A"부위가 확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인공어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고정부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토목용 보강재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어초(100), 토목용 보강재와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인공어초(100)는 직육면체이고, 외부와 통하면서 내부에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서식을 위한 서식공간(101)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100)는 초기의 형태로,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개량된 인공어초와 비교하여 볼 때, 낮은 제작비용과 짧은 제작기간, 간단한 설치 등의 장점이 있다. 즉, 통상의 저렴한 인공어초(100)를 이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설치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공어초(100)들은 조류에 의한 흔들림과, 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인공어초(100)들을 케이블 또는 강재로프 등으로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거나, 상호 이웃한 인공어초(100)들을 볼팅체결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인공어초(100)들 사이의 접촉된 부위에서 흔들림이나 충돌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폐타이어와 같은 고무재질의 부재를 고착시킬 수도 있다. 이 고무재질의 부재를 사용하게 되면 콘크리트 구조물인 인공어초(100)의 단위 중량이 크게 감소하여 자중에 의한 침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토목용 보강재는 해저의 연약지반(이하 '연약지반'이라 함)에 일정 면적 위에 포설하여 연약지반을 보강하는 부재로, 위에 중량의 인공어초(100)가 단층 또는 다층으로 설치되며, 도 5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 종류로 구분되고,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러한 토목용 보강재는 통상적으로 토목공사에서 토사의 세굴방지, 지반의 분리와 보강, 배수의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방수, 균열방지, 지반구조물 보호와 충격흡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토목용 보강재를 해저의 연약지반에 포설하고, 이 연약지반의 세굴방지, 균열방지와 더불어 인공어초(100)의 무게를 최대한 분산함은 물론 인공어초(100)의 침하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여기서, 토목용 보강재는 해저의 연약지반이면서 대체적으로 경사면이 10° 이내인 평평한 지역에 포설된다. 여기서, 10°를 초과하는 경사진 지역의 경우 토목용 보강재에 의해 인공어초(100)의 침하 또는 세굴이 방지되더라도 조류에 의해 일반 육면체의 인공어초(100)가 흔들려 파손 또는 유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소 울퉁불퉁한 지역에도 토목용 보강재의 설치가 가능하고, 이는 인공어초(100)의 자중에 의해 울퉁불퉁한 부위가 눌려 다소 평탄해지므로 인공어초(100)의 설치에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인공어초(100)의 자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토목용 보강재의 포설 범위는 인공어초(100)가 중앙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사방으로 넓게 포설되도록 하고, 이는 인공어초(100)의 하중이 주변 지역에 까지도 고루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토목용 보강재의 포설 면적은 인공어초(100)의 설치 면적 대비 대략 1.3~1.5배 정도이다. 이는 토목용 보강재의 포설 면적이 1.3배 미만이면 하중이 집중되어 침하 또는 세굴 감소 효과가 낮아지고, 1.5배를 초과하면 주변으로의 하중 분산 능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이 토목용 보강재에 대해 도 6에서와 같이 연약지반에 포설되는 1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제1토목용 보강재(110)와, 도 9에서와 같이 해조류 매트(121)와 밀착매트(124)의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제2토목용 보강재(120)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토목용 보강재(110)는 도 6에서와 같이, 통상의 지반보강용 토목섬유로서, 직물 형태인 직포, 부직포, 매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고분자 제품인 플라스틱 멤브레인, 압출판, 3차원 압출형성 구조물, 매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직물형태의 지오신세틱스(geosynthetics), 지오그리드(geogrid), 지오네트(geonet),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지오멤브레인(geomembrane), 지오웹(geowebs), 지오메트(geomat), 지오파이프(geopipe), 지오컴포지트(geocomposite), 폐어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토목용 보강재(110)는 이들 직물 형태 또는 고분자 제품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이 제1토목용 보강재(110)는 직물 형태인 경우 다수의 제1경사(111)와 제1위사(112)가 상호 교차하도록 엮여서 제조되고, 이때 제1경사(111)와 제1위사(112)는 메시(mesh)를 구비하도록 엮을 수도 있으며, 메시를 배제하여 촘촘하게 엮을 수도 있다. 그리고, 직물 형태 또는 고분자 제품인 제1토목용 보강재(110)의 포설 면적은 인공어초(100)의 설치 면적 대비 대략 1.3~1.5배 정도이다.
또한, 제2토목용 보강재(120)는 도 9에서와 같이, 해양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제작된 해조류 매트(121)와, 이 해조류 매트(121)를 덮어서 연약지반에 잘 밀착시키기 위한 망 형태의 밀착매트(124)를 구비한다. 여기서, 해조류 매트(121)가 실질적으로 침하 및 세굴을 방지하게 되고, 밀착매트(124)가 이를 조력한다.
여기서, 해조류 매트(121)에는 미역, 다시마, 감태, 모자반 등을 포함하는 다종(多種) 또는 다수의 해양식물의 어린 모종이나 다 자란 성체 등을 생착시킬 수 있다. 이는 해조류 매트(121)를 해저 연약지반에 포설한 후, 생착된 해양식물들이 연약지반에 뿌리를 내리게 함으로써 해양 생태계에서 어패류에 서식처와 은신처 및 먹이를 공급하는 등 해양 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연약지반을 보강 및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해양식물을 해조류 매트(121)에 생착시키기 위한 일 예로, 해조류 매트(121)에 일정 기간 동안 해저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해양식물을 직접 생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해조류 매트(121)의 제2경사(122)와 제2위사(123) 각각에 또는, 제2경사(122)와 제2위사(123)의 교차부위에 별도의 고정와이어(미도시)를 이용하여 해양식물을 고정시킬 수도 있고, 제2경사(122)와 제2위사(123) 사이에 해양식물이 끼이도록 제2경사(122)와 제2위사(123)를 엮을 수도 있다.
이러한 해조류 매트(121)는 현재 판매하는 것을 이용한다. 해조류 매트(121)는 일 예로,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토우, 분말상태의 수지성 보습첨가재(W)와,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해조류 매트(121)의 다른 예로, 코코스야자의 과실에서 채취한 섬유소인 코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한 코이어천, 코코넛칩, 코코더스트, 피트모스, 부숙된 바크, 천연비료와 무기계 미량원소 첨가제 등을 참착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밀착매트(124)는 직물 형태로 제조되고, 제3경사(125)와 제3위사(126)가 얽혀서 이루어지고, 제3경사(125) 또는 제3위사(126)가 고정부재에 의해 연약지반에 고정된다. 이러한 밀착매트(124)는 직포, 부직포, 매트, 지오신세틱스, 지오그리드, 지오네트, 지오텍스타일, 지오멤브레인, 지오웹, 지오메트, 지오파이프, 지오컴포지트, 폐어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고정부재는 토목용 보강재를 연약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 8에서와 같이 직물 형태의 토목용 보강재를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부재(130)와, 도 10에서와 같이 고분자 제품의 토목용 보강재를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부재(134)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고정부재(130)는 도 5와 도 8에서와 같이 토목용 보강재가 직물 형태인 경우 제1토목용 보강재(110)의 제1경사(111)나 제1위사(112) 또는, 제2토목용 보강재(120) 중 밀착매트(124)의 제3경사(125)나 제3위사(126)가 끼워지는 제1머리부(131)와,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제1몸체(132)를 구비한다. 이 제1고정부재(130)는 직물 형태의 토목용 보강재의 모서리는 물론 변두리와 중앙부를 비롯한 다양한 위치에 다수 설치되고, 토목용 보강재를 연약지반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충분한 개수를 사용한다.
여기서, 제1머리부(131)는 경사 또는 위사가 손쉽게 끼워지는 환형이고, 제1머리부(131)의 단부가 제1몸체(132)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개구부(133)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 개구부(133)를 통해 토목용 보강재의 제1경사(111)나 제1위사(112) 또는, 제3경사(125)나 제3위사(126)를 제1머리부(131)에 끼운다. 여기서, 개구부(133)의 폭은 경사 또는 위사가 겨우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개구부(133)를 통해 제2경사(122)와 제2위사(123)를 제1머리부(131)에 끼울 수도 있고, 이 경우 해조류 매트(121)를 연약지반에 직접 고정하여 밀착패드(124)의 고정을 조력하게 된다.
이 개구부(133)의 변형 예로, 제1머리부(131)의 단부측 일부위가 돼지꼬리처럼 말린 형태로 되면서 제1몸체(132)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은 경사 또는 위사가 개구부(133)를 통해 끼워진 다음, 역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리고, 제2고정부재(134)는 도 10에서와 같이, 토목용 보강재가 고분자 제품인 경우,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제2몸체(136)와, 이 제2몸체(136)보다 더 넓은 단면적의 제2머리부(135)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몸체(136)가 고분자 제품인 토목용 보강재의 일부위를 관통하여 연약지반에 매설되고, 제2머리부(135)가 토목용 보강재의 상면에 위치하여 토목용 보강재를 연약지반으로 밀착시킨다.
또한, 제1고정부재(130)의 제1몸체(132) 또는 제2고정부재(134)의 제2몸체(136)는 하부가 뾰족한 통상적인 형태이거나, 닻(anchor)과 유사한 형상으로 하단이나 하부 일부위로부터 측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굴절된 1개 이상의 굴절부를 구비한 형태일 수도 있다. 이는 연약지반에 매설된 몸체가 쉽게 뽑히지 않으면서 견고한 고정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에서 제1토목용 보강재(110)를 사용한 경우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도 5의 제1토목용 보강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조립체의 설치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해저의 연악지반에 제1토목용 보강재(110)를 일정 면적의 지역에 포설한다(S10). 이때, 연약지반은 10°이내의 경사면이면서 평평하거나 울퉁불퉁한 지역이다. 또한, 제1토목용 보강재(110)의 포설 면적은 일 예로, 제1토목용 보강재(110)가 고분자 제품인 경우 인공어초(100)의 설치 면적보다 1.5배 정도로 하고, 토목용 보강재가 직물인 경우 인공어초(100)의 설치 면적보다 1.3배 정도로 한다.
다음으로, 제1토목용 보강재(110)를 고정부재로 연약지반에 고정시킨다(S11).
여기서, 제1토목용 보강재(110)가 직물인 경우, 제1고정부재(130)의 제1머리부(131)에 제1경사(111) 또는 제1위사(112)를 끼운 후, 연약지반에 제1고정부재(130)의 제1몸체(132)를 매설한다. 또한, 제1토목용 보강재(110)가 고분자 제품인 경우, 제2고정부재(134)의 제2몸체(132)가 제1토목용 보강재(110)를 관통하여 연약지반에 매설하면서 제2고정부재(134)의 제2머리부(135)가 제1토목용 보강재(110)를 연약지반과 밀착되도록 한다.
끝으로, 제1토목용 보강재(110) 위에 인공어초(100)를 설치한다(S12). 인공어초(100)는 제1토목용 보강재(110)가 포설된 지역의 중앙부위에 위치되도록 하고, 단층 또는 다층으로 설치한다. 또한, 인공어초(100)들 상호 간에는 볼팅체결, 와이어, 체결로프 등으로 결합시켜 조류에 의한 흔들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이 흔들림에 의한 파손을 최대한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에서 제2토목용 보강재(120)를 사용한 경우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도 6의 제2토목용 보강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조립체의 설치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해저의 연악지반에 제2토목용 보강재(120)의 해조류 매트(121)를 일정 면적의 지역에 포설한다(S20). 이때, 연약지반은 10°이내의 경사면이면서 평평하거나 울퉁불퉁한 지역이다. 또한, 해조류 매트(121)의 포설 면적은 인공어초(100)의 설치 면적보다 1.3 ~ 1.5배로 한다.
다음으로, 밀착매트(124)를 해조류 매트(121) 위에 덮는다(S21).
다음으로, 밀착매트(124)를 제1고정부재(130)로 제1고정부재로 연약지반에 고정시킨다(S22). 이 제1고정부재(130)의 제1머리부(131)에 밀착매트(124)의 제3경사(125) 또는 제3위사(126)를 끼운 후, 연약지반에 제1고정부재(130)의 제1몸체(132)를 매설한다.
끝으로, 밀착매트(124) 위에 인공어초(100)를 설치한다(S23). 인공어초(100)는 밀착매트(124)가 포설된 지역의 중앙부위에 위치되도록 하고, 단층 또는 다층으로 설치한다. 또한, 인공어초(100)들 상호 간에는 볼팅체결, 와이어, 체결로프 등으로 결합시켜 조류에 의한 흔들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이 흔들림에 의한 파손을 최대한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인공어초 101:서식공간
110:제1토목용 보강재 111:제1경사
112:제1위사 120:제2토목용 보강재
121:해조류 매트 122:제2경사
123:제2위사 124:밀착매트
125:제3경사 126:제3위사
130:제1고정부재 131:제1머리부
132:제1몸체 133:개구부
134:제2고정부재 135:제2머리부
136:제2몸체.

Claims (18)

  1. 해저의 연약지반에 포설되어 고정되는 제1토목용 보강재(110);
    상기 제1토목용 보강재(110)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인공어초(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목용 보강재(110)는 직물 형태인 직포, 부직포, 매트, 지오신세틱스, 지오그리드, 지오네트, 지오텍스타일, 지오멤브레인, 지오웹, 지오매트, 지오파이프, 지오커포지트, 폐어망 또는, 고분자 제품인 플라스틱 멤브레인, 압출판, 3차원 압출형성 구조물, 매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목용 보강재(110)의 포설 면적은 인공어초(100)의 설치 면적 대비 1.3~1.5배로 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목용 보강재는 연약지반이 10°이내의 경사면인 지역에 포설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목용 보강재(110)가 직물 형태인 경우, 이 제1토목용 보강재(110)를 연약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해 1개 이상의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제1토목용 보강재(110)의 제1경사(111) 또는 제1위사(112)를 끼우는 환형의 제1머리부(131)와,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제1몸체(132)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재(130)인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130)는 제1머리부(131)에 제1경사(111) 또는 제1위사(112)를 끼우기 위해 제1머리부(131)의 단부가 제1몸체(132)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개구부(133)를 더 구비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목용 보강재(110)가 고분자 제품인 경우, 상기 제1토목용 보강재(110)를 연약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제1토목용 보강재(110)를 관통하여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제2몸체(136)와, 이 제2몸체(136)보다 더 넓은 단면적이면서 제1토목용 보강재(110)의 상면에 위치하여 제1토목용 보강재(110)를 연약지반으로 밀착시키는 제2머리부(135)를 구비하는 제2고정부재(134)인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몸체의 하단 또는 하부 일부위로부터 측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굴절된 1개 이상의 굴절부를 더 구비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인공어초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저의 연약지반에 제1토목용 보강재(110)를 일정 면적의 지역에 포설하는 제10단계(S10);
    상기 제1토목용 보강재(110)를 고정부재로 해저의 연약지반에 고정시키는 제11단계(S11);
    상기 제1토목용 보강재(110) 위에 인공어초(100)를 설치하는 제12단계(S12);를 구비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의 설치방법.
  10. 해저의 연약지반에 포설되면서 해양식물이 생착된 해조류 매트(121)와, 이 해조류 매트(121)를 연약지반에 밀착시키면서 연약지반에 고정되는 밀착매트(124)를 구비하는 제2토목용 보강재(120);
    상기 제2토목용 보강재(120)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인공어초(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매트(121)의 포설 면적은 인공어초(100)의 설치 면적 대비 1.3~1.5배인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매트(121)는 연약지반이 10°이내의 경사면인 지역에 포설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매트(121)는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토우, 분말상태의 수지성 보습첨가재(W)와,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거나, 코코스야자의 과실에서 채취한 섬유소인 코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한 코이어천, 코코넛칩, 코코더스트, 피트모스, 부숙된 바크, 천연비료와 무기계 미량원소 첨가제 등을 압착 성형하여 이루어진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매트(124)는 직물 형태인 직포, 부직포, 매트, 지오신세틱스, 지오그리드, 지오네트, 지오텍스타일, 지오멤브레인, 지오웹, 지오매트, 지오파이프, 지오커포지트, 폐어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매트(124)를 연약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해 다수의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직물 형태인 밀착매트(124)를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부재(130)이고, 상기 제1고정부재(130)는 밀착매트(124)의 제3경사(125) 또는 제3위사(126)를 끼우는 환형의 제1머리부(131)와, 연약지반에 매설되는 제1몸체(132)를 포함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130)는 제1머리부(131)에 제3경사(125) 또는 제3위사(126)를 끼우기 위해 제1머리부(131)의 단부가 제1몸체(132)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개구부(133)를 더 구비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130)는 제1몸체(132)의 하단 또는 하부 일부위로부터 측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굴절된 1개 이상의 굴절부를 더 구비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18.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인공어초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저의 연약지반에 제2토목용 보강재(120)의 해조류 매트(121)를 일정 면적의 지역에 포설하는 제20단계(S20);
    상기 해조류 매트(121)위에 밀착매트(124)를 덮는 제21단계(S21);
    상기 밀착매트(124)를 단독으로 또는, 상기 밀착매트(124)와 해조류 매트(132)를 함께 제1고정부재(130)로 연약지반에 고정시키는 제22단계(S22);
    상기 해조류 매트(121) 위에 인공어초(100)를 설치하는 제23단계(S23);를 구비하는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의 설치방법.
KR1020140082898A 2014-07-03 2014-07-03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10168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898A KR101688008B1 (ko) 2014-07-03 2014-07-03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898A KR101688008B1 (ko) 2014-07-03 2014-07-03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520A true KR20160004520A (ko) 2016-01-13
KR101688008B1 KR101688008B1 (ko) 2016-12-20

Family

ID=5517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898A KR101688008B1 (ko) 2014-07-03 2014-07-03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0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4621A (ja) * 2017-03-16 2018-10-04 チャン パク,セウン ヨクイニン及び茵ちんの抽出エキ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性早熟症の予防、改善又は治療用の組成物
KR101968913B1 (ko) * 2018-06-28 2019-04-15 대한민국 해삼 혼합 양식방법
WO2020060045A1 (ko) * 2018-09-20 2020-03-26 해양환경공단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612B1 (ko) 2020-06-03 2020-09-22 한산콘크리트(주) 수중지반 신속자중매립용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블럭 일체형 인공어초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4872U (ja) * 1984-07-19 1986-03-03 函館製綱船具株式会社 魚礁等水底構造物の埋没防止材
JPH05140919A (ja) * 1991-11-18 1993-06-08 Fujimi Green Eng Kk 植生マツトを利用した護岸の自然復元方法
KR100271844B1 (ko) 1997-12-01 2000-11-15 다니구찌 이찌로오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 구조의 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 회로
KR100424134B1 (ko) 2003-08-26 2004-03-24 대한민국 보강판을 구비하는 인공어초
KR100964130B1 (ko) * 2010-01-25 2010-06-17 이남서 어패류 및 해조류 서식을 위한 바다목장 장치
KR20110002356A (ko) 2009-07-01 2011-01-07 주식회사 삼신 안전 방출 밸브
KR20120036009A (ko) * 2010-10-07 2012-04-17 박종화 식생 매트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4872U (ja) * 1984-07-19 1986-03-03 函館製綱船具株式会社 魚礁等水底構造物の埋没防止材
JPH05140919A (ja) * 1991-11-18 1993-06-08 Fujimi Green Eng Kk 植生マツトを利用した護岸の自然復元方法
KR100271844B1 (ko) 1997-12-01 2000-11-15 다니구찌 이찌로오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 구조의 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 회로
KR100424134B1 (ko) 2003-08-26 2004-03-24 대한민국 보강판을 구비하는 인공어초
KR20110002356A (ko) 2009-07-01 2011-01-07 주식회사 삼신 안전 방출 밸브
KR100964130B1 (ko) * 2010-01-25 2010-06-17 이남서 어패류 및 해조류 서식을 위한 바다목장 장치
KR20120036009A (ko) * 2010-10-07 2012-04-17 박종화 식생 매트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4621A (ja) * 2017-03-16 2018-10-04 チャン パク,セウン ヨクイニン及び茵ちんの抽出エキ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性早熟症の予防、改善又は治療用の組成物
KR101968913B1 (ko) * 2018-06-28 2019-04-15 대한민국 해삼 혼합 양식방법
WO2020060045A1 (ko) * 2018-09-20 2020-03-26 해양환경공단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
KR20200033613A (ko) * 2018-09-20 2020-03-30 해양환경공단 점박이물범 서식지 및 그 조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008B1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4898B2 (ja) 河川護岸及び法面保護用植生マット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固定装置
KR200382114Y1 (ko) 식생호안용/조경용 매트
Theisen The role of geosynthetics in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An overview
KR101688008B1 (ko) 침하 및 세굴 저감용 인공어초 조립체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100754979B1 (ko) 시공석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하천 구조물
CN102051867A (zh) 柔性绿色生态河道护岸结构
KR20100063881A (ko)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및 그 고정장치
CN106818277B (zh) 滨海潮间带抗风浪种植体系及其构建方法
KR100741715B1 (ko) 침식방지식생매트
CN202012066U (zh) 柔性绿色生态河道护岸结构
KR101761902B1 (ko) 침하 및 세굴을 저감시키는 기능이 구비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009811B1 (ko) 석재고정매트 및 시공방법
JP5162291B2 (ja) 沈着基質ユニット及び浮遊幼生育成用構造物
US10246842B2 (en) Water barrier, in particular a dike
CN216600966U (zh) 一种修复光滩的植物纤维毯
CN214783600U (zh) 一种复合型生态驳岸
KR101344008B1 (ko) 친환경 해중 인공어초
KR102225234B1 (ko) 해삼 중간육성 및 수산생물 성육 다기능 모듈
KR101748240B1 (ko)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JPH0782720A (ja) 生態系保護用自然石金網
KR102149503B1 (ko) 해삼을 포함한 바다생물 서식장 기능을 겸비한 잠제
KR200461490Y1 (ko) 식생매트
KR200379995Y1 (ko) 개비온을 이용한 인공 어초
CN113940213B (zh) 一种生态型植物纤维毯装置和构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