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332U -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 Google Patents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332U
KR20160004332U KR2020150003712U KR20150003712U KR20160004332U KR 20160004332 U KR20160004332 U KR 20160004332U KR 2020150003712 U KR2020150003712 U KR 2020150003712U KR 20150003712 U KR20150003712 U KR 20150003712U KR 20160004332 U KR20160004332 U KR 201600043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and
pin
wristwatch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896Y1 (ko
Inventor
이규현
Original Assignee
이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현 filed Critical 이규현
Priority to KR2020150003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89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3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8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02Simple pins
    • A44B9/04Ordinary p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A44C5/147Watchcase itself used as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에 관한 고안으로, 손목시계의 밴드부 끝단에 결합된 버클, 버클과 밴드부를 연결하는 버클 핀부, 버클 핀부가 일단을 관통하고 타단이 중심부가 함몰되어 절곡부를 형성하는 회동 가능한 고리핀, 고리핀의 타단이 버클과 맞닿는 곳에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고리핀이 시계줄을 분리하는 기능을 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 손쉽게 시계줄을 교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WATCH HAVING ISOLATION UNIT TO ISOLATE BAND}
본 고안은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에 관한 고안으로, 버클의 고리핀이 시계줄을 분리하는 기능을 하여 별도의 장비 없이 손쉽게 시계줄을 교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손목시계는 크게 표시부, 밴드부, 버클, 파지부, 밴드부의 홀, 고리핀으로 구성된다. 표시부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대에 서로 마주보게 홈이 형성되고, 원통형 결합 핀부가 지지대의 홈에 삽입되어 밴드부가 결합 핀부를 감싸 표시부와 밴드부가 연결된다. 이때, 결합 핀부는 원통형 바디부와 바디부의 양측에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용자의 지속적 시계착용으로 인해 시계줄이 노쇠화 되어 교환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종래에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도구와 돌출부를 맞물리게 하고 돌출부를 좌우로 움직여 홈으로부터 결합 핀부를 이탈시켜 시계줄을 교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에는 원통형의 돌출부와 맞물리도록 하는 작은 크기의 도구를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관련된 특허로는 공개특허공보 10-2009-0077447이 있다.
미세 길이조절용 손목시계에 관한 발명으로, 시계를 손목에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시계 줄을 현재 허리띠에 이용되고 있는 버클을 이용하여 결속시킬 수 있게 하는 손목시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별도로 허리에 있는 버클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편리함 등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시계줄 교환 시 작은 크기의 간편한 도구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에 관한 고안으로, 버클의 고리핀이 시계줄을 분리하는 기능을 하여 별도의 장비 없이 손쉽게 시계줄을 교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는 손목시계의 밴드부 끝단에 결합된 버클, 버클과 밴드부를 연결하는 버클 핀부, 상기 버클 핀부가 일단을 관통하고 타단이 중심부가 함몰되어 절곡부를 형성하는 회동 가능한 고리핀, 고리핀의 타단이 버클과 맞닿는 곳에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는 표시부, 표시부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대 및 지지대 사이에 삽입되어 밴드부와 표시부를 연결하는 결합 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결합 핀부는 바디부 및 바디부의 양측에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지지대는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는 절곡부를 돌출부에 맞물려 홈으로부터 결합 핀부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버클 핀부는 바디부 및 바디부의 양측에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밴드부는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는 제2 밴드부의 일단에 연결된 삽입부, 삽입부의 타단에 연결된 제3 밴드부 및 제3 밴드부의 단부에 버클 핀부를 통해 버클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삽입부의 중심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버클의 고리핀이 시계줄을 분리하는 기능을 하여 별도의 장비 없이 손쉽게 시계줄을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손목시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손목시계의 버클과 고리핀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버클과 고리핀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고리핀으로 표시부의 결합 핀부를 이탈시키는 원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다른 실시예의 착용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은 종래의 손목시계의 착용된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손목시계의 착용된 후의 모습을 설명하도록 한다.
손목시계는 크게 표시부, 밴드부(10,11), 버클(20), 파지부(30), 밴드부의 홀(40), 고리핀(50)으로 구성된다. 표시부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대에 서로 마주보게 홈이 형성되고, 원통형 결합 핀부가 지지대의 홈에 삽입되어 밴드부(10,11)가 결합 핀부를 감싸 표시부와 밴드부(10,11)가 연결된다.
도 2는 종래의 손목시계의 버클과 고리핀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손목시계의 버클과 고리핀 부분을 설명하도록 한다.
버클(20)은 ㄷ형상을 지닌 것으로 버클(20)의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게 홈(23)이 형성된다. 이때, 홈(23)은 원형의 홈이 바람직하다. 홈(23)에는 버클 핀부가 삽입된다. 버클 핀부는 원통형 바디부(21) 및 바디부(21)의 양측에서 연장된 돌출부(22)로 구성된다. 이때 바디부(21) 및 돌출부(22)는 원통형이 바람직하다.
버클(20)의 횡방향으로의 너비는 밴드부(10)의 횡방향으로의 너비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과정에서 밴드부(1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고리핀(50)은 버클(20)을 통과한 밴드부(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밴드부(10)가 버클(20)을 통과시 버클(20)에 형성된 홈(40)에 고리핀(50)이 삽입되어 손목에 손목시계가 감기도록 하는 역할이다. 고리핀(50)의 구조를 설명하자면, 고리핀(50)은 일단부가 바디부(21)를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되고 타단부가 버클(20)의 단부에 형성된 받침대(24)에 맞닿게 형성된다. 종래의 고리핀(50)의 단부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 내지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버클과 고리핀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버클과 고리핀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버클(200)은 종래의 손목시계의 버클(20)과 유사하다. 버클(200)은 ㄷ형상을 지닌 것으로 버클(200)의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게 홈(230)이 형성된다. 이때, 홈(230)은 원형의 홈(230)이 바람직하다. 홈(230)에는 버클 핀부(280)가 삽입된다. 버클 핀부(280)는 원통형 바디부(210) 및 바디부(210)의 양측에서 연장된 돌출부(220)로 구성된다. 이때 바디부(210) 및 돌출부(220)는 원통형이 바람직하다. 손목에 본 고안이 착용시, 손목 형상에 맞추어 부드럽게 밴드부(100,110,120)가 감기기 위함이다.
버클 핀부(280)는 버클(200)과 제3 밴드부(12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버클 핀부(280)가 버클(200)의 홈(230)에 삽입되고 고리핀(510)이 관통한 상태에서 제3 밴드부(120)가 버클 핀부(280)를 감싸 버클(200)과 제3 밴드부(120)를 연결하는 원리이다.
버클(200)의 횡방향으로의 너비는 밴드부의 횡방향으로의 너비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과정에서 밴드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고리핀(500)의 구조를 설명하자면, 고리핀(500)은 일단부가 바디부(210)를 관통하도록 축구멍(530)이 형성되고 타단부가 버클(200)의 단부에 형성된 받침대(240)에 맞닿게 형성된다. 이때, 고리핀(500)은 구멍(400)으로의 관통이 용이하도록 회동이 가능하다. 종래의 고리핀(50)의 단부와는 달리 본 고안에 따른 고리핀(510)의 단부는 중심부가 함몰되어 절곡부(520)를 형성한다. 이때, 절곡부(52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곡부(520)의 함몰된 너비는 돌출부(260)의 단면적보다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 하다. 분리도구로서 사용되는 과정에서 돌출부(260)에 효과적으로 맞물리게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고리핀으로 표시부의 결합 핀부를 이탈시키는 원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고리핀으로 표시부의 결합 핀부를 이탈시키는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표시부(700)와 밴드부(100,110)의 결합을 설명한다. 표시부(700)는 시침과 분침을 통해 시간을 표기하는 기능을 한다. 표시부의 양측에는 지지대(701)가 돌출되어 있다. 버클(200)에서 버클 핀부(280)가 결합되는 원리로 지지대(701)에서 결합 핀부(290)가 결합된다. 지지대(701)에는 버클(200)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게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홈에 결합 핀부(290)가 삽입된다. 결합 핀부(290)는 바디부(270)와 바디부(270)의 양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60)로 구성된다.
결합 핀부(290)는 표시부(700)와 제1 밴드부(100) 및 제2 밴드부(11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결합 핀부(290)가 표시부(700)의 홈(미도시)에 삽입되고 제1 밴드부(100) 및 제2 밴드부(110)가 결합 핀부(290)를 감싸서 표시부(700)와 제1 밴드부(100) 및 제2 밴드부(110)를 연결하는 원리이다.
본 고안을 이용한 시계줄(밴드부) 교환과정을 설명하자면, 고리핀(510)의 절곡부(520)를 밴드부(100,110)를 교환할 손목시계의 돌출부(260)에 맞물리게 한다. 이후 맞물린 상태에서 고리핀(510)을 좌우로 움직이면 돌출부(260)가 홈에서 빠져나가 결합 핀부(290)가 지지대(701)로부터 이탈되고, 이로 인해 고리핀(510)의 절곡부(520)로 밴드부(100,110)를 교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별도의 장비 없이 버클(200)에 결합된 고리핀(510)만으로 시계줄(100,110)을 교환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삽입부(600)는 삽입부(600)의 중심부에 제1 밴드부(100)가 삽입되는 개구부(601)가 형성되고, 삽입부(600)와 개구부(601)는 제1 밴드부(100)가 통과하도록 직사각형의 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4의 개구부(601)의 횡방향의 너비는 제1 밴드부(100)의 횡방향의 너비와 유사함이 바람직하다. 제1 밴드부(100)가 삽입부(600)의 개구부(601)에 삽입시 너비가 유사하여 개구부(601)로부터 제1 밴드부(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개구부(601)에는 개구부(601)의 좌우 양 측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삽입부 지지대(602)가 형성된다. 삽입부 지지대(602)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1 핀부(620) 및 제2 핀부(610)가 삽입되는 홈이 마주보게 형성된다. 제1 핀부(620)는 표시부(700)의 일측면에 연결된 제2 밴드부(110)와 삽입부(60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돌출 지지대(602) 하부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홀에 제1 핀부(620)가 횡방향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제1 핀부(620)에 제2 밴드부(110)를 말아 제2 밴드부(110)와 삽입부(600)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때, 제1 핀부(620)의 형상은 버클 핀부(280) 및 결합 핀부(290)와 같이 바디부와 돌출부의 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핀부의 형상은 원통형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목에 본 고안이 착용시, 손목 형상에 맞추어 부드럽게 밴드부가 감기기 위함이다.
제2 핀부(610)는 버클(200)에 연결된 제3 밴드부(120)와 삽입부(60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삽입부 지지대(602)의 상부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홈에 제2 핀부(610)가 횡방향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제2 핀부(610)에 제3 밴드부(120)를 말아 제3 밴드부(120)와 삽입부(60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제2 핀부(610)의 형상은 버클 핀부(280) 및 결합 핀부(290)와 같이 바디부와 돌출부의 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핀부의 형상은 원통형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목에 본 고안이 착용시, 손목 형상에 맞추어 부드럽게 밴드부가 감기기 위함이다.
파지부(300)는 본 고안을 손목에 착용시 버클(200)을 통과한 제1 밴드부(100)가 통과하는 곳으로 제3 밴드부(120)와 제1 밴드부(100)을 결합시키는 기능이며, 파지부(300)는 제3 밴드부(120)를 둘러싸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다른 실시예의 착용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의 다른 실시예의 착용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의 다른 실시예의 착용과정을 살펴보면, 표시부(700)를 손목에 올리고 제1 밴드부(100)를 손목을 따라 감싼다. 제1 밴드부(100)가 버클(200)을 통과할 때 손목의 둘레에 맞도록 제1 밴드부(100)의 임의의 구멍(400)에 고리핀(510)을 삽입시켜 고리핀(510)을 관통한다. 이후 제1 밴드부(100)은 파지부(300)을 통과한다.
파지부(300)를 관통한 제1 밴드부(100)는 삽입부(600)의 개구부(601)를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게 되고, 삽입부(600)를 관통한 제1 밴드부(100)는 제2 밴드부(11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삽입부(600)의 존재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의 다른 실시예 착용시 사용자의 편리함을 향상시키고 밴드부의 수명이 증대된다. 또한, 제1 밴드부(10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는 이로 하여금 심미성이 증대된다.
100: 제1 밴드부 110: 제2 밴드부
120: 제3 밴드부 200: 버클
210, 270: 바디부 220, 260: 돌출부
230: 홈 240: 받침대
280: 버클 핀부 290: 결합 핀부
300: 파지부 400: 구멍
510: 고리핀 520: 절곡부
530: 축구멍 600: 삽입부
601: 개구부 602: 삽입부 지지대
610: 제2 핀부 620: 제1 핀부
700: 표시부 701: 지지대

Claims (10)

  1. 손목시계의 밴드부 끝단에 결합된 버클;
    상기 버클과 상기 밴드부를 연결하는 버클 핀부;
    상기 버클 핀부가 일단을 관통하고 타단이 중심부가 함몰되어 절곡부를 형성하는 회동 가능한 고리핀; 및
    상기 고리핀의 타단이 상기 버클과 맞닿는 곳에 형성된 받침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단부에는 서로 마주보게 한쌍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상기 버클이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목시계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사이에 삽입되어 밴드부와 상기 표시부를 연결하는 결합 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 핀부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를 상기 돌출부에 맞물려 상기 홈으로부터 상기 결합 핀부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클 핀부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손목시계는 상기 제2 밴드부의 일단에 연결된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타단에 연결된 제3 밴드부 및 상기 제3 밴드부의 단부에 상기 버클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중심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KR2020150003712U 2015-06-09 2015-06-09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KR200482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712U KR200482896Y1 (ko) 2015-06-09 2015-06-09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712U KR200482896Y1 (ko) 2015-06-09 2015-06-09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32U true KR20160004332U (ko) 2016-12-19
KR200482896Y1 KR200482896Y1 (ko) 2017-03-15

Family

ID=5770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712U KR200482896Y1 (ko) 2015-06-09 2015-06-09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8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107B1 (ko) 2019-10-31 2021-09-28 주식회사 앱포스터 시계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계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140Y2 (ko) * 1984-02-16 1990-06-22
KR20020057696A (ko) * 2001-01-03 2002-07-12 단흥덕 손목시계 밴드
JP2006212107A (ja) * 2005-02-02 2006-08-17 Citizen Watch Co Ltd 時計用バンド尾錠構造
KR20120001956A (ko) * 2010-06-30 201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140Y2 (ko) * 1984-02-16 1990-06-22
KR20020057696A (ko) * 2001-01-03 2002-07-12 단흥덕 손목시계 밴드
JP2006212107A (ja) * 2005-02-02 2006-08-17 Citizen Watch Co Ltd 時計用バンド尾錠構造
KR20120001956A (ko) * 2010-06-30 201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896Y1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3401B (fi) Solki hihnalle, jossa on joukko paloja
US10667584B2 (en) Wearable device and main body of wearable device
JP2014506808A (ja) 特に腕時計のリストストラップ用、伸長可能なクラスプ
US20050217080A1 (en) Removable fasten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9560900B2 (en) Adjustable watch strap
US20140084033A1 (en) Bi-directionally operable, toolessly changeable, strap for a wearable display
JP6263207B2 (ja) 伸長腕時計バンドを有する腕時計
JP7322706B2 (ja) バンド装置、腕時計およびエンドピース
US10188175B2 (en) Buckle assembly and respiratory mask including the same
KR101555489B1 (ko) 시계 체결 및 해제장치
JP2019535348A (ja) 二重係合用の時計ストラップ連結具
US10149520B2 (en) Attachment device
KR200482896Y1 (ko)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KR20010106706A (ko) 물안경의 밴드 조절용 버클 조립체
US1765966A (en) Wrist-watch-strap fastener
JP3193884U (ja) 時計バンド用中留部材並びにそれを備えた時計バンド及び腕時計
CN112790487A (zh) 一种腕戴设备
KR200482895Y1 (ko) 시계줄 삽입부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101633418B1 (ko) 간편하게 이중 구조로 체결되는 손목 시계줄 체결구조
KR200231960Y1 (ko) 핸드폰 부착용 밴드
CN207306254U (zh) 一种可穿戴设备
KR200416247Y1 (ko) 착용이 간편한 브래지어
KR20180132244A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JP5681934B1 (ja) 無線通信装置
KR200485720Y1 (ko) 수경 겸용 선글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