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885U - 안대용 끈 조절구 - Google Patents

안대용 끈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885U
KR20160003885U KR2020150002817U KR20150002817U KR20160003885U KR 20160003885 U KR20160003885 U KR 20160003885U KR 2020150002817 U KR2020150002817 U KR 2020150002817U KR 20150002817 U KR20150002817 U KR 20150002817U KR 20160003885 U KR20160003885 U KR 201600038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insertion hole
strap
hole
cord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893Y1 (ko
Inventor
이성권
이귀남
Original Assignee
이성권
이귀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권, 이귀남 filed Critical 이성권
Priority to KR2020150002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89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8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8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대의 양쪽 끈을 귀에 걸고 끈 조절구를 이동시켜 끈의 길이를 조절했을 때 끈에 대한 끈 조절구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착용자가 강제로 끈 조절구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조절된 끈의 길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안대용 끈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의 단관 형태로 형성된 조절구 몸체와; 상기 조절구 몸체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는 끈 관통홀과; 상기 끈 관통홀의 전방 내측면에 다수의 치합돌기를 형성하여 끈 관통홀에 삽입된 끈을 물어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끈 치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끈 관통홀은, 조절구 몸체의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대용 끈 조절구{Strap controler for eye patch}
본 고안은 안대용 끈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대의 양쪽 끈을 귀에 걸고 끈 조절구를 이동시켜 끈의 길이를 조절했을 때 끈에 대한 끈 조절구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착용자가 강제로 끈 조절구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조절된 끈의 길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안대용 끈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안대는 눈병이 났을 때 아픈 눈을 가리는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안대는 눈에 거즈를 대고 거즈 위에,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외대를 덧대어 거즈를 고정하며, 외대는 양쪽에 끈으로 고리를 만들어 귀에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는 통상의 안대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끈 조절구를 확대 촬영한 사진으로서, 끈(12)의 한쪽을 외대(22)의 상측 구멍을 관통한 후 다시 외대(22)의 하측 구멍을 관통하여 끈(12)의 다른 쪽과 겹치고 연질의 합성수지관을 잘라 만든 끈 조절구(15)를 겹친 끈(12)의 한 쪽과 다른 쪽의 외측으로 삽입한 뒤 매듭(13)을 묶어 고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외대(22)의 양쪽에 고리 형태의 끈(12)이 형성되어 귀에 걸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끈 조절구(15)를 끈(12) 상에서 귀 쪽 또는 매듭(13) 쪽으로 이동시켜 착용자에 맞게 끈(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끈(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국수와 같이 납작한 형태의 직물로 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안대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에 수개의 통공(10)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끈(12)가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양측에 괘지구(14)(14')가 형성되어 거즈(16)내에 결합된 사각형 지지대(18)의 양측 괘지돌기(20)(20')가 삽입되는 외대(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대에 사용되는 끈 조절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연질의 합성수지관을 잘라 만들어 끈과 접하는 내측면이 평평한 면으로 되어 있어, 끈을 조절한 후에도 끈 조절구가 그 위치를 고수하지 못하고 미끄러져 이동하게 됨으로써 외대를 착용자에 맞게 착용할 수 없게 되어 착용 및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은 물론 기능 상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0208707호(2001.01.15.공고) "안대"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대의 양쪽 끈을 귀에 걸고 끈 조절구를 이동시켜 끈의 길이를 조절했을 때 끈에 대한 끈 조절구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착용자가 강제로 끈 조절구를 이동시키지 않는 한 조절된 끈의 길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안대용 끈 조절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안대용 끈 조절구의 한 형태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의 단관 형태로 형성된 조절구 몸체와; 상기 조절구 몸체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는 끈 관통홀과; 상기 끈 관통홀의 전방 내측면에 다수의 치합돌기를 형성하여 끈 관통홀에 삽입된 끈을 물어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끈 치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끈 관통홀은, 조절구 몸체의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끈 관통홀은, 칼국수와 같이 납작한 끈에 대응되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치합돌기는 끈 관통홀의 상.하 내측에 상측 치합돌기와 하측 치합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 몸체는 상하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타원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구 몸체는, 원형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의 후방 단부 외측으로 원형의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끈 관통홀은 칼국수 모양으로 납작한 형태의 끈에 대응되게 타원형의 단면으로 상기 원형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의 소정길이로 전방측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측 관통홀에 연통하게 전방측 관통홀의 후방측으로 상기 전방측 관통홀보다 큰 직경으로 원형의 후방측 관통홀이 연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원형의 후방측 관통홀은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끈이 삽입 관통하는 끈 삽입홀을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로 형성하고 끈 삽입홀의 전방 내측에 끈 치합돌부를 형성함으로써 끈 조절구를 귀 쪽으로 이동시킬수록 조임력이 더 강해짐과 동시에 끈을 끈 치합돌부가 견고하게 물어 고정하게 됨으로써 조절된 끈의 길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외대의 착용 및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끈 삽입홀을 칼국수 모양의 납작한 형태의 끈과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끈 삽입홀의 전방 내측에 상하로 치합돌기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함으로써 칼국수 모양의 납작한 형태의 끈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구 몸체도 상하로 평면을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손가락의 잡음력을 좋게 하고 눌렀을 때 힘의 전달이 충분히 이루어져 제품 질적 향상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도 1는 통상의 안대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도 1의 끈 조절구를 확대 촬영한 사진.
도 3은 도 1의 안대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배면 사시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8은 사시도.
도 9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배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 안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12)의 한쪽을 외대(22)의 상측 구멍을 관통한 후 다시 외대(22)의 하측 구멍을 관통하여 끈(12)의 다른 쪽과 겹치고 연질의 합성수지관을 잘라 만든 끈 조절구(15)를 겹친 끈(12)의 한 쪽과 다른 쪽의 외측으로 삽입한 뒤 매듭(13)을 묶어 고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외대(22)의 양쪽에 고리 형태의 끈(12)이 형성되어 귀에 걸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끈 조절구(15)를 끈(12) 상에서 귀 쪽 또는 매듭(13) 쪽으로 이동시켜 착용자에 맞게 끈(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안대에 있어, 본 고안에 의한 안대용 끈 조절구의 일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도 4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배면 사시도로서, 여기서 100은 조절구 몸체이고, 110은 끈 관통홀이며, 120은 끈 치합부이다. 상기 조절구 몸체(100)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의 단관 형태로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잡고 누르면 부드럽고 무른 느낌이 난다. 그리고 손가락을 잡고 누를 때 누르는 힘의 전달이 보다 확대될 수 있게 상하면을 조절구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면(100a)으로 형성한 타원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100b)으로 형성된다.
상기 끈 관통홀(110)은 끈(12)이 삽입 관통할 수 있게 조절구 몸체(100)의 전후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끈(12)이 칼국수와 같이 납작한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끈(12)에 대응되게 납작한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끈 관통홀(110)은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110a)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퍼(110a)는 조절구 몸체(100)를 착용자의 귀 쪽으로 이동시킬 때 조여주는 역할을 하고, 매듭 쪽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끈 조절의 편의성을 가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끈 치합부(120)는 끈(12)을 물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착용자가 끈(12)을 이용해 안대를 착용한 후 귀 쪽으로 조절구 몸체(100)를 이동시키면, 그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나, 통상 조절구 몸체(100)의 내측면이 평평한 면으로 되어 있어 끈(12)에서 미끄러져 이동하므로 끈(12)에 대한 고정력이 약하다. 그러나 본 고안과 같이 상기 테이퍼(110a)에 의한 끈(12)의 조임력과 함께 끈 치합부(120)에 의해서 끈(12)을 물어 고정하는 경우에는 조절구 몸체(100)가 끈(12)에서 미끄러짐이 없이 끈(12)을 조이고 견고하게 물어 고정하게 됨으로써 조절된 끈의 길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의 끈 치합부(120)는 조절구 몸체(100)의 전방측 끈 관통홀(110)의 내측에 다수의 치합돌기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끈(12)이 칼국수와 같이 납작한 형태이고, 끈 관통홀(110)도 상기 끈(12)에 대응되게 납작한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하였을 때, 조절구 몸체(100)의 전방 끈 관통홀(110)의 내측면에 상하로 상측 치합돌기(121)와 하측 치합돌기(122)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끈(12)의 한쪽을 외대(22)의 상측 구멍을 관통한 후 다시 외대(22)의 하측 구멍을 관통하여 끈(12)의 다른 쪽과 겹치게 한 상태로 조절구 몸체(100)의 끈 관통홀(110)을 관통시킨 다음 매듭(13)지어 고정함으로써 외대(22)의 양측에 고리 형태의 끈(12)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 다음 외대(22)의 양측 끈(12)을 귀에 걸어 고정하고, 귀와 매듭(13) 사이의 끈(12)에 구비된 조절구 몸체(100)를 손으로 잡고 이동시켜 착용자에 맞게 끈(12)의 길이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안대의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구 몸체(100)를 귀 쪽으로 이동시키면 조여지고 매듭 쪽으로 이동키면 조임력이 해제되어 안대의 착용이 느슨해지는데, 이때 본 고안은 조절구 몸체(100)의 끈 관통홀(110)에 형성된 테이퍼(110a)에 의해 조절구 몸체(100)를 귀 쪽으로 이동시킬수록 끈(12)에 대한 조임력이 더 강해짐과 동시에 끈(12)의 길이를 조절한 후에는 끈 관통홀(110)의 전방 내측에 형성된 끈 치합부(120)의 상측 치합돌기(121)와 하측 치합돌기(122)가 끈(12)을 물어 고정하므로 조절된 끈의 길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상기 조절구 몸체(100)를 귀 쪽에서 매듭(13) 쪽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끈 관통홀(110)의 후방측 테이퍼(110a)가 내측에 끈 치합부(120)가 없고 끈(1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손쉽게 끈(12)에서 매듭(13)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8은 사시도이고, 도 9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12는 배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은 조절구 몸체(100)를 원형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100c)으로 형성하되, 상기 원형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100b)의 후방 단부 외측으로 원형의 손잡이(100d)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끈 관통홀(110)을 칼국수 모양으로 납작한 형태의 끈(12)에 대응되게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전방측 관통홀(110b)과 상기 전방측 관통홀(110b)에 연통하게 전방측 관통홀(110b)의 후방측으로 상기 전방측 관통홀(110b)보다 큰 직경으로 원형의 후방측 관통홀(110c)을 연이어 형성한 것에 있으며, 상기 원형의 후방측 관통홀(110c)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110d)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방측 관통홀(110b)은 끈 치합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끈 치합부(120)는 좌측 치합돌기(123)와 우측 치합돌기(1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조절구 몸체(100)를 손잡이(100d)에 일체로 형성하되 끈(12)보다 직경이 큰 끈 관통홀(110)이 위치한 조절구 몸체(100)의 후방 단부측에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100d)를 잡고 당길 때 끈 관통홀(100)의 전방측 관통홀(100b)이 벌어져 끈(12)에 대한 고정력이 저하됨으로써 쉽게 조절구 몸체(100)를 매듭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끈 치합부(120)의 좌측 치합돌기(123)와 우측 치합돌기(124)가 서로 교호되게 형성되어 끈(12)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같이 본 고안은 끈이 삽입 관통하는 끈 삽입홀을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로 형성하고 끈 삽입홀의 전방 내측에 끈 치합돌부를 형성함으로써 끈 조절구를 귀 쪽으로 이동시킬수록 조임력이 더 강해짐과 동시에 끈을 끈 치합돌부가 물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끈 삽입홀을 칼국수 모양의 납작한 형태의 끈과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끈 삽입홀의 전방 내측에 상하로 치합돌기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함으로써 칼국수 모양의 납작한 형태의 끈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구 몸체도 상하로 평면을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손가락의 잡음력을 좋게 하고 눌렀을 때 힘의 전달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안대용 끈 조절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조절구 몸체
100a: 평면 100b: 타원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
100c: 원형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
100d: 손잡이
110: 끈 관통홀
110a,110d: 테이퍼A,B 110b: 전방측 관통홀
110b: 후방측 관통홀
120: 끈 치합부
121: 상측 치합돌기 122: 하측 치합돌기

Claims (5)

  1.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의 단관 형태로 형성된 조절구 몸체(100)와;
    상기 조절구 몸체(100)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는 끈 관통홀(110)과;
    상기 끈 관통홀(110)의 전방 내측면에 다수의 치합돌기(120a)를 형성하여 끈 관통홀(110)에 삽입된 끈(12)을 물어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끈 치합부(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안대용 끈 조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 관통홀(110)은, 조절구 몸체(100)의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11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안대용 끈 삽입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 관통홀(110)은, 칼국수와 같이 납작한 끈(12)에 대응되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치합돌기(120a)는 끈 관통홀(110)의 상.하 내측에 상측 치합돌기(121)와 하측 치합돌기(122)로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 몸체(100)는 상하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타원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100b)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안대용 끈 조절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 몸체(100)는, 원형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100c)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100b)의 후방 단부 외측으로 원형의 손잡이(100d)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끈 관통홀(110)은 칼국수 모양으로 납작한 형태의 끈(12)에 대응되게 타원형의 단면으로 상기 원형 단면형의 연질 합성수지관(100b)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의 소정길이로 전방측 관통홀(110b)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측 관통홀(110b)에 연통하게 전방측 관통홀(110b)의 후방측으로 상기 전방측 관통홀(110b)보다 큰 직경으로 원형의 후방측 관통홀(110c)이 연이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안대용 끈 조절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후방측 관통홀(110c)은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110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안대용 끈 조절구.


KR2020150002817U 2015-04-30 2015-04-30 안대용 끈 조절구 KR200483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17U KR200483893Y1 (ko) 2015-04-30 2015-04-30 안대용 끈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17U KR200483893Y1 (ko) 2015-04-30 2015-04-30 안대용 끈 조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85U true KR20160003885U (ko) 2016-11-10
KR200483893Y1 KR200483893Y1 (ko) 2017-07-07

Family

ID=5748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817U KR200483893Y1 (ko) 2015-04-30 2015-04-30 안대용 끈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9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723U (ja) * 1993-11-18 1995-06-13 モリト株式会社 紐調節用固定具
JP3059780U (ja) * 1998-12-10 1999-07-13 株式会社アイリス 紐止め具
KR100208707B1 (ko) 1996-08-13 1999-07-15 윤종용 반도체 제조용 오존 발생장치
KR20000016892A (ko) * 1998-08-26 2000-03-2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끈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9780B2 (ja) * 1991-06-28 2000-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723U (ja) * 1993-11-18 1995-06-13 モリト株式会社 紐調節用固定具
KR100208707B1 (ko) 1996-08-13 1999-07-15 윤종용 반도체 제조용 오존 발생장치
KR20000016892A (ko) * 1998-08-26 2000-03-2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끈고정구
JP3059780U (ja) * 1998-12-10 1999-07-13 株式会社アイリス 紐止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893Y1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6868B2 (en) Hearing protector with curved segments
US6470896B1 (en) Hair band having straps and flexible rod
US6115849A (en) Adjustable strap for scuba mask
US7334270B2 (en) Strap for diving face mask
KR100797639B1 (ko)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US7743771B2 (en) Earplug with articulating stem and locking features
US20050132478A1 (en) Detachable and rotatable clip
US7082652B2 (en) Clasp, lace with a clasp, and a shoe with a lace and clasp
DE60206598D1 (de) Sicherheitsgeschirr
KR20150102882A (ko) 신발용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신발
US20130239306A1 (en) Swimming goggles
KR200411067Y1 (ko)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
US9009873B2 (en) Swimming goggles
US4564960A (en) Device for fixing a belt of goggles
KR200483893Y1 (ko) 안대용 끈 조절구
US10301169B1 (en) Bridles for equines
KR101800450B1 (ko) 끈 조절 마스크
US5873134A (en) Swimming goggles with improved impermeability between protective pads and lenses
KR101653753B1 (ko) 헤드셋
KR20160091311A (ko) 신발용 설포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신발
TWI720807B (zh) 泳鏡及頭帶結構
CN212036101U (zh) 一种口罩长度调节装置
KR102575829B1 (ko) 머리밴드를 이용하여 착용하는 마스크
KR101722475B1 (ko) 끈 조절 마스크
JP4041365B2 (ja) 安全帽のサイズ調整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