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875U -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 Google Patents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875U
KR20160003875U KR2020150002825U KR20150002825U KR20160003875U KR 20160003875 U KR20160003875 U KR 20160003875U KR 2020150002825 U KR2020150002825 U KR 2020150002825U KR 20150002825 U KR20150002825 U KR 20150002825U KR 20160003875 U KR20160003875 U KR 201600038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toy
transparent cover
horizontal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400Y1 (ko
Inventor
박순덕
Original Assignee
박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덕 filed Critical 박순덕
Priority to KR2020150002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40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8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4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 A63H33/3066Watches or cl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구시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목에 차는 시계에 바퀴굴림에 의하여 이동되는 완구를 보관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바퀴의 고정수단은 물론 시계의 보여짐을 훼손하지 않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정한 면적의 시계본체에 시계판을 일측에 위치토록 하고, 시계판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공간으로 형성토록 함은 물론 이러한 공간에 위치되는 바퀴달린 이동완구가 좌우 이동시 시계판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위치변동이 발생되지 않토록 함은 물론 바퀴달린 이동완구가 항상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정위치 고정수단이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시계본체의 상측에 투명커버가 절첩토록 할 경우에 시계판에 표출되는 시간을 쉽게 인식이 가능하면서 개폐의 용이성과 소형화를 위한 경사면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A toy wrist watch for storage}
본 고안은 완구시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목에 차는 시계에 바퀴굴림에 의하여 이동되는 완구를 보관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바퀴의 고정수단은 물론 시계의 보여짐을 훼손하지 않토록 한 것이다.
현재 완구용 손목시계는 어린이들에게 시간을 보는 것 이외에 다양한 캐릭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선호하게 되는데 이러한 캐릭터의 표출은 인쇄등을 이용한 시계판이나 또는 시계판의 외관형태를 캐릭터의 형태로 형상화하여 성형한 것이거나 도는 시계줄에 다양한 캐릭터를 인쇄함으로서 취미감을 환기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손목시계는 어린이들에게는 장시간의 휴대가 불가능하여 시계의 사용에 따른 숫자의 인식이나 또는 시간의 개념에 대한 효과를 증진시키지 못하게 되고 단순한 장난감으로 취급된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10582호에서는 이러한 시계에 팽이가 장착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놀이가 가능토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라한 것의 단점은 팽이의 탈착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 팽이의 회전을 위한 수단도 구비되어야 함으로 실질적으로 어린이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없음은 물론 놀이의 어려움과 제작에 어려움으로 실질적인 제조판매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또 다른 취미감을 향상토록 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35014에서는 시계판에 이동체를 내장토록 한 후 투명커버로 감싸도록 함으로서 이동체가 이동되면서 다양한 놀이는 물론 취미감을 향상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드 어린이들에게 순간적인 회기심은 유발이 가능하지만 장기적인 취미감의 향상이나 다양한 놀이가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잇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손목시계에 캔디를 수납토록 함으로서 또 다른 취마감을 향상토록 한 것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034706호에서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시계판이 절첩되어지면서 또 다른 캔디수용공간을 구비한 케이스를 구비토록 함으로서 실질적으로 어린이들에게 취미감의 향상이나 장시간의 놀이를 위한 다양한 취미감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034706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35014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10582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바퀴에 의하여 이동가능한 완구를 시계에 수납이 가능하면서 휴대시 유동을 방지토록 하면서 이러한 이동가능한 오한구에 의한 다양한 경주놀이나 다양한 놀이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시계의 보여짐이 훼손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정한 면적의 시계본체에 시계판을 일측에 위치토록 하고, 시계판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공간으로 형성토록 함은 물론 이러한 공간에 위치되는 바퀴달린 이동완구가 좌우 이동시 시계판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위치변동이 발생되지 않토록 함은 물론 바퀴달린 이동완구가 항상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정위치 고정수단이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시계본체의 상측에 투명커버가 절첩토록 할 경우에 시계판에 표출되는 시간을 쉽게 인식이 가능하면서 개폐의 용이성과 소형화를 위한 경사면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손목시계를 차고 다양한 경주놀이가 가능한 이동완구를 휴대토록 함으로서 언제든지 놀이가 가능함은 물론 시계를 보는 것이 편리하면서도 다양한 디자인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손목시계의 특성상 많은 움직임에도 보관되어진 이동완구가 시계판의 위치와 공간에 의하여 정위치가 가능토록되는 것이고, 항상 고정수단에 의하여 항상 정위치에 위치되어짐으로 이동완구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손목시계의 디자인을 훼손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투명커버가 본체에서 개폐되는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조립도.
도3은 본 고안의 공간에 수납된 이동완구가 전진된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공간에 수납된 이동완구가 후진된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공간에 수납된 이동완구가 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도.
도6은 본 고안의 시계본체에 공간이 형성된 상태도.
도7은 본 고안의 전지수납부가 형성된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손목의 굵기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시계줄(100)과 상기 시계줄(100)에 임의적인 조작에 의하여만 분리가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계본체(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계본체(200)는 시간표시창(13)이 구비되는 시계판(11)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절첩되는 투명커버(2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본체(10)에는 테두리벽(14)에 의하여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고, 시계판(11)이 공간에 위치할 경우에 투명커버(20)가 절첩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면서 락킹과 언락킹을 유도하는 락수단이 형성된 바로 전방에 위치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시계판(11)이 형성된 후방으로는 바퀴가 달린 이동완구(30)가 수납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수평공간(12)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투명커버(20)는 수평공간(12)에 수용되는 바퀴가 달린 이동완구(30)의 높이에 의하여도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취하게 되는 것이고, 이런 상태에서 상기 시계판(11)이 형성되는 부분으로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2)으로 형성되어 시계판(11)의 표시창(13)에서 표출되는 시간을 손목시계를 손목에 찬 상태에서 쉽게 인식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시계판(11)은 상기 공간(12)의 구획을 정확하게 구획하면서 이동완구(30)가 상기 공간(12)에 수납된 상태에서 정위치에서 전후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수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수평공간(12)의 바닥면에는 바퀴의 정렬홈(15)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본체(10)의 형태를 바퀴에 의하여 이동가능한 완구(30)가 수납될 경우에 다양한 크기의 이동완구(3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수평공간(12)의 여백이 최대로 하면서도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완구(30)의 전후 이동시에도 이동완구(30)의 뒤집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시계판(11)의 형태를 적정한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시계판과 이동완구의 수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뒤집어진 마름모꼴의 형태로 한 것이다.
또한 락수단(21)도 시계줄(100)이 연결되는 부분에 시계본체(200)를 사출성형할 경우에 게이트(1)가 형성되는 부분을 감추기 위하여 게이트(1)가 형성된 부분의 양측으로 걸림턱(19)을 형성함으로서 게이트(1)의 노출이 방지되면서 투명커버(20)에 형성된 걸림단(21)에 걸림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시계판(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의 교환을 위한 전지수납부(17)를 개폐토록 하는 커버(18)를 나사조임에 의하여 고정토록 하기 위하여 나사조임돌부(16)를 공간(12)이 형성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시계본체(200)가 공간(12)을 형성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성형시 얇은 살두께로 이루어짐에도 나사조임이 가능토록 되면서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될 경우에 성형의 용이성은 물론 디자인성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100:시계줄 200:시계본체
10:본체 11:시계판
12:수평공간 13:표시창
14:테두리벽 15:정렬홈
16:나사조임돌부 17:전지수납홈
18:커버 19:걸림턱
20:투명커버 21:걸림단
22:경사면

Claims (5)

  1. 손목의 굵기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시계줄(100)과 상기 시계줄(100)에 임의적인 조작에 의하여만 분리가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계본체(200)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시계본체(200)는 시간표시창(13)이 구비되는 시계판(11)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절첩되는 투명커버(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에는 테두리벽(14)에 의하여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시계판(11)은 수평공간(12)을 형성한 상태에서 투명커버(20)가 절첩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면서 락킹과 언락킹을 유도하는 락수단이 형성된 바로 전방에 위치되어지고,
    상기 시계판(11)이 형성된 후방으로는 바퀴가 달린 이동완구(30)가 수납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수평공간(12)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20)는 수평공간(12)에 수용되는 바퀴가 달린 이동완구(30)의 높이에 의하여도 보관이 가능하도록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취하게 되고,
    상기 시계판(11)이 형성되는 부분으로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2)을 형성하여 시계판(11)의 표시창(13)에서 표출되는 시간을 손목시계를 손목에 찬 상태에서 쉽게 인식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공간(12)의 바닥면에는 바퀴의 정렬홈(15)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본체(200)의 형태는 바퀴에 의하여 이동가능한 완구(30)가 수납될 경우에 다양한 크기의 이동완구(3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수평공간(12)의 여백을 최대로 하면서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완구(30)의 전후 이동시에도 이동완구(30)의 뒤집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시계판(11)의 형태를 적정한 크기를 유지하면서도 시계판과 이동완구의 수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뒤집어진 마름모꼴의 형태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수단은 시계줄(100)이 연결되는 부분에 시계본체(200)를 사출성형할 경우에 게이트(1)가 형성되는 부분을 감추기 위하여 게이트(1)가 형성된 부분의 양측으로 걸림턱(19)을 형성함으로서 게이트(1)의 노출이 방지되면서 투명커버(20)에 형성된 걸림단(21)에 걸림이 용이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KR2020150002825U 2015-04-30 2015-04-30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KR200482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25U KR200482400Y1 (ko) 2015-04-30 2015-04-30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25U KR200482400Y1 (ko) 2015-04-30 2015-04-30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75U true KR20160003875U (ko) 2016-11-09
KR200482400Y1 KR200482400Y1 (ko) 2017-01-18

Family

ID=5748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825U KR200482400Y1 (ko) 2015-04-30 2015-04-30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4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461B1 (ko) 2017-03-22 2017-06-01 최종익 다기능 팽이완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9740A (en) * 1971-11-30 1973-06-19 S Fromer Wrist mounted pill box
US4473969A (en) * 1980-04-21 1984-10-02 Wilson Paul A Housing for spring wound toy
JPS638097U (ko) * 1986-06-30 1988-01-20
JPH06160989A (ja) * 1992-11-19 1994-06-07 Fuji Photo Film Co Ltd 感光材料処理装置
KR0135014Y1 (ko) 1995-06-10 1999-10-01 최용준 모형물 이동체가 장설된 손목시계
KR20020096313A (ko) 2001-06-19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지지구조
KR20050010582A (ko) 2003-07-21 2005-01-28 박병선 팽이시계완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9740A (en) * 1971-11-30 1973-06-19 S Fromer Wrist mounted pill box
US4473969A (en) * 1980-04-21 1984-10-02 Wilson Paul A Housing for spring wound toy
JPS638097U (ko) * 1986-06-30 1988-01-20
JPH06160989A (ja) * 1992-11-19 1994-06-07 Fuji Photo Film Co Ltd 感光材料処理装置
KR0135014Y1 (ko) 1995-06-10 1999-10-01 최용준 모형물 이동체가 장설된 손목시계
KR20020096313A (ko) 2001-06-19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지지구조
KR20050010582A (ko) 2003-07-21 2005-01-28 박병선 팽이시계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400Y1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73362S1 (en) Child'S backpack
CA149058S (en) Watch
CA131001S (en) Bottle with an exterior cap and an interior temperature mechanism
CA112442S (en) Watch case
CA108326S (en) Bottle with cap
CA136625S (en) Dispensing closure
CA125072S (en) Bottle with closure therefor
CA134762S (en) Container
CA134662S (en) Cargo box with double bevel lid
CA134750S (en) Key storage lock box
KR200482400Y1 (ko)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CA122277S (en) Watch case
CA132324S (en) Packaging with chocolate bar
USD853250S1 (en) Watch
CA129754S (en) Highlighter pen with cap
CA146195S (en) Micro tube
CN207012571U (zh) 语音播报手绘板
CN202563743U (zh) 幼儿演示教具
CA132203S (en) Combined golf tees and holder
CN204687681U (zh) 一种具有益智娱乐功能的削笔机
CN205867543U (zh) 一种滑梯用猴子顶
CN207221337U (zh) 一种新型玩具桶
CN201559875U (zh) 一种防伪包装盒
CN202212014U (zh) 一种玩具相机
CN207371115U (zh) 益智类高趣味性多功能玩具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