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461B1 - 다기능 팽이완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팽이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461B1
KR101742461B1 KR1020170036002A KR20170036002A KR101742461B1 KR 101742461 B1 KR101742461 B1 KR 101742461B1 KR 1020170036002 A KR1020170036002 A KR 1020170036002A KR 20170036002 A KR20170036002 A KR 20170036002A KR 101742461 B1 KR101742461 B1 KR 101742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enter
top body
gea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익
Original Assignee
최종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익 filed Critical 최종익
Priority to KR102017003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이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팽이를 사용함에 있어 회전 작동 사용하되, 보드나 지면에서의 사용은 물론 다양한 거치구를 이용한 사용한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하며, 특히 팽이로의 사용은 물론 자동차 완구로의 사용 또한 가능하게 하며, 또한, 그 팽이를 휴대함에 있어 간편하게 손목에 장착 휴대가 가능하게 하는 등 휴대상의 편리함과 액세서리로의 기능까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기능 팽이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팽이완구{the top toys}
본 발명은 팽이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팽이를 사용함에 있어 다양한 사용과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그 휴대가 편리하게 하는 다기능 팽이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toy)는 유아나 어린이가 유희적으로 활용하는 일명 장난감으로 불리는 것으로 그 역사가 상당히 긴 것에 비례하여 그 종류나 분류도 상당히 다양하다.
이중 팽이완구는 중앙에 축심이 형성되고, 전체 형태가 이 축심을 대칭축으로 한 균형잡힌 형태를 하고 있다. 팽이를 세게 돌려서 축심을 직각으로 하여 충분히 거친 수평면 위에 높으면, 축심 끝이 고정되어 돈다. 축심을 비스듬하게 기울이면 중력은 축심의 발 주위에 모멘트를 갖고, 팽이를 넘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팽이는 그 회전 각속도가 떨어지지 않는 한 쓰러지지 않는다.
한편, 근자에 들어 이러한 팽이의 편리하고 다양한 사용을 위해 줄이나 작동레버, 회전발사체를 이용하여 팽이를 회전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팽이완구는, 대부분 어린이들의 게임이나 놀이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컨대, 어린이들은 친구들과 팽이완구를 갖고 시합을 벌인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어린이들은, 자신의 팽이완구를 친구 또는 경쟁 상대의 팽이완구에 부딪히게 하여 그 상대방의 팽이완구를 쓰러뜨리는 게임이나, 자신의 팽이완구로 상대방의 팽이완구를 게임 공간부(게임 보드)에서 밀어내는 게임을 종종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팽이는 그 사용함에 있어, 단순히 보드나 지면에 사용하게 되고, 특히 그 기능에 있어 단순히 회전 놀이로의 한계가 있었다.
또한, 그 휴대함에 있어 별도의 수납함 등을 이용하여 휴대하여야 하는 등 그 휴대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3364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685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팽이를 사용함에 있어 회전 작동 사용하되, 보드나 지면에서의 사용은 물론 다양한 거치구를 이용한 사용한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하며, 특히 팽이로의 사용은 물론 자동차 완구로의 사용 또한 가능하게 하는 등 그 기능상의 다양화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다기능 팽이완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그 팽이를 휴대함에 있어 간편하게 손목에 장착 휴대가 가능하게 하는 등 휴대상의 편리함과 액세서리로의 기능까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기능 팽이완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부로 볼록한 "돔" 형태를 이루며, 상부 중앙에는 축심이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는 중앙에 축홈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축심의 둘레에는 양측 두개 한 쌍을 이루며 전,후 두 쌍의 바퀴가 형성된 팽이본체;
상부에는 중앙에 팽이본체의 돌출부가 수용되는 돌출부 수용홈과 바퀴가 수용되는 바퀴 수용홈이 형성된 원형의 본체 장착부를 이루고, 본체 장착부의 양측에는 그 본체 장착부보다 작은 폭으로 단부에 버클을 갖는 제1 밴드부와 버클이 체결되는 체결부를 갖는 제2 밴드부가 형성된 손목밴드;
신축성을 가지며, 양단에는 손목밴드의 제1,2 밴드부가 각각 관통되는 밴드 고정부가 형성되고, 양측의 밴드 고정부는 그 대항되는 중앙이 연결밴드로 연결되며, 연결밴드의 중앙에는 팽이본체의 축심이 관통되는 축심 고정공이 형성된 본체 고정밴드; 및
팽이본체의 거치 및 회전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거치구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팽이본체는,
내부가 중공되어 하부로 개방되는 "돔" 형태를 이루며, 외측 상부 중앙에 축심이 돌출 형성된 상부캡; 및
상부캡의 개방된 하부를 덮어 볼트 체결되는 하부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부캡은,
내측 중앙에 회전축이 설치되되, 그 회전축의 상단이 상부캡의 내측 상단에 축설되고, 하부 둘레에는 연동기어가 형성되며, 팽이본체의 축심에 무게중심을 부여하기 위한 회전형 중량체가 내입되게 구성하고,
하부 마감캡은,
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기어박스가 형성되며, 기어박스에는 두 쌍의 바퀴가 바퀴축으로 축설 및 하부 마감캡의 하부로 관통 돌출되게 구성하며,
기어박스에는,
중량체의 연동기어가 관통 내입되며, 내측에는 연동기어와 치합되며 저면에는 수평 베벨기어가 형성된 구동기어가 형성되고, 어느 한 측의 바퀴축에는 수평 베벨기어와 치합되는 수직 베벨기어가 형성되어 바퀴에 구름력이 부여시 중량체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구성하며,
거치구는,
고깔형 거치구 또는 반지형 거치구로 구성하되,
고깔형 거치구는,
내부가 중공되고 저면으로 개방되며,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경사를 이루게 구성하며,
반지형 거치구는,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손가락에 착용 가능하도록 링 형태를 이루며, 상부에는 팽이본체의 축심이 내입되는 축심 삽입홈이 형성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다기능 팽이는, 돔형 팽이본체의 상부에 축심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바퀴가 형성된 것인바, 뒤집어 사용시 팽이로의 사용이 가능하고, 바로 사용시 자동차 완구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팽이의 거치 사용이 가능한 고깔형 거치구가 구성된 것인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의 회전 사용이 가능하고, 반지형 거치구를 이용하여 손가락 위에서의 사용 또한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사용상의 다양화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팽이를 휴대하기 위해 팽이본체의 장착이 가능한 손목밴드가 구성된 것인바, 팽이본체를 휴대시 간편하게 손목밴드에 장착 휴대하여 그 휴대가 매우 편리하면서도, 액세서리 기능이 가능하여 어린이로 하여금 멋을 더하여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팽이본체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회전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회전 사용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회전 사용상태 또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구름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휴대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팽이본체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1)는, 팽이본체(100)와, 손목밴드(200)와, 본체 고정밴드(300)와, 거치구(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팽이본체(100)는, 통상의 팽이완구와 같이 회전놀이는 물론, 자동차 완구와 같이 구름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팽이본체(100)는 먼저 상부캡(110)이 구성된 것으로, 상부캡(110)은 내부가 중공되어 하부로 개방되는 상부로 볼록한 "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그 외측 상단 중심에는 상부로 소정 돌출되는 축심(111)이 구성된다.
그리고, 팽이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팽이본체(1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축심(111)에 무게중심을 부여하기 위한 중량체(115)가 구성된다.
이때, 중량체(115)는 중량을 가지는 금속재 원반 형태로 구성되며, 그 중앙에는 회전축(116)이 관통 및 상,하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중량체(115)의 상부로 돌출되는 회전축(116)의 상단이 상부캡(110)의 내측 상단에 축설되어 자유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중량체(115)의 하부로 돌출되는 회전축(116)의 둘레에는 소기어 형태의 연동기어(117)가 구성된다.
또한, 팽이본체(100)는 상기 상부캡(110)의 개방된 하부를 마감하는 하부 마감캡(120)이 구성된 것으로, 하부 마감캡(120)은 상부캡(110)에 볼트(B) 체결되어 마감한다.
이때, 하부 마감캡(120)의 저면 중앙에는 하부로 소정 돌출되는 돌출부(121)가 구성되되, 그 돌출부(121)의 중앙에는 하부로 개방되는 축홈(122)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 마감캡(120)의 상부에는 상부캡(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중량체(115)와 연계 작동하는 기어박스(130)가 구성된다.
이때, 기어박스(130)는 팽이본체(100)의 전,후 방향을 이루도록 내부가 중공된 직육면 함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중량체(115)의 연동기어(117)가 내부로 관통 내입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기어박스(130)의 내부에는 내입되는 연동기어(117)와 치합되는 평기어 형태의 구동기어(135)가 구성되며, 그 구동기어(135)의 저면에는 수평 형태를 이루는 수평 베벨기어(136)가 더 구성된다.
그리고, 기어박스(130)에는 그 전방 및 후방에 양측 두개가 한 쌍을 이루는 두 쌍의 바퀴(131)(131')가 각각의 각 쌍에 해당하는 바퀴축(132)(132')으로 축설되게 구성되며, 이때 각각의 바퀴(131)(131')는 하부 마감캡(120)을 관통 및 하부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어느 한 측의 바퀴축(132)에는 상기 구동기어(135)의 수평 베벨기어(136)와 치합되어 회전 방향이 변환 연동되는 수직 베벨기어(137)가 구성된다.
즉, 기어박스(130)는 바퀴(132)(132')에 구름력이 부여시 수직 베벨기어(137)의 수직 회전력이 수평 베벨기어(136)를 통해 수평 회전력으로 변환 전달되고, 이에 구동기어(135)의 회전력이 연동기어(117)로 전달 및 중량체(115)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손목밴드(200)는, 팽이본체(100)를 휴대함에 있어 그 휴대가 편리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착용감의 향상을 위해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재나 실리콘 재로 구성된다.
이때, 손목밴드(200)는 먼저 중앙에는 원반 형태를 이루는 본체 장착부(210)가 구성된 것으로, 본체 장착부(210)는 그 상부 중앙에 팽이본체(100)의 돌출부(121)가 수용 고정되는 돌출부 수용홈(211)이 구성되고, 그 돌출부 수용홈(211)의 주변에는 각각의 바퀴(131)(131')가 수용 고정되는 바퀴 수용홈(212)이 구성된다.
그리고, 손목밴드(200)에는 본체 장착부(210)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손목 결착이 가능한 제1 밴드부(220)가 구성된 것으로, 그 제1 밴드부(220)의 단부에는 버클(221)이 구성되며, 본체 장착부(210) 보다는 좁은 폭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손목밴드(200)에는 본체 장착부(210)의 타측으로 사용자의 손목 결착이 가능한 제2 밴드부(230)가 구성된 것으로, 그 제2 밴드부(230)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상기 버클(221)과 체결력을 가지는 체결부(231)가 구성되며, 본체 장착부(210) 보다는 좁은 폭을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밴드부(220)에 형성되는 버클(221)과 제2 밴드부(230)에 형성되는 체결부(231)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시계와 같이 양측 밴드의 체결력을 부여하는 것이면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버클(221)에는 고정핀(221a)이 구성되고, 체결부(231)는 고정핀이 선택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공(231a)(231a')으로 구성된다.
즉, 손목밴드(200)는 팽이본체(100)를 휴대함에 있어 그 팽이본체(100)의 거치 장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팽이본체(100)는 그 돌출부(121)가 돌출부 수용홈(211)에 수용되고 바퀴(131)(131')가 바퀴 수용홈(212)에 수용된다.
상기 본체 고정밴드(300)는, 손목밴드(200)의 본체 장착부(210)에 장착되는 팽이본체(100)가 유동 없이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고무줄과 같이 뛰어난 신축성을 가지게 구성된다.
이때, 본체 고정밴드(300)는 먼저, 양단에는 상기 각각의 제1,2 밴드부(220)(230)가 관통되는 "링" 형태의 밴드 고정부(310)(3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의 밴드 고정부(310)(310')는 연결밴드(320)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연결밴드(320)는 각각의 밴드 고정부(310)(310')의 중앙을 연결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밴드(320)의 중앙에는 팽이본체(100)의 축심(111)이 관통되는 축심 고정공(321)이 구성된다.
즉, 본체 고정밴드(300)는 손목밴드(200)에 거치 장착된 팽이본체(100)를 고정하되, 이는 양측의 밴드 고정부(310)(310')를 통해 양측의 제1,2 밴드부(220)(230)를 걸어 연결되고, 연결밴드(320)의 축심 고정공(321)에는 팽이본체(100)의 축심(111)이 관통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연결밴드(320)가 팽이본체(100)의 상부를 탄력 가압하여 그 팽이본체(1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거치구(400)는, 팽이본체(100)를 사용함에 있어 다양한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거치구(400)는 먼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원형 "고깔" 형태를 이루는 고깔형 거치구(410)가 구성된 것으로, 그 내부는 중공되고 하부로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그 고깔형 거치구(410)의 상단이 팽이본체(100)의 하부 마감캡(120)에 형성되는 축홈(122)에 내입되게 구성된다.
또한 거치구(4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착용 가능하도록 "링" 형태를 이루는 반지형 거치구(420)가 구성된 것으로, 그 반지형 거치구(420)의 상부에는 팽이본체(100)의 축심이 내입되는 축심 삽입홈(421)이 구성되며, 이때 축심 삽입홈(421)은 축심(111)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팽이본체(100)가 회전시 축심(111)의 주변 간섭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즉, 거치구(400)는 고깔형 거치구(410)와 반지형 거치구(420)가 한 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그 선택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1)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통상의 팽이와 같이 회전 작동은 물론, 구름 작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그 다양한 놀이가 가능하게 된다.
먼저, 회전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팽이본체(100)를 이용하되, 그 팽이본체(100)를 상단의 축심(111)이 하방을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통상의 팽이 작동과 같이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팽이본체(100)에 회전력을 부여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팽이본체(100)의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1)는, 상기와 같이 팽이본체(100)를 회전 작동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방식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통상의 팽이와 같이 보드(도면중 미도시함) 또는 지면에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 작동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6의 도시와 같이 고깔형 거치구(410)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그 고깔형 거치구(410)를 도 6의 (a)와 같이 지면에 세워 놓거나 (b)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끼운 상태에서 그 고깔형 거치구(410)의 뾰족한 상단(첨단)에 팽이본체(100)를 올려놓되, 팽이본체(100)의 하부 마감캡(120)에 형성된 축홈(122)을 이용하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고깔형 거치구(410)의 상단에 팽이본체(10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그 팽이본체(100)에 회전력을 부여하면 되는 것으로, 팽이본체(100)는 축홈(122)을 중심점으로 하여 고깔형 거치구(410)의 상단에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 작동함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의 도시와 같이 반지형 거치구(420)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그 반지형 거치구(420)를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 착용하면 되는 것이며, 이에 축심 삽입홈(421)에 팽이본체(100)를 올려놓되, 팽이본체(100)의 축심(111)을 이용하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반지형 거치구(420)의 축심 삽입홈(421)에 팽이본체(10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그 팽이본체(100)에 회전력을 부여하면 되는 것으로, 팽이본체(100)는 축심 삽입홈(421)을 중심으로 하여 반지형 거치구(420)의 상단에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1)의 회전 작동시에는, 팽이본체(100)의 중심에는 축심(111)의 무게중심을 부여하는 중량체(115)가 구성된 것인바, 그 팽이본체(100)가 회전시 안정감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1)의 구름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8의 도시와 같이 팽이본체(100)를 이용하되, 그 팽이본체(100)의 바퀴(131)(131')가 하부를 향하도록 바로 둔 상태에서 통상의 자동차 완구와 같이 팽이본체(100)에 미는 외력을 부여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팽이본체(100)는 바퀴(131)(131')의 구름력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팽이본체(100)는 구름 작동하는 과정에서 그 미는 외력을 해제하더라도 그 일정한 구름력이 유지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중량체(115)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어느 한 측의 바퀴축(132)은 수직 베벨기어(137)와 수평 베벨기어(136)와 구동기어(135)와 연동기어(117)를 통해 중량체(115)에 연결된 것으로, 바퀴(131)(131')에 수직 회전력이 부여시 수직 베벨기어(137)에 수직 회전력이 부여되고, 이후 그 수직 회전력은 수평 베벨기어(136)에 의해 수평 회전력으로 변환 및 구동기어(135)와 연동기어(117)의 치합에 의해 중량체(115)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바퀴(131)(131')에 회전력이 부여되게 되면 그 회전력은 중량체(115)로 전달되는 것으로, 그 중량체(115)는 팽이본체(100)의 미는 외력을 해제하더라도 회전하려는 관성력이 부여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중량체(115)의 관성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바퀴(131)(131')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구름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1)는, 그 팽이본체(100)를 사용함에 있어 다양한 회전 작동과 필요에 따라 구름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어린이로 하여금 다양한 방식의 유희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1)는, 그 휴대가 간편한 것으로, 그 휴대시에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손목밴드(200) 및 본체 고정밴드(30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먼저 사용자의 손목에는 손목밴드(200)를 착용하되, 그 착용시에는 통상의 시계의 착용과 같이 본체 장착부(210)가 손등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양측의 제1,2 밴드부(220)(230)를 이용하여 손목을 결착 및 제1,2 밴드부(220)(230)에 각각 형성된 버클(221) 및 체결부(231)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된다.
이후, 팽이본체(100)를 손목밴드(200)에 거치 장착하되, 그 장착시에는 손목밴드(200)의 본체 장착부(210)에 거치하면 되는 것으로, 팽이본체(100)의 하부 마감캡(120)에 형성된 돌출부(121)가 돌출부 수용홈(211)에 수용되게 하고, 바퀴(131)(131')가 바퀴 수용홈(212)에 수용 거치시키면 된다.
이후, 본체 고정밴드(300)를 이용하여 거치된 팽이본체(100)를 고정하되, 그 고정시에는 양측의 밴드 고정부(310)(310')를 통해 양측의 제1,2 밴드부(220)(230)를 걸어 연결시키고, 연결밴드(320)의 축심 고정공(321)에는 팽이본체(100)의 축심(111)이 관통되도록 연결밴드(320)를 이용하여 팽이본체(100) 상부를 결착하면 된다.
이에, 본체 고정밴드(300)는 신축성을 가지는 것인바, 연결밴드(320)가 팽이본체(100)의 상부를 탄력 가압하여 그 팽이본체(100)의 유동을 방지하여 그 휴대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휴대는 별도의 수납용 가방 등이 필요없이 간편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시계 등과 같은 액세서리 기능을 하여 어린이들로 하여금 그 멋과 즐거움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다기능 팽이완구는, 그 사용함에 있어 다양한 방식의 사용으로 그 사용상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그 휴대의 편리함이 가능하게 된다.
100 : 팽이본체 110 : 상부캡
111 : 축심 115 : 중량체
116 : 회전축 117 : 연동기어
120 : 하부 마감캡 121 : 돌출부
122 : 축홈 130 : 기어박스
131,131' : 바퀴 132,132' : 바퀴축
135 : 구동기어 136 : 수평 베벨기어
137 : 수직 베벨기어
200 : 손목밴드 210 : 본체 장착부
211 : 돌출부 수용홈 212 : 바퀴 수용홈
220 : 제1 밴드부 221 : 버클
230 : 제2 밴드부 231 : 체결부
300 : 본체 고정밴드 310,310' : 밴드 고정부
320 : 연결밴드 321 : 축심 고정공
400 : 거치구 410 : 고깔형 거치구
420 : 반지형 거치구 421 : 축심 삽입홈

Claims (3)

  1. 상부로 볼록한 "돔" 형태를 이루며, 상부 중앙에는 축심(111)이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는 중앙에 축홈(122)을 갖는 돌출부(121)가 형성되며, 축심(111)의 둘레에는 양측 두개 한 쌍을 이루며 전,후 두 쌍의 바퀴(131)(131')가 형성된 팽이본체(100);
    상부에는 중앙에 팽이본체(100)의 돌출부(121)가 수용되는 돌출부 수용홈(211)과 바퀴(131)(131')가 수용되는 바퀴 수용홈(212)이 형성된 원형의 본체 장착부(210)를 이루고, 본체 장착부(210)의 양측에는 그 본체 장착부(210)보다 작은 폭으로 단부에 버클(221)을 갖는 제1 밴드부(220)와 버클(221)이 체결되는 체결부(231)를 갖는 제2 밴드부(230)가 형성된 손목밴드(200);
    신축성을 가지며, 양단에는 손목밴드(200)의 제1,2 밴드부(220)(230)가 각각 관통되는 밴드 고정부(310)(310')가 형성되고, 양측의 밴드 고정부(310)(310')는 그 대항되는 중앙이 연결밴드(320)로 연결되며, 연결밴드(320)의 중앙에는 팽이본체(100)의 축심(111)이 관통되는 축심 고정공(321)이 형성된 본체 고정밴드(300); 및
    팽이본체(100)의 거치 및 회전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거치구(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팽이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팽이본체(100)는,
    내부가 중공되어 하부로 개방되는 "돔" 형태를 이루며, 외측 상부 중앙에 축심(111)이 돌출 형성된 상부캡(110); 및
    상부캡(110)의 개방된 하부를 덮어 볼트(B) 체결되는 하부 마감캡(12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부캡(110)은,
    내측 중앙에 회전축(116)이 설치되되, 그 회전축(116)의 상단이 상부캡(110)의 내측 상단에 축설되고, 하부 둘레에는 연동기어(117)가 형성되며, 팽이본체(100)의 축심(111)에 무게중심을 부여하기 위한 회전형 중량체(115)가 내입되게 구성하고,
    하부 마감캡(120)은,
    저면에 돌출부(12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기어박스(130)가 형성되며, 기어박스(130)에는 두 쌍의 바퀴(131)(131')가 바퀴축(132)(132')으로 축설 및 하부 마감캡(120)의 하부로 관통 돌출되게 구성하며,
    기어박스(130)에는,
    중량체(115)의 연동기어(117)가 관통 내입되며, 내측에는 연동기어(117)와 치합되며 저면에는 수평 베벨기어(136)가 형성된 구동기어(135)가 형성되고, 어느 한 측의 바퀴축(132)에는 수평 베벨기어(136)와 치합되는 수직 베벨기어(137)가 형성되어 바퀴(131)(131')에 구름력이 부여시 중량체(115)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팽이완구.
  3. 제 1항에 있어서,
    거치구(400)는,
    고깔형 거치구(410) 또는 반지형 거치구(420)로 구성하되,
    고깔형 거치구(410)는,
    내부가 중공되고 저면으로 개방되며,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경사를 이루게 구성하며,
    반지형 거치구(420)는,
    손가락에 착용 가능하도록 링 형태를 이루며, 상부에는 팽이본체(100)의 축심(111)이 내입되는 축심 삽입홈(421)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팽이완구.
KR1020170036002A 2017-03-22 2017-03-22 다기능 팽이완구 KR101742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02A KR101742461B1 (ko) 2017-03-22 2017-03-22 다기능 팽이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02A KR101742461B1 (ko) 2017-03-22 2017-03-22 다기능 팽이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461B1 true KR101742461B1 (ko) 2017-06-01

Family

ID=5922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002A KR101742461B1 (ko) 2017-03-22 2017-03-22 다기능 팽이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6367A (zh) * 2017-08-15 2017-11-24 东莞思成智能玩具有限公司 一种星爆陀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00Y1 (ko) 2015-04-30 2017-01-18 박순덕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00Y1 (ko) 2015-04-30 2017-01-18 박순덕 바퀴굴림이동완구가 수납되는 완구손목시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6367A (zh) * 2017-08-15 2017-11-24 东莞思成智能玩具有限公司 一种星爆陀螺
CN107376367B (zh) * 2017-08-15 2023-04-07 东莞思成智能玩具有限公司 一种星爆陀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4450B2 (ja) 自動離脱式合体ジャイロ玩具
US8210534B2 (en) Inflatable vehicles for simulating driving for use with video games
US2958156A (en) Toy or novelty hat
US20120270663A1 (en) Inflatable Vehicles for Simulating Driving for use with Handheld Video Games
WO2015062427A1 (zh) 一种可弹跳的玩具陀螺
US9782685B1 (en) Dispenser that converts into a spinning toy
CN203494153U (zh) 一种遥控玩具陀螺
CN104998416A (zh) 一种旋转玩具游戏装置
KR101742461B1 (ko) 다기능 팽이완구
US8851954B2 (en) Yo-yo with an accessory attachment system and a movable string bead
CN206793044U (zh) 一种弹性变形玩具
CN1320933C (zh) 圆形飞盘玩具
JP2007111144A (ja) コマ玩具
JP3109118U (ja) コマ玩具
CN204017358U (zh) 一种悠悠球、陀螺两用玩具
CN206881114U (zh) 一种指尖陀螺玩具
CN202892915U (zh) 一种可发射公仔玩具的筒状玩具
CN105833530B (zh) 一种陀螺
CN217593808U (zh) 一种变形坦克玩具
CN208389398U (zh) 一种玩具飞盘
JP3086850U (ja) コマ玩具
CN112437691B (zh) 组装式调谐陀螺及调谐陀螺发射用发射器
CN217593807U (zh) 一种变形坦克玩具
CN217593809U (zh) 一种变形玩具车
CN219922026U (zh) 一种可变形的玩具陀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