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500A -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500A
KR20160003500A KR1020140082029A KR20140082029A KR20160003500A KR 20160003500 A KR20160003500 A KR 20160003500A KR 1020140082029 A KR1020140082029 A KR 1020140082029A KR 20140082029 A KR20140082029 A KR 20140082029A KR 20160003500 A KR20160003500 A KR 20160003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ngine sound
front cover
fem
virtual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304B1 (ko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2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3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3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1Noise generation, e.g. drive noise to warn pedestrians that an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소리를 가상으로 생성시키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FEM과 상기 FEM의 전면에 설치되는 범퍼빔; 및 주행중 위험 상태를 경고할 수 있도록 혼이 장착되어져 상기 범퍼빔과 상기 FEM 사이에서 설치되어 가상엔진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원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출력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중공부를 통하여 스피커유닛이 장착되어 상기 전면커버의 후측에서 결합되는 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의 상기 스피커유닛을 스피커커버로 덮고, 상기 스피커커버의 양측에 상기 혼이 설치되어,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차체 측면에서 전면측으로 옮기게 되면서, 스피커유닛을 증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위치변경에 따라 음압성능이 향상되어 변경되는 법률의 음압조건에 부합할 수 있으며, 종래의 음원출력부와 혼을 각각 장착하여야하는 불편함을 음원출력부에 혼을 장착하게 됨에 따라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FEM에 장착시 조립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Virtual Engine Sound Apparatus}
본 발명은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는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과 혼을 패키지(Package)로 차량에 장착할 수 있도록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챠량 및 전기 차량에는 고객과 보행자의 안전을 배려한 여러 가지의 첨단 사양, 예를 들면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Virtual Engine Sound System;VESS)과 같은 첨단 사양을 추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차량의 EV MODE(Electric Vehicles Mode) 주행과 같은 저소음 주행 시의 경우에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매우 낮은 관계로 보행자, 특히 시각장애인들이 차량 접근을 인지하는데 문제가 된다.
도 1은 종래발명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위해, 최근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 차량에는 가상의 엔진음과 경고음을 차외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여, 보행자들이 차량 접근을 쉽게 인식하도록 도와주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을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이라 한다.
예를 들면, 설정속도 이하의 저속 주행 시 엔진의 동작없이 모터로만 주행이 가능한 EV 주행모드의 특성상 자칫 보행자들이 차량 접근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대비하여 차량에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많이 도입하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FEM(Front End Module;1) 전면에 장착되되, FEM(10)의 전면 중앙에 범퍼빔(2)이 설치되고, 범퍼빔(2) 후측으로 FEM(1)은 관통되게 형성되되, 중간에 수직되게 격벽이 형성된다. 범버빔(2)보다 하측으로 격벽에 혼(3)이 장착되고, FEM(1)의 양측으로 차체(4)에 음원출력부(5) 장착된다.
따라서 차체(4)의 양측에 장착되어지는 음원출력부(5)는 법규강화로 인해 음압법규를 만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 차체(4)의 양측에 음원출력부(5)가 각각 장착되어 L/OUT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원출력부와 혼을 일체로 조립하여 강화된 음압법규를 만족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은, 차량의 엔진소리를 가상으로 생성시키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FEM과 상기 FEM의 전면에 설치되는 범퍼빔; 및 상기 범퍼빔과 상기 FEM 사이에서 소리가 발생되는 혼이 장착되어 설치된 음원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원출력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중공부를 통하여 일부 돌출되게 스피커유닛이 장착되어 상기 전면커버의 후측에서 결합되는 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에 일부 돌출된 상기 스피커유닛을 덮도록 구비된 스피커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의 중공부 양측에 상기 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 및 상기 후면커버에 형성된 마운팅부가 FEM 모듈의 전면 하측의 마운통홈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홈에 볼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중공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혼이 장착되도록 볼팅홈이 형성되되, 상기 마운팅홈과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의 상기 볼팅홈은 압입넛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수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의 측면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차체 측면에서 전면측으로 옮기게 되면서, 스피커유닛을 증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위치변경에 따라 음압성능이 향상되어 변경되는 법률의 음압법규에 부합할 수 있으며, 종래의 음원출력부와 혼을 각각 장착하여야하는 불편함을 음원출력부에 혼을 장착하게 됨에 따라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FEM에 장착시 조립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발명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는 도 2의 음원출력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은 도 2의 음원출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음원출력부의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도 3는 도 2의 음원출력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은 도 2의 음원출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음원출력부의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바람직한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인 경우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량의 엔진소리를 가상으로 생성시키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FEM(10)과 FEM(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범퍼빔(20) 및 상기 범퍼빔(20)과 FEM(10) 사이에서 소리가 발생되는 혼(40)이 장착되어 설치된 음원출력부(30)을 포함한다.
도 3는 도 2의 음원출력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음원출력부(30)은, 미도시된 중공부가 형성된 전면커버(32a)와, 중공부를 통하여 일부 돌출되게 스피커유닛(60)이 장착되고, 전면커버(32a)의 후측에서 결합되는 후면커버(32b)와, 전면커버(32a)에 일부 돌출된 스피커유닛(60)을 덮도록 구비된 스피커커버(34)를 포함하고, 전면커버(32a)의 중공부 양측에 혼(40)이 설치될 수 있다.
전면커버(32a)는 정방형 및 장방형으로 구비되어 중공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커버(32a)는 장방형으로 구비되고, 전면커버(32a)의 양측에는 마운팅부(38)가 형성된다. 전면커버(32a)에는 복수의 볼팅홈이 형성되어 스피커커버(34)가 장착된다. 스피커커버(34)는 중공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전면커버(32a)에는 중공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혼(40)이 장착되도록 볼팅홈(36)이 형성되되, 전면커버(32a)에서 연장형성된 마운팅부(38)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전면커버(32a)와 후면커버(32b)의 사이에 수밀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커버(34)는 전면커버(32a)의 중공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스피커커버(34)는 중공부보다 크게 장방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커버(34)에는 스피커유닛(60)에서 발생되는 음원이 흐르도록 복수의 슬릿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마운팅부(30)는 전면커버(32a) 및 후면커버(32b)에 각각 형성된다. 마운팅부(30)는 전면커버(32a) 및 후면커버(32b)에 일체로 성형되되, 전면커버(32a) 및 후면커버(32b)보다 강성이 높게 형성되도록 이중사출될 수 있다. 전면커버(32a)및 후면커버(32b)에 각각 형성된 마운팅부(30)가 결합된다. 마운팅부(38)는 전면커버(32a)와 후면커버(32b)의 측면에서 연장되게 형성된다.
마운팅부(30)는 FEM(10)에 장착되는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회 절곡된다. 마운팅부(30)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형성된다. 마운팅부(30)는 절곡시 일부가 마운팅홀(38a)이 형성되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마운팅부(30)는 볼팅되기 전에 FEM(1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 뒤, 마운팅홀(38a)을 통하여 FEM(10)에 볼팅되어 고정된다. 즉, 마운팅부(38)가 FEM 모듈(10) 전면 하측에 형성된 고정홈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음원출력부(30)는 고정홈에 마운팅부(38)에의 마운팅홀(38a)과 볼팅되어 고정된다.
혼(4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전면커버(32a)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혼(40)은 스피커커버(34)의 양측에서 각각 고정된다. 전면커버(32a)의 볼팅홈(36)은 압입넛서트(44)로 구비되어 볼팅된다.
수밀부재(50)는 고무재질의 가스킷으로 구비되어 전면커버(32a) 및 후면커버(32b)의 결합시 사이에 배치된다. 수밀부재(50)는 전면커버(32a) 및 후면커버(32b)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내부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수밀부재(50)는 전면커버(32a) 및 후면커버(32b)의 테두리를 따라 볼팅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볼팅에 의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의 설치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의 음원출력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면커버(32a)에 스피커유닛(60)을 장착한 뒤, 전면커버(32a)의 후측에서 스피커유닛(60)을 덮도록 결합한다. 또, 전면커버(32a)의 전면에서 스피커커버(34)로 스피커유닛(60)을 덮는다.
다음, 혼(40)을 전면커버(32a)의 볼팅홈(36)을 통하여 고정시킨 뒤, 마운팅부(30)를 FEM(10)에 고정시킨다. 이때, FEM(10)과 범퍼빔(20)의 사이에서 FEM(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장착된다. 즉, 도2 내지 도3에서 나타지 않았지만, 발명의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FEM(10)의 격벽에 음원출력부(30)가 장착된다.
또, 혼(40)은 FEM(10)의 하측부와 면접촉하게 되어,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 혼(40)에 전해져 혼(4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원출력부(30)도 FEM(10)에 마운팅되므로서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며, 범퍼의 개구부 후면에 위치하게 되어 변경된 음압법규를 만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FEM 20: 범퍼빔
30: 음원출력부 32a: 전면커버
32b: 후면커버 34: 스피커 커버
36: 볼팅홀 38: 마운팅부
40: 혼 50: 수밀부재
60: 스피커유닛

Claims (7)

  1. 차량의 엔진소리를 가상으로 생성시키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FEM;
    상기 FEM의 전면에 설치되는 범퍼빔; 및
    주행중 위험 상태를 경고할 수 있도록 혼이 장착되어져 상기 범퍼빔과 상기 FEM 사이에서 설치되어 가상엔진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원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출력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중공부를 통하여 스피커유닛이 장착되어 상기 전면커버의 후측에서 결합되는 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의 상기 스피커유닛을 스피커커버로 덮고,
    상기 스피커커버의 양측에 상기 혼이 설치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 및 상기 후면커버에 형성된 마운팅부가 FEM 모듈의 전면 하측의 마운통홈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홈에 볼팅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중공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혼이 장착되도록 볼팅홈이 형성되되, 상기 마운팅홈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상기 볼팅홈은 압입넛서트로 형성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의 사이에 수밀부재가 설치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의 측면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KR1020140082029A 2014-07-01 2014-07-01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KR102225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029A KR102225304B1 (ko) 2014-07-01 2014-07-01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029A KR102225304B1 (ko) 2014-07-01 2014-07-01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500A true KR20160003500A (ko) 2016-01-11
KR102225304B1 KR102225304B1 (ko) 2021-03-09

Family

ID=5516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029A KR102225304B1 (ko) 2014-07-01 2014-07-01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3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115A (ko) * 2016-12-19 2018-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가상엔진 사운드발생장치
KR102051791B1 (ko) 2018-11-16 2020-01-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가스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대응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3546292A4 (en) * 2018-02-12 2020-03-04 Shanghai SllC Transportation Electric Co., Ltd IN-VEHICLE WARNING DEVICE AND DEVICE FOR VEHICLE
WO2020099759A1 (fr) 2018-11-15 2020-05-22 Psa Automobiles Sa Support de montage d'un dispositif d'alarme sonore d'un avas sur la caisse d'un véhicule automobile silencieux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4963A (ja) * 2002-08-20 2004-03-11 Honda Access Corp 車両用スピーカとその取付方法
WO2011141982A1 (ja) * 2010-05-10 2011-11-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出力装置及び音出力方法
JP2012148639A (ja) * 2011-01-18 2012-08-09 Denso Corp 車両接近通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4963A (ja) * 2002-08-20 2004-03-11 Honda Access Corp 車両用スピーカとその取付方法
WO2011141982A1 (ja) * 2010-05-10 2011-11-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出力装置及び音出力方法
JP2012148639A (ja) * 2011-01-18 2012-08-09 Denso Corp 車両接近通報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115A (ko) * 2016-12-19 2018-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가상엔진 사운드발생장치
EP3546292A4 (en) * 2018-02-12 2020-03-04 Shanghai SllC Transportation Electric Co., Ltd IN-VEHICLE WARNING DEVICE AND DEVICE FOR VEHICLE
WO2020099759A1 (fr) 2018-11-15 2020-05-22 Psa Automobiles Sa Support de montage d'un dispositif d'alarme sonore d'un avas sur la caisse d'un véhicule automobile silencieux
FR3088599A1 (fr) 2018-11-15 2020-05-22 Psa Automobiles Sa Support de montage d'un dispositif d'alarme sonore d'un avas sur la caisse d'un vehicule automobile silencieux
KR102051791B1 (ko) 2018-11-16 2020-01-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가스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대응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304B1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3500A (ko) 가상 엔진 사운드 장치
US11712996B2 (en) Sound-producing device for vehicle
CN106604177B (zh) 音箱扩展型虚拟发动机声音系统以及使用该系统的车辆
US9862313B2 (en) Aero part for vehicle having virtual engine sound output function
KR101505283B1 (ko) 차량용 등기구
WO2013189064A1 (en) Vehicle with grille partially overlapping at least one headlamp
US9426550B2 (en) Speak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7132545B2 (ja) 車両接近通報装置
EP3249946B1 (en) Vehicle loudspeaker system
US20210031685A1 (en) On-board warning sound device and apparatus for vehicle
KR20190061462A (ko) 가상 배기음 출력 스피커
CN111845545A (zh) 车辆接近报知音产生装置
JP2017100570A (ja) 車両用音響装置
JP3972487B2 (ja) 自動車のホーン取付構造
JP2011183964A (ja) 電動自動車の警報音発生装置
WO2014024333A1 (ja) 車両用ホーン装置
JP5316861B2 (ja) 車両用スピーカ装置
JP2019189060A (ja) フェンダ防音材及びフェンダ防音構造
CN216611045U (zh) 一种avas系统的音响装置、电动汽车
JP6731649B2 (ja) スピーカボックス
CN216772802U (zh) 电动汽车用声音提示器的壳体
JP2023151844A (ja) 車両接近通報装置搭載構造
KR20190124486A (ko) 차량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장치
JP6592652B2 (ja) 車載スピーカー装置
JP2024048852A (ja) 車両の外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