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346U - 착용식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착용식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346U
KR20160003346U KR2020160001479U KR20160001479U KR20160003346U KR 20160003346 U KR20160003346 U KR 20160003346U KR 2020160001479 U KR2020160001479 U KR 2020160001479U KR 20160001479 U KR20160001479 U KR 20160001479U KR 20160003346 U KR20160003346 U KR 201600033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member
battery modul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희
Original Assignee
정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희 filed Critical 정수희
Publication of KR20160003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3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착용식 배터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착용식 배터리 장치는 양단에 +전극단자와 -전극단자를 각각 구비한 배터리모듈과, 둘 이상의 배터리모듈을 전극단자별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배터리 모듈은 상기 전극단자를 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배터리모듈을 금속 시계 줄 같은 끈 형태로 엮인 만큼 대용량의 전력을 지원하기에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같은 착용식 기기에 적용하면 배터리 수명을 대폭 증가시켜, 자주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착용식 배터리 장치{WEARABLE BATTERY APPARATUS}
본 고안은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배터리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필요한 전력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한 착용식 배터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여러 방면에서 일상생활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로는 핸드폰, PMP, MP3, PDA 등이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배터리를 충전하여 이용하는 방식이다.
휴대폰은 정보화 및 전자 산업의 발전과, 점차 다양한 기능을 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인터넷 검색 기능은 물론, 게임, 일정 관리, 네비게이션 기능 등 지능형 단말기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손목시계 겸 휴대폰 기능을 가지는 와치폰(watch phone)은 시계처럼 손목에 차고 다니면서 휴대폰이 가지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되는데, 일반적인 스마트폰 보다 작은 크기로 되어 작은 용량의 배터리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사용자가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니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는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모든 배터리는 일정 시간 사용하게 되면 방전이 되어 재충전하지 않으면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즉,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된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도 손실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기 전에 미리 배터리를 재충전하여야 하며 재충전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를 소지하여 준비해 두어야 한다.
KR 공개 특허 제10-2016-0007896호(2016.01.21)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 개의 배터리를 끈 형상으로 연결하여 착용식 디바이스로 사용할 수 있는 착용식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착용식 배터리 장치는 양단에 +전극단자와 -전극단자를 각각 구비한 배터리모듈과, 둘 이상의 배터리모듈을 전극단자별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배터리 모듈은 상기 전극단자를 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결합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둘 이상의 배터리모듈이 띠형상으로 결합된 착용식 배터리 장치는 배터리모듈의 양단에 +전극단자와 -전극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둘 이상의 배터리모듈을 전극단자별로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배터리모듈 일단에 구비된 +,-전극단자 각각을 다른 배터리모듈의 일단에 구비된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부재는 일측에 전극단자 제1삽입홈과 제2삽입홈을 이격되게 형성하고 각각의 삽입홈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패턴을 형성하고, 타측에도 전극단자 삽입홈을 이격되게 형성하고 각각의 삽입홈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패턴을 형성하고, 어느 하나의 배터리모듈 일단에 구비된 +,-전극단자 각각을 다른 배터리모듈의 일단에 구비된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착용식 배터리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배터리모듈을 금속 시계 줄 같은 끈 형태로 엮인 만큼 대용량의 전력을 지원하기에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같은 착용식 기기에 적용하면 배터리 수명을 대폭 증가시켜, 자주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착용식 배터리 장치에 입,출력 모듈을 삽입하면 타 디바이스에 전력을 지원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의 역할 수행이 가능하고, 착용식 구조체인 만큼 기존 휴대용 보조 배터리에 비해 분실의 염려가 없고, 보관, 이동이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착용식 배터리 장치는 손목시계줄, 허리띠, 멜빵, 가방끈 등등의 여러 가지 사물로 응용되어 배터리 수명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대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배터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착용식 배터리 장치의 연결부재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신호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배터리 장치를 다수 개 연결한 상태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착용식 배터리 장치의 사시도로서, 전자시계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300)에 배터리 전원이 필요한 곳에 본 고안의 배터리장치가 체인 형상으로 조립되어,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배터리장치는 양단에 +전극단자와 -전극단자를 각각 구비한 배터리모듈(110)과, 둘 이상의 배터리모듈을 전극단자별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00)를 포함하고, 이를 체인형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연결부재(200)에 의해 결합된 배터리 모듈(110)은 전극단자를 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즉, 본 고안의 배터리장치는 연결부재(200)에 의하여 둘 이상의 배터리모듈(110)이 띠형상으로 결합되게 하고, 각 배터리모듈(110)은 양단에 +전극단자와 -전극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연결부재(200)는 둘 이상의 배터리모듈을 전극단자별로 연결하여 착용식 배터리로 구성하는 것이다.
도 2의 착용식 배터리 장치의 연결부재 확대사시도를 참고하여, 배터리 모듈과 연결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터리모듈(110)은 충전가능한 배터리소자로 구성하고, 양단에 연결부재(200)와 단자결합되는 제1연결홈(120)과 제2연결홈(121)을 구비하고, 각 연결홈에는 +전극단자(130,131)와 -전극단자(140,141)가 연결홈 내부로 돌출되게 구성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제1연결홈(120)과 제2연결홈(121)은 약 사각형의 삽입홈 형태로 구성하고, 배터리의 +,-전극이 삽입홈 외부로 돌출되고, 연결부재(200)의 일측이 삽설되어, +,-전극과 결합되고 전극단자를 축으로 연결부재(200)가 상하 유동되게 결합한다.
연결부재(200)는 각 배터리모듈의 +전극과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체인형상(또는 띠형상)으로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기 위하여 전극단자를 축으로 상하 유동되게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연결부재(200)는 어느 하나의 배터리모듈 일단에 구비된 +,-전극단자 각각을 다른 배터리모듈의 일단에 구비된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각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200)는 배터리모듈(110)의 각 전극단자를 상하에서 감싸도록 연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부연결부재(210)와 하부연결부재(220)로 구성하고, 결합부재(230)에 의하여 상하결합된다.
먼저 상부연결부재(210)는 일측에 전극단자 제1삽입홈(211)과 제2삽입홈(212)을 이격되게 형성하고 각각의 삽입홈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패턴(미도시)을 형성하고, 타측에도 전극단자 제3삽입홈(214)과 제4삽입홈(213)을 이격되게 형성하고 각각의 삽입홈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패턴(미도시)을 형성한 것이다.
하부연결부재(220)는 일측에 전극단자 제1'삽입홈(221)과 제2'삽입홈(222)을 이격되게 형성하고 각각의 삽입홈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패턴(226)을 형성하고, 타측에도 전극단자 제3'삽입홈(224)과 제4'삽입홈(223)을 이격되게 형성하고 각각의 삽입홈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패턴(225)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하부연결부재의 결합을 위하여 상부연결부재(210)의 중앙에 결합부재 삽입홀(217)과 하부연결부재(220)의 중앙에 결합부재 삽입홀(217)이 천공되어 있고,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230)로 결합되도록 각 삽입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 삽입홀은 반원형으로 구성하여 둥근형태의 전극단자가 상하부연결부재에 삽설되게 하여, 결합부재(230)의 조임력에 의하여 각 전극단자를 축으로 연결부재가 일부 회동되게 구성하면 된다.
또한, 각 전극단자를 연결부재(200)로 연결하였을 때 같은 전극끼리 연결이 되게 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패턴이 각 삽입홈에도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하부 연결부재(210,220)는 배터리모듈(110)을 결합할 때,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둥근 전극단자를 감싸는 형상으로 조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부연결부재(210)의 제1삽입홈(211), 제2삽입홈(212), 제3삽입홈(214) 그리고 제4삽입홈(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연결부재(220)의 제1'삽입홈(221)과 제2'삽입홈(222), 제3'삽입홈(224)과 그리고 제4'삽입홈(223)을 형성하여 각 전극단자를 삽입하고 결합부재(230)로 결합하는 것이다.
도 3의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신호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을 참고하면, 상하부연결부재가 결합부재(230)에 의하여 결합되면, 각 배터리모듈의 +단자(130,131)는 제1삽입홈(211)과 제2삽입홈(212)에 삽설되고, 전기적으로 각 단자를 연결하는 패턴(225)에 의하여 연결되어, 배터리의 용량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를 참고하면, 상부연결부재(210)의 패턴(215)과 하부연결부재(220)의 패턴(225)에 각 전극단자(130,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착용식 배터리 장치는 필요한 수만큼의 배터리모듈(110)을 연결부재(200)로 연결하면 필요한 용량의 전원을 확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시계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OTP발생모듈, 핀테크 보안모듈 등과 같이 전원을 필요로 하는 장치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5의 본 고안의 배터리 장치를 다수 개 연결한 상태의 예시도를 참고하면, 다수 개의 배터리모듈(110)을 연결부재(200)로 연결하면, 필요한 용량의 전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배터리모듈의 +/-단자를 충전단자로 구성하거나 입출력모듈을 결합하면, 타 디바이스에 전력을 지원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의 역할 수행이 가능하고, 착용식 구조체인 만큼 기존 휴대용 보조 배터리에 비해 분실의 염려가 없고, 보관, 이동이 매우 편리하다.
이러한 구성의 배터리 장치는 손목시계줄, 허리띠, 멜빵, 가방끈 등등의 여러 가지 사물로 응용되어 배터리 수명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대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배터리모듈 120 : 제1연결홈
121 : 제2연결홈 130,131 : +전극단자
140,141 : -전극단자 200 : 연결부재
210 : 상부연결부재 211 : 제1삽입홈
212 : 제2삽입홈 213 : 제4삽입홈
214 : 제3삽입홈 215 : 패턴
220 : 하부연결부재 221 : 제1'삽입홈
222 : 제2'삽입홈 223 : 제4'삽입홈
224 : 제3'삽입홈 225 : 패턴
230 : 결합부재 300 :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4)

  1. 양단에 +전극단자와 -전극단자를 각각 구비한 배터리모듈;및
    둘 이상의 배터리모듈을 전극단자별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배터리 모듈은 상기 전극단자를 축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착용식 배터리 장치.
  2. 연결부재에 의하여 둘 이상의 배터리모듈이 띠형상으로 결합된 착용식 배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양단에 +전극단자와 -전극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둘 이상의 배터리모듈을 전극단자별로 연결하는 착용식 배터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배터리모듈 일단에 구비된 +,-전극단자 각각을 다른 배터리모듈의 일단에 구비된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착용식 배터리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에 전극단자 제1삽입홈과 제2삽입홈을 이격되게 형성하고 각각의 삽입홈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패턴을 형성하고, 타측에도 전극단자 삽입홈을 이격되게 형성하고 각각의 삽입홈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패턴을 형성하고,
    어느 하나의 배터리모듈 일단에 구비된 +,-전극단자 각각을 다른 배터리모듈의 일단에 구비된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착용식 배터리 장치.










KR2020160001479U 2015-03-19 2016-03-18 착용식 배터리 장치 KR20160003346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1727 2015-03-19
KR2020150001727 2015-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46U true KR20160003346U (ko) 2016-09-28

Family

ID=5704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479U KR20160003346U (ko) 2015-03-19 2016-03-18 착용식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346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896A (ko) 2014-07-08 2016-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형 배터리 이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896A (ko) 2014-07-08 2016-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형 배터리 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8479B2 (en) Electronic wrist watch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US9989931B2 (en) Charging assembly for wrist watch and wrist watch
US20180337542A1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US20070182363A1 (en) Portable power supply
US9401609B2 (en) Portable power transfer device
TWI621939B (zh) 配戴式電源及具備此種電源的手戴式行動裝置
US20150076201A1 (en) Wristband container for an earpiece
US20190027949A1 (en) Portable power bank for a smartwatch or the like
CN205121190U (zh) 一种可稳定供电的智能手表电源模块
CN204376435U (zh) 一种穿戴式移动电源
US10454297B2 (en) Wearable device and terminal
CN104749937A (zh) 表带、手表和智能穿戴设备
KR20160003346U (ko) 착용식 배터리 장치
KR101397859B1 (ko) 공간 활용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결합 구조
KR102355617B1 (ko)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
KR101982173B1 (ko)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CN105048549A (zh) 带小容量移动电源的数据线手表
CN105186638A (zh) 腕戴式电子设备
CN204708155U (zh) 一种可扩展功能的表扣和手表
US20160261138A1 (en) Wireless charging receiver
CN202474133U (zh) 一种可充电电池
TWM523999U (zh) 充電系統
CN104917301A (zh) 一种实现无线充电的电子表结构
US20020195992A1 (en) Rechargeable battery
CN205680713U (zh) 组合式电池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