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342U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342U
KR20160003342U KR2020150001777U KR20150001777U KR20160003342U KR 20160003342 U KR20160003342 U KR 20160003342U KR 2020150001777 U KR2020150001777 U KR 2020150001777U KR 20150001777 U KR20150001777 U KR 20150001777U KR 20160003342 U KR20160003342 U KR 201600033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lcro
umbrella
magnetic
umbrella cloth
shiel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숙
Original Assignee
이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숙 filed Critical 이희숙
Priority to KR2020150001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342U/ko
Publication of KR20160003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3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45B2025/186Umbrellas with two or mor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72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other sunshades, awnings or tent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우산이 소개된다.
우산은 다수개의 우산살에 의해 우산천이 지지되는 우산으로서, 우산천의 하단부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리개와, 가리개에 마련되는 제 1 벨크로와, 제 1 벨크로가 부착되도록 우산천에 마련되는 제 2 벨크로와, 제 1 벨크로와 제 2 벨크로 사이에 인력을 제공하는 자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산{UMBRELLA}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 전방 시야를 효과적으로 확보하면서 신체를 비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산대를 중심으로 돔형 방사상의 다수의 우산살이 전개되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비를 막기 위한 우산천이 우산살에 봉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우산은 평상시 우산살 및 우산천이 접어진 상태로 보관되지만, 접어진 상태의 우산살 및 우산천을 방사상으로 전개하면, 우산천이 원형 돔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우천시 사용자를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우산의 경우, 원형 돔 형상의 우산천을 사용자의 머리를 덮는 상태로 유지하여 비를 최대한 막으려고 하지만, 사용자의 시야가 우산천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우산의 사용 중 시야의 미확보로 인한 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우천시 바람이 동반되는 경우, 바람의 역방향으로 우산을 기울이게 되면, 기울어진 우산의 반대측 신체가 노출되므로, 우산을 통해 비를 제대로 막지 못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문헌: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8406호(2002. 03. 05.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신체를 비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우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우산은, 다수개의 우산살에 의해 우산천이 지지되는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천의 하단부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리개; 상기 가리개에 마련되는 제 1 벨크로; 상기 제 1 벨크로가 부착되도록 상기 우산천에 마련되는 제 2 벨크로; 및 상기 제 1 벨크로와 상기 제 2 벨크로 사이에 인력을 제공하는 자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제 1 벨크로에 마련되는 제 1 자성부; 및 상기 우산을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접을 때, 상기 제 1 자성부 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 1 벨크로와 상기 제 2 벨크로가 서로 부착되도록 상기 제 2 벨크로에 마련되는 제 2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제 1 자성부의 자기력이 작용 가능한 재질의 우산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리개는 투시가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리개는 상하방향으로 다단 접혀짐이 가능한 가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부는 상기 우산천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1 가림부; 상기 제 1 가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가림부보다 작은 상하방향 길이를 갖는 제 2 가림부; 및 상기 제 2 가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가림부보다 작은 상하방향 길이를 갖는 제 3 가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벨크로는 상기 제 2 벨크로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상기 제 2 가림부에 마련되는 상부 제 1 벨크로; 및 상기 제 2 벨크로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상기 제 3 가림부에 마련되는 하부 제 1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우천시 바람이 동반되더라도, 가리개를 통해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야의 미확보로 인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신체를 비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별도의 외력없이, 사용자가 우산을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우산살 및 우산천을 접는 동작만으로도, 가리개를 우산천에 편리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상태의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힌 상태의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변형예에 따른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변형예에 따른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상태의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를 일부 접어 올린 상태의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를 모두 접어 올린 상태의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용신안등록 청구 가능한 본 고안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상태의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힌 상태의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은, 가리개(100), 제 1 벨크로(210), 제 2 벨크로(220) 및 자성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우산은, 다수개의 우산살(10)이 우산대(30)에 방사 형태로 접힘 가능하게 장착되고, 우산천(20)이 방사상 구조로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우산살(10)에 의해 지지되는 통상의 우산 구조이므로, 이들 우산대(30), 우산살(10) 및 우산천(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리개(100)는 우산천(20)의 일측 하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하방향은 우산을 상방향으로 펼쳤을 때, 우산의 아래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리개(100)는 우산의 바깥으로 접혀 우산천(2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때, 가리개(100)가 쉽게 접히도록, 가리개(100)의 접히는 부위에는 두 개의 재봉선이 형성될 수 있다.
가리개(100)는 투시가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리개(100)는 전방 주시가 가능한 비닐 수지나 비닐 섬유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가리개는 대략적인 전방 주시가 가능한 반투명(半透明)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리개(100)를 우산천(20)에 탈부착하기 위해, 우산천(20) 및 가리개(100)에는 벨크로(velcro) 타입의 제 1 벨크로(210) 및 제 2 벨크로(2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들 제 1 벨크로(210) 및 제 2 벨크로(220) 중 어느 하나의 벨크로에는, 갈고리 모양의 작은 돌기물이 다수개 달려 있을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벨크로에는 올가미 형태의 고리가 다수개 달려 있을 수 있다.
제 1 벨크로(210)는 가리개(100)를 상방향으로 접어 올렸을 때, 제 2 벨크로(220)에 부착 가능한 가리개(100)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제 1 벨크로(210)는 가리개(100)의 외면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벨크로(220)는 제 1 벨크로(210)가 부착되도록 우산천(20)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벨크로(220)는 자기력이 작용 가능한 스틸 재질의 우산살(10)에 위치되므로, 후술하는 제 1 자성부(310)와 인력이 작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들 제 1 벨크로(210) 및 제 2 벨크로(220)는, 사용자가 우산을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우산살(10) 및 우산천(20)을 접었을 때, 외력 없이 서로 부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자성부재(300)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외력없이도 제 1 벨크로(210) 및 제 2 벨크로(220)가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자성부재(300)는 제 1 벨크로(210)와 제 2 벨크로(220) 사이에서 자기력을 이용한 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자성부재(300)는 제 1 벨크로(210), 보다 자세하게는 제 1 벨크로(210)와 가리개(100)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자성부(310)와, 제 2 벨크로(220)에 마련되는 제 2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자성부는 자기력이 작용 가능한 스틸 재질의 우산살(10)로 제공되지만, 제 2 자성부는 제 2 벨크로(220)에 별도로 마련되는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자성부는 제 2 벨크로(220)와 우산천(20) 사이에 마련되는 스틸 부재이거나 자석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우산을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우산살(10) 및 우산천(20)을 접게 되면, 제 1 자성부(310)와 제 2 자성부 간에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되므로, 제 1 벨크로(210)와 제 2 벨크로(220)는 별도의 외력없이도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 제 2 벨크로(220)는 우산천(20)의 외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상측 제 2 벨크로(220b) 및 하측 제 2 벨크로(220a)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상측 제 2 벨크로(220b) 및 하측 제 2 벨크로(220a)에는 제 1 벨크로(210)가 선택적으로 부착되므로, 가리개(100)가 고정되는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물론, 이 제 2 벨크로(220)는 상측 제 2 벨크로(220b) 및 하측 제 2 벨크로(220a)의 구성으로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가리개(100)가 고정되는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벨크로의 부착 위치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벨크로(220)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거나, 제 2 벨크로(220)가 2개 이상의 다수개로 우산천(20)의 외면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 가리개(100)는 우산천(20)의 전방(도면의 왼쪽)에서 후방(도면의 오른쪽)으로 갈수록 증가되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변형예에 따른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변형예에 따른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 가리개(100')는 우산천(20)의 일측 하단부(일 예로, 우산의 후방측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후방 가리개(100a')과, 우산천(20)의 타측 하단부(일 예로, 우산의 전방측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전방 가리개(10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방 가리개(100b')의 상하방향 길이는 후방 가리개(100a')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 가리개(100")는 우산천(20)의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는 다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리개(100")는 우산천(20)의 일측 하단부에서 우산천(20)의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는 다수개의 후방 분리 가리개(100a")과, 우산천(20)의 타측 하단부(일 예로, 우산의 전방측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전방 분리 가리개(10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방 분리 가리개(100b")의 상하방향 길이는 후방 분리 가리개(100a")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상태의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를 일부 접어 올린 상태의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를 모두 접어 올린 상태의 우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에서, 가리개(100)는 상하방향으로 다단 접혀짐이 가능한 가림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리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예컨대, 우산대(30), 우산살(10), 우산천(20), 제 2 벨크로(220) 및 자성부재(300) 구성들은, 우산대(30), 우산살(10), 우산천(20), 제 2 벨크로(220) 및 자성부재(300)와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림부(110)는 3단으로 접혀짐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림부(110)는 우산천(2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1 가림부(111)와, 제 1 가림부(111)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2 가림부(112)와, 제 2 가림부(112)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3 가림부(11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들 제 1 가림부(111), 제 2 가림부(112) 및 제 3 가림부(113) 간에 접혀짐이 용이해지도록, 제 2 가림부(112)는 제 1 가림부(111)보다 작은 상하방향 길이를 갖고, 제 3 가림부(113)는 제 2 가림부(112)보다 작은 상하방향 길이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벨크로(210)는 제 2 가림부(112)의 내면에 마련되는 상부 제 1 벨크로(211)와, 제 3 가림부(113)의 내면에 마련되는 하부 제 1 벨크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제 1 벨크로(211)는 제 1 가림부(111), 제 2 가림부(112) 및 제 3 가림부(113)가 모두 우산의 바깥쪽으로 접어 지는 경우에 우산천(20)의 제 2 벨크로(220)에 부착될 수 있고, 하부 제 1 벨크로(212)는 제 3 가림부(113)가 우산의 바깥쪽으로 접어 지는 경우에 우산천(20)의 제 2 벨크로(220)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우천시 비바람이 몰아치는 경우, 비바람이 몰아치는 각도 및 방향에 맞추어, 우산천(20)에서 제 1 가림부(111), 제 2 가림부(112) 및 제 3 가림부(113)를 모두 펼치거나(도 5 참고), 제 3 가림부(113)를 접어 우산천(20)에 고정하거나(도 6 참고), 또는 제 1 가림부(111), 제 2 가림부(112) 및 제 3 가림부(113)를 모두 접어 우산천(20)에 고정함으로써(도 7 참고), 비바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비바람으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림부(110)는 3단으로 접혀짐이 가능한 제 1 가림부(111), 제 2 가림부(112) 및 제 3 가림부(113)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가람천은 적어도 2단으로 접어짐이 가능한 가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우천시 바람이 동반되더라도, 가리개를 통해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야의 미확보로 인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신체를 비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력없이, 사용자가 우산을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우산살 및 우산천을 접는 동작만으로도, 가리개를 우산천에 편리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우산천 20 :우산살
100 :가리개 110 :가림부
210 :제 1 벨크로 220 :제 2 벨크로
300 :자성부재 310 :제 1 자성부

Claims (7)

  1. 다수개의 우산살에 의해 우산천이 지지되는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천의 하단부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리개;
    상기 가리개에 마련되는 제 1 벨크로;
    상기 제 1 벨크로가 부착되도록 상기 우산천에 마련되는 제 2 벨크로; 및
    상기 제 1 벨크로와 상기 제 2 벨크로 사이에 인력(引力)을 제공하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우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제 1 벨크로에 마련되는 제 1 자성부; 및
    상기 우산을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접을 때, 상기 제 1 자성부 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 1 벨크로와 상기 제 2 벨크로가 서로 부착되도록 상기 제 2 벨크로에 마련되는 제 2 자성부를 포함하는 우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성부는 상기 제 1 자성부의 자기력이 작용 가능한 재질의 우산살을 포함하는 우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리개는 투시가 가능한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우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리개는 상하방향으로 다단 접혀짐이 가능한 가림부를 포함하는 우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는
    상기 우산천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1 가림부;
    상기 제 1 가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가림부보다 작은 상하방향 길이를 갖는 제 2 가림부; 및
    상기 제 2 가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가림부보다 작은 상하방향 길이를 갖는 제 3 가림부를 포함하는 우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벨크로는
    상기 제 2 벨크로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상기 제 2 가림부에 마련되는 상부 제 1 벨크로; 및
    상기 제 2 벨크로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상기 제 3 가림부에 마련되는 하부 제 1 벨크로를 포함하는 우산.
KR2020150001777U 2015-03-20 2015-03-20 우산 KR201600033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777U KR20160003342U (ko) 2015-03-20 2015-03-20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777U KR20160003342U (ko) 2015-03-20 2015-03-20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42U true KR20160003342U (ko) 2016-09-28

Family

ID=5704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777U KR20160003342U (ko) 2015-03-20 2015-03-20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34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95U (ko) * 2019-01-31 2020-08-10 지티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필터 기능을 갖는 선풍기용 보호 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406Y1 (ko) 2001-12-10 2002-03-16 정명래 접기가 용이한 커버 일체형의 우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406Y1 (ko) 2001-12-10 2002-03-16 정명래 접기가 용이한 커버 일체형의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95U (ko) * 2019-01-31 2020-08-10 지티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필터 기능을 갖는 선풍기용 보호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778B1 (ko) 이동식 태양 및 기상 가리개
US10098398B2 (en) Reverse split brim
US9924768B1 (en) Umbrella with crossbeams and telescoping poles
KR20140052913A (ko) 접이식 헬멧
US9943148B1 (en) Protector for rib tip of umbrella
US9351548B2 (en) Privacy umbrella
US20170112244A1 (en) Umbrella with protective sheath assembly
US4131954A (en) Collapsible headgear
US3930514A (en) Wind resistant umbrella
KR20160003342U (ko) 우산
US7448399B2 (en) Umbrella
US20160066643A1 (en) Cover assembly for face-shield bracket assembly and safety hat
JP3187464U (ja) 通風口付傘
US7011100B2 (en) Skeleton for ear-shaped umbrella
KR101613949B1 (ko) 접철식 차양이 구비된 모자
US9492015B1 (en) Infant vehicle seat cover
EP1743534A2 (en) A convertible garment
US20140130728A1 (en) Bimini top visor
KR200244351Y1 (ko) 우산
CN204444397U (zh) 一种安全帽
US20160015108A1 (en) Hat having selectively extendable brim
JP3189089U (ja) 衣料
NL2011941C2 (nl) Zak tevens hoofddeksel.
KR200473762Y1 (ko) 접기 용이한 챙
DK2684474T3 (en) PROTECTIVE HELMET WITH INTEGRATED HELMET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