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883U -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883U
KR20160002883U KR2020160004564U KR20160004564U KR20160002883U KR 20160002883 U KR20160002883 U KR 20160002883U KR 2020160004564 U KR2020160004564 U KR 2020160004564U KR 20160004564 U KR20160004564 U KR 20160004564U KR 20160002883 U KR20160002883 U KR 201600028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vehicle
smartphone
transmitting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택
Original Assignee
이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택 filed Critical 이윤택
Priority to KR2020160004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883U/ko
Publication of KR20160002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8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B60R2025/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a.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정맥인식(Vein Recognitio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홍채 인식(Iris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음성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얼굴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장문(손금)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생체인식(Biometrics)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Vehicle anti-theft device and method}
본 고안은 차량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차량의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방지하는 목적이 대다수였다.
하지만, 차량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하는 방법은 그 수법이 다양해지고, 따라서 단순히 차량의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는, 한계점이 분명이 존재하였다.
또한, 차량의 사용자에게 차량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했다.
종래의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차량의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방지하는 목적이 대다수였다.
하지만, 차량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하는 방법은 그 수법이 다양해지고, 따라서 단순히 차량의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는, 한계점이 분명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임의의 침입자가 차량을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시도하는데 있어서, 차량의 사용자에게 차량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차량의 사용자에게 차량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임의의 침입자가 차량을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시도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지 못하므로 함부로 차량을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시도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차량의 사용자에게 차량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은 차량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일면에서 기술한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임의의 침입자가 차량을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시도하는데 있어서, 차량의 사용자에게 차량의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임의의 침입자가,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지 못하게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필요했다. 또한, 차량의 사용자에게 차량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했다. 그러한 이유로, 본 고안은,
a.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정맥인식(Vein Recognitio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홍채 인식(Iris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음성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얼굴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장문(손금)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a. 생체인식(Biometrics)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제시한다.
본 고안은,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의 제 1 의 예시를 나타내는 간략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에 포함되는 본 고안에 적용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구성의 제 1 의 예시를 나타내는 간략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에 포함되는 본 고안에 적용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구성의 제 2 의 예시를 나타내는 간략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에 포함되는 본 고안에 적용된 스마트폰의 구성의 제 1 의 예시를 나타내는 간략 구성도.
도 5 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에 포함되는 본 고안에 적용된 스마트폰의 구성의 제 2 의 예시를 나타내는 간략 구성도.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검출부는 스마트폰의 외장으로 구비된다.
도 6a 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제 1 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 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제 1 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의 세부도이다.
도 7a 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제 2 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 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제 2 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의 세부도이다.
도 8 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인식 장치(스마트키)의 제 1 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제 3 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b 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제 3 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의 세부도이다.
도 10a 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제 4 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b 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제 4 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의 물체의 유무를 판별하는 비접촉 센서가 적용된 부분의 세부도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적으로 기술된 설명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종래의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차량의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방지하는 목적이 대다수였다.
하지만, 차량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하는 방법은 그 수법이 다양해지고, 따라서 단순히 차량의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는, 한계점이 분명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임의의 침입자가 차량을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시도하는데 있어서, 차량의 사용자에게 차량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차량의 사용자에게 차량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임의의 침입자가, 차량의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시도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지 못하게 하는데 필수적인 역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사용자에게 차량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된 경보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의 상태를 판별하는 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를 포함하고, (A).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 로 구성되는 상기 (A) 장치 또는/및 (B)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인식장치는, 카드인식장치, 바코드인식장치, 코드인식장치, RF통신인식장치, 등의 인식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인식장치는 차량의 스마트키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인식장치는 차량의 스마트키 또는 차량의 열쇠를 를 포함하는 인식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인식장치는 차량의 문의 개폐여부 또는/및 차량의 시동을 수행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인식장치는 차량의 문의 개폐여부 또는/및 차량의 시동을 수행시킬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인식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바코드인식장치는 스마트폰에 바코드를 저장한 후, 스마크폰의 바코드를 바코드인식장치에 인식시켜, 경보를 해제 및 잠금 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코드인식장치는 스마트폰에 코드를 저장한 후, 스마크폰의 코드를 코드인식장치에 인식시켜, 경보를 해제 및 잠금 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된 경보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의 상태를 판별하는 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를 포함하고, (A).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 로 구성되는 상기 (A) 장치 또는/및 (B)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정맥인식(Vein Recognitio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된 경보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의 상태를 판별하는 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를 포함하고, (A).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 로 구성되는 상기 (A) 장치 또는/및 (B)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홍채 인식(Iris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된 경보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의 상태를 판별하는 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를 포함하고, (A).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 로 구성되는 상기 (A) 장치 또는/및 (B)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음성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된 경보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의 상태를 판별하는 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를 포함하고, (A).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 로 구성되는 상기 (A) 장치 또는/및 (B)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얼굴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된 경보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의 상태를 판별하는 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를 포함하고, (A).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 로 구성되는 상기 (A) 장치 또는/및 (B)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장문(손금)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된 경보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의 상태를 판별하는 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를 포함하고, (A).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 로 구성되는 상기 (A) 장치 또는/및 (B)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생체인식(Biometrics)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된 경보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의 상태를 판별하는 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를 포함하고, (A).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 로 구성되는 상기 (A) 장치 또는/및 (B)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다중생체인식(multimodal biometrics)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술된 경보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의 상태를 판별하는 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일면에서 기술하는 a 장치 및 b 장치를 포함하고, (A).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장치, 로 구성되는 상기 (A) 장치 또는/및 (B)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경보 장치는 인식 장치 및 침입 확인 장치의 상태를 판별하는 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는
a. 경보 장치로부터 경보 장치의 상태를 통신회사로 송신하는 장치, 및
b. 상기 통신회사로 송신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 장치,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b 의 장치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더하여, 그 반대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장치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로 설명된 것은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장치들로 설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는
a. 경보 장치로부터 경보 장치의 상태를 통신회사로 송신하는 장치, 및
b. 상기 통신회사로 송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장치, 및
c.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 장치,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c 의 장치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더하여, 그 반대되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장치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로 설명된 것은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장치들로 설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은 상기 의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가 되는 전자장치의 측면에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은 휴대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되는 전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의 사용자에게 차량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통신회사를 통한 무선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생체인식(Biometrics)장치는 각 개인마다 다른 지문, 홍채, 땀샘구조, 혈관 등 개인의 독특한 생체정보를 추출하여 정보화시키는 인증방식을 구비하는 인식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생체인식(Biometrics)의 예로는 지문, 음성, 얼굴, 홍채, 손금, 정맥 분포 등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는 지문을 인식하는 인식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정맥인식(Vein Recognition)장치는 손등이나 손목 혈관의 형태를 인식하는 장치로써, 적외선을 사용하여 혈관을 투시한 후 잔영을 이용해 판별하는 인식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정맥인식(Vein Recognition)은 복제가 거의 불가능하여 높은 보안성을 갖는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홍채 인식(Iris Scan)장치는 사람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진 안구의 홍채 패턴을 이용한 인식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홍채 인식(Iris Scan)장치는 홍채의 주름을 주파수로 바꾸는 과정을 통해 판별하는 인식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홍채 인식(Iris Scan)장치는 자동 초점 조절 카메라로 홍채 패턴을 인식하는 비접촉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음성 인식 장치는 사람의 억양과 말하는 습관에 따른 음의 높낮이 정보를 잡음 처리 후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인식 장치를 의미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얼굴 인식 장치는 얼굴의 형태를 3차원으로 파악하는 인식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얼굴 인식 장치는 얼굴의 형태를 파악하는 인식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얼굴 인식 장치는 카메라가 얼굴의 형태를 2차원 내지 3차원 좌표값으로 환산하여 상기 얼굴의 형태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장문(손금)인식 장치는 사람의 손바닥에 분포되어 있는 손금을 이용하는 인식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다중생체인식(multimodal biometrics)장치는 지문인식(Finger Scan), 정맥인식(Vein Recognition), 홍채 인식(Iris Scan), 음성 인식, 얼굴 인식, 장문(손금)인식, 중 최소한 2개의 선택되는 인식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인식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a. 인식 장치, 및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되,
검출부에서 인식 정보를 검출한 후,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인식 장치는 다중생체인식(multimodal biometrics), 지문인식(Finger Scan), 정맥인식(Vein Recognition), 홍채 인식(Iris Scan), 음성 인식, 얼굴 인식, 장문(손금)인식, 중 선택되는 인식방법을 사용하는 인식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인식 장치는 차량의 스마트키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인식 장치는 차량의 문의 개폐여부 또는/및 차량의 시동을 수행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은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되었다는 식별표, 식별문구, 식별마크, 등을 차량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표, 식별문구, 식별마크, 등은 임의의 침입자가, 차량의 도난 또는 차량에 무단 침입을 시도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인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a.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또는 검출장치), 및
b.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또는 판단장치), 및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검출부는 검출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인식 장치는 검출부 또는 검출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인식 장치는 검출부 또는 검출장치를 포함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판단부는 판단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검출부 및 판단부는 자세히 기술하지 않더라도 차량 도난 방지 장치에 포함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는, 종래에 사용되는 여러 형태의 송수신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는 모듈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는 당업자에게는 알려져 있고, 따라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차량의 문과 차체에 외적으로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를 포함하는 침입 확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차량의 문과 차체에 포함되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를 포함하는 침입 확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술하는 침입 확인 장치는 당업자에게는 알려져 있고, 따라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침입 확인 장치는 차량의 문이 닫힘 또는 열림의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적외선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침입 확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한쪽이 레이저를 발사하고, 반사하여 되돌아오는 레이저의 시간을 계산하는 형태를 포함하는 침입 확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한쪽이 초음파를 발사하고, 반사하여 되돌아오는 초음파의 시간을 계산하는 형태를 포함하는 침입 확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는 침입 확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는 레이저 거리 센서, 초음파 거리 센서, 적외선 거리 센서, 중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거리센서는 차량의 문이 닫혀있을때의 거리값을 검출하고 있다가, 차량의 문이 열릴경우 거리값이 달라지는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물체의 유무를 판별하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침입 확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비접촉 센서는 차량의 문이 닫혀있을때를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별하고, 차량의 문이 열릴경우 물체가 없는 것으로 판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검출부와 판단부는 운전자의 생체인식 데이터를 여러 형태로 자동차의 여러가지 기능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경보장치가 경보를 알려줌과 동시에 브레이크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어 브레이트가 자동으로 일정수준으로 동작하도록 고안 할 수 있거나, 비상등을 작동시키는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경고 메시지를 음성으로 전달 할 수 있으며, 시동이 걸리지 않는 형태로 조취되거나, 브레이크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어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일정수준으로 동작하도록 고안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엔진과 연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는 형태로 조취될 수 있다. 방법은 여러가지가 될 수 있으나 중요한 것은 판단부의 데이터로 자동차가 스스로 여러가지 동작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임의의 운전자가 차량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검출부 및 판단부가 이를 확인 후, 차량 사용여부를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소유하는 소유자가 임의의 운전자의 차량 사용 여부를 결정 지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판단부는 검출부에서 인식 정보를 검출한 후, 그 데이터를 차량의 ECU(엔진 컨트롤 유닛)(engine control unit), 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과 연계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검출부에서 인식 정보를 검출한 후, 그 데이터를 판단부에서 차량의 ECU(엔진 컨트롤 유닛)(engine control unit), 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과 연계하여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ECU(엔진 컨트롤 유닛)(engine control unit), 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이 판단부의 역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검출부에서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판단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판단부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송수신하는 단계, 및
판단부에서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검출부에서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판단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판단부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송수신하는 단계, 및
부저울림, 안내맨트,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검출부가 운전자의 홍채를 검출(홍채 인식(Iris Scan))하여 판단부로 데이터를 보내면 판단부는 차량의 운전자가 맞는지를 판단한 후 차량의 시동여부 및 차량 문의 개폐여부를 결정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검출부가 운전자의 지문을 검출(지문인식(Finger Scan))하여 판단부로 데이터를 보내면 판단부는 차량의 운전자가 맞는지를 판단한 후 차량의 시동여부 및 차량 문의 개폐여부를 결정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검출부가 운전자의 정맥을 검출(정맥인식(Vein Recognition))하여 판단부로 데이터를 보내면 판단부는 차량의 운전자가 맞는지를 판단한 후 차량의 시동여부 및 차량 문의 개폐여부를 결정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검출부가 운전자의 음성을 검출(음성 인식)하여 판단부로 데이터를 보내면 판단부는 차량의 운전자가 맞는지를 판단한 후 차량의 시동여부 및 차량 문의 개폐여부를 결정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검출부가 운전자의 얼굴형태를 검출(얼굴 인식)하여 판단부로 데이터를 보내면 판단부는 차량의 운전자가 맞는지를 판단한 후 차량의 시동여부 및 차량 문의 개폐여부를 결정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검출부가 운전자의 장문(손금)을 검출장문(손금)인식)하여 판단부로 데이터를 보내면 판단부는 차량의 운전자가 맞는지를 판단한 후 차량의 시동여부 및 차량 문의 개폐여부를 결정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되는 데에 있어서,
a. 운전자의 홍채를 검출부(스마트폰의 카메라)에서 촬영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를 수행함;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운전자의 홍채를 촬영하는 상기 카메라는 스마트폰에 내장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또는 외장 설치될 수 있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되는 데에 있어서,
a. 운전자의 지문인식(Finger Scan)을 검출부(스마트폰)에서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를 수행함;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되는 데에 있어서,
a. 운전자의 정맥인식(Vein Recognition)을 검출부(스마트폰)에서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를 수행함;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되는 데에 있어서,
a. 운전자의 홍채 인식(Iris Scan)을 검출부(스마트폰)에서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를 수행함;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되는 데에 있어서,
a. 운전자의 음성 인식을 검출부(스마트폰)에서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를 수행함;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되는 데에 있어서,
a. 운전자의 얼굴 인식을 검출부(스마트폰)에서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를 수행함;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되는 데에 있어서,
a. 운전자의 장문(손금)인식을 검출부(스마트폰)에서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를 수행함;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되는 데에 있어서,
a. 운전자의 다중생체인식(multimodal biometrics)을 검출부(스마트폰)에서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를 수행함;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되는 데에 있어서,
a. 운전자의 생체인식(Biometrics)을 검출부(스마트폰)에서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를 수행함;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되는 데에 있어서,
a. 운전자의 인증 암호 또는 코드를 검출부(스마트폰)에서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및
b.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를 수행함;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포함되는 데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운전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방식은
a. 스마트폰 카메라로 운전자의 동공의 움직임을 감지 한 후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
b. 운전자의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LED 광원(또는 LED플레쉬)를 사용하며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
c. 운전자의 손떨림 방지를 감지한 후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
d. 운전자의 홍채의 촬영크기를 최대화 하기위해 카메라를 최대사이즈로 확대하여(예를들어, 줌인하여) 촬영
, 로 구성되는 a 내지 d,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촬영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운전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방식은 촬영된 사진(약 1 내지 10장)의 사진의 홍채의 주름패턴을 판단부가 인식 한 후 미리 저장되어 있는 홍채의 주름패턴과 비교검토하는 방식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운전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방식은 스마트폰의 앞/뒤 중 선택되는 방향쪽의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앞면의 카메라를 통하여 홍채를 촬영할 때,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촬영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좋은 품질의 홍채이미지를 얻는데 도움이 되나, 디스플레이가 안되어도 촬영은 가능하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카메라는 100만화소 이상으로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CCD나 CMOS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검출부(카메라)는 촬영된 홍채 이미지가 미리 지정된 품질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미리 지정된 품질기준을 만족하면 촬영된 홍채이미지를 판단부(스마트폰)으로 전달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스마트폰의 검출부(카메라)가 운전자의 홍체를 연속적인 촬영하고, 그 데이터를 판단부(스마트폰)에서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기능;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검출부(카메라) 및 판단부(스마트폰)은 운전자의 홍채주름패턴을 촬영하는데 있어서, 홍채의 섬유 조직에 형성되어 있는 무늬의 종류, 위치, 크기 및 색깔에 대한 홍채 특성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가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판단부로 전송하여(예를들어,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에 내장설치되어 있는 스캐너가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판단부로 전송하여) 판단부(스마트폰)가 그 데이터를 분석 한 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지문정보와 비교검토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기능;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는 스마트폰에 내장설치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은 운전자의 로그인, 인증서로그인, 등의 운전자를 식별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은 차량과 통신될때나 특정의 차량만 통신될 수 있도록 통신암호나 통신시리얼넘버, 등의 특정의 통신차량을 식별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운전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방식은,
a. 홍채 영상의 선명도와 움직임에 의한 오류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선명도 검사는 동공 경계 주변의 일정영역에 대한 명암의 변화 정도와 대비(Contrast)를 분석하는 것이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오류를 분석하는 방법은 흐릿한 움직임(Motion Blurring)의 발생유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b. 홍채 영상 및 코드를 판단부에 저장구비하고, 홍채 영상 처리부(검출부(카메라)의 출력과 홍채 데이터베이스(판단부(스마트폰)에 저장된 홍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홍채 패턴 판단부를 구비한다.
, 로 구성되는 상기 a 또는/및 b 방법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운전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방식에서, 운전자의 동공 경계 검출의 방법은
a. 원형 경계 검출,
b. 허프변환(Hough Transform)을 이용한 검출 기법,
c. 캐니(Canny) 윤곽 검출기를 이용한 검출,
d.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검출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d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에 내장설치되어 있는 카메라가, 홍채정보를 검출부(카메라)에서 촬영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및
판단부(스마트폰)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기능;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더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기능, 차량 트렁크 개폐기능, 클락션기능, 등의 차량을 제어하는 기능들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검출부(지문인식(Finger Scan)장치)가 구비되어, 검출부(지문인식(Finger Scan)장치)에서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판단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판단부(스마트폰)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기능; 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더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기능, 차량 트렁크 개폐기능, 클락션기능, 등의 차량를 제어하는 기능들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스마트폰에 내장설치되어 있는 카메라가, 운전자의 홍채정보를 검출부(카메라)에서 촬영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b.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가 구비되어, 검출부(지문인식(Finger Scan)장치)에서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판단부(스마트폰)로 전송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b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기능을 구비하며,
(A).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
(B).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기능,
(C). 차량 트렁크 개폐기능,
(D). 클락션기능,
(E). 브레이크 조작 기능,
(F). 램프 조작
(G). 비상 램프 조작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G)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기능을 같이 구비하며,
판단부(스마트폰)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기능;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포함된 차량은
(1). 송수신 안테나
(2). 특정 송수신 주파수와 대역폭 또는 특정의 위성연결 주파수를 인식하는 기능
(3). 블루투스 기능(또는 블루투스 특정 연결)
(4). 위성 연결(또는 위성 특정 연결)
(5). 기지국 연결(통신사 기지국 연결)
(6). 통신 암호(시리널 넘버입력)
,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6)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는 검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검출부가 외장형으로 구비되어 외부연결(예를들어, 와이파이, LTE, 블루투스, 외장 연결선, 연결잭, USB 같은 형식)으로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판단부(스마트폰)에서 검출데이터를 판단하여 판단부(스마트폰)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1). 디스플레이, 2). 경보, 3). 차량문의 열음/닫음 기능, 4).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4)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기능;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외장형 검출부는 장치를 소형화 하면서도 디스플레이는 크게, 빠르게, 분석처리속도도 빠르게, 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 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검출부 및 판단부는 스마트폰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에 구비되는 송수신장치는 하나의 모듈로서 구비가능하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는
a.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b. 스마트폰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를 포함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는 무선으로 수행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는 무선으로 수행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 장치는 무선으로 수행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차량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차량문의 열음/닫음 단계,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단계,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 및
스마트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운전자의 홍채정보를 스마트폰의 검출부(카메라)에서 촬영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스마트폰의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검출부(지문인식(Finger Scan)장치)에서 운전자의 지문정보를 검출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스마트폰의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운전자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차량문의 열음/닫음 단계,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단계,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를 구비하되,
스마트폰에 내장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의 검출부에서, 운전자의 홍채정보를 촬영검출하며,
상기 촬영검출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로부터 분석된 내용을 스마트폰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운전자의 홍채정보를 촬영검출하는 방법은
a. 스마트폰 카메라로 운전자의 동공의 움직임을 감지 한 후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
b. 운전자의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LED를 사용하며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
c. 운전자의 손떨림 방지를 감지한 후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
d. 운전자의 홍채의 촬영크기를 최대화 하기위해 카메라를 최대사이즈로 확대하여 촬영
, 로 구성되는 a 내지 d,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촬영방법이 구비됨;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1). 경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2). 차량문의 열음/닫음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3). 차량의 시동의 On/Off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3)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침입 확인 장치, 및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전자장치와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전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가 되는 전자장치의 측면에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휴대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되는 전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는 차량에 하나 이상 구비되거나, 차량의 특정부분 또는/및 전체적으로 구비되어 차량의 파손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정맥인식(Vein Recognitio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홍채 인식(Iris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음성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얼굴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장문(손금)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생체인식(Biometrics)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스마트폰 또는 전자장치를 제외한 차량에 구비가 필요한 장치 또는 장치들)은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패드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스마트폰 또는 전자장치를 제외한 차량에 구비가 필요한 장치 또는 장치들)은 차량의 제작과정에서 조립되어 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가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단계, 및
b.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제시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는 카메라, 모션 트래킹 카메라, 중 선택되는 카메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설정된 공간 내에서 움직임이 포착되면 자동적으로 이동물체에 고정, 이동물체를 확대해 영상을 표출하고, 물체의 이동에 따라 추적,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받아들이는 CCD((Charge-Coupled Device)의 약자로 빛을 전하로 변환시켜 화상을 얻어내는 센서이다)와 CCD에서 인식된 영상의 디지털 산출값의 변화에 따라 물체를 탐지하고 감지하게 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모션트래킹 기능이 탑재된 카메라가 움직임이 전혀 없는 상태의 영상을 ‘100’이라는 숫자로 스스로 지정했다고 가정하면, 렌즈에 움직임이 포착되면 영상은 ‘90’ 이라는 값으로 변화하게 되고, 이때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산출된 변화값의 발생지점으로 렌즈를 돌리도록 만든 기술을 구비할 수 있다. 쉽게 설명하면 영상의 움직임이 전혀 없는 산출값만을 기억하던 카메라가 어떤 특정 움직임에 의해 그 산출값이 변화됐을 때 그 변화된 지점으로 카메라의 렌즈가 자동적으로 돌아가게 만든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모션트래킹 기능이 탑재된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트래킹 기능은 모션트래킹 기능이 탑재된 카메라가 움직임이 전혀 없는 상태의 영상을 ‘100’이라는 숫자로 스스로 지정했다고 가정하면, 렌즈에 움직임이 포착되면 영상은 ‘90’ 이라는 값으로 변화하게 되고, 이때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산출된 변화값의 발생지점의 2차원 내지 3차원 좌표값의 변화를 감지해내는 기술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침입 확인 장치는 레이저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침입 확인 장치는 초음파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침입 확인 장치는 적외선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차량의 경보 장치 상태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은 차량의 경보 장치 상태를 어플리케이션으로 확인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정맥인식(Vein Recognitio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홍채 인식(Iris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음성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얼굴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장문(손금)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생체인식(Biometrics)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다중생체인식(multimodal biometrics)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b.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c. 침입 확인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b.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c. 침입 확인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부저울림, 안내맨트, 중 선택되는 것을 수행하는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장치, 및
b.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장치, 및
c. 침입 확인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장치, 및
b.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장치, 및
c. 침입 확인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부저울림, 안내맨트, 중 선택되는 것을 수행하는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침입 확인 장치는
차량의 문과 차체에 외적으로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침입 확인 장치는
차량의 문과 차체에 포함되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침입 확인 장치는 레이저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침입 확인 장치는 물체의 유무를 판별하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침입 확인 장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는
a. 경보 장치로부터 경보 장치의 상태를 통신회사로 송신하는 장치, 및
b. 상기 통신회사로 송신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c. 스마트폰으로부터 통신회사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및
d. 통신회사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는
a. 경보 장치로부터 경보 장치의 상태를 통신회사로 송신하는 장치, 및
b. 상기 통신회사로 송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장치, 및
c.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d. 스마트폰으로부터 통신회사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및
e. 스마트폰으로부터 통신회사로 송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장치, 및
f. 상기 통신회사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은 차량의 경보 장치 상태를 어플리케이션으로 확인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은 휴대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되는 전자장치로 대체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은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휴대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되는 전자장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으로 대체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검출부에서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판단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판단부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송수신하는 단계, 및
판단부에서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검출부에서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판단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판단부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송수신하는 단계, 및
부저울림, 안내맨트, 중 선택되는 것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검출부에서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판단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스마트폰의 판단부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스마트폰의 판단부에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장치에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침입 확인 장치, 및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스마트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침입 확인 장치, 및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전자장치와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전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정맥인식(Vein Recognitio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홍채 인식(Iris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음성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얼굴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장문(손금)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생체인식(Biometrics)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가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단계, 및
b.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a.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가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단계, 및
b. 차량의 파손 상태를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 및
c. 차량의 파손 상태를 전자장치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
여기서, "기술되다" 는 "대상이나 과정의 내용과 특징이 있는 그대로 열거되거나 기재되어 서술되다"를 의미한다.
본 고안은 상위 그룹, 그룹, 그룹의 범위, 그룹의 하위 범위, 그룹의 포함 범위로 기술되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일면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일면에서 상세하게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특별히 기술된 것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학식, 일반적으로 알려진 법칙, 일반적으로 알려진 설명, 일반적으로 알려진 장치, 일반적으로 알려진 순서 및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은 불필요한 실험에 의지하지 않고 넓게 드러나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방법, 장치, 순서 그리고 특히 기술적으로 동일하게 알려진 기술은 의도되지 않게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학식, 일반적으로 알려진 법칙, 일반적으로 알려진 설명, 일반적으로 알려진 장치, 일반적으로 알려진 순서 및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등 과도한 설명에 의지하지 않고도 본 고안이 실현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채용된 용어 및 표현들은 고안의 상세한 설명의 용어로써 사용되나 의미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설명되거나 도시된 특징의 용어나 표현을 제한할 의도는 없다. 다만, 본 고안의 청구된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들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이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기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표적 실시예 및 선택적 특징들, 여기서 기술된 개념의 수정 및 변화가 종래 기술등에 의해 재분류될 수 있다고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및 변화들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 안에서 고려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의 유용한 실시예의 예시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장치들, 구성요소들, 방법단계들의 변화를 사용하여 수행되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가 다양한 선택적 구성 및 방법 및 단계들을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상위 그룹이 기술될 때, 상기 상위 그룹에 포함 가능한 개별 멤버들 및 상기 상위 그룹에 포함 가능한 하위 그룹 조합은, 상기 상위 그룹의 기술된 범위 안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상위 그룹이 기술될 때, 그것은 포함 가능한 하위 그룹 조합 및 그룹의 개별 멤버들이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상위 그룹이 기술될 때, 상기 상위 그룹에 포함 가능한 개별 멤버들 및 상기 상위 그룹에 포함 가능한 하위 그룹 조합은 상기 상위 그룹의 기술된 범위 안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되거나 설명된 구성요소나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명칭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일반적 기술을 가진자가 같은 구성요소나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명칭을 다르게 부를 수도 있는 점에서 임의의 예시로서 불려질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기술되거나 설명된 구성요소나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명칭은 기술된 본 고안의 전반적인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_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조합은 달리 언급되지 않더라도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상위그룹내에 포함 가능한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조합은 달리 언급되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상위그룹내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가 상세하게 주어질 때 뿐만 아니라 상기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에 포함 가능한 개별 값은 상기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가 상세하게 주어질 때 뿐만 아니라 상기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에 포함 가능한 그룹의 조합은 상기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가 상세하게 주어질 때 뿐만 아니라 상기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에 포함 가능한 그룹은 상기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_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기술되거나 설명된 구성요소의 등가적으로 알려진 구성요소 또는 변형물은 달리 언급되지 않더라도 의도되지 않게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청구된 청구항에 포함가능한 기술된 그룹 또는 포함가능한 기술된 그룹의 설명의 범위는 상기 청구된 청구항에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고 고려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그룹, 그룹의 범위, 그룹의 하위 범위, 그룹의 포함 범위로 기술된 설명은, 포함 가능한 본 고안의 상위 그룹의 설명의 범위내에서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과도한 실험에 기대지 않고도 본 고안의 실시에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고안에서 그룹, 그룹의 범위, 그룹의 하위 범위, 그룹의 포함 범위로 기술된 설명이 충분히 포함 가능한 본 고안의 상위 그룹의 실시에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또한, 적당하게 도식적으로 설명된 본 고안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본 고안에서 기술된 방법들과 등가적으로 알려진 임의의 방법들은 의도되지 않게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10 : 운전자
50 : 스마트폰
90 : 검출부
100 : 판단부
110 : 디스플레이장치
112 : 경보장치
120, 121 : 송수신장치
1000 :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
1010 :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100 :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
1110 :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200 :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
1210 :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300 :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
1320, 1321 : 물체의 유무를 판별하는 비접촉 센서

Claims (39)

  1. a.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2. a.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3. a. 정맥인식(Vein Recognitio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4. a. 홍채 인식(Iris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5. a. 음성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6. a. 얼굴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7. a. 장문(손금)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8. a. 생체인식(Biometrics)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9. a. 다중생체인식(multimodal biometrics)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0. a.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b.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c. 침입 확인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1. a.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b.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및
    c. 침입 확인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부저울림, 안내맨트, 중 선택되는 것을 수행하는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2. a.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장치, 및
    b.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장치, 및
    c. 침입 확인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3. a.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장치, 및
    b.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장치, 및
    c. 침입 확인 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부저울림, 안내맨트, 중 선택되는 것을 수행하는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4.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확인 장치는
    차량의 문과 차체에 외적으로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5.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확인 장치는
    차량의 문과 차체에 포함되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6.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확인 장치는
    물체의 유무를 판별하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7.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확인 장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8.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는
    a. 경보 장치로부터 경보 장치의 상태를 통신회사로 송신하는 장치, 및
    b. 상기 통신회사로 송신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c. 스마트폰으로부터 통신회사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및
    d. 통신회사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9.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는
    a. 경보 장치로부터 경보 장치의 상태를 통신회사로 송신하는 장치, 및
    b. 상기 통신회사로 송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장치, 및
    c.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d. 스마트폰으로부터 통신회사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및
    e. 스마트폰으로부터 통신회사로 송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장치, 및
    f. 상기 통신회사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20.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차량의 경보 장치 상태를 어플리케이션으로 확인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21.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휴대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되는 전자장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으로 대체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22. 검출부에서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판단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판단부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송수신하는 단계, 및
    판단부에서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23. 검출부에서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판단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판단부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송수신하는 단계, 및
    부저울림, 안내맨트, 중 선택되는 것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24. 스마트폰의 검출부에서 인식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정보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판단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스마트폰의 판단부에서 경보 장치의 상태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스마트폰의 판단부에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25.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장치에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26. a. 침입 확인 장치, 및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스마트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27. a. 침입 확인 장치, 및
    b. 경보 장치의 상태를 전자장치와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c.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전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28. 청구항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29. a.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30. a. 지문인식(Finger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31. a. 정맥인식(Vein Recognitio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32. a. 홍채 인식(Iris Scan)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33. a. 음성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34. a. 얼굴 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35. a. 장문(손금)인식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36. a. 생체인식(Biometrics)장치, 및
    b. 침입 확인 장치, 및
    c.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 및
    d. 경보 장치의 상태 및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과 서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e. 경보 장치의 이상유무 발생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37. a.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가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단계, 및
    b. 차량의 파손 상태를 스마트폰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38. a.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센서가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단계, 및
    b. 차량의 파손 상태를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단계, 및
    c. 차량의 파손 상태를 전자장치에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39. 청구항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KR2020160004564U 2016-08-08 2016-08-08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600028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64U KR20160002883U (ko) 2016-08-08 2016-08-08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564U KR20160002883U (ko) 2016-08-08 2016-08-08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248A Division KR20160082650A (ko) 2014-12-30 2014-12-30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83U true KR20160002883U (ko) 2016-08-18

Family

ID=5685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564U KR20160002883U (ko) 2016-08-08 2016-08-08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88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54567B (zh) 用于车辆的物体检测
US10227813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trunk of vehicl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US20170070680A1 (en) Display control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2414698B (zh) 对无线设备的功能的受控访问
US10111103B2 (en) Spoof detection using proximity sensors
US20170013464A1 (en) Method and a device to detect and manage non legitimate use or theft of a mobile computerized device
KR101439348B1 (ko) 얼굴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시스템
ES2859554T3 (es) Detección de suplantación para autenticación biométrica
KR20200062284A (ko) 차량 및 차량 도어 잠금 해제 제어 방법, 장치 및 차량 도어 잠금 해제 시스템
EP1497786B1 (en) Vision-based operating method and system
US20110013812A1 (en) Entrance control system having a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752983B (zh) 一种基于人脸识别/人眼识别的车辆解锁控制系统和方法
JP2003138817A (ja) 車両の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個人識別方法及び個人識別システム
US20080285812A1 (en) Personal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515214B1 (ko) 얼굴 인식을 통한 신원확인 방법과 얼굴인식을 이용한 출입관리 경보 시스템 및 출입관리 경보 제어방법
JP2006212185A (ja) 生体判別装置および認証装置ならびに生体判別方法
CN107657687A (zh) 一种基于图像处理技术的门禁管理方法及门禁管理服务器
KR20170070754A (ko)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82650A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1263940B (zh) 具有多生物测定的可穿戴装置
KR20160028542A (ko) 차량의 응급구조 및 범죄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5204A (ko) 사람의 얼굴 또는 사람의 형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2883U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2061065B (zh) 一种车内行为识别报警方法、设备、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239487B (zh) 控制车门开启的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