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636U - 햇빛가림용 부채 - Google Patents
햇빛가림용 부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2636U KR20160002636U KR2020150000465U KR20150000465U KR20160002636U KR 20160002636 U KR20160002636 U KR 20160002636U KR 2020150000465 U KR2020150000465 U KR 2020150000465U KR 20150000465 U KR20150000465 U KR 20150000465U KR 20160002636 U KR20160002636 U KR 2016000263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n
- handle
- shield
- cover
- w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7/00—Ladies' or like fa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93—Sunshades or weather protections of other than umbrella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36—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means for promoting air movement, e.g. ventilation holes, fans, ventilators, special shape for ventilation, suction mean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채의 역할을 하면서, 부채로 얼굴의 햇빛을 가릴 때 손등도 가려질 수 있게 하고, 이를 상황에 따라서 적시 즉응토록 하며, 생산단가를 저감케 하고, 부채와 별개로 유통하는 것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바람을 일으키는 부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날개와 손잡이로 되어 바람을 일으키는 부채에 구비된 가리개를 손등쪽으로 젖혀지게 함으로서, 부채로는 얼굴을 가리고, 가리개로는 손등을 가릴 수 있게 한 것임.
기존의 부채는 모자의 형상으로 변경케 하거나, 손잡이의 형상을 조정하여 가림을 편하게 하는 등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부채의 기능을 동시에 병행하거나, 즉각 용도전환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손등을 가려주는 것 또한 불가능 할 뿐 아니라, 생산비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부채의 역할을 하면서, 부채로 얼굴의 햇빛을 가릴 때 손등도 가려질 수 있게 하고, 이를 적시즉응토록 하며, 생산단가를 저감토록 하고자 한다.
날개와 손잡이로 된 부채에 있어서, 상기 부채에 유연성 재질로 된 가리개가 결합되고, 상기 가리개의 일단은 연결부에 의하여 부채의 경계부 일측에 결합되며, 넓어지는 타단은 손잡이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결착구에 의해 가리개를 붙어있거나 떨어짐이 선택가능케 되고, 상기 가리개의 결착구가 손잡이에서 떨어져서 손잡이를 잡은 손을 햇빛으로부터 가려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날개와 손잡이로 된 부채에 있어서, 상기 부채에 유연성 재질로 된 가리개가 결합되고, 상기 가리개의 일단은 경계부 일측에 결합되며, 넓어지는 타단부는 부채의 날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결착구에 의해 가리개를 붙어있거나 떨어짐이 선택가능케 되고, 상기 가리개의 결착구가 날개에서 떨어져서 손잡이를 잡은 손을 햇빛으로부터 가려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날개와 손잡이로 된 부채에 있어서, 상기 부채에 유연성 재질로 된 가리개가 결합되고, 상기 가리개는 두겹 반원형상의 일측에 구비된 통공이 부채의 손잡이에 끼워져서 부채의 날개쪽 일부를 씌울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리개를 손잡이쪽으로 뒤집어서 손잡이를 잡은 손을 햇빛으로부터 가려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날개와 손잡이로 된 부채에 있어서, 상기 부채의 손잡이 또는 경계부 일측에 유연성 재질로 된 가리개를 내장하는 가리개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가리개하우징은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에는 가리개손잡이끈이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며, 가리개손잡이끈을 당기면 가리개가 가리개하우징에 내장되고, 완전히 내장되지 않는 가리개 또는 가리개에 연결된 가리개의 일측을 당기면 가리개가 가리개하우징에서 나와 손잡이를 잡은 손을 햇빛으로부터 가려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리개 또는 가리개하우징은 부채에 탈착케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햇빛가림용 부채”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부채에 결합된 가리개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부채(1)에 결합된 가리개(2)가 젖혀져서 손등을 가린 것이다. 부채(1)는 날개(11)와 손잡이(12)로 구성되고, 가리개(2)는 가림부(21)와 연결부(22)로 구성된다.
도2는 부채와 가리개가 붙어있는 형상이다.
날개(11)를 덮은 형상의 가림부(21)에서 연결된 연결부(22)가 손잡이(12)의 고정대(13)에 열접착으로 결합되어 젖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가림부(21)에 결합된 자성체 결착구(23)에 대응하는 부채의 날개(11) 위치에 자성체 결착구를 결합시켜서, 날개(11)와 가림부(21)가 서로 붙어있거나, 힘을 가하여 젖혀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도3은 탈착식고정대(31)가 손잡이(12)에 끼워져서 가리개가 탈착케 된 것이다.
탈착식으로 된 고정대(31)를 손잡이(12)에서 밀어 제거하면 가리개(2)가 부채(1)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도4는 손잡이에 구비된 가리개이다.
천으로 된 가리개(2-1)의 주름진 부분에서 환형으로 연결된 연결부(22-1)가 손잡이에 끼워져서 경계부에 위치하고, 아래쪽으로 넓어진 가리개의 끝부분에 연결된 끈형 결착구(23-1)를 손잡이에 감아서 고정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결착구를 풀어 젖히면 손을 햇빛으로부터 가릴 수 있게 된 것이다.
환형으로 연결된 연결부(22-1)는 고무줄 등 탄성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훼스너테이프, 천, 끈 등으로 하고자 할 때에는 부채의 손잡이를 일부 함몰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이 잘 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부는 주름을 주는 등으로 좁게 하면서도 아래쪽을 넓게 형성하여 미감과 편의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름을 주지 않고 삼각형상으로 하거나, 사각형상 중 일부만 연결부를 형성하는 등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리개의 아래쪽을 손잡이에 결착구를 형성하여 결착하는 방법은 도1에서와 같이 끈형으로 손잡이의 아래쪽에 묶거나, 휘감거나, 서로 자석이나 훼스너테이프로 대응케하거나, 환형으로 하여 손잡이의 아래쪽에 걸치거나, 잘 고정시키기 위하여 손잡이 아래쪽에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에 결착하지 않고 도2에서와 유사하게 부채의 날개쪽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결착구에 의해 가리개를 붙어있거나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한 바와 유사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부채의 날개와 가리개의 양끝이 맞닿는 부분쯤에 날개가 파여서 형성된 걸이에 가리개의 양끝부분에 형성된 환형 탄성줄을 걸어서 고정시켜서 결착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때 가리개 연결부의 주름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와 유사한 다양한 형상이 본원의 권리에 속함은 자명하고, 이러한 구성은 다른 형상의 가리개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5는 날개의 일부를 덮어씌울 수 있게 된 가리개이다.
천으로 된 두겹 반원형상의 가리개(2-2) 아래쪽에 구비된 통공형연결부(22-2)가 부채의 손잡이에 끼워져서 날개의 일부를 씌우고, 자석으로 된 결착구(23-1)로 가리개가 날개에 밀착되게 한 것으로서, 가리개를 뒤집어서 손을 햇빛으로부터 가릴 수 있게 된 것이다.
결착구(23-1)를 적용하지 않아도 밀착성을 유지할 수도 있다.
도6은 손잡이에 형성된 하우징에 유연성 재질의 가리개를 내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부채의 손잡이에 상부가 개방된 가리개하우징(40)에 가리개(2-3)가 내장되고 막힌 하부에는 가리개에 연결된 가리개손잡이끈이 나오게 하여, 가리개손잡이끈을 당기면 가리개가 하우징에 내장되고, 완전히 내장되지 않은 가리개의 윗부분을 당기면 손을 햇빛으로부터 가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부채 손잡이의 유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경계부에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때에는 가리개손잡이끈이 위로가고 가리개의 개방되는 쪽이 부채의 손잡이 방향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같이 가리개하우징의 위치와 형상을 다양하게 변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리개손잡이끈과 가리개가 연결되고 가리개손잡이끈 만 가리개하우징의 통공으로 나오게 하면 가리개는 걸려서 나오지 못하게 되며, 가리개하우징의 개방된 쪽으로 가리개가 완전히 들어가지 않으면 가리개의 끝부분을 잡아 당겨서 가리개를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미관 등의 이유로 가리개를 가리개하우징에 완전히 들어가게 한다면 가리개의 일부를 돌출시키거나 가리개손잡이끈과 유사하게 끈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을 모두 가리개라고 칭한다. 만일 가리개가 더 잘 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가리개하우징의 일부에 외부에서 노출되는 홈을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권리범위에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부채의 손잡이에 레일식, 미끄럼식, 요철결합, 자석, 훼스너테잎, 끈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가리개하우징을 탈착케 할 수 있고, 가리개만 탈착케 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채는 바람을 일으켜 시원케 하기위한 용도이지만, 또한 부채는 햇빛가리개로 편의에 따라 전용하고 있는데, 이때 가장 큰 제한사항은 손등이 햇빛에 노출되어 사용이 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부채를 햇빛가리개로 사용할 때 부채에 결착된 가리개가 손등까지 가려주는 것을 가능케 한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으로 상황에 따라서 매우 간편하게 부채와 햇빛가리개로 전용 할 수도 있고, 휴대가 간편하며, 또한 부채를 생산하는데 최소의 생산공정 수정만으로도 제작이 가능케 될 수 있으며, 부채와 별개로 가리개만 유통하는 것도 가능한 물품의 제공이 가능하다.
탈착식으로 할 경우에는 기존의 부채형상의 수정이 없이 가리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도는 부채에 결합된 가리개를 사용하는 것이다.
제2도는 부채와 가리개가 붙어있는 형상이다.
제3도는 탈착식고정대가 손잡이에 끼워져서 가리개가 탈착케 된 것이다.
제4도는 손잡이에 구비된 가리개이다.
제5도는 날개의 일부를 덮어씌울 수 있게 된 가리개이다.
제6도는 손잡이에 형성된 하우징에 유연성 재질의 가리개를 내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제2도는 부채와 가리개가 붙어있는 형상이다.
제3도는 탈착식고정대가 손잡이에 끼워져서 가리개가 탈착케 된 것이다.
제4도는 손잡이에 구비된 가리개이다.
제5도는 날개의 일부를 덮어씌울 수 있게 된 가리개이다.
제6도는 손잡이에 형성된 하우징에 유연성 재질의 가리개를 내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날개(11)는 부채살과 코팅종이 등의 재질로 하고, 가림부(21)는 플라스틱 판으로 할 수도 있으며, 기타 천이나 합성수지, 나무 등 다양한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유연성 재질의 가리개는 천, 부직포, 비닐, 기타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가리개는 부채에 결합하거나, 또는 탈착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리개의 연결부(22)가 부채에 결합 또는 탈착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통상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도2에서와 같이 열접착으로 결합하거나, 손잡이(12)에 힌지를 형성하고 가림부(21)의 손잡이(12)쪽에 내구성 보강재를 덧댄 후 이곳에 힌지를 형성하여 연결 할 수 있다. 또 다른 힌지식은 손잡이에 두 개의 통공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연결부(22)를 통공에 통과시켜서 단추나 훼스너테이프 등으로 탈착케 하거나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도3에서와 같이 탈착케 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연결부(22)를 형성하지 않고 가리개(2)의 일부를 연결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연결부는 가림부의 일부이고 이는 다른 형상의 가리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가리개의 가림부(21)와 연결부의 구성은 동일재질로 하는 것이 제작공정을 단축시키고 생산단가를 낮추는 바람직한 방법이지만, 젖혀지는 부분의 내구성을 위하여 부드럽게 꺽이도록 주름을 넣거나, 가림부의 재질 자체를 부드러운 것으로 하거나, 훼스너테이프 등 가림부(21)와 다른 재질로 된 연결부(22)를 가림부에 결합시키고 고정대(13)에 탈착 또는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가리개는 부채의 구비된 고정대에 결합되며,
고정대(13)는 가림의 효과를 위하여 손잡이(12)에서 날개쪽에 가까운 곳에 형성하는게 바람직하지만 손잡이와 날개의 경계선쯤에 위치하거나 날개쪽으로 약간 들어가게 형성해도 가능하며, 고정대가 형성될 수 있는 이 부분들을 경계부라 칭한다.
또한 탈착식고정대(31)와 같이 별도의 고정대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2에서와 같이 손잡이(12)와 날개(11)의 경계부 쯤의 손잡이를 그대로 고정대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착구(23)는 부채와 가리개가 서로 붙어있게 하다가 사용자의 조작으로 젖혀짐을 가능케 한 것으로서, 도2에서와 같이 자성체를 사용하거나, 이를 대체해서 훼스너테이프, 단추 등으로 할 수 있으며, 자성체로 하는 경우에는 두 곳 중 한곳은 금속성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자성체를 활용한 결착구라고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돌출과 함몰로 형성된 마찰부를 형성하거나 걸림턱을 사용하는 등의 통상의 기술로 결착구의 기능이 가능케 할 수 있다. 마찰부는 날개(11)에 요홈을 형성하고 가리개(2)에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반대의 형상으로 하거나, 두 곳 이상에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은 형상은 단추와 유사하게 하거나, 원형 외에 선형으로 할 수도 있으며, 선형으로 할 때를 예로 들자면 날개(11)의 테두리 부분에 길이 1cm 쯤의 통공이나 요홈을 형성하고 가리개의 테두리 부분에도 날개에 꽂힐 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등 통상의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걸림턱은 서로 대응하는 것들이 붙었을 때 마찰 뿐 아니라 걸림이 작용하게 한 것으로서 젖히는 힘을 가하면서 잡아 빼는 힘을 동시에 가해야 분리가 되도록 한 것이며, 마찰부의 기술을 포함한 유사한 통상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원에서 마찰부로 통칭한다.
이러한 결착구는 부채와 가리개에 수 개소 이내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며, 가리개(2)의 연결부(22)에 형성하거나 연결부(22)와 가림부(21)의 경계부쯤에 형성하거나 부채(1)에는 손잡이(12)의 날개에 가까운 쪽에 형성하거나 손잡이(12)와 날개(11)의 경계부쯤에 형성하거나, 도2에서와 같이 손잡이의 일직선상 가림부(21)의 끝부분 쯤에 형성하거나 또는 결착구(23)의 양 옆부분에 형성하는 등 다양하게 통상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가리개(2)는 부채(1)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작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부채의 테두리를 가리개의 두께정도 쯤 함몰시켜 형성한 곳에 가리개가 안착케 할 수도 있다.
가리개(2)의 크기는 부채(1)보다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오히려 더 크게 형성해서 부채와 가리개가 서로 기능이 뒤바뀌게 된 것 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지만, 모두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가림부(21)와 연결부(22) 및 연결부와 손잡이 및 탈착식고정대에 결합 또는 탈착되는 부분의 연결은 열접착, 접착제, 단추, 훼스너테이프, 리벳, 또는 결착구와 유사한 방식 등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채와 가리개를 결합하거나, 탈착식 가리개를 제거하였다가 필요할 때만 손잡이(12)에 끼워넣거나 붙여서 사용하거나, 부채와 가리개가 서로 붙어있게 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으로 젖혀지게 하는 기능은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용 할 수 있고, 이를 위한 다양한 통상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모두 본원의 권리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 부채
2 가리개 11 날개
12 손잡이 13 고정대
21 가림부 22 연결부
23 결착구 31 탈착식고정대
2 가리개 11 날개
12 손잡이 13 고정대
21 가림부 22 연결부
23 결착구 31 탈착식고정대
Claims (5)
- 날개와 손잡이로 된 부채에 있어서,
상기 부채에 유연성 재질로 된 가리개가 결합되고,
상기 가리개의 일단은 연결부에 의하여 부채의 경계부 일측에 결합되며, 넓어지는 타단은 손잡이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결착구에 의해 가리개를 붙어있거나 떨어짐이 선택가능케 되고,
상기 가리개의 결착구가 손잡이에서 떨어져서 손잡이를 잡은 손을 햇빛으로부터 가려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가림용 부채. - 날개와 손잡이로 된 부채에 있어서,
상기 부채에 유연성 재질로 된 가리개가 결합되고,
상기 가리개의 일단은 경계부 일측에 결합되며, 넓어지는 타단부는 부채의 날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결착구에 의해 가리개를 붙어있거나 떨어짐이 선택가능케 되고,
상기 가리개의 결착구가 날개에서 떨어져서 손잡이를 잡은 손을 햇빛으로부터 가려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가림용 부채. - 날개와 손잡이로 된 부채에 있어서,
상기 부채에 유연성 재질로 된 가리개가 결합되고,
상기 가리개는 두겹 반원형상의 일측에 구비된 통공이 부채의 손잡이에 끼워져서 부채의 날개쪽 일부를 씌울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리개를 손잡이쪽으로 뒤집어서 손잡이를 잡은 손을 햇빛으로부터 가려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가림용 부채. - 날개와 손잡이로 된 부채에 있어서,
상기 부채의 손잡이 또는 경계부 일측에 유연성 재질로 된 가리개를 내장하는 가리개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가리개하우징은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에는 가리개손잡이끈이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며,
가리개손잡이끈을 당기면 가리개가 가리개하우징에 내장되고,
완전히 내장되지 않는 가리개 또는 가리개에 연결된 가리개의 일측을 당기면 가리개가 가리개하우징에서 나와 손잡이를 잡은 손을 햇빛으로부터 가려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가림용 부채. - 청구항1항 내지 청구항4항에 있어서,
상기 가리개 또는 가리개하우징은 부채에 탈착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가림용 부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465U KR20160002636U (ko) | 2015-01-20 | 2015-01-20 | 햇빛가림용 부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465U KR20160002636U (ko) | 2015-01-20 | 2015-01-20 | 햇빛가림용 부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636U true KR20160002636U (ko) | 2016-07-28 |
Family
ID=5661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0465U KR20160002636U (ko) | 2015-01-20 | 2015-01-20 | 햇빛가림용 부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2636U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7172U (ko) | 1989-10-23 | 1991-05-27 | 흥농기계공업 주식회사 | 농수산물 운반, 보관용 조립식 상자 |
KR200344839Y1 (ko) | 2003-12-11 | 2004-03-19 | 김우용 | 햇빛가리개 겸용 부채 |
KR20080035337A (ko) | 2006-10-19 | 2008-04-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처리보드 및 그의 정보 설정 방법 |
-
2015
- 2015-01-20 KR KR2020150000465U patent/KR20160002636U/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7172U (ko) | 1989-10-23 | 1991-05-27 | 흥농기계공업 주식회사 | 농수산물 운반, 보관용 조립식 상자 |
KR200344839Y1 (ko) | 2003-12-11 | 2004-03-19 | 김우용 | 햇빛가리개 겸용 부채 |
KR20080035337A (ko) | 2006-10-19 | 2008-04-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처리보드 및 그의 정보 설정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253273A1 (en) | Handbag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embellishment | |
TW201138662A (en) | Bottom periphery length adjustment mechanism | |
ITMI20040511U1 (it) | Valigia resistente all'acqua | |
US2694812A (en) | Combination utility bag and hood | |
CN107485130B (zh) | 用于拉链的灵动拉头及其应用的拉链 | |
KR20160002636U (ko) | 햇빛가림용 부채 | |
KR200476004Y1 (ko) | 햇빛가림용 부채 | |
CN202172897U (zh) | 一种带拉链的上衣双层口袋 | |
CN203424448U (zh) | 一种有保护皮的公文包 | |
JP2013521052A (ja) | 隠しジッパーアセンブリ | |
CN205512879U (zh) | 一种可折叠包 | |
JP4601526B2 (ja) | 傘布収束具 | |
JP3144066U (ja) | ランドセル | |
KR200398735Y1 (ko) | 쇼핑백 | |
CN105476209B (zh) | 一种可折叠包 | |
JP3217291U (ja) | ポケットティシュ用ストラップ | |
CN207821293U (zh) | 一种拉杆箱 | |
JP3165180U (ja) | バンド | |
CN103082782A (zh) | 一种枕套 | |
KR20110003353U (ko) | 헤어밴드 | |
CN203262490U (zh) | 女式提包 | |
JP3172213U (ja) | ティッシュカバー | |
CN202489370U (zh) | 一种口边装饰式休闲包 | |
CN203709416U (zh) | 一种新型袋式雨伞 | |
CN204861612U (zh) | 一种伞袋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23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