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486A -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 Google Patents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486A
KR20160002486A KR1020140080792A KR20140080792A KR20160002486A KR 20160002486 A KR20160002486 A KR 20160002486A KR 1020140080792 A KR1020140080792 A KR 1020140080792A KR 20140080792 A KR20140080792 A KR 20140080792A KR 20160002486 A KR20160002486 A KR 20160002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blast furnace
stave
cooling water
circulation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8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486A/ko
Publication of KR2016000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486A/ko

Links

Images

Landscapes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철피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냉각수 통로가 형성된 스테이브(stave)가 용손된 경우에 상기 용손된 스테이브를 대체하기 위한 스테이브형 냉각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은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냉각수 순환유로가 형성되는 순환유로 형성부; 및 상기 순환유로 형성부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순환유로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구비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로 형성부는 상기 고로의 철피와 상기 용손 스테이브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용손 스테이브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절곡부의 상부는 상기 순환유로 형성부가 상기 용손 스테이브와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고로의 철피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유입유로의 유입구와 상기 배출유로의 배출구 각각은, 상기 고로의 철피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STAVE-TYPE COOLING APPARATUS FOR SUBSTITUTING THE DAMAGED STAVE OF BLAST FURNACE}
본 발명은 고로 철피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냉각수 통로가 형성된 스테이브(stave)가 용손된 경우에 상기 용손된 스테이브를 대체하기 위한 스테이브형 냉각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는 상부로 철광석과 코크스를 번갈아 가면서 장입하고 하부의 풍구를 통해 약 1100 ~ 1200 ℃ 의 열풍을 송풍하여 쇳물(용선)을 풍구 아래에 형성된 용선배출구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고로에는 고로의 내부에서 발생된 고열에 의해 고로의 외관을 이루는 철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냉각수 유로가 형성되는 스테이브(stave)가 철피 내측면에 구비된다.
도 1은 고로에 스테이브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스테이브가 용손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로(1)의 본체 철피(2)의 내측면에는 고로(1)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열로부터 철피(2)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 공급시키는 유로(3)가 형성된 스테이브(stave)(4)가 복수개 설치되고, 스테이브(4)와 철피(2) 사이에는 내화물(castable)(5)이 충진된다.
스테이브(4)의 냉각수 유로(3) 양단에는 철피(2)를 관통하는 냉각수 공급관(7)과 냉각수 배출관(6)이 각각 연결된다.
냉각수 공급관(7)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냉각수 유로(3)를 통과한 후 냉각수 배출관(6)으로 배출되며, 그 결과 고로(1) 내부에서 가해지는 열로부터 스테이브(4)를 냉각시켜 철피(2)의 손상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 조업시 고로(1) 내부에 노출된 스테이브(4)는 조업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열부하 또는 용융물의 하강에 따른 마찰로 인해 마모가 진행되어 스테이브(4)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며, 이는 스테이브(4)에 대한 열부하를 증가시켜 스테이브(4)의 마모 진행을 촉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스테이브(4)의 마모 상태가 심하게 되어 냉각수 유로(3) 주위에 크랙 등의 용손 부위(8)가 발생하게 되면, 용손 부위(8)를 통해서 냉각수가 고로(1) 내부로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테이브(4)의 냉각 능력을 저하시켜 고로(1)의 철피(2)를 파손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용손된 스테이브(4)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고로(1)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가인 고로(1)의 수명이 스테이브(4)의 수명에 의해 짧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2698호에는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 보수방법"이 개시된 바 있으나, 용손된 스테이브를 보수하는 것만으로는 본질적인 문제 해결이 되지 않으며, 따라서 실제로는 철피(2)와 용손 스테이브(4)에 다수의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통해 고로(1) 내부로 종래의 냉각반을 삽입하여 용손 스테이브(4)를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3은 종래의 냉각반이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기 위하여 고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로(1)의 용손 스테이브(4)를 대체하기 위하여 고로(1)의 철피(2)에 종래의 냉각반(9)을 설치한 경우에는, 종래의 냉각반(9)이 대략 일자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스테이브(4)와 같이 철피(2) 내측을 모두 덮도록 설치할 수는 없으며, 따라서 스테이브(4)와 같이 철피(2) 내측 전체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대략 일자 형태를 가지는 종래의 냉각반(9)을 스테이브(4)와 같이 철피(2) 내측 전체를 덮도록 설치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위해서는 철피(2)에 매우 촘촘하게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통해 매우 많은 냉각반(9)을 삽입 결합시켜야 하는데, 이는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철피(2)에 매우 촘촘하게 구멍을 뚫기도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냉각반(9)은 대략 일자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고로(1)의 철피(2)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고로(1)의 철피(2) 외측으로 많이 돌출되게 되거나 고로(1) 내부로 깊이 삽입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로 철피의 내측에 설치된 용손된 스테이브(stave)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스테이브형 냉각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은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냉각수 순환유로가 형성되는 순환유로 형성부; 및 상기 순환유로 형성부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순환유로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구비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로 형성부는 상기 고로의 철피와 상기 용손 스테이브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용손 스테이브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절곡부의 상부는 상기 순환유로 형성부가 상기 용손 스테이브와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고로의 철피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유입유로의 유입구와 상기 배출유로의 배출구 각각은, 상기 고로의 철피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고로 노벽을 보강하기 위한 내화물(castable)이 주입되는 내화물 주입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화물 주입부의 내화물 주입구는 상기 고로의 철피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화물 주입부의 내화물 배출구는 상기 내화물 주입구를 통해 상기 내화물 주입부로 주입된 내화물이 상기 고로의 철피와 상기 유로형성부 사이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의 하부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은 상기 삽입홀에 걸림되도록 상기 절곡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삽입홀에 걸린 상태로 상기 고로의 철피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스테이브형 냉각반을 상기 고로 철피에 고정시키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냉각수 순환유로가 형성되는 순환유로 형성부; 및 상기 순환유로 형성부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순환유로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구비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로의 유입구와 상기 배출유로의 배출구 각각은, 상기 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곡부에는 내화물(castable)이 주입되는 내화물 주입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화물 주입부의 내화물 주입구는 상기 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화물 주입부의 내화물 배출구는 상기 절곡부의 하부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은 상기 절곡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은 냉각수 순환유로가 형성된 순환유로 형성부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테이브와 마주하는 상태로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스테이브와 같이 고로의 철피 내측을 거의 덮도록 설치하기가 용이하며, 따라서 종래의 거의 일자 형태를 가지는 냉각반과 비교하여 고로 철피 냉각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노내 가스가 철피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서 철피의 탄화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은 냉각수 유입유로와 배출유로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유로형성부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된 절곡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스테이브와 마주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순환유로 형성부가 철피 내측에 설치되더라도 순환유로 형성부의 냉각수 순환유로로 냉각수를 유입시키고 배출시키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은 절곡부에 구비된 내화물 주입부를 통해 유로형성부와 철피 사이에 내화물을 주입하여 충진하기가 용이하며, 따라서 철피 보호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은 절곡부가 순환유로 형성부의 일측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철피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순환유로 형성부를 스테이브와 마주한 상태로 설치하기가 용이하며, 따라서 별도의 노내 작업 없이 외부 작업만으로도 스테이브형 냉각반의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고로에 스테이브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스테이브가 용손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냉각반이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기 위하여 고로의 철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이 고로의 철피에 설치된 상태를 철피의 외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A - 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개략적인 B - B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이 고로의 철피에 설치된 상태를 아래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을 고로의 철피에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한편, 첨부도면에서, 두께 및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상대적인 크기나 두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용손 스테이브(stave)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스테이브형 냉각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냉각수 순환유로가 형성되는 순환유로 형성부가 대략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순환유로 형성부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에 냉각수 유입유로와 배출유로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이 고로의 철피에 설치된 상태를 철피의 외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A - 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개략적인 B - B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이 고로의 철피에 설치된 상태를 아래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은 대략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순환유로 형성부(20)와, 순환유로 형성부(20)의 일측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0)를 포함한다.
순환유로 형성부(20)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순환하도록 구비되는 순환유로(22)가 형성되며, 절곡부(30)에는 순환유로(22)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유로(40)와, 순환유로(22)를 순환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유로(50)가 구비된다.
순환유로 형성부(20)는 고로의 철피(2)와 스테이브(4)에 형성된 삽입홀(12)을 통해 삽입되어 스테이브(4)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절곡부(30)의 상부(32)는 순환유로 형성부(20)가 스테이브(4)와 마주한 상태에서 삽입홀(12)을 통해 고로의 철피(2) 외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절곡부(30)의 상부(32)는 절곡부(30)가 순환유로 형성부(20)의 일측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경우에 순환유로 형성부(2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절곡부(30)의 단부를 말한다.
냉각수 유입유로(40)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42)는 고로의 철피(2) 외측으로 돌출되는 절곡부(30)의 상부(32)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이 고로의 철피(2)에 설치됨에 따라 순환유로 형성부(20)가 고로의 철피(2) 내측에 스테이브(4)와 마주한 상태가 되더라도 순환유로 형성부(20) 내부에 형성된 순환유로(22)로 냉각수 유입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냉각수 배출유로(50)로부터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구(52)는 냉각수 유입구(42)와 마찬가지로, 고로의 철피(2) 외측으로 돌출되는 절곡부(30)의 상부(32)에 구비될 수 있다. 냉각수 배출구(52)는 냉각수 유입구(42)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절곡부(30) 상부(32)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이 고로의 철피(2)에 설치됨에 따라 순환유로 형성부(20)가 고로의 철피(2) 내측에 스테이브(4)와 마주한 상태가 되더라도 순환유로 형성부(20) 내부에 형성된 순환유로(22)를 순환한 냉각수는 고로 외부로 배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이 고로의 철피(2)에 설치된 상태가 되면, 순환유로 형성부(20)는 고로 내부에서 스테이브(4)와 마주한 상태로 설치되어 철피(2)의 내측을 덮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스테이브(4)와 같은 냉각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거의 일자 형태를 가지는 냉각반(9)과 비교하여 고로의 철피(2) 냉각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은 대략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순환유로 형성부(20)가 고로의 철피(2)를 거의 덮도록 설치가 가능하여 고온의 고로 내부 가스가 철피(2)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철피(2)의 탄화방지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은 고로의 노벽을 보강하기 위한 내화물(castable)이 주입되는 내화물 주입부(60)가 절곡부(3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화물 주입부(60)의 내화물 주입구(62)는 고로의 철피(2) 외측으로 돌출되는 절곡부(30)의 상부(32)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내화물 주입부(60)의 내화물 배출구(64)는 절곡부(30)의 하부(34) 내측면(35)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30)의 하부(34)는 절곡부(30)가 순환유로 형성부(20)의 일측으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경우에 순환유로 형성부(20)와 인접하는 절곡부(30)의 부위를 말하며, 내측면(35)은 순환유로 형성부(20)의 상면(24)과 인접하는 면을 말한다.
이와 같이, 내화물 배출구(64)가 절곡부(30)의 하부(34) 내측면(35)에 구비되면, 내화물 주입구(62)를 통해 내화물 주입부(60)로 주입된 내화물은 고로의 철피(2)와 순환유로 형성부(20) 사이(또는, 용손 스테이브(4)와 순환유로 형성부(20)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65)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은 고로의 철피(2) 보호를 위하여 절곡부(30)에 구비된 내화물 주입부(60)를 통해 쉽게 순환유로 형성부(20)와 철피(2) 사이로 내화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은 절곡부(3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삽입홀(12)에 걸림되는 플랜지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70)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을 고로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삽입홀(12)에 걸린 상태로 고로의 철피(2)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은 플랜지부(70)가 삽입홀(12)에 걸린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고로의 철피(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랜지부(70)는 절곡부(30)의 상부(32) 일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절곡부(30)의 상부(32)는 냉각수 유입구(42), 배출구(52) 및 내화물 주입구(62)가 구비되는 부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이 고로의 철피(2)에 설치된 경우에는 절곡부(30)의 상부(32)만이 삽입홀(12)을 통해 철피(2) 외측으로 돌출되면 되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을 고로의 철피에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을 고로의 철피(2) 내측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철피(2)와 용손 스테이브(4)에 삽입홀(12)을 형성시킨 후, 도 8(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삽입홀(12)을 통해 순환유로 형성부(20)를 고로 내부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순환유로 형성부(20)를 고로 내부로 삽입시킨 이후에는, 도 8(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순환유로 형성부(20)가 용손 스테이브(4)와 마주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면서 절곡부(30)를 삽입홀(12)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절곡부(30)를 삽입홀(12)로 삽입시킨 이후에는, 도 8(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70)가 철피(2)에 걸릴 때까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을 밀어넣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플랜지부(70)가 철피(2)에 걸림된 상태에서 플랜지부(7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철피(2)에 고정시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을 철피(2)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은 절곡부(30)가 순환유로 형성부(20)의 일측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별도의 노내 작업 없이 외부 작업만으로도 고로의 철피(2)에 형성된 삽입홀(12)을 통해 순환유로 형성부(20)를 스테이브(4)와 마주한 상태로 설치하여 철피(2)에 고정시키기가 용이하며, 따라서 별도의 노내 작업 없이 외부 작업만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10)의 설치 및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손 스테이브(stave)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스테이브형 냉각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실시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가능한 모든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고로 2 : 철피
4 : 스테이브(stave) 9 : 종래 냉각반
10 :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브형 냉각반
20 : 순환유로 형성부 30 : 절곡부
40 : 냉각수 유입유로 42 : 냉각수 유입구
50 : 냉각수 배출유로 52 : 냉각수 배출구
60 : 내화물 주입부 62 : 내화물 주입구
64 : 내화물 배출구 70 : 플랜지부

Claims (8)

  1.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냉각수 순환유로가 형성되는 순환유로 형성부; 및
    상기 순환유로 형성부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순환유로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구비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로 형성부는 상기 고로의 철피와 상기 용손 스테이브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용손 스테이브와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절곡부의 상부는 상기 순환유로 형성부가 상기 용손 스테이브와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고로의 철피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유입유로의 유입구와 상기 배출유로의 배출구 각각은, 상기 고로의 철피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고로 노벽을 보강하기 위한 내화물(castable)이 주입되는 내화물 주입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 주입부의 내화물 주입구는 상기 고로의 철피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화물 주입부의 내화물 배출구는 상기 내화물 주입구를 통해 상기 내화물 주입부로 주입된 내화물이 상기 고로의 철피와 상기 유로형성부 사이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의 하부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브형 냉각반은 상기 삽입홀에 걸림되도록 상기 절곡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삽입홀에 걸린 상태로 상기 고로의 철피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스테이브형 냉각반을 상기 고로 철피에 고정시키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5.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냉각수 순환유로가 형성되는 순환유로 형성부; 및
    상기 순환유로 형성부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순환유로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한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구비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로의 유입구와 상기 배출유로의 배출구 각각은, 상기 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내화물(castable)이 주입되는 내화물 주입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 주입부의 내화물 주입구는 상기 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화물 주입부의 내화물 배출구는 상기 절곡부의 하부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브형 냉각반은 상기 절곡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KR1020140080792A 2014-06-30 2014-06-30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KR20160002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792A KR20160002486A (ko) 2014-06-30 2014-06-30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792A KR20160002486A (ko) 2014-06-30 2014-06-30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486A true KR20160002486A (ko) 2016-01-08

Family

ID=5517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792A KR20160002486A (ko) 2014-06-30 2014-06-30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4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7697C (en) Cooling plate for a metallurgical furnace
UA116493C2 (uk) Плитовий холодильник для металургійної печі і спосіб захисту плитового холодильника
US20130316295A1 (en) Stave cooler for a metallurgical furnace
US10533802B2 (en) Furnace bricks, coolers, and shells/bindings operating in systemic balance
KR20160002486A (ko)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를 대체하는 스테이브형 냉각반
US11505840B2 (en) Cooling plate for metallurgical furnace
KR20140032698A (ko) 고로의 용손 스테이브 보수방법
US9429316B2 (en) Burner arrangement and burner assembly
JP6200556B2 (ja) ステーブ保護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US11225694B2 (en) Cooling panel for metallurgical furnace
US11384985B2 (en) Furnace stave
KR101585808B1 (ko) 스테이브와 이의 마모 지연 방법
KR102273074B1 (ko) 용융로 내화물 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로
KR100896604B1 (ko) 고로의 철피 냉각장치
KR101412338B1 (ko) 고로의 냉각반 구조체
KR101368431B1 (ko) 용융로용 풍구
UA127749C2 (uk) Спосіб захисту внутрішньої стінки шахтної печі
KR101363240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스키머 장치
EA041677B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внутренней стенки шахтной печи
KR101477384B1 (ko) 고로의 냉각 스테이브 구조체
KR20190011036A (ko) 피처리물 처리장치 및 이의 보수방법
KR101443496B1 (ko) 고로의 돌기형 냉각반
JP2020186448A (ja) 高炉改修における炉底冷却方法
KR20110019668A (ko) 스테이브 마모측정수단을 구비한 고로 냉각 시스템
JP2014173095A (ja) ステーブクーラーおよびこのステーブクーラーを備えた高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