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343A - Bonding capillary - Google Patents

Bonding capilla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343A
KR20160002343A KR1020150070870A KR20150070870A KR20160002343A KR 20160002343 A KR20160002343 A KR 20160002343A KR 1020150070870 A KR1020150070870 A KR 1020150070870A KR 20150070870 A KR20150070870 A KR 20150070870A KR 20160002343 A KR20160002343 A KR 2016000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wire
pressing surface
chamfered portion
cap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1486B1 (en
Inventor
준페이 오니시
소이치로 오카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3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4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01L2224/7825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 H01L2224/783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by means of pressure
    • H01L2224/78301Capilla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01L2224/7825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 H01L2224/783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by means of pressure
    • H01L2224/78301Capillary
    • H01L2224/78302Shape
    • H01L2224/78305Shape of othe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bonding strength while preventing a crack from being generated on a bonding wire. A bonding capill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pressure surface which pressurizes a bonding wire, an insertion through hole which the bonding wire is inserted into and penetrates through, a taper-shaped hole which connects the insertion through hole and the pressure surface, and becomes wider toward the pressure surface, and a chamfer part which is formed between the taper-shaped hole and the pressure surface. The chamfer part has a convexo-concave surface. Also, a sharp degree of a convex part in the convexo-concave shape is less than that of a concave part in the convexo-concave shape.

Description

본딩 캐필러리{BONDING CAPILLARY}Bonding Capillary {BONDING CAPILLARY}

개시의 실시형태는 본딩 캐필러리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relate to a bonding capillary.

종래, 반도체 칩과 리드 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와이어 본딩이 알려져 있다. 와이어 본딩은 반도체 칩 및 리드 프레임의 전극 사이에 본딩 와이어라고 칭해지는 금속선을 가교함으로써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법이다.Conventionally, wire bonding is known as a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semiconductor chip and a lead frame. The wire bonding is a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etal wires called bonding wires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electrodes of the lead frame by bridging them.

와이어 본딩에서는 본딩 캐필러리라고 칭해지는 통 형상의 툴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본딩 캐필러리의 내부에 본딩 와이어를 통해서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키고, 돌출된 본딩 와이어를 본딩 캐필러리의 선단면을 사용해서 전극에 압박한다. 또한, 본딩 캐필러리에 초음파를 인가해서 선단면을 진동시킴으로써 본딩 와이어를 전극에 마찰한다. 이것에 의해 본딩 와이어는 전극에 접합된다.In the wire bonding, a tubular tool called a bonding capillary is used. Specifically, the capillary is protruded from the tip through a bonding wire to the inside of the bonding capillary, and the protruded bonding wire is pressed against the electrode using the tip end surface of the bonding capillary. Further, ultrasound is applied to the bonding capillary to vibrate the end surface to rub the bonding wire to the electrode. As a result, the bonding wire is bonded to the electrode.

본딩 캐필러리로서는 선단면으로의 본딩 와이어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딩 와이어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의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에 소정의 곡률의 R부를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As a bonding capillary, it is known that an R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formed at the periphery of an opening of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 bonding wire is inserted in order to prevent adhesion of a bonding wire to a tip end fac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Reference).

일본 특허 공개 평 9-32641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326411

그러나, 상기한 R부를 갖는 본딩 캐필러리를 사용해서 와이어 본딩을 행했을 경우, 접합 강도가 얻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R부를 형성함으로써 본딩 와이어에 대한 그립력이 저하되어 본딩 와이어를 전극에 마찰 부착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wire bonding is performed using the bonding capillary having the R portion, the bonding strength is hardly obtained. This is because the gripping force on the bonding wire is lowered by forming the R portion, and it becomes difficult to frictionally attach the bonding wire to the electrode.

이와 같은 접합 강도의 문제는 Al(알루미늄)제의 본딩 와이어를 사용해서 와이어 본딩을 행할 경우에 현저해진다. 이것은 본딩 와이어의 재료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u(금)에 비해 Al은 산화되기 쉽고,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막에 의해 전극과의 접합이 저해되기 쉽기 때문이다.The problem of such bonding strength becomes remarkable when wire bonding is performed using a bonding wire made of Al (aluminum). This is because Al is likely to be oxidized as compared with Au (gold),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material of a bonding wire, and bonding with an electrode is easily inhibited by an oxide film formed on the surface.

또한, Al제의 본딩 와이어에는 Au제의 본딩 와이어에 비해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Al제의 본딩 와이어를 사용해서 와이어 본딩을 행할 경우에는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과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양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cracks tend to occur in Al bonding wires compared with Au bonding wires. Therefore, when wire bonding is performed using an Al bonding wire, it is preferable to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an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racks.

실시형태의 일실시형태는 본딩 와이어로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본딩 캐필러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nding capillary capable of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bonding wire.

실시형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본딩 캐필러리는 본딩 와이어를 압박하는 압박면과, 상기 본딩 와이어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압박면을 연결하고, 상기 압박면을 향해서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 구멍과,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과 상기 압박면 사이에 형성되는 모따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따기부는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가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첨예 정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nding capill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ing surface for pressing a bonding wire,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bonding wire is inserted, and a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insertion hole and the pressing surface, And a chamfer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tapered hole and the pressing surface, wherein the chamfered portion has a concavo-convex shape on the surface, and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e- Is small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cave portion in the concave portion.

테이퍼 형상 구멍과 압박면 사이에 모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본딩 와이어에 부여하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본딩 와이어로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따기부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본딩 와이어를 전극에 문질러 붙일 때의 본딩 와이어에 대한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단순히 요철 형상을 형성한 것만으로는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함에 의해 와이어가 상처받을 우려가 있고, 이 스크래치에 의해 와이어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를 오목부의 첨예 정도보다 작게 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요철 형상에 기인하는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By forming the chamfered portion between the tapered hole and the pressing surface, the stress applied to the bonding wire can be relaxed, so that occurrence of cracks in the bonding wire can be suppressed. Further, by forming the concavo-convex shape on the surface of the chamfered portion, the gripping force against the bonding wire when rubbing the bonding wire onto the electrode can be improved,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can b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fear that the wire may be damaged by the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o-convex shape only by forming the concave-convex shape, and the wire is liable to be cracked by the scratch. Thus,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e-convex shape is made small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cave por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racks due to the uneven shape.

또한, 상기 모따기부의 요철 형상은 왜도가 -0.164 이하이며, 또한 평균 높이가 0.035㎛ 이상, 0.09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distortion is -0.164 or less and the average height is 0.035 mu m or more and 0.092 mu m or less.

이것에 의해 Al제의 본딩 와이어를 사용해서 와이어 본딩을 행할 경우에 있어서 퍼스트 본딩 공정 후의 본딩 와이어로의 크랙의 발생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세컨드 본딩 공정 후의 테일 부분에 있어서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appropriat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bonding wire after the first bonding process when wire bonding is performed using Al bonding wires. Further, sufficient bonding strength can be obtained in the tail portion after the second bonding process.

또한, 상기 압박면은 요철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압박면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가 상기 모따기부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sing surface has a concavo-convex shape, and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pressing face is larg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압박면은 모따기부와 비교해서 본딩 와이어에 크랙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이 때문에 압박면에 있어서는 크랙의 발생 방지보다 그립력의 향상을 중시하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딩 와이어에 대한 그립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It is difficult for the pressing surface to generate cracks in the bonding wire as compared with the chamfered portion. For this reason, the pressing surface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gripping force rather than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racks. With this configuration, the gripping force on the bonding wir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압박면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은 평균 높이가 0.1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cavo-convex shape on the pressing surface has an average height of 0.113 mu m or more.

이것에 의해 Al제의 본딩 와이어를 사용해서 와이어 본딩을 행할 경우에 있어서 세컨드 본딩 공정 후의 스티치 부분에 있어서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obtain a sufficient bonding strength in the stitch portion after the second bonding process when wire bonding is performed using Al bonding wires.

또한,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 및 상기 압박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곡면을 갖고, 또한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이 4.55㎛ 이상, 20.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hamfered portion has a curved surface smoothly continuing to the tapered hole and the pressing surfac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is not less than 4.55 mu m and not more than 20.30 mu m.

이것에 의해 Al제의 본딩 와이어를 사용해서 와이어 본딩을 행할 경우에 있어서 본딩 와이어로의 크랙의 발생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세컨드 본딩 공정 후에 있어서의 본딩 와이어의 분단 불량의 발생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appropriat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bonding wire when wire bonding is performed using Al bonding wir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defective division of the bonding wire after the second bonding process.

또한,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 및 상기 압박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곡면을 갖고, 또한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이 12.8㎛ 이상, 20.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hamfered portion has a curved surface smoothly continuing to the tapered hole and the pressing surfac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is not less than 12.8 탆 and not more than 20.30 탆.

이것에 의해 Al제의 본딩 와이어를 사용해서 와이어 본딩을 행할 경우에 있어서 본딩 와이어의 루프 길이가 3㎜ 이상이어도 본딩 와이어로의 크랙의 발생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세컨드 본딩 공정 후에 있어서의 본딩 와이어의 분단 불량의 발생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Thus, even when the loop length of the bonding wire is 3 mm or more in the case of wire bonding using an Al bonding wir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bonding wire can be suitably suppres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defective division of the bonding wire after the second bonding process.

또한,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의 테이퍼 각도는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pered hole has a taper angle of 100 DEG or less.

이것에 의해 상기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의 경계각부에 있어서 본딩 와이어로의 크랙의 발생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As a result, occurrence of cracks in the bonding wir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sertion hole and the tapered hole can be suitably suppressed.

또한, 상기 압박면의 외경은 상기 본딩 와이어의 와이어 지름의 4.0배 이상, 5.7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ing surface is not less than 4.0 times and not more than 5.7 times the wire diameter of the bonding wire.

이것에 의해 소망의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다.Thus, desired bonding strength can be obtained.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실시형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본딩 와이어로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bonding wire.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본딩 캐필러리를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H1부의 모식 확대도이다.
도 3은 보틀넥부의 선단 부분을 나타내는 모식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H2부의 모식 확대도이다.
도 5는 압박면의 표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모따기부의 표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 측단면도이다.
도 7은 퍼스트 본딩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세컨드 본딩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모따기부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모따기부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왜도 및 평균 높이 및 압박면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를 각각 변화시켰을 경우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모따기부의 곡률 반경을 변화시켰을 경우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모따기부의 곡률 반경을 변화시켰을 경우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테이퍼 형상 구멍의 각도를 변화시켰을 경우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딩의 시뮬레이션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딩의 시뮬레이션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6은 압박면 외경과 와이어 지름의 비율을 변화시켰을 경우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딩 캐필러리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bonding capillar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H1 portion shown in Fig.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ip end portion of the bottle neck por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H2 section shown in Fig. 3. Fig.
5 is a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urface shape of the pressing surface.
6 is a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urface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7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of the first bonding process.
8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e of a second bonding process.
9 is a graph illustrating the roughness curve of the surface of the chamfered portion.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evaluation results when the distortion and the average height of the concavo-convex shape in the chamfered portion and the average height of the concavo-convex shape in the pressing face are respectively changed.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evaluation result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hamfered portion is changed. Fig.
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evaluation result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hamfered portion is changed. Fig.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evaluation result when the angle of the tapered hole is changed. Fig.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imulation result of bonding.
15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imulation result of bonding.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evaluation result when the ratio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ing surface and the wire diameter is changed.
1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art of a manufacturing method of a bonding capillary.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원이 개시하는 본딩 캐필러리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onding capillary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실시형태)(Embodiments)

우선, 본 실시형태에 의한 본딩 캐필러리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본딩 캐필러리를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H1부의 모식 확대도이다.First,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bonding capillar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bonding capillar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H1 portion shown in Fig. 1. Fig.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본딩 캐필러리(1)(이하, 「캐필러리(1)」라고 기재한다)는 본딩 와이어(이하, 「와이어 」라고 기재한다)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11)을 갖는다. 또한, 캐필러리(1)는, 예를 들면 세라믹으로 형성된다. 캐필러리(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캐필러리(1)의 재료로서는 알루미나와, 지르코니아 및 크로미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등을 들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bonding capillary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 bonding wi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wire & And has an insertion hole (11). The capillary 1 is formed of, for example, ceramics. The material of the capillary 1 is, for example, alumina. Or a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alumina, zirconia and chromia as the material of the capillary (1).

캐필러리(1)는 원통부(12)와, 원뿔부(13)와, 보틀넥부(14)를 구비한다. 원뿔부(13)는 원통부(12)의 일단에 형성되는 부위이며, 선단측을 향해서 축경하는 형상을 갖는다. 보틀넥부(14)는 원뿔부(13)의 선단에 형성되는 부위이며, 원뿔부(13)의 선단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더 갖는다. 삽입 통과 구멍(11)은 이들 원통부(12), 원뿔부(13) 및 보틀넥부(14)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capillary (1) has a cylindrical portion (12), a conical portion (13) and a bottle neck portion (14). The conical portion 13 is a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12 and has a shape that is reduced in diameter toward the tip side. The bottle neck portion 14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onical portion 13 and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tip diameter of the conical portion 13. [ The insertion hole 11 is formed to penetrate the cylindrical portion 12, the conical portion 13, and the bottle neck portion 14. [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틀넥부(14)의 선단면인 압박면(30)과 삽입 통과 구멍(11) 사이에는 테이퍼 형상 구멍(20)이 형성된다. 테이퍼 형상 구멍(20)은 삽입 통과 구멍(11)으로부터 압박면(30)을 향해서 확경하도록 테이퍼링 가공된다.2, a tapered hole 20 is formed between the pressing surface 30 and the insertion hole 11, which is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bottle neck portion 14. As shown in Fig. The tapered hole 20 is tapered so as to be pushed toward the pressing surface 30 from the insertion hole 11. [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캐필러리(1)는 테이퍼 형상 구멍(2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킨 와이어를 압박면(30)을 사용해서 전극에 압박하고, 초음파에 의해 압박면(30)을 진동시켜서 와이어를 전극에 마찰함으로써 와이어를 전극에 접합시킨다.The capillary 1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presses the wir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tapered hole 20 to the electrode by using the pressing surface 30 and vibrates the pressing surface 30 by ultrasonic waves, Thereby bonding the wire to the electrode.

여기에서 와이어의 재료로서는 Au(금)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것에 대하여 반도체 칩의 전극인 패드 전극에는 Al(알루미늄)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다른 종류의 금속끼리인 Au과 Al을 접합하면 접합 계면에 보이드가 발생해서 접합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고가격인 Au을 사용함으로써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도 있다.Here, Au (gold) is generally used as the material of the wire. On the other hand, Al (aluminum) is generally used for the pad electrode which is the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chip. When Au and Al, which are different kinds of metals, are bonded to each other, voids are generated at the bonding interface, which may lower the bonding strength. 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s increased by using Au of high price.

이 때문에, 최근에는 반도체 칩의 패드 전극과 같은 소재이며, 또한 Au보다 저가격인 Al을 와이어의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it has been proposed to use Al, which is the same material as the pad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is less expensive than Au, as the material of the wire.

그러나, Al은 Au에 비해 강도가 낮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퍼스트 본딩 공정 후, 와이어의 절곡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Al은 Au에 비해 산화되기 쉽고,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막에 의해 전극과의 접합이 저해되기 쉽다. 이 때문에,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However, Al has a lower strength than Au.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after the first bonding ste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crack is likely to occur at the bent portion of the wire. Further, Al is easily oxidized as compared with Au, and the bonding with the electrode is likely to be inhibited by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urface. Therefor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obtain sufficient bonding strength.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에서는 압박면(30)과 테이퍼 형상 구멍(20)의 경계 부분에 모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의 절곡 부분으로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에서는 상기 모따기부에 미세한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압박면(30)을 진동시켜서 와이어를 전극에 마찰 부착할 때의 와이어에 대한 그립력을 향상시키고, 이것에 의해 접합 강도를 높이는 것으로 했다.Thus, in 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forming the chamfered portion at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pressing surface 30 and the tapered hole 20, cracks in the bent portion of the wire are suppressed. In addition, in 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amfered portion is formed with a fine concavo-convex shape so that the pressing surface 30 is vibrated to improve the gripping force on the wire when the wire is frictionally attached to the electrode,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한편, 단순히 요철 형상을 형성한 것만으로는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에 의해 와이어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와이어가 손상됨으로써 와이어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에서는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를 오목부의 첨예 정도보다 작게 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요철 형상에 기인하는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첨예 정도」란 볼록부 및 오목부의 날카로움의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볼록부의 첨예 정도를 오목부의 첨예 정도보다 작게 한다」란 볼록부의 날카로움을 오목부의 날카로움보다 완만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if only the uneven shape is formed, there is a fear that the wire is damaged by the sharp point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uneven shape, and the wire is damaged, so that the wire tends to be easily cracked. Therefore, in 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e-convex shape is made small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cave por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racks due to the uneven shape. The " sharpness degree " means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Therefore,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s made smaller than that of the concave portion" means that the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s made gentler than the sharpness of the concave portion.

이하에서는 압박면(30)과 테이퍼 형상 구멍(20)의 경계 부분에 형성되는 모따기부 및 모따기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의 구성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보틀넥부(14)의 선단 부분을 나타내는 모식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H2부의 모식 확대도이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hamfered portion formed at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pressing surface 30 and the tapered hole 20 and the shape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hamfered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3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bottle neck portion 14. As shown in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H2 section shown in Fig. 3. Fig.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면(30)은 바깥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서 약간 융기하는 볼록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테이퍼 형상 구멍(20)은 압박면(30)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캐필러리(1)에 있어서는 테이퍼 형상 구멍(20)과 압박면(30)의 경계 부분이 가장 선단측에 돌출된 부분이며, 이 부분에 있어서 와이어에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As shown in Fig. 3, the pressing surface 30 is formed into a convex surface shape that slightly rises from the outer edge portion toward the center portion. Further, the tapered hole 2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essing surface 30. [ Therefore, in the capillary 1,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tapered hole 20 and the pressing surface 30 is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tip endmost side, and the wire tends to crack in this portion.

모따기부(40)는 테이퍼 형상 구멍(20)과 압박면(30)의 경계 부분에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따기부(40)는 테이퍼 형상 구멍(20)으로부터 압박면(30)에 걸쳐서 매끄럽게 연속하는 곡면을 갖는다.The chamfered portion 40 is formed at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tapered hole 20 and the pressing surface 30. 4, the chamfered portion 40 has a curved surface that smoothly continues from the tapered hole 20 to the pressing surface 30.

도 5는 압박면(30)의 표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모따기부(40)의 표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면(30) 및 모따기부(40)에는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이 형성된다. 이들 요철 형상은 모두 볼록부(31, 41)의 첨예 정도가 오목부(32, 42)의 첨예 정도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5 is a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urface shape of the pressing surface 30. Fig. 6 is a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urface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pressing surface 30 and the chamfered portion 40 are formed with fine irregularities on their surfaces. These concave and convex shapes are formed so that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s 31 and 41 becomes small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cave portions 32 and 42. [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압박면(30)의 요철 형상은 볼록부(31)의 첨예 정도가 도 6에 나타내는 모따기부(40)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41)의 첨예 정도보다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에서는 압박면(30)의 와이어에 대한 그립력을 모따기부(40)의 와이어에 대한 그립력보다 높이고 있다.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pressing surface 30 shown in Fig. 5 is set so that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31 becomes larg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41 i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shown in Fig. . Thus, in 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ipping force of the pressing surface 30 with respect to the wire is made higher than the gripping forc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with respect to the wire.

이어서, 상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와이어 본딩의 동작과 함께 도 7 및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은 퍼스트 본딩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세컨드 본딩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측단면도이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wire bonding. 7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of the first bonding process. 8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e of the second bonding process.

와이어 본딩은 퍼스트 본딩 공정, 루프 형성 공정 및 세컨드 본딩 공정을 포함한다. 퍼스트 본딩 공정은 한쪽의 전극에 와이어를 접합하는 공정이다. 루프 형성 공정은 퍼스트 본딩 공정 후 캐필러리(1)를 소정의 궤도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전극 사이에 와이어의 루프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세컨드 본딩 공정은 루프 형성 공정 후 다른 쪽의 전극에 와이어를 접합하는 공정이다. 이들 공정에 의해 전극 사이에 와이어가 가교되어 반도체 칩과 리드 프레임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Wire bonding includes a first bonding process, a loop forming process, and a second bonding process. The first bonding step is a step of bonding wires to one of the electrodes. The loop forming process is a process of forming a loop of a wire between electrodes by moving the capillary 1 in a predetermined orbit after the first bonding process. The second bonding step is a step of bonding wires to the other electrode after the loop forming step. Through these processes, the wires are bridged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lead frame are electrically connected.

도 7에는 종래의 Au제의 와이어(이하, 「Au 와이어」라고 기재한다) 대신에 Al제의 와이어(이하, 「Al 와이어」라고 기재한다)를 사용해서 와이어 본딩을 행할 경우에 있어서의 퍼스트 본딩 공정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Fig. 7 shows a case where wire bonding is performed using a wire made of 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l wire ") instead of a wire made of Au (hereinafter referred to as Au wire) And shows the form of the process.

여기에서, 종래의 Au 와이어를 사용한 와이어 본딩에서는 퍼스트 본딩 공정으로서 볼 본딩이 행해진다. 볼 본딩은 와이어의 선단을 방전에 의해 용융시켜서 Au의 볼을 형성하고, 이 볼을 전극에 열 압착시킴으로써 와이어와 전극을 접합하는 방법이다. 볼 본딩에는 본딩 캐필러리가 사용된다.Here, in wire bonding using a conventional Au wire, ball bonding is performed as a first bonding process. Ball bonding is a method of melting a tip of a wire by discharging to form a ball of Au, and bonding the wire and the electrode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ball to the electrode. Bonding capillary is used for ball bonding.

한편, Al 와이어를 사용해서 와이어 본딩을 행할 경우, 상기한 볼 본딩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것은 Al이 Au에 비해 산화되기 쉽고, Au과 같이 볼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Al 와이어를 사용해서 와이어 본딩을 행할 경우에는 볼을 형성하는 일 없이 와이어를 전극에 접합하는 웨지 본딩 툴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1-156100호 공보 참조).On the other hand, when wire bonding is performed using an Al wire,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ball bonding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Al is easily oxidized as compared with Au,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 ball like Au. Therefore, when wire bonding is performed using an Al wire, a wedge bonding tool for bonding a wire to an electrode without forming a ball is generally used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56100).

그러나, 웨지 본딩 툴은 본딩 캐필러리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고가이며, 또한 내구성도 낮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지 본딩 툴에 비해 저비용이며 내구성도 높은 본딩 캐필러리인 캐필러리(1)를 사용해서 Al 와이어에 의한 와이어 본딩을 행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반도체 디바이스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since the wedge bonding tool is complicated in structure compared to the bonding capillary, it is expensive and has low durability.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pillary 1, which is a bonding capillary having a lower cost and a higher durability than the wedge bonding tool, is used to perform the wire bonding by the Al wire.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semiconductor device.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필러리(1)는, 우선 Al 와이어(W)를 압박면(30)을 사용해서 한쪽의 전극, 예를 들면 리드 프레임의 리드 전극(100)에 압박한다. 이때, 모따기부(40)와 리드 전극(100) 사이에서 Al 와이어(W)가 분단되지 않도록 모따기부(40)와 리드 전극(10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capillary 1 first presses the Al wire W to the lead electrode 100 of one of the electrodes, for example, the lead frame, by using the pressing surface 30. Fig.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chamfered portion 40 and the lead electrode 100 so that the Al wire W is not divided between the chamfered portion 40 and the lead electrode 100.

계속해서, 캐필러리(1)의 원통부(12)(도 1 참조)에 초음파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압박면(30)이 진동해서 Al 와이어(W)가 리드 전극(100)에 마찰된다. 이것에 의해 Al 와이어(W)는 리드 전극(100)에 접합된다.Subsequently, ultrasonic waves are applied to the cylindrical portion 12 (see Fig. 1) of the capillary 1. As a result, the pressing surface 30 is vibrated and the Al wire W rubs against the lead electrode 100. As a result, the Al wire W is bonded to the lead electrode 100.

계속해서, 캐필러리(1)는 소정의 궤도를 그리면서 이동함으로써 와이어의 루프를 형성한다. 이때, Al 와이어(W)의 리드 전극(100)에 접합된 부분과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경계선,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영역(B)에 절곡 부분이 형성된다. 크랙은 이 절곡 부분에 있어서 발생하기 쉽다.Subsequently, the capillary 1 forms a loop of the wire by moving while drawi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At this time, a boundary line of a portion of the Al wire W bonded to the lead electrode 100, for example, a region B shown in Fig. 7 is formed. Cracks are likely to occur in this bent portion.

이 점으로의 대책으로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에서는 테이퍼 형상 구멍(20)과 압박면(30)의 경계 부분에 모따기부(40)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모따기부(4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영역(B)으로의 응력 집중이 완화되기 때문에 Al 와이어(W)의 절곡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s a countermeasure to this point, the chamfered portion 40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apered hole 20 and the pressing surface 30 in 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a result, the stress concentration on the region B is relax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hamfered portion 40 is not formed, so that occurrence of a crack in the bent portion of the Al wire W can be suppress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Al 와이어(W)는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막에 의해 전극과의 접합이 저해되기 쉽기 때문에 Au 와이어에 비해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obtain a sufficient bonding strength as compared with the Au wire because the Al wire W tends to be hindered from bonding with the electrode due to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urface.

이 점으로의 대책으로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에서는 모따기부(40)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모따기부(40)의 Al 와이어(W)에 대한 그립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Au 와이어에 비해 접합 강도가 얻어지기 어려운 Al 와이어(W)를 사용하는 경우이어도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다.As a countermeasure to this point, in 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fine uneven shap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This improves the gripping forc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with respect to the Al wire W, so that sufficient bonding strength can be obtained even in the case of using the Al wire W which is harder to obtain the bonding strength than the Au wire.

또한, 모따기부(40)의 요철 형상은 볼록부(41)의 첨예 정도가 오목부(42)의 첨예 정도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에 의하면 요철 형상에 기인하는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높은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다.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is formed such that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41 becomes small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cave portion 42. [ Therefore, with 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bonding strength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cracks due to the concavo-convex shap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에서는 압박면(30)에도 미세한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했다. 압박면(30)은 모따기부(40)와 비교해서 Al 와이어(W)에 크랙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이 때문에, 크랙의 발생 방지보다 그립력의 향상을 중시하는 관점으로부터 압박면(30)의 요철 형상은 볼록부(31)의 첨예 정도가 모따기부(40)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41)의 첨예 정도보다 커지도록 형성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것에 의해 Al 와이어(W)에 대한 그립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ing surface 30 is also formed with a fine concavo-convex shape. It is difficult for the pressing surface 30 to generate a crack in the Al wire W as compared with the chamfered portion 40. [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emphasizing the improvement of the gripping force rather than the prevention of the occurrence of cracks, the convexoconcave shape of the pressing face 30 is set such that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3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x portion 41 in the concave- (See Figs. 5 and 6). As a result, the gripping force against the Al wire W can be further improved.

계속해서, 캐필러리(1)는 세컨드 본딩 공정을 행한다. 우선, 캐필러리(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l 와이어(W)를 압박면(30)을 사용해서 다른 쪽의 전극, 예를 들면 반도체 칩의 패드 전극(200)에 압박한다. 세컨드 본딩 공정에서는 Al 와이어(W)를 패드 전극(200)에 접합한 후에 Al 와이어(W)를 분단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모따기부(40)와 패드 전극(200)의 간격은 퍼스트 본딩 공정시보다 짧게 설정된다.Subsequently, the capillary 1 performs a second bonding process. First, as shown in Fig. 8, the capillary 1 presses the Al wire W to the other electrode, for example, the pad electrode 200 of the semiconductor chip, by using the pressing surface 30.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Al wire W after bonding the Al wire W to the pad electrode 200 in the second bonding step. Therefore, the interval between the chamfered portion 40 and the pad electrode 200 is set shorter than that in the first bonding process.

계속해서, 캐필러리(1)는 초음파에 의해 압박면(30)을 진동시켜서 Al 와이어(W)를 패드 전극(200)에 마찰한다. 이것에 의해 Al 와이어(W)는 패드 전극(200)에 접합된다.Subsequently, the capillary 1 vibrates the pressing surface 30 by ultrasonic waves to rub the Al wire W to the pad electrode 200. As a result, the Al wire W is bonded to the pad electrode 200.

계속해서, 캐필러리(1)는 소정 거리만큼 상승된다. 이때, Al 와이어(W)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따기부(40)보다 외측의 스티치 부분(S)뿐만 아니라 모따기부(40)보다 내측의 테일 부분(T)에 있어서도 패드 전극(200)에 접합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캐필러리(1)가 상승하면 이 상승에 따라 캐필러리(1)로부터 Al 와이어(W)가 인출되게 된다. 인출된 Al 와이어(W)는 다음 번의 퍼스트 본딩 공정에 있어서 리드 전극(100)에 접합되는 부분이 된다.Subsequently, the capillary 1 is rais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the Al wire W is not only stitch portion S outside the chamfered portion 40, but also the tail portion T inside the chamfered portion 40, It is in a state of being bonded. Therefore, when the capillary 1 rises, the Al wire W is drawn out from the capillary 1 in accordance with this rise. The drawn Al wire W becomes a portion to be bonded to the lead electrode 100 in the next first bonding process.

그 후, 예를 들면 캐필러리(1)가 좌우 이동함으로써 Al 와이어(W)는 스티치 부분(S)과 테일 부분(T) 사이에서 분단된다.The Al wire W is divided between the stitch portion S and the tail portion T by, for example, moving the capillary 1 left and right.

이와 같이 세컨드 본딩 공정에 있어서는 캐필러리(1)로부터 Al 와이어(W)를 인출하기 위해서 테일 부분(T)에 있어서 Al 와이어(W)를 패드 전극(200)에 일시적으로 접합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Al 와이어(W)에는 산화막이 형성되기 쉽기 때문에 테일 부분(T)의 접합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bond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temporarily bond the Al wire W to the pad electrode 200 in the tail portion T in order to pull out the Al wire W from the capillary 1 . However, since an oxide film is easily formed on the Al wire W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easy to secur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tail portion T.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에서는 모따기부(40)에 미세한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모따기부(40)의 Al 와이어(W)에 대한 그립력을 향상시키고 있기 때문에 테일 부분(T)에 있어서도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hamfered portion 40 is formed with a fine concave-convex shape to improve the gripping forc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with respect to the Al wire W, ), Sufficient bonding strength can be obtained.

상술해 온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는 압박면(30)과, 삽입 통과 구멍(11)과, 테이퍼 형상 구멍(20)과, 모따기부(40)를 구비한다. 압박면(30)은 본딩 와이어를 압박하는 면이다. 삽입 통과 구멍(11)은 상기 본딩 와이어가 삽입 통과되는 구멍이다. 테이퍼 형상 구멍(20)은 삽입 통과 구멍(11)과 압박면(30)을 연결하는 구멍이며, 압박면(30)을 향해서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모따기부(40)는 테이퍼 형상 구멍(20)과 압박면(30) 사이에 형성된다. 모따기부(40)는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고, 또한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41)의 첨예 정도는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오목부(42)의 첨예 정도보다 작다.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pressing surface 30, the insertion hole 11, the tapered hole 20 and the chamfered portion 40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surface 30 is the surface pressing the bonding wire. The insertion hole 11 is a hole through which the bonding wire is inserted. The tapered hole 20 is a hole that connects the insertion hole 11 and the pressing surface 30 and has a shape that widens toward the pressing surface 30. [ The chamfered portion 40 is formed between the tapered hole 20 and the pressing surface 30. The chamfered portion 40 has a concavo-convex shape on the surface, and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41 in the concavo-convex shape is small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cavity 42 in the concavo-convex shape.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에 의하면 본딩 와이어로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bonding wire.

(실시예)(Example)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9~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모따기부의 표면의 거칠기 곡선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모따기부(4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왜도 및 평균 높이 및 압박면(3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를 각각 변화시켰을 경우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모따기부(40)의 곡률 반경을 변화시켰을 경우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Next, an embodiment of 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Fig. 9 is a graph illustrating the roughness curve of the surface of the chamfered portion.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evaluation results when the distortion and the average height of the irregularities in the chamfered portion 40 and the average height of the irregularities in the pressing surface 30 are changed, respectively. 11 is a view showing an evaluation result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is changed.

압박면(30) 및 모따기부(40)의 요철 형상은, 예를 들면 평균 높이(Rc) 및 왜도(Rsk)로 나타내어진다. 평균 높이(Rc) 및 왜도(Rsk)는 JIS B 0601-2001에 의거하여 산출된다.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pressing face 30 and the chamfered portion 40 is represented by, for example, an average height Rc and a degree of deformation Rsk. The average height Rc and the distortion Rsk are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JIS B 0601-2001.

왜도(Rsk)는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값이다. 요철 형상이 대칭적이면 왜도(Rsk)는 0이 된다. 또한, 왜도(Rsk)가 마이너스인 경우에는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가 오목부의 첨예 정도보다 작은, 환언하면 요철 형상을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선단 부분의 면적이 오목부의 바닥 부분의 면적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The degree Rsk is a value indicating the symmetry of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in the concave-convex shape. If the concave / convex shape is symmetrical, the degree of distortion Rsk becomes zero. When the degree of distortion Rsk is negative,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o-convex shap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cave portion. In other words, when the concavo-convex shape is viewed from the plane, Which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bottom portion.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박면(30) 및 모따기부(40)의 거칠기 곡선을 레이저 현미경(OLYMPUS CORPORATION제, OLS4000)을 사용해서 측정했다.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In this embodiment, the roughness curves of the pressing surface 30 and the chamfered portion 40 were measured using a laser microscope (OLS4000 manufactured by OLYMPUS CORPORATION). The measurement conditions are as follows.

측정 배율: 50배Measurement magnification: 50 times

평가 길이(거칠기 측정): 500㎛~800㎛Evaluation length (roughness measurement): 500 탆 to 800 탆

컷 오프(위상 보상형 고역 필터)λc: 25㎛Cut-off (phase-compensation type high-pass filter) lambda c: 25 mu m

상기 조건에 의해 측정한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평균 높이(Rc)를 이하의 식(1)에 의해 구하고, 왜도(Rsk)를 이하의 식(2)에 의해 구했다.From the roughness curves measur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average height Rc wa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xpression (1), and the degree of distortion Rsk was obtained by the following expression (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식(1)에 있어서 m은 윤곽 곡선 요소의 수, Zti는 윤곽 곡선 요소의 높이의 평균값이다. 또한, 식(2)에 있어서 Zq는 2승 평균 평방근 높이, Zn은 거칠기 곡선에 있어서의 높이의 값이다.Here, in the formula (1), m is the number of contour curve elements, and Zti is an average value of the height of contour curve elements. In the equation (2), Zq is the root mean square height and Zn is the height value in the roughness curve.

모따기부(40)의 표면을 레이저 현미경으로 측정해서 얻어진 거칠기 곡선의 일례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9에 있어서 세로축은 높이(마이크로 미터: ㎛)를 나타내고 있고, 가로 축은 측정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거칠기 곡선에 있어서 모따기부(40)의 요철 형상의 왜도(Rsk)는 -0.164이며, 모따기부(40)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Rc)는 0.073이다.An example of the roughness curve obtained by measuring the surfac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with a laser microscope is as shown in Fig. In Fig. 9, the vertical axis indicates the height (micrometer: 占 퐉), and the horizontal axis indicates the measurement position (占 퐉). In the roughness curve shown in Fig. 9, the degree of distortion Rsk of the concave-convex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is -0.164, and the average height Rc of the concave-convex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is 0.073.

도 10에는 모따기부(40)의 왜도(Rsk) 및 평균 높이(Rc) 및 압박면(30)의 평균 높이(Rc)를 각각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크랙」, 「테일 접합」 및 「스티치 접합」의 각 항목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10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crack", "tail joint" and "tail joint" in the case where the root height Rsk of the chamfered portion 40, the average height Rc and the average height Rc of the pressing surface 30 are changed, Stitch bonding " shown in Fig.

여기에서, 「크랙」 항목은 퍼스트 본딩 공정 후에 있어서 Al 와이어(W)에 크랙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이 「크랙」 항목에서는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를 「○」로 하고 있다. 또한, 「테일 접합」 항목 및 「스티치 접합」 항목은 세컨드 본딩 공정 후, 도 8에 나타내는 테일 부분(T) 및 스티치 부분(S)에 있어서 충분한 접합 강도가 얻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이들 「테일 접합」 항목 및 「스티치 접합」 항목에서는 충분한 접합 강도가 얻어진 경우를 「○」로 하고 있다.Here, the item " crack " is an item indicating whether or not a crack has occurred in the Al wire W after the first bonding process. In this " crack " item, the case where no crack occurred is indicated as "? &Quot;. The items "tail joint" and "stitch joint" are items indicating whether or not sufficient bond strength is obtained in the tail portion T and the stitch portion S shown in FIG. 8 after the second bonding process. In these "tail joint" and "stitch joint" items, a case where sufficient bond strength is obtained is defined as "◯".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에서는 세컨드 본딩 공정 후의 테일 부분(T) 및 스티치 부분(S)에 있어서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3~6에서는 퍼스트 본딩 공정 후의 Al 와이어(W)에 크랙이 발생했다.As shown in Fig. 10,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sufficient bonding strength could not be obtained in the tail portion T and the stitch portion S after the second bonding process. In Comparative Examples 3 to 6, cracks were generated in the Al wire W after the first bonding process.

한편, 실시예 1~5에서는 퍼스트 본딩 공정 후의 Al 와이어(W)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세컨드 본딩 공정 후의 테일 부분(T) 및 스티치 부분(S)에 있어서 충분한 접합 강도가 얻어졌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s 1 to 5, cracks were not generated in the Al wire W after the first bonding process, and sufficient bonding strength was obtained in the tail portion T and the stitch portion S after the second bonding process.

이 결과로부터 모따기부(4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은 왜도(Rsk)가 -0.164 이하이며, 또한 평균 높이(Rc)가 0.035㎛ 이상, 0.09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박면(3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Rc)는 0.1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From this result,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in the chamfered portion 40 have a deformation Rsk of -0.164 or less and an average height Rc of 0.035 mu m or more and 0.092 mu m or less. Further, the average height Rc of the concavo-convex shape on the pressing face 30 is preferably 0.113 mu m or more.

모따기부(4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왜도(Rsk)를 -1.4 미만으로 할 경우에 있어서 모따기부(40)의 평균 높이(Rc)를, 예를 들면 0.035㎛ 이상으로 하는 것은 가공 원리상 곤란하다. 그 때문에, 모따기부(4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왜도(Rsk)에 있어서는 -1.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average height Rc of the chamfered portion 40 is set to 0.035 占 퐉 or more, for example, in a case where the degree of distortion Rsk of the concavo-convex shape in the chamfered portion 40 is less than -1.4, It is difficul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uggedness Rsk of the chamfered portion 40 is -1.4 or more.

압박면(3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Rc)는 4.642㎛ 이하로 할 수 있다. 압박면(3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Rc)가 4.642㎛보다 높아지면 모따기부(40)의 형성 후에 있어서 평균 높이(Rc)가 0.092㎛ 이상인 요철 형상이 모따기부(40)에 남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압박면(3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Rc)는 4.64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박면(3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Rc) 4.642㎛는 모따기부(40)의 곡률 반경의 하한값 4.55㎛(도 11 참조)과, 모따기부(4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Rc)의 상한값 0.092㎛(도 10 참조)를 가산함으로써 유도된다.The average height Rc of the concavo-convex shape on the pressing surface 30 can be 4.642 mu m or less. When the average height Rc of the concavo-convex shape on the pressing surface 30 is higher than 4.642 占 퐉, the concavo-convex shape with the average height Rc of 0.092 占 퐉 or more after the chamfered portion 40 is formed remains in the chamfered portion 40 There is a case. Therefore, the average height Rc of the concavo-convex shape on the pressing surface 30 is preferably 4.642 占 퐉 or less. The average height Rc of the concavo-convex shape Rc of 4.642 占 퐉 in the pressing face 30 is 4.55 占 퐉 (see Fig. 11), the lower limit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See Fig. 10) of the average height Rc of the light-shielding film (not shown).

압박면(3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은, 예를 들면 샌드 블라스트 가공으로 형성된다. 압박면(3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이 샌드 블라스트 가공으로 형성될 경우, 압박면(30)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Rc)를 0.45㎛로 할 수 있다. 압박면(30)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Rc)가 0.45㎛를 초과해서 형성될 경우, 예를 들면 표면의 세라믹스 입자가 결손(입자 탈락)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압박면(3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Rc)는 0.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pressing surface 30 is formed by, for example, sandblasting. Whe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pressing face 30 is formed by sand blasting, the average height Rc of the concave-convex shape of the pressing face 30 can be 0.45 탆. When the average height Rc of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pressing surface 30 is formed to exceed 0.45 탆, for example, the ceramic particles on the surface may be defected (dropped out). Therefore, the average height Rc of the concavo-convex shape on the pressing face 30 is more preferably 0.45 占 퐉 or less.

도 11에는 모따기부(40)의 곡률 반경을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크랙」 및 「와이어 분단 불량」의 각 항목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11 show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respective items of " crack " and " wire breaking failure "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is changed.

여기에서, 「크랙」 항목은 도 10에 나타내는 「크랙」 항목과 마찬가지의 항목이다. 또한, 「와이어 분단 불량」 항목은 세컨드 본딩 공정 후에 있어서 Al 와이어(W)가 적절하게 분단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이 「와이어 분단 불량」 항목에서는 Al 와이어(W)의 분단 불량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를 「○」로 하고 있다.Here, the "crack" item is the same item as the "crack" item shown in FIG. The item " wire breaking failure " is an item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Al wire W is appropriately divided after the second bonding process. In this " wire breaking failure " item, " o " is set when a failure of the Al wire W is not broken.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7 및 8에서는 퍼스트 본딩 공정 후의 Al 와이어(W)에 크랙이 발생했다. 또한, 비교예 9에서는 세컨드 본딩 공정 후에 있어서 Al 와이어(W)의 분단 불량이 발생했다.As shown in Fig. 11, in Comparative Examples 7 and 8, a crack occurred in the Al wire W after the first bonding process. In Comparative Example 9, after the second bonding step, the Al wire W broke badly.

한편, 실시예 6~10에서는 퍼스트 본딩 공정 후의 Al 와이어(W)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세컨드 본딩 공정 후에 있어서도 Al 와이어(W)의 분단 불량이 발생하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s 6 to 10, cracks were not generated in Al wire W after the first bonding process, and defective separation of Al wire W did not occur even after the second bonding process.

이 결과로부터 모따기부(40)의 곡률 반경은 4.55㎛ 이상, 2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is result,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is 4.55 탆 or more and 20.3 탆 or less.

도 12는 모따기부(40)의 곡률 반경을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크랙」 항목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 crack " item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is changed.

퍼스트 본딩의 접합점(예를 들면, 리드 전극(100) 상의 점)과 세컨드 본딩의 접합점(예를 들면, 패드 전극(200) 상의 점)의 루프 길이가 3㎜ 이상인 경우에 대해서 평가를 행했다. 여기에서, 루프 길이는 양쪽 접합부의 중심선을 연결한 가상 선의 길이이다. 이와 같이 루프 길이가 비교적 긴 패키지 등에서는 루프 형성 공정에 있어서 Al 와이어(W)에 가해지는 텐션이 커져 보다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진다.Evaluation was performed when the loop length of the bonding point of the first bonding (for example, the point on the lead electrode 100) and the bonding point of the secondary bonding (for example, the point on the pad electrode 200) was 3 mm or more. Here, the loop length is the length of the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lines of both joints. As described above, in a package having a relatively long loop length or the like, the tension applied to the Al wire W in the loop forming process becomes large, and more cracks are likely to occur.

도 12에 있어서 「크랙」 항목은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크랙」 항목과 마찬가지의 항목이다.In Fig. 12, the "crack" item is the same item as the "crack" item shown in Fig. 10 and Fig.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10)에서는 퍼스트 본딩 공정 후의 Al 와이어(W)에 크랙이 발생했다.As shown in Fig. 12, in Comparative Example (10), cracks were generated in the Al wire W after the first bonding process.

한편, 실시예 11~13에서는 퍼스트 본딩 공정 후의 Al 와이어(W)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s 11 to 13, cracks were not generated in the Al wire W after the first bonding process.

이 결과로부터 모따기부(40)의 곡률 반경은 12.8㎛ 이상, 2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is result,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is not less than 12.8 탆 and not more than 20.3 탆.

이것에 의해 퍼스트 본딩의 접합점과 세컨드 본딩과 접합점의 루프 길이가 3㎜ 이상이어도 Al 와이어(W)로의 크랙의 발생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세컨드 본딩 공정 후에 있어서의 본딩 와이어의 분단 불량의 발생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appropriat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Al wire (W) even if the loop length of the bonding point of the first bonding, the secondary bonding, and the bonding point is 3 mm or mo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defective division of the bonding wire after the second bonding process.

도 13은 테이퍼 형상 구멍(20)의 테이퍼 각도(θ1)(도 3 참조)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크랙」 항목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 crack " item when the taper angle? 1 (see FIG. 3) of the tapered hole 20 is changed.

테이퍼 각도(θ1)에 의해 삽입 통과 구멍(11)과 테이퍼 형상 구멍(20)의 경계각부(50)의 각도(θ2)가 규정된다. 테이퍼 각도(θ1)가 상대적으로 크면 경계각부(50)의 각도(θ2)는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그 때문에, 테이퍼 각도(θ1)가 지나치게 크면, 예를 들면 Al 와이어(W)에 있어서 경계각부(50)에 접촉하고 있던 부분에 크랙이 발생한다.The angle? 2 of the boundary angle portion 50 between the insertion hole 11 and the tapered hole 20 is defined by the taper angle? 1. When the taper angle? 1 is relatively large, the angle? 2 of the boundary angle portion 50 becomes relatively small. Therefore, if the taper angle? 1 is excessively large, for example, cracks are generated in the portion of the Al wire W which has been in contact with the boundary corner portion 50. [

도 13에 있어서 「크랙」 항목은 퍼스트 본딩 공정 후의 Al 와이어(W)에 있어서 경계각부(50)에 접촉하고 있던 부분에 크랙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이 「크랙」 항목에서는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를 「○」로 하고 있다.In Fig. 13, the item " crack " is an item indicating whether or not cracks have occurred in a portion of the Al wire W after the first bonding process which was in contact with the boundary leg portion 50. [ In this " crack " item, the case where no crack occurred is indicated as "? &Quot;.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1 및 12에서는 테이퍼 형상 구멍(20)의 테이퍼 각도(θ1)가 지나치게 컸기 때문에 퍼스트 본딩 공정 후의 Al 와이어(W)에 크랙이 발생했다.As shown in Fig. 13, in Comparative Examples 11 and 12, since the taper angle [theta] 1 of the tapered hole 20 was too large, a crack occurred in the Al wire W after the first bonding process.

한편, 실시예 14 및 15에서는 퍼스트 본딩 공정 후의 Al 와이어(W)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s 14 and 15, cracks were not generated in the Al wire W after the first bonding process.

이 결과로부터 테이퍼 형상 구멍(20)의 테이퍼 각도(θ1)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is result, 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r angle [theta] 1 of the tapered hole 20 is 100 [deg.] Or less.

이것에 의해 Al 와이어(W)로의 크랙의 발생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As a result, occurrence of cracks in the Al wire W can be suitably suppressed.

테이퍼 형상 구멍(20)의 테이퍼 각도(θ1)는 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따기부(40)의 곡률 반경을 소정의 값(예를 들면, 4.55㎛ 이상, 20.3㎛ 이하, 또는 12.8㎛ 이상, 20.3㎛ 이하)으로 하면 테이퍼 형상 구멍(20)의 테이퍼 각도(θ1)가 0° 또는 0°에 가까운 경우이어도 Al 와이어(W)에 있어서 모따기부(40)에 접촉하고 있던 부분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것이 억제된다.The taper angle? 1 of the tapered hole 20 is preferably 0 ° or more.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4.55 占 퐉 or more, 20.3 占 퐉 or less, or 12.8 占 퐉 or more and 20.3 占 퐉 or less), when the taper angle? 1 of the tapered hole 20 is 0 ° or 0 °, cracks ar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portion of the Al wire W that has been in contact with the chamfered portion 40.

본딩시에 있어서 Al 와이어(W)와 리드 전극(100)의 경계면(이하, 단순히 「경계면」이라고 한다)에는 Al 와이어(W)와 리드 전극(100)을 접합하기 위한 에너지가 발생한다. 에너지 분포는 접합 강도에 영향을 준다.Energy is generated for bonding the Al wire W and the lead electrode 100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Al wire W and the lead electrode 100 at the time of bonding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interface"). The energy distribution affects the bond strength.

도 14는 본딩시의 시뮬레이션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imulation result at the time of bonding.

도 15는 본딩시에 있어서 에너지 분포의 시뮬레이션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15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imulation result of the energy distribution at the time of bonding.

도 16은 와이어 지름(Dw)과 압박면 외경(Dp)을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 항목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6 is a diagram show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 bonding strength " item when the wire diameter Dw and the pressing face outer diameter Dp are changed.

도 14는 접합부를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경계면은 대략 타원 형상이다. 도 14에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구해진 에너지분포가 경계면 상에 콘투어 표시되어 있다.Fig. 14 is a view showing the joining portion obliquely from below. Fig.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the boundary surface has an approximately elliptical shape. In Fig. 14, the energy distribution obtained by the simulation is contour-displayed on the boundary surface.

예를 들면, 압박면 외경(Dp)(도 3 참조)과 와이어 지름(Dw)(도 7 및 도 8 참조)의 비율(Rd)(=Dp/Dw)을 변화시킴으로써 에너지 분포는 변화된다. 여기에서, 압박면 외경(Dp)이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틀넥부(14)의 외주면의 연장면과, 테이퍼 형상 구멍(20)의 단부를 포함하는 평면을 교차시켜서 생성되는 가상 원(Cr)의 직경이다.For example, the energy distribution is changed by changing the ratio Rd (= Dp / Dw) of the pressing surface outer diameter Dp (see Fig. 3) and the wire diameter Dw (see Figs. 7 and 8). 3, the compression surface outer diameter Dp is an imaginary circle (Cr) generated by intersecting an extending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ttle neck portion 14 and a plane including the end portion of the tapered hole 20, .

도 15(a)에는 와이어 지름(Dw)과 압박면 외경(Dp) 사이의 비율(Rd)이 6배 미만인 경우의 시뮬레이션 결과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5(b)에는 와이어 지름(Dw)과 압박면 외경(Dp) 사이의 비율(Rd)이 6배 이상인 경우의 시뮬레이션 결과가 나타내어져 있다.Fig. 15 (a) shows a simulation result when the ratio Rd between the wire diameter Dw and the pressing surface outer diameter Dp is less than six times. Fig. 15 (b) shows a simulation result when the ratio Rd between the wire diameter Dw and the pressing surface outer diameter Dp is 6 or more times.

도 15(a) 및 도 15(b)에는 에너지 분포의 반분이 도시되어 있다.Fig. 15 (a) and Fig. 15 (b) show half of the energy distribution.

도 16의 「스티치 접합」 항목은 세컨드 본딩 공정 후, 도 8에 나타내는 스티치 부분(S)에 있어서 충분한 접합 강도가 얻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스티치 접합」 항목에서는 충분한 접합 강도가 얻어진 경우를 「○」로 하고 있다. 본 평가에 사용한 검체의 압박면(30)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평균 높이(Rc)는 0.20㎛ 이상, 0.23㎛ 이하이다.The item " stitch bonding " in Fig. 16 indicates whether or not sufficient bonding strength is obtained in the stitch portion S shown in Fig. 8 after the second bonding process. In the " stitch bonding " item, a case where sufficient bonding strength is obtained is indicated by "? &Quot;. The average height Rc of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specimen used in the present evaluation on the pressing surface 30 is not less than 0.20 占 퐉 and not more than 0.23 占 퐉.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율(Rd)이 비교적 큰 비교예 13 및 15에 있어서는 소정의 결합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와이어 지름(Dw)에 대해서 압박면(30)의 면적이 지나치게 커서 경계면에 발생하는 단위 면적당의 에너지 생성량이 작기 때문이다. 이 경우, 소정의 결합 강도가 얻어지지 않고, Al 와이어(W)가 경계면에 있어서 리드 전극(100)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As shown in Fig. 13, in Comparative Examples 13 and 15 in which the ratio (Rd) is relatively large, a predetermined bonding strength can not be obtained. This is because the area of the pressing surface 30 is excessively large with respect to the wire diameter Dw and the amount of energy generated per unit area generated at the interface is small.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bonding strength can not be obtained, and the Al wire W may be peeled from the lead electrode 100 at the interface.

한편, 비율(Rd)이 비교적 작은 비교예 14에서도 소정의 결합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와이어 지름(Dw)에 대해서 압박면(30)의 면적이 지나치게 작아서 충분한 접합 면적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also in Comparative Example 14 in which the ratio Rd is relatively small, a predetermined bonding strength can not be obtained. This is because the area of the pressing surface 30 is too small with respect to the wire diameter Dw, and a sufficient joining area can not be obtained.

이것에 대해서 실시예 16~19에서는 비율(Rd)은 4.0배 이상, 5.7배 이하이다. 실시예 16~19에서는 소망의 접합 강도가 얻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s 16 to 19, the ratio (Rd) was 4.0 times or more and 5.7 times or less. In Examples 16 to 19, desired bonding strength is obtained.

이상의 결과로부터 비율(Rd)은 4.0배 이상, 5.7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e above results,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Rd is 4.0 times or more and 5.7 times or less.

이것에 의해 소망의 접합 강도가 얻어진다.As a result, a desired bonding strength is obtained.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캐필러리(1)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캐필러리(1)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예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에는 캐필러리(1)의 제조 방법 중 모따기부(40)를 형성하는 순서 및 압박면(30)과 모따기부(40)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Next, an example of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pillar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ar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pillary 1. 17 shows the order of forming the chamfered portions 40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pillary 1 and the order of forming the concave and convex shapes on the pressing surface 30 and the chamfered portion 40. [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압박면(30)과 테이퍼 형상 구멍(20)의 경계 부분에 R모따기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이 경계 부분에 모따기부(40)를 형성한다(스텝 S101). R모따기 가공은, 예를 들면 브러시 연마에 의해 행해진다. 브러시 연마의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연마압이나 연마 시간이 있고, 이들 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소망의 곡률 반경을 갖는 모따기부(40)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the chamfered portion 40 is first formed at the border portion between the pressing surface 30 and the tapered hole 20 by R chamfering (step S101). The R chamfering is performed, for example, by brush polishing. As the conditions of the brush polishing, there are, for example, a polishing pressure and a polishing time. By optimizing these conditions, the chamfered portion 40 having a desired radius of curvature can be formed.

계속해서, 압박면(30) 및 모따기부(40)에 대해서 샌드 블라스트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압박면(30) 및 모따기부(40)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한다(스텝 S102).Subsequently, the pressing surface 30 and the chamfered portion 40 are sandblasted to form a concave-convex shape on the surface of the pressing face 30 and the chamfered portion 40 (step S102).

계속해서, 모따기부(40)만을 브러시 연마함으로써 모따기부(40)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41)의 첨예 정도를 압박면(30)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31)의 첨예 정도보다 작게 한다(스텝 S103). 이것에 의해 압박면(30)과 테이퍼 형상 구멍(20) 사이에 모따기부(40)를 구비함과 아울러 압박면(30) 및 모따기부(40)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는 캐필러리(1)가 제조된다.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41 i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40 is determined by the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31 in the convexo-concave shape of the pressing face 30, (Step S103). Thereby, the chamfered portion 40 is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surface 30 and the tapered hole 20 and the capillary (not shown) having a fine concavo-convex shape on the surface of the pressing surface 30 and the chamfered portion 40 1).

또한, 상술한 제조 방법의 순서는 일례이며, 다른 순서에 의해 모따기부(40) 및 요철 형상을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스텝 S102에 있어서 샌드 블라스트 가공을 행한 후, 스텝 S103에 있어서 모따기부(40)만을 브러시 연마하기 전에 압박면(30) 및 모따기부(40)의 양쪽을 브러시 연마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압박면(30) 및 모따기부(40)의 표면에 볼록부(31, 41)의 선단 부분의 면적이 오목부(32, 42)의 바닥 부분의 면적보다 큰 요철 형상, 바꿔 말하면 볼록부(31, 41)의 첨예 정도가 오목부(32, 42)의 첨예 정도보다 작은 요철 형상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압박면(30) 및 모따기부(40)에 대한 브러시 연마는 스텝 S103의 후에 행해도 좋다.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is an example, and the chamfered portion 40 and the concavo-convex shape may be formed by other procedures. For example, after sandblasting is performed in step S102, both of the pressing surface 30 and the chamfered portion 40 may be subjected to brush polishing before brushing only the chamfered portion 40 in Step S103. The surface area of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convex portions 31 and 41 is larger than that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s 32 and 42 on the surface of the pressing face 30 and the chamfered portion 40.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liably form a concavo-convex shape in which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portions 31 and 41 is small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cave portions 32 and 42. [ The brush polishing of the pressing surface 30 and the chamfered portion 40 may be performed after Step S103.

(변형예)(Modified exampl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소위 보틀넥 타입의 본딩 캐필러리를 사용해서 설명했지만, 본원이 개시하는 본딩 캐필러리는 반드시 보틀넥 타입의 본딩 캐필러리일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틀넥부를 구비하지 않는, 즉 선단 부분이 가늘게 절삭되지 않은 통상 타입의 본딩 캐필러리가어도 좋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using a so-called bottle neck type bonding capillary, the bonding capillary disclosed herein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 bottle neck type bonding capillary. For example, a normal type bonding capillary not having a bottle neck portion, that is, a tip portion of which is not cut narrowly may be used.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압박면과 모따기부에 요철 형상이 형성될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압박면에는 반드시 요철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모따기부와 테이퍼 형상 구멍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concavo-convex shape is formed on the pressing face and the chamfered portion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sing fac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have the concave-convex shape. Further, the chamfered portion and the tapered hole may be provided with concave and convex shapes.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칩의 패드 전극과 리드 프레임의 리드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원이 개시하는 본딩 캐필러리는 상기 이외의 대상물에 대해서 본딩 와이어를 접합할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ad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lead electrode of the lead fram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the bonding capillary disclo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bonding the bonding wire to other objects Lt; / RTI >

추가적인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보다 광범위한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나타내며, 또한 상술한 특정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Additional advantages or modifications may readily be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broad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resen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details and representative embodiments. Accordingly,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general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W : Al 와이어 T : 테일 부분
S : 스티치 부분 Cr : 가상 원
Dp : 압박면 외경 Dw : 와이어 지름
1 : 본딩 캐필러리 11 : 삽입 통과 구멍
12 : 원통부 13 : 원뿔부
14 : 보틀넥부 20 : 테이퍼 형상 구멍
30 : 압박면 40 : 모따기부
50 : 경계각부 100 : 리드 전극
200 : 패드 전극
W: Al wire T: Tail part
S: stitch part Cr: virtual circle
Dp: Compression surface outer diameter Dw: Wire diameter
1: Bonding capillary 11: Insertion hole
12: Cylinder part 13: Conical part
14: Bottle neck part 20: Tapered hole
30: compression face 40: chamfer
50: border part 100: lead electrode
200: pad electrode

Claims (12)

본딩 와이어를 압박하는 압박면과,
상기 본딩 와이어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압박면을 연결하고, 상기 압박면을 향해서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 구멍과,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과 상기 압박면 사이에 형성되는 모따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따기부는,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가 상기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첨예 정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캐필러리.
A pressing surface for pressing the bonding wire,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bonding wire is inserted,
A tapered hole connecting the insertion hole and the pressing surface and widening toward the pressing surface,
And a chamfer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tapered hole and the pressing surface,
The chamfered portion may include:
And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vexo-concave shape is small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cave portion in the convexo-concave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의 요철 형상은,
왜도가 -0.164 이하이며, 또한 평균 높이가 0.035㎛ 이상, 0.09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캐필러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is,
Wherein the degree of distortion is not more than -0.164 and the average height is not less than 0.035 占 퐉 and not more than 0.092 占 퐉.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면은,
요철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압박면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가 상기 모따기부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캐필러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ressing surface
And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pressing surface is larg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면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은,
평균 높이가 0.1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캐필러리.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vexo-concave shape of the pressing surface
And an average height of 0.113 mu m or mor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 및 상기 압박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곡면을 갖고, 또한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이 4.55㎛ 이상, 20.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캐필러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hamfered portion may include:
The curved surface continuing smoothly to the tapered hole and the pressing surface, and the curvature radius of the curved surface is not less than 4.55 mu m and not more than 20.30 mu 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 및 상기 압박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곡면을 갖고, 또한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이 12.8㎛ 이상, 20.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캐필러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hamfered portion may include:
The curved surface continuing smoothly to the tapered hole and the pressing surfac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is not less than 12.8 탆 and not more than 20.30 탆.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의 테이퍼 각도는 1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캐필러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apered hole has a taper angle of 100 DEG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면의 외경은 상기 본딩 와이어의 와이어 지름의 4.0배 이상, 5.7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캐필러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ing surface is 4.0 times or more and 5.7 times or less of the wire diameter of the bonding wir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면은,
요철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압박면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가 상기 모따기부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보다 크며,
상기 압박면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은,
평균 높이가 0.113㎛ 이상이며,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 및 상기 압박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곡면을 갖고, 또한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이 4.55㎛ 이상, 20.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캐필러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ressing surface
And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pressing face is larg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The convexo-concave shape of the pressing surface
An average height of 0.113 mu m or more,
The chamfered portion may include:
The curved surface continuing smoothly to the tapered hole and the pressing surface, and the curvature radius of the curved surface is not less than 4.55 mu m and not more than 20.30 mu 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면은,
요철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압박면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가 상기 모따기부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첨예 정도보다 크며,
상기 압박면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은,
평균 높이가 0.113㎛ 이상이며,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 및 상기 압박면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곡면을 갖고, 또한 상기 곡면의 곡률 반경이 12.8㎛ 이상, 20.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캐필러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ressing surface
And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pressing face is larger than the degree of sharpness of the convex portion in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chamfered portion,
The convexo-concave shape of the pressing surface
An average height of 0.113 mu m or more,
The chamfered portion may include:
The curved surface continuing smoothly to the tapered hole and the pressing surfac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is not less than 12.8 탆 and not more than 20.30 탆.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의 테이퍼 각도는 100°이하이며,
상기 압박면의 외경은 상기 본딩 와이어의 와이어 지름의 4.0배 이상, 5.7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캐필러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aper angle of the tapered hole is 100 DEG or less,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ing surface is 4.0 times or more and 5.7 times or less of the wire diameter of the bonding wir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형상 구멍의 테이퍼 각도는 100°이하이며,
상기 압박면의 외경은 상기 본딩 와이어의 와이어 지름의 4.0배 이상, 5.7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딩 캐필러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aper angle of the tapered hole is 100 DEG or less,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ing surface is 4.0 times or more and 5.7 times or less of the wire diameter of the bonding wire.
KR1020150070870A 2014-06-30 2015-05-21 Bonding capillary KR10194148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4142 2014-06-30
JPJP-P-2014-134142 2014-06-30
JPJP-P-2015-011542 2015-01-23
JP2015011542A JP6126144B2 (en) 2014-06-30 2015-01-23 Bonding capilla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43A true KR20160002343A (en) 2016-01-07
KR101941486B1 KR101941486B1 (en) 2019-01-23

Family

ID=5535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870A KR101941486B1 (en) 2014-06-30 2015-05-21 Bonding capillar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126144B2 (en)
KR (1) KR101941486B1 (en)
PH (1) PH12015000222A1 (en)
TW (1) TWI60943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0256B1 (en) * 2016-11-28 2018-01-31 Toto株式会社 Bonding capillary
CN110842339B (en) * 2019-11-12 2023-11-07 苏州三环科技有限公司 Ceramic chopp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9741A (en) * 1987-08-06 1989-02-10 Seiko Epson Corp Capillary
JPH0758140A (en) * 1993-08-12 1995-03-03 Nec Corp Capillary, lead frame, and wire bonding method using them
JPH09326411A (en) 1996-06-05 1997-12-16 Sony Corp Wire bonding device
JP2009540624A (en) * 2006-07-03 2009-11-19 クリック アンド ソッファ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ク. Bonding tool with improved finish
JP2014082450A (en) * 2012-09-26 2014-05-08 Toto Ltd Bonding capillar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9741A (en) * 1987-08-06 1989-02-10 Seiko Epson Corp Capillary
JPH0758140A (en) * 1993-08-12 1995-03-03 Nec Corp Capillary, lead frame, and wire bonding method using them
JPH09326411A (en) 1996-06-05 1997-12-16 Sony Corp Wire bonding device
JP2009540624A (en) * 2006-07-03 2009-11-19 クリック アンド ソッファ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ク. Bonding tool with improved finish
JP2014082450A (en) * 2012-09-26 2014-05-08 Toto Ltd Bonding capilla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486B1 (en) 2019-01-23
TW201601229A (en) 2016-01-01
PH12015000222A1 (en) 2017-01-09
JP2016027602A (en) 2016-02-18
JP6126144B2 (en) 2017-05-10
JP2016029745A (en) 2016-03-03
TWI609437B (en)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4308B2 (en) Bonding capillary
JP5510691B2 (en) Bonding capillary
JP7359245B2 (en) Rotating tools and joining methods
KR101941486B1 (en) Bonding capillary
JP5303643B2 (en) Ultrasonic bonding tool, method for manufacturing ultrasonic bonding tool, ultrasonic bonding method, and ultrasonic bonding apparatus
US8820609B2 (en) Wire bonding tool
JP2004088005A (en) Capillary for wire bonding and wire-bonding method using same
CN1496482A (en) Contact probe
KR101482597B1 (en) Bonding capillary
JP2006013512A (en) Capillary for wire bonding
US20190273355A1 (en) Bonding method for conductor of electric wire and electric wire
EP3549709A1 (en) Bonding method for conductor of electric wire using ultrasonic bonding and corresponding electric wire
CN109860067B (en) Welded ceramic chopper
JP5656099B1 (en) Optical receptacle, ferrule and plug ferrule
JP2009283814A (en) Capillary for wire bonding and electronic component assembling apparatus
WO2011040543A1 (en) Bonding capillary
JP6975917B2 (en) Joint structure
CN118043949A (en) Wedge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18022820A (en) Capillary in wedge bonding, wire bonding method and bonded wire
JP2014007430A (en) Bonding capillary
JP3245322B2 (en) Ferrule for optical fiber connector
JP2004079564A (en) Ultrasonic welding horn for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lytic capacitor
JPH01319950A (en)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0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28

Effective date: 201809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