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285U - 공구대 번호판 - Google Patents

공구대 번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285U
KR20160002285U KR2020140009483U KR20140009483U KR20160002285U KR 20160002285 U KR20160002285 U KR 20160002285U KR 2020140009483 U KR2020140009483 U KR 2020140009483U KR 20140009483 U KR20140009483 U KR 20140009483U KR 20160002285 U KR20160002285 U KR 201600022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plate
tool
indexing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538Y1 (ko
Inventor
손주현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9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538Y1/ko
Priority to CN201521066188.6U priority patent/CN205237103U/zh
Publication of KR201600022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16Turret lathes for turning individually-chucked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7/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e.g. controlled by cams; Equipment therefor; Features common to automatic and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one or more working-spindles
    • B23B7/02Automatic or semi-automatic machines for turning of stock
    • B23B7/04Turret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Knives (AREA)

Abstract

공구대 번호판은 둘레에 복수 개의 공구들이 장착된 공구대의 전방 평면에 결합 가능하고 환형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삽입홈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공구들을 각각 나타내는 식별부들이 형성된 인덱싱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구대 번호판{NUMBER PLATE FOR TOOL POST}
본 고안은 공구대 번호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작기계용 터렛에 사용되는 공구대 번호판에 관한 것이다.
공작 기계는 가공 방법에 따라 크게 터닝 센터(Turning Center)와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터닝 센터는 복수 개의 공구들를 장착하고 가공 과정에서 필요한 공구를 인덱싱(indexing)하는 터렛 공구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구대에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공구의 위치 확인을 위한 공구대 번호판이 부착될 수 있다.
종래의 공구대 번호판에 있어서, 양각, 음각 또는 프린팅 방법에 의하여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금형 비용, 가공 비용 등에 따라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절삭유 또는 칩에 의해 번호판이 벗겨지거나 희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과제는 향상된 시인성, 디자인 및 경제성을 갖는 공구대 번호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구대 번호판은 둘레에 복수 개의 공구들이 장착된 공구대의 전방 평면에 결합 가능하고 환형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삽입홈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공구들을 각각 나타내는 식별부들이 형성된 인덱싱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인덱싱 플레이트에 번호 형상을 갖도록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노출시키는 식별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제1 컬러를 가지고, 상기 인덱싱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컬러와 다른 제2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주철을 포함할수 있고, 상기 인덱싱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체결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인덱싱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체결홀에 결합된 고정 나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덱싱 플레이트의 숫자 형상을 갖는 식별부는 상기 인덱싱 플레이트와 다른 컬러의 하부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덱싱 플레이트의 식별부는 상기 인덱싱 플레이트 자체의 컬러와 다른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구대 번호판의 시인성(Vis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 번호판에 비하여 기능, 외관 디자인 및 경제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주철 고유의 색깔을 이용하여 시인성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양각, 음각, 프린팅 방법으로 형성된 번호판보다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스테인리스 강의 인덱싱 플레이트 교체만으로 여러가지 옵션 각수 표현이 가능하다. 더욱이, 절삭유 또는 칩에 의해 번호판이 벗겨지거나 희미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닝센터의 공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구대에 설치되는 공구대 번호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구대 번호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터닝센터의 공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구대에 설치되는 공구대 번호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구대 번호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터닝 센터의 공구대(10)는 바디 프레임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구대 번호판(20)은 공구대(10)의 전방 평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공구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공구대(10)의 둘레에는 복수 개의 공구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공구는 다양한 형태의 절삭 공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구대(10)는 특정한 공구를 선택하기 위하여 인덱싱(indexing)되어 일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렛 기어(도시되지 않음)는 공구대(10)의 일측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서보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서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공구대 번호판(20)은 공구대(10)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2) 및 베이스 플레이트(22) 상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공구대(10)의 둘레에 장착된 공구들을 각각 나타내는 식별부들을 갖는 인덱싱 플레이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는 둘레에 복수 개의 공구들이 장착되는 공구대(10)의 전방 평면(12)에 결합될 수 있다. 공구대(10)의 둘레에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공구들을 장착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공구 고정 홀더들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는 공구대(10)의 전방 평면(12)에 상기 공구 고정 홀더들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22)는 원형의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는 고정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공구대(10)의 전방 평면(12)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외측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21)이 이격 형성되고, 복수 개의 고정 나사들이 제1 관통홀들(21)을 관통하여 공구대(10)의 전방 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홀들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인덱싱 플레이트(24)는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전방 측면 상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전방 측면에는 삽입홈(23)이 형성되고, 인덱싱 플레이트(24)는 삽입홈(2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홈(23)은 환형 형상을 갖고 상기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인덱싱 플레이트(24)는 삽입홈(23)에 대응하도록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인덱싱 플레이트(24)는 고정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전방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인덱싱 플레이트(22)에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25)이 이격 형성되고, 복수 개의 고정 나사들이 제2 관통홀들(25)을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전방 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홀들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덱싱 플레이트(24)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공구들을 각각 나타내는 식별부들(26)이 형성될 수 있다. 식별부(26)는 된 공구대(10)의 전방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식별부들(26)는 인접하게 장착된 공구들의 종류를 나타내는 숫자, 기호,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26)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공구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식별부(26)는 인덱싱 플레이트(24)에 원하는 숫자 형상을 갖도록 관통 형성된 식별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홀은 인덱싱 플레이트(24) 하부의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전방 측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는 제1 컬러를 가지고, 인덱싱 플레이트(24)는 상기 제1 컬러와 다른 제2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22)는 주철과 같은 제1 금속을 포함하고, 인덱싱 플레이트(24)는 스테인레스 강,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제2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은 상기 제2 금속과 다른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인덱싱 플레이트(24)의 숫자 형상을 갖는 관통홀 형태의 식별부(26)는 인덱싱 플레이트(24)와 다른 컬러의 하부의 베이스 플레이트(22)를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덱싱 플레이트(24)의 식별부(26)는 인덱싱 플레이트(24) 자체의 컬러와 다른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구대 번호판의 시인성(Vis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 번호판에 비하여 기능, 외관 디자인 및 경제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주철 고유의 색깔을 이용하여 시인성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양각, 음각, 프린팅 방법으로 형성된 번호판보다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스테인리스 강의 인덱싱 플레이트 교체만으로 여러 가지 옵션 각수 표현이 가능하다. 더욱이, 절삭유 또는 칩에 의해 번호판이 벗겨지거나 희미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공구대 20: 공구대 번호판
22: 베이스 플레이트 23: 삽입홈
24: 인덱싱 플레이트 26: 식별부

Claims (5)

  1. 둘레에 복수 개의 공구들이 장착된 공구대의 전방 평면에 결합 가능하고, 환형 형상의 삽입홈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삽입홈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공구들을 각각 나타내는 식별부들이 형성된 인덱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구대 번호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인덱싱 플레이트에 번호 형상을 갖도록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노출시키는 식별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 번호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제1 컬러를 가지고, 상기 인덱싱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컬러와 다른 제2 컬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 번호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주철을 포함하고, 상기 인덱싱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 번호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체결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인덱싱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체결홀에 결합된 고정 나사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대 번호판.
KR2020140009483U 2014-12-23 2014-12-23 공구대 번호판 KR200490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483U KR200490538Y1 (ko) 2014-12-23 2014-12-23 공구대 번호판
CN201521066188.6U CN205237103U (zh) 2014-12-23 2015-12-18 刀架牌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483U KR200490538Y1 (ko) 2014-12-23 2014-12-23 공구대 번호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85U true KR20160002285U (ko) 2016-07-01
KR200490538Y1 KR200490538Y1 (ko) 2019-11-28

Family

ID=5593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483U KR200490538Y1 (ko) 2014-12-23 2014-12-23 공구대 번호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0538Y1 (ko)
CN (1) CN20523710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142Y1 (ko) * 1998-12-29 2004-08-21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수직형 터렛 공구대의 번호 플레이트
KR20090004666U (ko) * 2007-11-13 2009-05-18 황근하 수납케이스 구조 맨홀표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142Y1 (ko) * 1998-12-29 2004-08-21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수직형 터렛 공구대의 번호 플레이트
KR20090004666U (ko) * 2007-11-13 2009-05-18 황근하 수납케이스 구조 맨홀표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538Y1 (ko) 2019-11-28
CN205237103U (zh)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80773B (zh) 一种多功能数控车床刀杆装置
CN104339028A (zh) 用于车削/车拉削工件的刀具
US10086424B2 (en) Helix tool locking system
KR20160002285U (ko) 공구대 번호판
CN107231796B (zh) 机床
CN205926756U (zh) 一种电机冲片用冲头及使用该冲头的冲裁模具
CN216372527U (zh) 一种球锁工具保持器嵌件和球锁工具保持器系统
JP5987979B2 (ja) パンチプレス
JP4308795B2 (ja) プレス金型における調整可能な位置決めコマ
KR101675080B1 (ko)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딥 롤링 공구의 가공롤러
CN205571434U (zh) 一种用于内圆孔粗加工的镗刀组件
CN211390212U (zh) 一种方向盘饰盖焊接用快换夹具
CN209580981U (zh) 雕铣机
US9272319B2 (en) Machining tool for machining sheet metal
JP2008119790A (ja) 工具ホルダ、およびその工具ホルダを取り付け可能なnc旋盤装置
CN205571435U (zh) 一种用于小尺寸圆孔精加工的镗刀组件
CN216682153U (zh) 用于圆盘类零件的盘式孔定位装置
CN211332209U (zh) 一种牛奶灌装机阀杆加工用工装
JP2019005895A (ja) Cnc機械に適したツールホルダの正確な角度位置決めのための装置及びこのような装置を備えたツールホルダ
CN106965108B (zh) 一种钨钢铣刀档位式卡接盘
CN213134694U (zh) 一种汽车零件高质量冲孔模具
CN211276123U (zh) 保证底盘的异形孔同心度的冲孔模
CN208826093U (zh) 一种用于加工车辆差速器壳体上通孔的工装
CN207577940U (zh) 一种cnc转台辅夹具
KR20170064331A (ko) 선반의 센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