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145U - 정도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정도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145U
KR20160002145U KR2020140009189U KR20140009189U KR20160002145U KR 20160002145 U KR20160002145 U KR 20160002145U KR 2020140009189 U KR2020140009189 U KR 2020140009189U KR 20140009189 U KR20140009189 U KR 20140009189U KR 20160002145 U KR20160002145 U KR 201600021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arking
coupled
guide pi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993Y1 (ko
Inventor
원광민
정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9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99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1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1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9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정도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고, 검사 대상 물체에 접촉하여 마킹 가능한 한 쌍의 마킹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마킹부가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정도 검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도 검사장치{ACCURACY INSPEC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정도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의 건조 시, 정반 상에서 소형 블록을 결합시켜 형성되는 대형 블록은, 선박 조립 작업에 필요한 기준 평면이 된다. 소형 블록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데, 이 과정에서 소형 블록 간의 결합에 경사가 생기면 소형 블록이 이루는 대형 블록이 평탄하지 않게 되어 선박이 불안정하게 건조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건조 작업 중에 소형 블록 간의 평탄 정도를 검사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대형 블록은 적어도 지면으로부터 2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발판에 올라가서 검사 작업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5455호(2009. 11. 05, 평탄도 검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검사 대상 물체에 마킹 자국을 남겨 자국의 상태를 보고 정도를 검사할 수 있는 정도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고, 검사 대상 물체에 접촉하여 마킹 가능한 한 쌍의 마킹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마킹부가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정도 검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마킹부가 결합되는 수평 바; 및 상기 수평 바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표시부가 결합되는 연장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바의 하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마킹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핀; 및 상기 가이드핀의 하단과 상기 삽입홀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이 하강하는 것을 허용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작업자는 프레임부를 들어올린 상태에서도 표시부를 보고 마킹부의 수평 배치 여부를 확인하여 마킹부를 검사 대상 물체의 저면에 접촉할 수 있으므로,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검사 대상 물체에 대해서도 정도 검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도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도 검사장치를 이용한 정도 검사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정도 검사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도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도 검사장치를 이용한 정도 검사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도 검사장치는 프레임부(100), 한 쌍의 마킹부(200) 및 표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은 수평 바(110) 및 연장 바(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T'자 형상일 수 있고, 프레임부(100)가 'T'자 형상인 경우, 수평 바(110)는 'T'자 형상의 가로획의 형상일 수 있고, 연장 바(130)는 'T'자 형상의 세로획의 형상일 수 있다.
수평 바(110)의 상면에는 한 쌍의 마킹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상하 구분은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연장 바(130)는 수평 바(110)에서 하향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는 연장 바(130)의 하단부를 잡고 작업자의 신체가 닿지 않는 높이에 위치한 검사 대상 물체를 검사할 수 있다. 검사 대상 물체는 예를 들어 선박의 조립블록(B1, B2)일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도 검사장치를 사용하여 두 개의 조립블록(B1, B2)의 저면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조립블록(B1, B2)의 경우, 지면으로부터 2m 이상의 높이에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발판에 올라가 검사 작업을 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데, 연장 바(130)에 의하면 발판 사용 없이 작업자가 지면에서 정도 검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발판을 사용하지 않아 지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정도 검사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넓은 범위의 조립블록을 연속적으로 검사할 수 있어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연장 바(130)의 하단에는 작업자가 수동 조작 시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손잡이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마킹부(200)는 프레임부(1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마킹부(200)는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어 수평 바(110)의 양단 상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마킹부(200)는 접촉하는 물체에 마킹 가능할 수 있다. 마킹은 마킹부(200)가 검사 대상 물체에 자국을 남기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 쌍의 마킹부(200) 각각은 서로 다른 검사 대상 물체에 접촉될 수 있다. 한 쌍의 마킹부(200)에 의하여 서로 다른 검사 대상 물체에 남겨지는 각각의 마킹 자국은 평탄 정도를 검사하는 척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마킹 자국이 서로 다른 굵기나 농도인 경우, 평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각각의 마킹 자국이 같은 굵기나 농도인 경우, 평탄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마킹부(200)는 각각 제1 조립블록(B1)의 저면 및 제2 조립블록(B2)의 저면에 마킹할 수 있고, 각각의 마킹 자국을 작업자가 확인함으로써 두 개의 조립블록(B1, B2) 사이의 정도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마킹부(200)가 소모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프레임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교체 가능할 수 있다. 한 쌍의 마킹부(200)는 예를 들어 석필일 수 있다.
표시부(300)는 한 쌍의 마킹부(200)가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00)는 연장 바(130)에 결합될 수 있다. 표시부(300)는 연장 바(130)에 결합됨으로써, 작업자의 눈높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는 표시부(300)를 확인하여 연장 바(130)를 조작함으로써, 한 쌍의 마킹부(200)를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표시부(300)는 예를 들어 트라이포드 수평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도 검사장치는 가이드핀(500) 및 탄성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핀(500)은 프레임부(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삽입홀(111)에 삽입되어, 프레임부(100) 및 마킹부(200)를 가이드할 수 있다.
탄성부재(600)은 가이드핀(500)의 하단과 삽입홀(111)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어, 외력에 의해 가이드핀(500)이 하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력이란, 작업자가 결합라인(W)에 가이드핀(500)을 가압하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가이드핀(500)은 삽입홀(111) 내에서 외력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삽입홀(111)은 수평 바(110)에 형성될 수 있고, 수평 바(110)를 관통하여 연장 바(130)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가이드핀(500)의 상단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수평 바(110)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마킹부(20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핀(500)은 외력에 의해 탄성부재(600)가 압축되는 길이만큼 하향 이동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향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600)는 한 쌍의 마킹부(200)가 검사 대상 물체에 접촉할 때까지 압축될 수 있다.
가이드핀(500)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하여 검사 대상 물체 사이의 결합라인(W)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핀(500)에 의하여 한 쌍의 마킹부(200)의 이동 경로가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핀(500)의 상부는 결합라인(W)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검사 대상 물체가 조립블록인 경우, 결합라인(W)은 용접 결합된 제1 조립블록(B1)과 제2 조립블록(B2) 사이의 용접라인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B1: 제1 조립블록 B2: 제2 조립블록
W: 결합라인 100: 프레임부
110: 수평 바 111: 삽입홀
130: 연장 바 200: 마킹부
300: 표시부 400: 손잡이부
500: 가이드핀 600: 탄성부재

Claims (4)

  1.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고, 검사 대상 물체에 접촉하여 마킹 가능한 한 쌍의 마킹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마킹부가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정도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마킹부가 결합되는 수평 바; 및
    상기 수평 바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표시부가 결합되는 연장 바를 포함하는 정도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바의 하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정도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한 쌍의 마킹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핀; 및
    상기 가이드핀의 하단과 상기 삽입홀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이 하강하는 것을 허용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도 검사장치.
KR2020140009189U 2014-12-12 2014-12-12 정도 검사장치 KR200487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89U KR200487993Y1 (ko) 2014-12-12 2014-12-12 정도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89U KR200487993Y1 (ko) 2014-12-12 2014-12-12 정도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45U true KR20160002145U (ko) 2016-06-22
KR200487993Y1 KR200487993Y1 (ko) 2018-11-30

Family

ID=5634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189U KR200487993Y1 (ko) 2014-12-12 2014-12-12 정도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9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902B1 (ko) 2018-07-23 2019-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원격 기자재 정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8Y2 (ko) * 1988-08-01 1993-01-19
KR0121326Y1 (ko) * 1994-12-28 1998-08-01 윤원석 선박외판의 용접변형량 측정장치
KR19980049028U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 슬라이드도어용 중앙레일의 쿼터글래스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8Y2 (ko) * 1988-08-01 1993-01-19
KR0121326Y1 (ko) * 1994-12-28 1998-08-01 윤원석 선박외판의 용접변형량 측정장치
KR19980049028U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자동차 슬라이드도어용 중앙레일의 쿼터글래스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902B1 (ko) 2018-07-23 2019-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원격 기자재 정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993Y1 (ko) 201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38735B (zh) 汽车天窗总成三坐标检测用夹具装置
KR101830457B1 (ko) 배터리 팩의 치수 측정 장치
KR200487993Y1 (ko) 정도 검사장치
US20100126257A1 (en) Large Diameter Hardness Tester
CN204248310U (zh) 一种用于汽车板件夹具
CN207789007U (zh) 一种机械手工作位置偏移的检测机构
KR20120077128A (ko) 외장재 재단 장치
CN204353681U (zh) 汽车板件夹具
US9442039B2 (en) Equipment for measuring piston rings
KR20150025134A (ko) 리프팅 러그용 하중 테스트 장치
CN204248307U (zh) 一种汽车板件压紧装置
KR200413891Y1 (ko) 수평게이지가 부착된 교량받침
CN204248313U (zh) 一种汽车板件夹具
CN210268508U (zh) 一种高世代tft玻璃a型架检测装置
CN110500936B (zh) 一种尺寸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200479120Y1 (ko) 온도센서를 내장한 용접토치
CN204248308U (zh) 一种用于汽车板件的夹具
CN214110380U (zh) 钻孔定位器
CN215766857U (zh) 产品垂直度检测设备
CN205325206U (zh) 一种履带板双面铣自动定心夹具
CN212658170U (zh) 异形管检测装置
KR101344458B1 (ko) 홀 위치 검사기구
KR101607231B1 (ko) 경사면 계측장비를 위한 거치장치
CN106017265A (zh) 一种圆弧零件高度测量装置
JP2015044645A (ja) 楔形ジャッ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