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131U - 목걸이형 이어셋 - Google Patents

목걸이형 이어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131U
KR20160002131U KR2020140009162U KR20140009162U KR20160002131U KR 20160002131 U KR20160002131 U KR 20160002131U KR 2020140009162 U KR2020140009162 U KR 2020140009162U KR 20140009162 U KR20140009162 U KR 20140009162U KR 20160002131 U KR20160002131 U KR 201600021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cable
lower housing
housing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696Y1 (ko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모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9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9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1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1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격한 활동시 이어셋이 착용자의 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이어셋의 비사용시 그 보관 또는 휴대의 편의성도 함께 보장할 수 있는 목걸이형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은,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 구성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바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상호 탈부착시키는 착탈 수단;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이어폰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일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이어폰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 및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3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 간의 교차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대향하며 배치되어 상기 착탈 수단에 의해 상호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3 케이블이 목걸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걸이형 이어셋{NECKLACE TYPE EARSET}
본 고안은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목걸이 형태로 착용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가 휴대 전자 단말기의 주요 기능으로 내장됨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단말기를 통하여 여러 가지 컨텐츠들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전자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음악을 듣거나 통화를 시도하고자 할 경우 이어셋 내지 헤드셋(이하, '이어셋'으로 통칭)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어셋은 전선의 도중에 음성입력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바디가 구비되고, 일측 끝단에는 전자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잭이 구비되며, 상기 잭에서 분기된 전선의 타측에는 이어폰 한 쌍이 구비되는 유선 이어셋 형태가 있고, 상기 잭을 대체하여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채용하여 잭을 전자 단말기에 연결할 필요없이 무선으로 음악 감상 및 통화 기능을 구현하는 무선 이어셋 형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포츠와 같은 격한 활동시 이어셋이 착용자의 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어셋의 바디를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C자 형상의 넥밴드 형태(선행특허 1 참조)로 구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는, 이어셋을 사용하지 않을 때 가방이나 핸드백에 보관하지 않고 목에 걸어 전선이 엉키지 않은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이어폰 측에 한 쌍의 착탈수단(예컨대, 한 쌍의 영구자석)을 장착한 형태로(선행특허 1,2 참조) 구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C자 형상의 넥밴드 형태의 이어셋은 사용자의 목에 안정적으로 착용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제품의 부피가 커지고, 특히 C자 형상의 넥밴드는 형태가 가변되지 못하고 고정되어 접거나 말수 없기 때문에 해당 제품의 비사용시 가방이나 핸드백에 보관이 불편하여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선행특허 2와 같이 이어폰 측에 한 쌍의 착탈수단을 마련한 이어셋의 경우, 제품의 비사용시 그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격한 활동시 이어폰이 귀에서 쉽게 이탈하여 분실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선행특허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4590호 (2014.05.28) 선행특허 2.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186호 (2013.04.08)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격한 활동시 이어셋이 착용자의 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이어셋의 비사용시 그 보관 또는 휴대의 편의성도 함께 보장할 수 있는 목걸이형 이어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은,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 구성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바디;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상호 탈부착시키는 착탈 수단;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이어폰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일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이어폰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 및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3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 간의 교차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대향하며 배치되어 상기 착탈 수단에 의해 상호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3 케이블이 목걸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에 의하면, 스포츠와 같은 격한 활동시에도 이어셋이 착용자의 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분실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더불어 이어셋의 비사용시에는 케이블을 감거나 말아 최소의 부피로 수납할 수 있어 그 보관 또는 휴대의 편의성은 극대화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상부 하우징의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하부 하우징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과정에서 수반되는 교차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완료시 형성되는 목걸이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상태도.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아래 또는 종단부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상부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하부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목걸이형 이어셋은 바디(10), 케이블 (30) 및 한 쌍의 이어폰(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바디(10)는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으로 구성되고, 착탈 수단(40)을 구비하며, 케이블(30)은 제1 케이블(31), 제2 케이블(32) 및 제3 케이블(33)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걸이형 이어셋은 바디(10)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PCB)(50),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51), 마이크(53), 접속포트(57), 발광부(미도시) 및 배터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디(10)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15) 또는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53)이 장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어 명령'이란 음량조절 명령, 음악재생 명령, 통화의 연결 또는 종료 명령 등과 같이 이어셋과 통신 연결된 전자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지칭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 명령 입력 수단(15)은 버튼 또는 터치 패널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은 전자 단말기로 전송되어 그에 상응하는 기능이 실현되게 된다. 참고로, 도 1의 실시예는 제어 명령 입력 수단(15)을 버튼 형태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음성 입력 수단(53)은 전화 통화 또는 녹음 기능 같이 이어셋을 통해 전자 단말의 음성 관련 기능을 진행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입력 수단(53)은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51)을 통해 전자 단말기로 전송됨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기능이 실현되게 된다.
이러한 바디(10)는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 구성된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으로 구성되고,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은 착탈 수단(40)에 의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하우징(11)은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50),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51), 음성 입력 수단(53), 접속포트(57), 및 영구 자석(40)이 구비되고, 일 영역에는 제어 명령 입력 수단(15)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다.
한편, 마이크는 인쇄회로기판(50)에 실장되어 바디(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마이크에 수직 상부에 대응하는 바디(10)의 일 위치에는 음성이 해당 마이크 측으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음성홀(5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은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배터리(60)가 장착된다.
본 고안의 케이블은 전자 단말기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각 이어폰(20)으로 전송하기 위한 도체선으로서, 세부적으로는 접속 대상 내지 연결 위치를 기준으로 제1 케이블(31), 제2 케이블(32) 및 제3 케이블(33)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케이블(31)은 본 고안의 케이블의 전체 영역 중 상부 하우징(11)으로부터 인출 및 연장되어 제1 이어폰(21)과 연결되는 케이블 영역을 지칭한다. 따라서, 제1 케이블(31)은 그 일단부는 상부 하우징(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이어폰(21)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제2 케이블(32)은 본 고안의 케이블(30)의 전체 영역 중 하부 하우징(13)으로부터 인출 및 연장되어 제2 이어폰(22)과 연결되는 케이블 영역을 지칭한다. 따라서, 제2 케이블(32)은 그 일단부는 하부 하우징(13)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이어폰(22)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제3 케이블(33)은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 사이에 개재되는 케이블 영역을 지칭한다. 따라서, 제3 케이블(33)은 그 일단부는 상부 하우징(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부 하우징(13)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제3 케이블(33)은 후술할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 간의 교차 동작 그리고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 간의 부착 동작에 의해 목걸이 형태를 형성하게 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고안의 이어폰(20)은 제1 이어폰(21) 및 제2 이어폰(22) 한 쌍으로 구비되는데, 제1 이어폰(21)은 제1 케이블(31)을 통해 상부 하우징(11)과 연결되고, 제2 이어폰(22)은 제2 케이블(32)을 통해 하부 하우징(13)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이어폰(21)과 제2 이어폰(22)은 각각 사용자의 귀에 삽입 착용되고, 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그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본 고안의 착탈 수단(40)은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을 상호 탈부착시키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후술할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 간의 교차 동작 후,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을 상호 결합시켜 목걸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기능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 수단(40)은 영구 자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a)와 같이 상부 하우징(11) 내부의 하면 측에 제1 영구자석(41)이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도 2(b)와 같이 하부 하우징(13) 내부의 상면 측에 제1 영구자석(41)과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영구자석(43)이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경우, 상부 하우징(11)은 제1 영구자석(41)이 부착되어 있는 일면이 제2 영구자석(43)이 부착되어 있는 하부 하우징(13)의 일면과 대향하며 밀착되는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
한편, 도 2 실시예의 경우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 모두 영구 자석(40)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부 하우징(11)에는 영구 자석을 장착하고 하부 하우징(13)에는 금속재를 장착하거나, 또는 그 반대 경우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 수단(40)은 끼움 돌기와 끼움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부 하우징(11)의 일 외면 상에는 돌기 형상의 끼움 돌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하부 하우징(13)의 일 외면 상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억지 끼움될 수 있는 구조의 끼움홈을 끼움 돌기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우, 상부 하우징(11)은 끼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일면이 끼움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하우징(13)의 일면과 대향하며 밀착되는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
본 고안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51)은 이어셋이 전자 단말기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51)은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기술 표준이다. 주로 10m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인다. 무선통신으로 신호를 주고 받기 때문에 이어셋과 전자 단말기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생략할 수 있고, 일정 거리 떨어지더라도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51)은 전자 단말기와 커플링되어 전자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이어폰을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제어 명령 입력 수단(15) 또는 음성 입력 수단(53)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전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51)은 인쇄회로기판(50)에 실장되어 상부 하우징(11) 내부에 격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접속포트(57)는 바람직하게는 USB 포트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USB 포트(57)에는 전력선이 접속되어 하부 하우징(13)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60)의 충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발광부는 점멸 동작, 또는 발광색의 선택을 통해 이어셋 내지 전자 단말기의 현재 동작 내지 상태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음악 재생 중에는 녹색 빛을 점등하고, 충전 중에는 붉은 빛을 점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발광부는 LED 칩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배터리(60)는 하부 하우징(13) 내부에 구비되어 이어셋의 각 부품이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60)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분리형 또는 내장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 간의 교차 동작, 그리고 상기 교차 동작에 따른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 간의 부착 동작, 그리고 상기 부착 동작에 따른 목걸이 형태 형성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과정에서 수반되는 교차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완료시 형성되는 목걸이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전에는 도 1과 같이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이 상호 교차됨 없이 나란히 배열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기준으로 제1 이어폰(21)과 제1 케이블(31)은 왼쪽에 위치하고, 제2 이어폰(22)와 제2 케이블(32)은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음을 전제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셋을 착용하기 위한 중간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1과 같이 왼쪽에 위치한 제1 이어폰(21)을 오른쪽 방향(R1)으로 당기고, 오른쪽에 위치한 제2 이어폰(22)을 왼쪽 방향(L1)으로 당기면, 이에 수반하여 제1 이어폰(21)에 연결된 제1 케이블(31)은 오른쪽 방향(R1)으로 향하게 되고, 제2 이어폰(22)에 연결된 제2 케이블(32)은 왼쪽 방향(L1)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이어폰(21)과 제2 이어폰(22)의 좌우 방향 당김 동작이 임계치를 넘어서면 도 3과 같이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이 상호 교차하게 되는 교차 동작이 시작된다.
상기와 같은 교차 동작의 시작 후, 제1 이어폰(21)과 제2 이어폰(22)을 각각 좌우 방향 더 당기게 되면, 교차 지점(C1)은 점차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측으로 근접하게 되고, 종국에는 도 4와 같이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이 상호 대향하며 배치되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이 상호 대향하는 배치 상태에 이르게 되면, 착탈 수단(40)에 의해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이 상호 부착됨으로써 도 4와 같이 제3 케이블(33)이 목걸이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셋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1 상태의 제3 케이블(33)을 목에 걸친 상태에서 도 3과 같은 교차 동작을 실시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제3 케이블(33)이 목걸이 형태로 사용자의 목(5)을 감고 있게 되는 착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3 케이블(33)의 총 길이는 사용자의 적어도 목 둘레보다 더 큰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이어폰(21)과 제2 이이폰을 사용자의 양측 귀 (1,3)에 각각 삽입하면 본 고안의 이어셋의 착용이 완료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목걸이형 이어셋은 스포츠와 같은 격한 활동시에도 이어셋이 착용자의 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이어셋의 비사용시에는 케이블을 감거나 말아 최소의 부피로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한 휴대성도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고안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1: 상부 하우징 13: 하부 하우징
15: 제어 명령 입력 수단 21: 제1 이어폰
22: 제2 이어폰 31: 제1 케이블
32: 제2 케이블 33: 제3 케이블
40: 착탈수단 41: 제1 영구자석
43: 제2 영구자석 50: 인쇄회로기판
51: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53: 음성 입력 수단
57: 접속포트 60: 배터리

Claims (7)

  1. 제어 명령 또는 음성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바디; 및 음향을 출력하는 한 쌍의 이어폰(이하, '제1 이어폰 및 제2 이어폰'이라 함)을 포함하는 이어셋에 있어서,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 구성된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으로 이루어진 상기 바디;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을 상호 탈부착시키는 착탈 수단(40);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이어폰 (21)에 연결되는 제1 케이블(31); 일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13)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2 이어폰(22)에 연결되는 제2 케이블(32); 및 일단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13)에 연결되는 제3 케이블(3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상기 하부 하우징(13)은,
    상기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 간의 교차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이 대향하며 배치되어 상기 착탈 수단(40)에 의해 상호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3 케이블(33)이 목걸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40)은 상기 상부 하우징(11)에 구비되는 제1 영구자석(41); 및 상기 하부 하우징(13)에 구비되는 제2 영구자석(43)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은 자력에 의해 상호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40)은 상기 상부 하우징(11)에 구비되는 끼움 돌기; 및 상기 하부 하우징(13)에 구비되는 끼움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3)은 상기 끼움 돌기와 끼움홈 간의 억지 끼움 동작에 의해 상호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케이블(33)의 길이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목 둘레보다 더 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11) 내부에 구비되고, 전자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51); 및 상기 하부 하우징(13) 내부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의 입력 수단은 버튼 또는 터치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음성의 입력 수단은 마이크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상부 하우징(1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11)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50) 및 접속포트(5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이어셋.
KR2020140009162U 2014-12-11 2014-12-11 목걸이형 이어셋 KR200480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62U KR200480696Y1 (ko) 2014-12-11 2014-12-11 목걸이형 이어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62U KR200480696Y1 (ko) 2014-12-11 2014-12-11 목걸이형 이어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31U true KR20160002131U (ko) 2016-06-21
KR200480696Y1 KR200480696Y1 (ko) 2016-06-28

Family

ID=5634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162U KR200480696Y1 (ko) 2014-12-11 2014-12-11 목걸이형 이어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9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0153A (zh) * 2017-10-26 2018-03-20 深圳市乐伟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
KR101884355B1 (ko) * 2017-07-11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02107U (ko) * 2018-02-09 2019-08-20 전병률 핸즈프리용 이어폰
KR101986935B1 (ko) * 2018-01-25 2019-09-30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넥밴드형 음향 출력 장치
KR20220000013U (ko) * 2020-06-26 2022-01-04 김종성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386U (ko) * 1996-12-03 1998-09-05 최태규 휴대용 이어폰
KR200391303Y1 (ko) * 2005-05-20 2005-08-01 크레신 주식회사 목걸이형으로의 변경이 가능한 이어폰
KR200424249Y1 (ko) * 2006-05-16 2006-08-17 크레신 주식회사 목걸이/일반형 이어폰
KR20100012009A (ko) * 2008-07-27 2010-02-04 이진명 목걸이형 무선 블루투스 이어폰 장치
KR20130002186U (ko)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아이지일렉콤 이어폰
KR20140064590A (ko) 2013-02-21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386U (ko) * 1996-12-03 1998-09-05 최태규 휴대용 이어폰
KR200391303Y1 (ko) * 2005-05-20 2005-08-01 크레신 주식회사 목걸이형으로의 변경이 가능한 이어폰
KR200424249Y1 (ko) * 2006-05-16 2006-08-17 크레신 주식회사 목걸이/일반형 이어폰
KR20100012009A (ko) * 2008-07-27 2010-02-04 이진명 목걸이형 무선 블루투스 이어폰 장치
KR20130002186U (ko)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아이지일렉콤 이어폰
KR20140064590A (ko) 2013-02-21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55B1 (ko) * 2017-07-11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CN107820153A (zh) * 2017-10-26 2018-03-20 深圳市乐伟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
KR101986935B1 (ko) * 2018-01-25 2019-09-30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넥밴드형 음향 출력 장치
KR20190002107U (ko) * 2018-02-09 2019-08-20 전병률 핸즈프리용 이어폰
KR20220000013U (ko) * 2020-06-26 2022-01-04 김종성 휴대용 마스크 목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696Y1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8253A1 (en) Neck-strap type earphone
US10104463B2 (en) Wireless sound equipment
US10237642B2 (en) Wireless earphones and earphones charging case
KR200480696Y1 (ko) 목걸이형 이어셋
CN102804741B (zh) 包括耳机和便携保持装置的耳机系统
TWI364887B (en) Connectors designed for ease of use
KR101755320B1 (ko) 교체 가능한 넥밴드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1718325B1 (ko)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JP2015515787A (ja) 無線電話向けの一体型脱着可能イヤホン装置
CN102572635A (zh) 一种可切换耳机模式的耳机、终端及方法
US9414146B2 (en) Cord management and clip system for wireless audio receiver
US20150124991A1 (en) Light emitting earphone structure
CN210629797U (zh) 蓝牙耳机套件
CN210042126U (zh) 一种真无线耳机
US20180041826A1 (en) Wearable device for listening to sound
KR101373899B1 (ko) 블루투스 이어폰
CN107708019A (zh) 一种头戴入耳式一体耳机
US11290580B2 (en) Attachment module for detachably coupling with a mobile device
KR20170011549A (ko) 무선 이어셋
KR200483250Y1 (ko) 목걸이형 무선 이어폰 장치
CN212013028U (zh) Tws耳机独立供电电路和充电盒
WO2017141581A1 (ja) 携帯電話とヘッドセットを脱着可能に接続する装置
CN210007871U (zh) 一种磁吸式蓝牙耳机
CN203608328U (zh) 一种蓝牙耳机
EP3576424A1 (en) Audio out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