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883U -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883U
KR20160001883U KR2020160002667U KR20160002667U KR20160001883U KR 20160001883 U KR20160001883 U KR 20160001883U KR 2020160002667 U KR2020160002667 U KR 2020160002667U KR 20160002667 U KR20160002667 U KR 20160002667U KR 20160001883 U KR20160001883 U KR 201600018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handle bar
rotation
rotation cam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현
Original Assignee
서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현 filed Critical 서윤현
Priority to KR2020160002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883U/ko
Publication of KR20160001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06B2009/54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1Locking arrangements
    • E06B2009/804Locking arrangements acting directly on the sh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의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롤 방충망이 아래로 내려져 전개된 상태로 유지하거나, 전개상태를 해제하여 롤 망충망이 올려지는 동작을 이루게 하는 회전조작부의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며 소음없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롤 망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는 회전조작부(146)가 본체의 후방에 돌출된 체결부재(170)와, 상기 체결부재(170)가 출입되도록 회전캠(140) 내부에 형성된 체결홈부(184)와, 상기 체결홈부(184)에 수용된 체결부재(170)에 결합되는 보울트(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Locking Tool for Roller-Type Moth-proof Net}
본 고안은 롤식 방충망의 핸들바를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한 방충망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의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롤 방충망이 아래로 내려져 전개된 상태로 유지하거나, 전개상태를 해제하여 롤 망충망이 올려지는 동작을 이루게 하는 회전조작부의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며 소음없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롤 망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방충망은 스크린형태이며 롤 형태로 감겨 필요에 따라 펼쳐 설치하여서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창문과 출입문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롤 방충망은 롤 방충망이 고정프레임 내에 수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조립된 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롤 방충망을 출몰에 의하여 스크린형태로 방충망이 설치되므로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롤 방충망은 수직의 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방충망이 아래로 내려져 잠금으로 전개상태를 유지하고 전개상태를 해제할 때 잠금부를 해제하여 롤 방충망이 올려지게 되어 있다.
종래의 롤 방충망 로킹장치의 구동방식은 대부분 래크와 기어 또는 피니언을 사용하는 기어식을 채택한다.
이러한 기어식을 채택하는 종래의 롤식 방충망 로킹장치의 일예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5197호(발명의명칭: 로울러식 방충망의 망체손잡이용 잠금기구)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로킹장치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여서 신축조절이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조립되는 1쌍의 래크와, 상기 1쌍의 래크 사이에 끼워져서 치합되도록 형성된 피니언을 가지며 회전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작구와 상기 1쌍의 래크에 각각 길이가 길게 연결되며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설치되는 양측 잠금부재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조작구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피니언이 회전되고 래크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양측 잠금부재를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로킹 또는 언로킹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로킹장치는 래크와 피니언이 치합되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용이하지 않으며, 작동이 원활하지 않고, 잦은 사용에 따라 래크와 피니언이 서로 마모되기 쉬우며, 래크 이동시에 큰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래크와 피니언이 서로 이탈되기 쉬워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어식을 채택하는 종래의 롤식 방충망 로킹장치의 다른 예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4802호(고안의 명칭: 롤러식 방충망의 록킹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로킹장치는 전술한 로킹장치와 작동구조는 같고 다만, 잠금부재가 회동되도록 하는 구성이 추가된 것이다.
이 로킹장치 또한 래크와 피니언을 사용하게 되므로 전술한 로킹장치와 마찬가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용이하지 않으며, 작동이 원활하지 않고, 잦은 사용에 따라 래크와 피니언이 서로 마모되기 쉬우며, 래크 이동시에 큰 소음이 발생되고, 래크와 피니언이 서로 이탈되기 쉬워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래크와 피니언의 문제점을 개선한 회전조작부가 채택된 로킹장치에 있어서도 회전조작부의 결합상태가 복잡하여 생산은 물론 조립공정의 불편과 번거로움으로 경제적인 사용을 이룰 수 없고, 후크방식에 의한 결합되므로 사용중에 결합상태가 해제되거나 불량접촉으로 제 결합을 이루지 못하여 작동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조작부의 불안정한 결합상태로 사용중 슬라이더의 작동이 양호하지 못하게 되므로 작동불량에 따른 불편한 사용을 이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1519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14802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965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68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3347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 간단한 레버조작에 의해 롤 방충망의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하며 제작이 용이한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그리고 회전캠에 결합되어 회전조작이 가능한 회전조작부가 안정적이며 양호한 결합상태를 확보된 상태로 회동이 자유롭게 되므로 안정되며 양호한 작동으로 롤 방충망의 출몰을 이루는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회전조작부의 조작을 진동과 소음발생이 없이 이루어지므로 안정된 조작으로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는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에 배치된 롤 방충망 수용프레임(10)과, 양측에 배치된 롤 방충망 가이드프레임(20a)(20b)과, 하단부에 배치되며 창호에 고정되는 하부프레임(22)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a)(20b)과 하부프레임(2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롤 방충망(30)과, 롤 방충망(30)의 하단에 설치된 핸들바(40)와, 상기 핸들바(40)의 양단에 구비된 걸림구(24)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0a)(20b)의 하단에는 잠금키(112)가 고정되고, 상기 핸들바(40)의 양단에는 가이더(50)가 구비되고, 상기 핸들바(40)에 상부슬라이더(120)와 하부슬라이더(122)가 각각의 경사면(144)(144a)을 형성되고 경사면(144)(144a)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캠(140)의 회전에 의해 상부슬라이더(120)와 하부슬라이더(122)를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동시에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회전캠(14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캠(140)을 회전시키는 회전조작부(146)로 구성된 것에
상기 회전조작부(146)는 본체의 후방에 돌출된 체결부재(170)와; 상기 체결부재(170)가 출입되도록 회전캠(140) 내부에 형성된 체결홈부(184)와; 상기 체결홈부(184)에 수용된 체결부재(170)에 결합되는 보울트(180)를 포함하는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부(146)는 주걱형 또는 레버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170)와 체결홈부(184)는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회전캠(140)은 중심축으로부터 대칭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롤 방충망의 고정 및 해제장치를 개선하여 핸들바 내에 회전조작부를 간편하고 안정되게 게재하여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면서 조립작업의 간소화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 향상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레버조작에 의해 회전조작부를 작동하여 롤 방충망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며 캠방식에 의한 회전조작부의 작동을 유도하여 소음발생이 적고 안정되고 양호한 결합상태로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을 롤 방충망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조립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고 간단한 구조로 경제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롤 방충망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조작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잠금기구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 요부 정면도이고,
도 5a, 5b, 5c는 본 고안의 의한 회전조작구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롤 방충망을 전체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조작구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잠금기구를 요부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요부 정면도로 나타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의한 회전조작구가 설치된 상태를 요부 정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90)는 상부에 배치된 롤 방충망 수용프레임(10)과, 양측에 배치된 롤 방충망 가이드프레임(20a)(20b)과, 하단부에 배치되며 창호에 고정되는 하부프레임(22)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a)(20b)과 하부프레임(2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롤 방충망(30)과, 롤 방충망(30)의 하단에 설치된 핸들바(40)와, 상기 핸들바(40)의 양단에 구비된 걸림구(24)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0a)(20b)의 하단에는 잠금키(112)가 고정되고, 상기 핸들바(40)의 양단에는 가이더(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에 가이드걸림체(124)가 돌출되고 좌측에 경사면(144a)이 형성된 상부슬라이더(120)와 좌측에 가이드걸림체(126)이 돌출되고 우측에 경사면(144)가 형성된 하부슬라이더(122)와, 상기 상부슬라이더(120)의 경사면(144a) 우측과 상기 하부슬라이더(122)의 경사면(144) 좌측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한 상부슬라이더(120)와 하부슬라이더(122)를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동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캠(140)과, 상기 상부슬라이더(120)와 하부슬라이더(12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스프링걸림구(152)(154)에 양단이 결속되는 스프링(150)과, 상기 회전캠(140)에 결합되어 상기 캠부재(140)를 회전시키는 회전조작부(146)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2)은 도시를 생략한 창호에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 하단에는 걸림구(2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2)의 상부에는 롤방충망(30)이 구비되고 있다.
상기 롤 방충방(30)은 수용프레임(10)의 내부에 미도시된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는 감김롤이 축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감김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감김롤에 롤방충망(30)이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하여 롤방충망(30)의 설치 및 제거가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구(24)에는 상기 잠금키(112)가 결속되면서 로킹상태가 되어 롤방충망(30)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키(112)가 좌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걸림구(24)로부터 해제되어 롤방충망(30)이 해제상태가 된다.
상기 핸들바(40)는 롤방충망(30)의 하단에 설치되며 끝단으로부터 출몰되는 잠금키(112)가 내재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0a)(20b)의 하단 내측으로는 상기 잠금키(112)가 걸려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걸림구(24)가 결합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구(24)에 대응하는 잠금키(112)의 걸림에 의하여 롤방충망(30)은 전개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와 반대로 걸림구(24)로부터 잠금키(112)가 이탈됨에 따라 전개상태의 롤방충망(30)이 수용프레임(10) 내 축봉으로 감기면서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핸들바(40)는 상기 걸림구(24)로부터 상기 잠금키(112)가 해제되면 수용프레임(10)의 감김롤의 탄성력으로 상부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 핸들바(40)의 내측에는 양측으로 상기 잠금키(112)를 갖는 상,하부슬라이더(120)(12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의 상,하부슬라이더(120)(122)는 각각의 가이드걸림체(124)(126)와 안내홈(130)(132)에 의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슬라이더(120)(122)의 대응하는 중심에는 회전캠(140)이 결합되어 있고, 회전캠(140)의 경사돌기부(142)(142a)가 상기 상,하부슬라이더(120)(122)의 본체에 형성된 경사면(144)(144a)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캠(140)에는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회전조작구(146)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고, 회전캠(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돌기부(142)(142a)가 경사면(144)(144a)를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슬라이더(120)는 우측으로 이동되며 하부슬라이더(122)는 좌측으로 각각 이동된다.
그리고 상부슬라이더(120)와 하부슬라이더(122)에 결합된 잠금키(112)도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상부슬라이더(120)의 경사면(144)과 하부슬라이더(122)의 경사면(114a)는 상기 회전캠(14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경사돌기부(142)(142a)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144)(144a)는 상,하부슬라이더(120(122)의 경사돌기부(142)(142a)의 경사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 회전캠(140)은 상기 상부슬라이더(120)의 경사면(144) 좌측과 상기 하부슬라이더(122)의 경사면(144a) 우측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슬라이더(120)의 좌측으로의 슬라이딩과 상기 하부 슬라이더(122)의 우측으로 슬라이딩을 동시에 가능하도록 양단에 경사돌기부(142)(142a)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조작구(146)는 상기 회전캠(14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캠(1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조작구(146)은 후방에 체결부재(170)와, 상기 체결부재(170)에 삽입되는 나사부(182)를 가지는 보울트(1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부(182)는 보울트(180)에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캠(140)은 상기 체결부재(170)와 맞물려 결합되는 체결홈부(184)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조작부(14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결홈부(184)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캠(1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조작구(146)은 주걱형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레버형 또는 본 고안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롤 방충망의 핸들바 고정 및 해제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롤 방충망(30)이 수용프레임(10)에 출몰 가능한 상태로 감겨 있고, 펼치고자 할 때에는 핸들바(40)를 잡고 하부 쪽으로 잡아당기면, 롤 방충망(30)의 하단이 이동되면서 펼쳐지게 되고, 핸들바(40)가 하단에 배치됨과 걸림구(24)와 가이더(50)의 상호 대응에 의하여 체결되면서 롤 방충망(3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방충을 이루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롤 방충망(30)이 펼쳐진 상태로 록킹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해지되면 롤 방충망(30)이 도시를 생략한 회동축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자동으로 롤 방충망(30)이 수용프레임(10)으로 유입되어 안전한 수용상태가 되므로 출몰가능한 사용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에서 상기의 걸림구(24)는 가이드프레임(20a)(20b)의 개방된 하단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잠금키(112)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핸들바(40)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는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핸들바(40) 끝단에 삽입되는 가이더(50)는 일측으로 핸들바(40)의 끝단 내측으로 끼움부가 삽입되어 상호 간의 체결력을 제공하고 있고, 상기 끼움된 가이더(50)에 대향하여 횡방향으로 잠금키(112)가 출몰되어 잠금 및 해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잠금키(112)의 출몰을 달성하는 방충망 잠금 및 해제장치(9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 성형되어 있는 핸들바(40)의 내측에 삽입하는 것으로, 양측에는 상,하부슬라이더(120)(122)가 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상,하부슬라이더(120(122)의 하단에는 상기 잠금키(112)가 결합되어 있어 슬라이더(120)(122)의 수평운동에 의하여 잠금키(112)가 함께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각각의 슬라이더(120(122)가 대응하는 중앙부에는 회전캠(140)이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캠(140)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는 경사돌기부(142)(142a)는 복수의 상,하부슬라이더(120)(12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사선 경사면(144)(144a)에 밀착되어 있어 회전캠(140)의 운동에 의하여 경사면(144)(144a)을 밀어서 상,하슬라이더(120)(122)는 수평방향으로 유동가능한 것이다.
특히, 상기 회전캠(140)은 상기 각각의 상,하부슬라이더(120)(122)가 대향하는 중심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상,하부슬라이더(120(122)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걸림체(124)(126)가 상,하부슬라이더(120)(122)의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130)(132)에 결합되어서 각각의 상,하부슬라이더(120)(122)를 조립하고 있으면서 각각의 상,하부슬라이더(120)(122)의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회전캠(140)이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이루면 각각의 상,하부슬라이더(120)(12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진이 이루어지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캠(140)이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이루면 각각의 상,하부슬라이더(120)(12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후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한 상,하부슬라이더(120)(122)에는 내향되어 대응되도록 스프링걸림구(152)(154)가 형성되고, 스프링(150)을 개재하여서 완충되도록 하고 있어서, 상기의 스프링(150)을 후퇴하면 함몰 방향으로 작동된 상,하부슬라이더(120(122)가 전진하여 전진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상,하부슬라이더(120(122)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핸들바 로킹장치(90)는 핸들바(40)의 승강작용과 고정 및 해제를 순차적으로 반속하면서 롤방충망(30)에 대한 전개상태와 보관상태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핸들바 로킹장치(90)의 작동은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핸들바(40)를 하강시켜 롤방충망(30)을 전개하면 상기 핸들바(40) 내부의 핸들바 로킹장치(90)는 가이드프레임(20a)(20b)를 따라 도 4의 도시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로 유동한 후 잠금 또는 해제를 하게 된다.
이러한 핸들바(40)의 하강에 따라 잠금키(112)는 끝단이 가이드프레임(20a)(20b) 하단에 설치된 걸림구(24)에 유입되어 간섭하게 되면 잠금상태가 되고, 상기 잠금키(112)가 원상태로 모아 지면 걸림구(24)로 이탈되어 간섭이 해제되므로 해제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돌출 상태인 잠금키(112)는 회전조작부(146)가 결합된 회전캠(140)의 정회전과 함께 슬라이더(120)(122)가 전진운동으로 외부 돌출운동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회전캠(140)의 역회전으로 슬라이더(120)(122)가 원상복귀되는 것에 의하여 돌출되었던 잠금키(112)도 수축되므로 걸림구(24)에서 잠금과 해제동작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회전조작부(146)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체결부재(170)가 회전캠(140) 내부에 형성된 체결홈부(184)에 삽입되어 체결을 이룸과 동시에 체결부재(170)는 보울트(180)에 연장되어 있는 나사부(182)와 나선결합되어 안전하고 양호한 조립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회전조작부(146)의 회전운동력을 회전캠(140)에 전달하므로 상,하부슬라이더(120(122)은 좌,우측 방향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상,하부슬라이더(120)(122)의 전진운동은 각각의 상,하부슬라이더(120)(122)가 밀착상태로 수축될 때 스프링(150)의 압축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전진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핸들바(40)의 하향운동을 이루던 핸들바(40)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력을 제거하면 롤방충망(30) 및 핸들바(40)는 수용프레임(10) 내의 스프링에 의한 감기동작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잠금키(112)를 포함한 상,하부슬라이더(120)(122)가 회전캠(140)의 회전운동과 스프링(150)의 지속적인 탄성 복원력으로 전, 후진하여 핸들바(40)의 고정과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회전조작부(146)의 안정된 결합상태로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캠(14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하부슬라이더(120)(122)의 운동량에 따라 잠금키(112)가 출몰되면서 걸림구(24)에 대응하게 되어 감김과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며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고 회전캠(140)의 이탈우려가 없이 안정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루게 한다.
상기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10; 수용프레임 20a,20b; 가이드프레임
22; 하부프레임 24; 걸림구
30;롤방충망 40; 핸들바
50; 가이더 112; 잠금키
120,122; 상,하부슬라이더 124,126; 가이드걸림체
130,132; 안내홈 140; 회전캠
142,142a; 경사돌기부 144,144a; 경사면
146; 회전조작부 150; 스프링
152,154; 스프링걸림구 170; 체결부재
180; 보울트 182; 나사부
184; 체결홈부

Claims (1)

  1. 상부에 배치된 롤 방충망 수용프레임(10)과, 양측에 배치된 롤 방충망 가이드프레임(20a)(20b)과, 하단부에 배치되며 창호에 고정되는 하부프레임(22)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a)(20b)과 하부프레임(2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롤 방충망(30)과, 롤 방충망(30)의 하단에 설치된 핸들바(40)와, 상기 핸들바(40)의 양단에 구비된 걸림구(24)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0a)(20b)의 하단에는 잠금키(112)가 고정되고, 상기 핸들바(40)의 양단에는 가이더(50)가 구비되고, 상기 핸들바(40)에 상부슬라이더(120)와 하부슬라이더(122)가 각각의 경사면(144)(144a)을 형성되고 경사면(144)(144a)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캠(140)의 회전에 의해 상부슬라이더(120)와 하부슬라이더(122)를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동시에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회전캠(14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캠(140)을 회전시키는 회전조작부(146)로 구성된 것에,
    상기 회전조작부(146)는 본체의 후방에 돌출된 체결부재(170)와; 상기 체결부재(170)가 출입되도록 회전캠(140) 내부에 형성된 체결홈부(184)와; 상기 체결홈부(184)에 수용된 체결부재(170)에 결합되는 보울트(180)를 포함하는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부(146)는 주걱형 또는 레버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170)와 체결홈부(184)는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회전캠(140)은 중심축으로부터 대칭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
KR2020160002667U 2016-05-17 2016-05-17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 KR201600018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67U KR20160001883U (ko) 2016-05-17 2016-05-17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67U KR20160001883U (ko) 2016-05-17 2016-05-17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746U Division KR20150004219U (ko) 2014-05-15 2014-05-15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089U Division KR20170002312U (ko) 2017-06-16 2017-06-16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83U true KR20160001883U (ko) 2016-06-01

Family

ID=5613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667U KR20160001883U (ko) 2016-05-17 2016-05-17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88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813A (ko) * 2020-12-23 2020-12-30 서윤현 롤스크린의 승강손잡이프레임 잠금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813A (ko) * 2020-12-23 2020-12-30 서윤현 롤스크린의 승강손잡이프레임 잠금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7345B2 (en) Actuator for a screen latch for engaging sill and header tracks
KR20100088070A (ko) 회동체의 왕동기구
KR101875113B1 (ko) 폴딩도어 잠금장치
KR200414802Y1 (ko) 롤러식 방충망의 록킹장치
WO2009072839A1 (en) Locking device for a window
KR200389392Y1 (ko) 개폐식 방충망의 핸들 잠금장치
KR20170002312U (ko)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
KR20160001883U (ko)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
US20120124774A1 (en) Device At A Control Mechanism For A Window Fixture At A Turntable Window
KR101899999B1 (ko) 블라인드 작동줄 안전손잡이
KR20150004219U (ko) 롤 방충망의 핸들바 로킹장치
DE19549035A1 (de) Haltevorrichtung für ein Rollo
KR102030741B1 (ko) 롤방충망의 록킹구조
KR101599896B1 (ko)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US11976513B2 (en) Security gate
JP4216260B2 (ja)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KR20100024649A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0725338B1 (ko) 롤식 방충망 로킹장치
KR101985446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JP5970382B2 (ja) 建具および突出維持部品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JP5502004B2 (ja) 開放規制装置および建具
KR200477448Y1 (ko) 롤 타입 방충망
JP3622077B2 (ja) 収納網戸
KR200476585Y1 (ko) 롤 방충망의 핸들바 고정 및 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