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623U - Dish bracket - Google Patents

Dish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623U
KR20160001623U KR2020140008120U KR20140008120U KR20160001623U KR 20160001623 U KR20160001623 U KR 20160001623U KR 2020140008120 U KR2020140008120 U KR 2020140008120U KR 20140008120 U KR20140008120 U KR 20140008120U KR 20160001623 U KR20160001623 U KR 20160001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late
plate
main
plate member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12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병국
Original Assignee
손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병국 filed Critical 손병국
Priority to KR2020140008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623U/en
Publication of KR20160001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2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2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ntainers, e.g. flasks, bottles, tins, milk p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8Plate-holders

Abstract

본 고안은 그릇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와 폭이 같고 서로 교차하도록 끼워 맞춰 우물 정(井)자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주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수용부를 구비한 주 판재; 상기 주 판재 중, 용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외측으로 일체 부분 연장된 8개의 판재에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가로판재의 단부 사이에 세로연결판재를 연결하여 형성한 제1연결판재; 및, 상기 주 판재 중, 상기 용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외측으로 일체 부분 연장된 8개의 판재에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세로판재와, 상기 세로판재와 교차하는 가로판재 사이에 보조 가로판재와 보조 세로판재를 교차되게 연결하여 형성한 제2연결판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판재와 제2연결판재는 별도의 그릇을 올려놓을 수 있는 그릇 받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l support, comprising: a main plate having a length and a width equal to each other and fitted to each other to form a well shape and having a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main container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first connection plate formed by connecting vertically connecting plate members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side plates facing each oth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eight plates integrally extended outwardly outward from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auxiliary sheet member and an auxiliary sheet member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sheet members which face each other in parallel and the horizontal sheet members which intersect with the vertical sheet member in the eight sheet members integrally extended partly outwardly outward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out of the main sheet members,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re formed of a second connecting plate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so as to cross each other.

Description

그릇 받침대{DISH BRACKET}{DISH BRACKET}

본 고안은 그릇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담는 그릇을 동시에 진열하여 받칠 수 있도록 한 그릇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w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wl holder which can be used to simultaneously display and hold food containers.

일반적으로, 그릇이나 접시는 가장자리가 음식물을 담는 바닥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어 널리 사용된다.Generally, a bowl or dish is widely used because the edge is formed slightly higher than the floor containing the food.

식문화권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담기 위하여 적어도 한 식탁에 복수의 그릇이 사용되는데, 그릇에 담기는 음식물은 상온에서 섭취되는 음식물과, 수육, 보쌈 등과 같이 일정온도 이상으로 데워진 상태에서 섭취되는 음식물로 구분될 수 있다.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ood culture, at least one dish is used for at least one table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foods. The food to be contained in the dish is a food which is consumed at room temperature, And food that is consumed in the state.

이때, 데워진 음식물이 접시에 담긴 경우에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외기 온도와 열 교환되어 음식물이 식게 됨으로써, 맛이 떨어짐에 따라 식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음식물의 보온을 유지시킬 방안이 고안되었다.At this time, when the warmed food is contained in the dish, the food is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ambient temperature as time passes, so that a method of maintaining the warming of the food during the meal as the taste is decreased has been devised.

다시 말해서, 고체 연료가 타면서 그 열이 물그릇을 가열하고, 물그릇에 담겨 있는 물이 데워지게 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수육그릇을 가열하여 수육을 데워 보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as the solid fuel burns, the heat heats the water vessel,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vessel is heated, so that the water vapor can heat the vessel and maintain the heat by heating the vessel.

대체로 이러한 수육그릇은 식탁의 중앙에 놓이거나, 쟁반에 올려진 상태로 식탁에 올려놓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se crockery are either placed in the center of the table or placed on the table on a tray.

그리고, 이 수육과 함께 섭취되는 채소, 김치 등의 반찬이 함께 있는 음식의 경우에는 반찬을 담을 별도의 그릇을 사용하여 식탁에 불규칙한 형태로 배치하므로 음식물의 전시 효과를 부각시키지 못하며, 상기 수육그릇을 식탁의 중앙에 놓거나, 쟁반에 올려진 상태로 식탁에 올려놓을 경우, 식탁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다른 반찬을 놓을 공간이 마땅치 않게 되거나 반대편에 있는 반찬을 들어올려 취식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foods having side dishes such as vegetables, kimchi, etc., which are consumed together with the meat, the side dishes are placed in an irregular shape using a separate dish for holding the side dishes, so that the effect of exhibiting the food can not be emphasized. If you put it on the table at the center of the table or put it on the tray, you have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able space and you do not have enough space to place the other side dish, or it is inconvenient to pick up side dishes on the other sid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7124호(2013.03.15)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27124 (March 31, 2013)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앙의 메인 음식과 그 둘레의 반찬 그릇의 위치와 높이를 정형화하고, 식탁에 쟁반상태로 올려놓을 수 있게 세트화하여 음식물의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그릇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and a cooking apparatus, which are capable of stereotyping the position and height of a central main dish and its surrounding side dishes, So that the effect of exhibiting the food can be enhanc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그릇 받침대는, 길이와 폭이 같고 서로 교차하도록 끼워 맞춰 우물 정(井)자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주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수용부를 구비한 주 판재; 상기 주 판재 중, 용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외측으로 일체 부분 연장된 8개의 판재에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가로판재의 단부 사이에 세로연결판재를 연결하여 형성한 제1연결판재; 및, 상기 주 판재 중, 상기 용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외측으로 일체 부분 연장된 8개의 판재에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세로판재와, 상기 세로판재와 교차하는 가로판재 사이에 보조 가로판재와 보조 세로판재를 교차되게 연결하여 형성한 제2연결판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판재와 제2연결판재는 별도의 그릇을 올려놓을 수 있는 그릇 받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holder having a length and a width equal to each other and fitted to each other so as to have a well shape, Main plate; A first connection plate formed by connecting vertically connecting plate members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side plates facing each oth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eight plates integrally extended outwardly outward from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auxiliary sheet member and an auxiliary sheet member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sheet members which face each other in parallel and the horizontal sheet members which intersect with the vertical sheet member in the eight sheet members integrally extended partly outwardly outward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out of the main sheet members,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re formed of a second connecting plate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so as to cross each other.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제1연결판재는 상기 용기 수용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판재는 상기 주 판재의 모서리측에 각각 4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결판재를 기준으로 상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s is provided on each of right and left sides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has four configurations on the edge sides of the main plate, One on each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plate material.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그릇 받침부는, 3개의 그릇이 하나로 연결된 연결형 그릇이 수용되고, 상기 제2연결판재로 이루어진 제1받침부; 및, 각각의 상기 제1받침부 사이에 하나의 그릇이 수용되는 제2받침부를 포함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wl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first receiving portion, which is formed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ccommodates a connecting type bowl in which three vessels are connected together,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in which one vessel is accommodated between each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s.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그릇 받침대에 의하면, 중앙의 메인 음식과 그 둘레의 반찬 그릇의 위치와 높이를 정형화하고, 식탁에 쟁반상태로 올려놓을 수 있게 세트화함으로써, 음식물의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according to the bowl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main main dish and its surrounding side dishes can be standardized and set to be placed on the table as a tra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increase.

또한, 그릇 받침대에 올려놓은 그릇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그릇 받침대로부터 그릇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쟁반을 매개로 그릇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므로 편의성이 증진되고, 실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owl placed on the bowl support is prevented from being shaken, the bow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bowl support, and the bowl can be easily moved through the tra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더욱이, 그릇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제작 가능하므로 식탁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음식을 들어올려 취식하기 용이하다.Moreover,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in a relatively small size compared to the size of the bowl, it does not take up much of the table space, so it is easy to raise and eat the food.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므로 저렴하게 판매할 수 있으며, 가정에 국한되지 않고 소형 또는 대형 음식점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Moreover,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it can be sold at a low cost, and it is advantageous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small or large restaurant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hom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릇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릇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그릇 받침대를 쟁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w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bow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wl rest of Fig. 2 is installed on a tray. Fig.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그릇 받침대는, 길이가 서로 다른 가로판재와 세로판재를 격자 구조로 조립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a bow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ssembling a horizontal plate member and a vertical plate member having different lengths in a lattice structure.

일반적으로, 이러한 격자 구조는 하나의 가로판재나 세로판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판재에 형성된 홈에 다른 세로판재나 가로판재를 끼워 맞추는 과정을 통해 일정한 높이를 이루는 조립체를 구성하게 된다.Generally, such a lattice structure constitutes an assembly having a certain height through a process of fitting another vertical plate or a horizontal plate to a groove formed in at least one plate of one of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먼저, 길이와 폭이 같은 4개의 주 판재(10)를 서로 교차하도록 끼워 맞춰 우물 정(井)자 형태로 조립함으로써, 그 중앙부에 보온 음식이 담긴 보온 용기(100)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수용부(11)를 구비하게 된다.First, the four main plates 10 having the same length and width are fitt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assembled into a well shape, so that the container accommodating the thermosensitive container 100 containing the warm- (11).

상기 용기 수용부(11)의 판재 안쪽에는 물 그릇과, 상기 물 그릇에 담긴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가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보온 그릇 등이 수용 가능하게 된다.A water vessel,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vessel, and a thermal insulation vessel capable of containing the heated food are accommodated in the plate material of the vessel accommodating portion 11.

이렇게 상기 용기 수용부(11) 안쪽에 물 그릇, 가열수단, 보온 그릇이 설치될 경우 그 높이는 상기 판재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When a water vessel, a heating means, and a warming bowl are installed inside the vessel receiving portion 11, the height of the vessel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late.

따라서, 여기에 수육, 보쌈 등과 같이 일정온도 이상으로 데워진 상태의 메인 음식이 올려질 경우에는 그 높이는 더 상승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main food is heated up to a certain temperature or more, such as the meat, bossam, etc., the height of the main food is increased.

상기 주 판재(10) 중, 상기 용기 수용부(11)의 외측으로 외측으로 일체 부분 연장된 8개의 판재에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가로판재(12)의 단부 사이에 세로연결판재(13a)를 연결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제1연결판재(20)를 형성하게 된다.A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13a is disposed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side plates 12 facing each other in the eight plate members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main plate member 10 outwardly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11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plate 20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formed.

이러한 제1연결판재(20)는 상기 용기 수용부(11)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The first connecting plates 20 are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 respectively.

또한, 상기 주 판재(10) 중, 상기 용기 수용부(11)의 외측으로 외측으로 일체 부분 연장된 8개의 판재에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세로판재(13)와, 상기 세로판재(13)와 교차하는 가로판재(12) 사이에 보조 가로판재(12a)와 보조 세로판재(13b)를 교차되게 연결하여 사각형 형상의 제2연결판재(30)를 형성하게 된다. In the main plate member 10, eight plate members integrally extended partly outwar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11 are provided with a vertical plate member 13 and a vertical plate member 13, The auxiliary transverse plate 12a and the auxiliary transverse plate 13b are crossed with each other to form a rectangular second connecting plate 30 between the intersecting transverse plates 12.

상기 제2연결판재(30)는 상기 주 판재(10)의 모서리측에 각각 4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결판재(20)를 기준으로 상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Each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s 30 has four components on the edge sides of the main plate 10 and one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plate 20.

여기서, 상기 용기 수용부(11)의 외측에 둘러싸인 제1연결판재(20)와 제2연결판재(30)는 별도의 반찬그릇(200)을 올려놓을 수 있는 그릇 받침부(14)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plate member 20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member 30 enclosed by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11 may be composed of a bowl receiving portion 14 on which a separate side dish 200 can be placed .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릇 받침부(14)는 3개의 그릇(200)이 하나로 연결된 연결형 반찬그릇(210)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판재(30)로 이루어진 제1받침부(14a)를 포함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bowl rest 14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type side dish 210 connected with three vessels 200, And a portion 14a.

그리고, 상기 제1받침부(14a)에 연결형 반찬그릇(210)을 올려놓을 경우에 상기 제1연결판재(20)에는 하나의 반찬그릇(220)을 올려놓을 수 있는 제2받침부(14b)의 공간이 마련된다. The second connecting plate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second receiving portion 14b on which a side dish 220 can be placed when the connecting side dish 200 is placed o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4a. .

여기서, 상기 제1받침부(14a)와 제2받침부(14b)의 판재와 판재간의 간격은 상기 그릇(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걸려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그릇 받침부(14)에 그릇(200)이 올려질 경우 판재와 판재 사이에 돌출부가 수용되므로 그릇(200)의 이탈 없이 안정감 있게 지지 가능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plate materials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14a and 14b is such that protrusio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ssel 200 can be received and accommodated. This is because the projections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plate material and the plate material when the vessel 200 is placed on the vessel body part 14, so that it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detaching the vessel material 200.

이와 같이 상기 그릇 받침부(14)에 반찬 그릇(200)을 올려놓을 경우 상기 용기 수용부(11)에 수용된 보온 용기(100)와 대략 높이가 일치하게 된다. When the side dish 200 is placed on the vessel receiving part 14, the height of the side dish 200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height of the warming vessel 100 housed in the vessel receiving part 11.

이와 같이, 중앙의 메인 음식이 담긴 보온 용기(100)와 상기 보온 용기(100)의 둘레에 위치한 반찬 그릇(200)의 위치와 높이를 정형화하는 동시에, 그릇 받침대를 식탁에 쟁반(t)과 함께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온 음식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있는 반찬을 들어올려 취식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side dish 200 located around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iformed and the bowl base can be mounted on the table with the tray t It is possible not only to enhance the display effect of the food, but also to raise the side dish on the opposite side based on the warming food, and it becomes easy to eat.

또한, 상기 그릇 받침부(14)에 그릇(200)들이 이탈되지 않고 흔들림없이 지지될 경우 음식을 편안하면서 안정적으로 취식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dishes 200 are supported by the bowl receiving part 14 without detachment, the food can be comfortably and stably consumed.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주 판재 11 : 용기 수용부
12 : 가로판재 12a : 보조 가로판재
13 : 세로판재 13a : 세로연결판재
13b : 보조 세로판재 14 : 그릇 받침부
14a : 제1받침부 14b : 제2받침부
20 : 제1연결판재 30 : 제2연결판재
10: main plate 11: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12: a side plate 12a: an auxiliary side plate
13: vertical plate member 13a: vertical connection plate member
13b: auxiliary vertical plate member 14:
14a: first receiving portion 14b: second receiving portion
20: first connecting plate 30: second connecting plate

Claims (3)

길이와 폭이 같고 서로 교차하도록 끼워 맞춰 우물 정(井)자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주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수용부를 구비한 주 판재;
상기 주 판재 중, 용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외측으로 일체 부분 연장된 8개의 판재에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가로판재의 단부 사이에 세로연결판재를 연결하여 형성한 제1연결판재; 및,
상기 주 판재 중, 상기 용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외측으로 일체 부분 연장된 8개의 판재에서,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세로판재와, 상기 세로판재와 교차하는 가로판재 사이에 보조 가로판재와 보조 세로판재를 교차되게 연결하여 형성한 제2연결판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판재와 제2연결판재는 별도의 그릇을 올려놓을 수 있는 그릇 받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받침대.
A main plate having a length and a width equal to each other and fitt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a well shape and having a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main container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first connection plate formed by connecting vertically connecting plate members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side plates facing each oth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eight plates integrally extended outwardly outward from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And
Wherein an auxiliary sheet member and an auxiliary sheet member intersect each other between a vertical plate member and a lateral plate member intersecting each oth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eight plate members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outwardly of the main plate member And a second connection plate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member are composed of a bowl receiving unit capable of placing a separate vess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판재는 상기 용기 수용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판재는 상기 주 판재의 모서리측에 각각 4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결판재를 기준으로 상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plate member is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Wherein each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members has four components on the edge sides of the main plate member, and each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members is provided on each of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 받침부는
3개의 그릇이 하나로 연결된 연결형 그릇이 수용되고, 상기 제2연결판재로 이루어진 제1받침부; 및,
각각의 상기 제1받침부 사이에 하나의 그릇이 수용되는 제2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받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wl-
A first receptacle formed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in which one bowl is received between eac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s.
KR2020140008120U 2014-11-07 2014-11-07 Dish bracket KR2016000162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120U KR20160001623U (en) 2014-11-07 2014-11-07 Dish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120U KR20160001623U (en) 2014-11-07 2014-11-07 Dish bra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23U true KR20160001623U (en) 2016-05-17

Family

ID=5609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120U KR20160001623U (en) 2014-11-07 2014-11-07 Dish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623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8550B2 (en) Food container
CN102781289B (en) Basket for an electrical appliance for steam-heating food or for a cooking utensil
KR20160001623U (en) Dish bracket
KR200471704Y1 (en) Heapable insulation container for lunch box
KR20090010504U (en) Dish for keeping warm partially
JP2010183933A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type food heating/thermally insulating container
US20120000374A1 (en) Fondue cooking apparatus
JP3198407U (en) Food container
CN213736324U (en) Packing box
KR200488900Y1 (en)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JP5255354B2 (en) Warming tableware
KR200495047Y1 (en) Table with pot stand
JP3229879U (en) Electric cookware
KR102646745B1 (en) Absorption type food tray with temparature keeping function
US9307866B2 (en) Chafing dish for warming dishes with controlled humidity
KR101610247B1 (en) Insulating plate for part
CN102934949A (en) Portable grill
US20150140162A1 (en) Microwave rice cooking bowl
KR200397546Y1 (en) Food vessel with exothermic function
JP6649672B2 (en) Tableware combined trays with lids for serving cats
KR200467194Y1 (en) Vessel indirect warm oven
KR200378140Y1 (en) The table
JPH0238394Y2 (en)
CN203860988U (en) Pot with vertically placed pot lid
KR20200032363A (en) An electric warm r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