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572A - 스티렌계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티렌계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572A
KR20160001572A KR1020140139220A KR20140139220A KR20160001572A KR 20160001572 A KR20160001572 A KR 20160001572A KR 1020140139220 A KR1020140139220 A KR 1020140139220A KR 20140139220 A KR20140139220 A KR 20140139220A KR 20160001572 A KR20160001572 A KR 20160001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weight
substituted
compound
un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677B1 (ko
Inventor
김보은
장주현
박광수
허재원
진영섭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47,207 priority Critical patent/US9902850B2/en
Publication of KR20160001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8L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저광 특성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및 내열성의 상승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티렌계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Styren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저광특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및 내열성의 상승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유리나 금속에 비하여 비중이 낮으며 우수한 성형성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가진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플라스틱 제품은 전기전자 제품, 자동차 부품을 비롯한 기존의 유리나 금속의 영역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최근 사용자들의 감성 품질 수준이 높아지면서 분위기 있는 연출 및 눈부심 방지를 위한 저광택 수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저광택 수지는 환경보호차원에서 무광 도장이나 패드를 씌우는 공정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 저광택 수지는 대구경 고무입자를 사용하거나 개질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저광 효과가 미미하며, 충격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수지에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과 같은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는 제반 물성은 양호하나 내열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4,460,742호(특허문헌 1)에는 가교 결합된 공중합체를 사용한 저광택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대구경 고무입자 또는 소광제를 투입하여 소광 효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과량의 소광제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충격강도 및 내열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4,460,742호(1984.07.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우수한 저광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내충격성 및 내열성의 상승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C) 방향족 비닐-불포화니트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중량%,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 5 내지 40중량% 및 (C) 방향족 비닐-불포화니트릴계 공중합체 40 내지 8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b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55 내지 80중량%, (b2)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 15 내지 40중량% 및 (b3)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l, mn 은 각각 0 내지 100의 정수(단, 동시에 0은 아님)이며,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헤테로아릴기, 수산기, 알콕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할로겐기, 에스테르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메르캅토기이고, 상기 R1 내지 R8 중 적어도 두 개는 중합 가능한 불포화 반응기를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선형 또는 고리모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리모양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R1 내지 R8 중의 어느 것들이 상호 연결되어 환형을 이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고리모양 구조를 가지는 경우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9 내지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R15 내지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6의 알킬기이며, p는 1 내지 6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1,3,5-트리메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메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에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에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에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50 내지 6,000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속슬레 추출방법에 의해 측정된 불용성 함유물이 5 내지 100중량%일 수 있다.
속슬레 추출로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추출액이 5 내지 100중량%의 불용성 함유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X선 형광 분석기(X-ray Florescence Analysis: XRF)에 의해 측정된 실리콘 함량이 0.1 내지 2.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95 내지 115℃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품은 ASTM D785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표면 경도(Rs)가 100 내지 115이고, ASTM D523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광택도가 3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품은 ASTM D256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1/8" 두께의 시편을 Notched 조건에서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8 내지 20 kgf·cm/cm이고, ASTM D785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표면 경도(Rs)가 100 내지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품은 1/4" 두께 시편에 대하여 ISO 306B50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5kgf, 50℃/시간 조건에서 측정한 비컷 연화점(VST)이 101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저광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내충격성 및 내열성의 상승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저광 특성을 갖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슬레 추출 반응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저광 특성을 유지하면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중량평균분자량(단위:g/mol)은 분체 시료를 THF(Tetrahydrofuran)에 녹인 후,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lient Technologies 1200 series)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이때, 컬럼(Column)은 Shodex LF-804(8.0.1.D.×300㎜), 표준시료는 폴리스타이렌(Shodex사)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저광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연구한 결과,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가지는 2종의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저광특성을 나타내면서도 내충격성 및 내열성의 상승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C) 방향족 비닐-불포화니트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성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조성물 내 다른 성분과의 조합으로 충격강도, 기계적 강성 및 외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전체 조성물 중 10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격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초과이면 유동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및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 예로, 고무질 중합체 30 내지 70중량%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및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의 혼합물 30 내지 70중량%를 유화중합법으로 그라프트 중합하여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질 중합체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이 충격강도, 기계적 강성 및 혼화성이 좋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아크릴계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EPDM) 및 폴리오가노실록산/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복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 중합되는 혼합물 중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스티렌, C1 내지 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나프탈렌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치환 스티렌의 구체적인 예로는 α-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o-에틸 스티렌, m-에틸 스티렌, p-에틸 스티렌, p-t-부틸 스티렌, 2,4-디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로 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 중합되는 혼합물 중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로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프트 고무질 중합체에는 C1 내지 C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 내지 C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등의 단량체를 더 부가하여 그라프트 중합할 수 있다. 상기 C1 내지 C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C1 내지 C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는 각각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류로서 1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모노히드릴 알코올로부터 얻어진 에스테르류이다.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프로필 에스테르,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를 사용할 수 있다.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b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55 내지 80중량%, (b2)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 15 내지 40중량% 및 (b3)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우수한 소광 특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본 발명에서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5 내지 8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일 때,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2)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
본 발명에서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은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4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은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과의 중량 혼합비(방향족 비닐 : 불포화 니트릴)가 바람직하게는 7 : 3 내지 9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면 다른 성분과의 조합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및 성형 가공성의 저하 없이 소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3)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
본 발명에서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내충격성, 내열성 등의 제반 물성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소광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l, mn 은 각각 0 내지 100의 정수(단, 동시에 0은 아님)이며,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헤테로아릴기, 수산기, 알콕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할로겐기, 에스테르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메르캅토기이고, 상기 R1 내지 R8 중 적어도 두 개는 중합 가능한 불포화 반응기를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선형 또는 고리모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리모양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R1 내지 R8 중의 어느 것들이 상호 연결되어 환형을 이룬다.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고리모양 구조를 가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R9 내지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R15 내지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6의 알킬기이며, p는 1 내지 6의 정수이다.
상기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1,3,5-트리이소프로필-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이소프로필-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이소프로필-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 sec-부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 sec-부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 sec-부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이소프로필-1,3,5-트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1,3,5, 7-테트라이소프로필-1,3,5,7-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이소프로필-1,3,5,7,9-펜타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이소프로필-1,3,5-트리에틸-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이소프로필-1,3,5,7-테트라에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이소프로필-1,3,5,7,9-펜타에틸-시클로펜타실록산, 1,1,3,3,5,5-헥사이소프로필-시클로트리실록산, 1,1,3,3,5,5,7,7-옥타이소프로필-시클로테트라실록산, 1,1,3,3,5,5,7,7,9,9-데카이소프로필-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 sec-부틸-1,3,5-트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 sec-부틸-1,3,5,7-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 sec-부틸-1,3,5,7,9-펜타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 sec-부틸-1,3,5-트리에틸-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 sec-부틸-1,3,5,7-테트라에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 sec-부틸-1,3,5,7,9-펜타에틸-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이소프로필-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이소프로필-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이소프로필-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 sec-부틸-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 sec-부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 sec-부틸-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메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메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에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에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에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1,3,5-트리메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메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에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에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에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단독 또는 다른 성분과의 조합으로 종래의 가교제로 달성하기 어려운 소광 특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충격성, 내열성 등의 제반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분자량 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50 내지 6,000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면 가교도 제어가 용이하고 가교반응이 원활히 진행되어 우수한 소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면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소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소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선형(linear) 또는 가교(cross-linked)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교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가교는 속슬레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추출액의 불용성 함유물의 양을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속슬레 추출(soxhlet extraction)은 톨루엔,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히드로푸란(THF)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속슬레 추출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 공중합체를 용매와 혼합한 혼합액을 속슬레 추출 반응기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속슬레 추출의 일 구현예로, 추출 시 용기에 담겨 있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가열기를 이용하여 가열시켜 기화하고, 상기 기화된 테트라히드로푸란을 기화 라인으로 통과시켜 냉각기(냉각수 유입부 및 냉각수 유출부로 이루어짐)로 들여보낸다. 냉각기에서 냉각된 테트라히드로푸란은 액화되며, 실린더형 필터에 포함된 저장 부재에 저장된다. 이후, 순환 라인에서 테트라히드라푸란이 저장 부재로부터 방출되어 순화 라인을 통해 용기로 흘러들어갈 정도로 테트라히드로푸란의 양이 초과되면 실린더형 필터에서 수지를 순환하는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추출한다.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테트라히드로푸란(THF)을 사용하여 48시간 동안 속슬레 추출한 후, 추출되고 남은 불용성 함유물이 5 내지 100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X선 형광 분석기(X-ray Florescence Analysis: XRF)에 의해 측정된 실리콘 함량이 0.1 내지 2.0중량%일 수 있다.
이때, XRF 분석은 X선을 물질에 충돌시켜 그 곳에서 2차적으로 방출되는 X선의 파장분포를 분석하여 물질 중의 성분원소의 종류나 성분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형광 X선 분광분석법이다. 이는 통상의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Model: Axios advanced. Maker. Panalyticl(Nvderland))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XRF에 의한 실리콘 분석방법은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이용한 시편을 제작한다. 또한, 분석용 표준시편을 준비한다. 상기 표준시편에 포함된 실리콘(Si) 원소를 X-선 형광 분석(XRF)으로 측정하고, 이의 검정곡선(calibration)을 작성한다. 다음으로, 시편 내 실리콘(Si) 원소를 X-선 형광 분석(XRF)으로 측정한 후 이를 앞서 작성된 검정곡선에 대입하여 정량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95 내지 11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우수한 소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현탁중합, 유화중합, 용액중합 등의 통상의 중합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공중합체 제조방법의 일 구현예로, 현탁중합을 이용할 수 있다. 현탁중합 방법으로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할 경우 무기 분산제 또는 유기 분산제를 사용하여 분산성 및 현탁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무기 분산제로는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페릭 히드록사이드, 티타늄 히드록사이드,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설페이트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칼슘포스페이트 및 트리소듐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포스페이트 계열의 무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분산제로는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의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 분산제로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된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의 함량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은 적절한 용해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의 염 형태일 수 있다.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공중합시 중합 개시제로는 바람직하게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내열성 등의 물성의 저하없이 우수한 소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C)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계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C1 내지 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나프탈렌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치환 스티렌의 구체적인 예로는 α-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o-에틸 스티렌, m-에틸 스티렌, p-에틸 스티렌, p-t-부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불포화 니트릴계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α-메틸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향족 비닐- 불포화 니트릴계 공중합체는 조성물 내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80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불포화 니트릴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내충격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계면활성제, 핵제, 커플링제, 충전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활제, 항균제, 이형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상용화제, 무기물 첨가제, 착색제, 안정제, 윤활제, 정전기방지제, 안료, 염료 및 방염제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수지 제조방법에 따라 수지 성형품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본 발명의 구성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펠렛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사출 또는 압축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성형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일 예로, 압출성형, 사출성형, 캘린더 성형, 진공성형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성형품은 ASTM D785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표면 경도(Rs)가 100 내지 115이고, ASTM D523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광택도가 3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성형품은 ASTM D256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1/8" 두께의 시편을 Notched 조건에서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8 내지 20 kgf·cm/cm이고, ASTM D785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표면 경도(Rs)가 100 내지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품은 1/4" 두께 시편에 대하여 ISO 306B50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5kgf, 50℃/시간 조건에서 측정한 비컷 연화점(VST)이 101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일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
고무함량이 58중량%이며, 평균입경이 2,580Å인 부타디엔 고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을 유화 그라프트 중합한 코어-쉘 형태를 갖는 g-ABS 수지를 사용하였다.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가교 SAN)
스티렌 76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4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SKC사, 밀도: 약 0.98g/ml(20℃), 제품명: Vinyl D-4, 분자량: 344.7g/mol) 2중량%을 사용하여 제조된 중량평균분자량: 170,000g/mol인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C)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SAN)
아크릴로니트릴 76중량%와 스티렌 24중량%로부터 공중합된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0g/mol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수지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 25중량%,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가교 SAN) 65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SAN) 10 중량%를 혼합한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di-stearyl-pentaerythritol-diphosphite) 0.1 중량부 및 옥타데실 3-(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 페닐) 프로피오네이트(octadecyl 3-(3,5-di-t-butyl-4-hydroxy phenyl)propionate) 0.03 중량부를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한 혼합물을 L/D=35, Φ=45㎜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하기 전에 80 ℃의 기류식 건조기에서 5시간 이상 건조한 후 사출온도 230 ℃에서 10oz 사출기를 이용하여 물성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기초 수지로서,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 25 중량%,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가교 SAN) 55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SAN) 2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기초 수지로서,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 25 중량%,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가교 SAN) 45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SAN) 3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기초 수지로서,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 20 중량%,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가교 SAN) 50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SAN) 3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
기초 수지로서,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 15 중량%,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가교 SAN) 55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SAN) 3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기초수지로서 고무함량이 14.5 중량%이며, 평균입경이 13㎛인 부타디엔 고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을 공중합한 C-ABS 수지(D)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기초 수지로서,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 25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SAN) 7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1)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단위: kgf·cm/cm)
ASTM D256에 규정된 평가방법으로 1/8" 두께의 노치(notched)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2) 유동지수(MI, melt-flow index)(단위: g/10min)
ASTM D1238에 규정된 평가방법으로 220℃/10㎏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3) 광택도(surface gloss)(단위:%)
BYK사의 BYK-Gardner Gloss Meter를 이용하여 ASTM D523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60° 각도에서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4) 비컷 연화점(Vicat Softening Temperature, VST)(단위:℃)
1/4" 두께 시편에 대하여 ISO 306B50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5kgf, 50℃/시간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5) 표면 경도(R scale, Rs)
ASTM D785에 규정된 평가방법으로 1/8" 두께 시편에 대해 노치(notched)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5

본 발명의 실시예 1내지 5는 저광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5는 수지 내 고무함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내충격성이 떨어지지 않고 높은 내열도를 구현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은 저광특성을 구현할 수 있었지만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었으며, 비교예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가교 SAN)를 사용하지 않아 저광 특성을 구현할 수 못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도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 : 용기, 12 : 테트라히드로푸란, 13 : 가열기,
14 : 기화 라인, 15 : 냉각기, 16 : 냉각수 유입부,
17 : 냉각수 유출부, 18 : 실린더형 필터, 19 : 순환라인

Claims (17)

  1.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C) 방향족 비닐-불포화니트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40중량%,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 5 내지 40중량% 및 (C) 방향족 비닐-불포화니트릴계 공중합체 4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한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b1)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55 내지 80중량%, (b2)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 15 내지 40중량% 및 (b3)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l, mn 은 각각 0 내지 100의 정수(단, 동시에 0은 아님)이며,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헤테로아릴기, 수산기, 알콕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할로겐기, 에스테르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메르캅토기이고, 상기 R1 내지 R8 중 적어도 두 개는 중합 가능한 불포화 반응기를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선형 또는 고리모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R9 내지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R15 내지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6의 알킬기이며, p는 1 내지 6의 정수이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1,3,5-트리메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메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에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에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에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불포화 반응기를 갖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50 내지 6,000g/mol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디비닐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변성 디메틸실록산, 디비닐벤젠,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디알릴말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비닐계 화합물을 더 포함한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속슬레 추출방법에 의해 측정된 불용성 함유물이 5 내지 100중량%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X선 형광 분석기에 의해 측정된 실리콘 함량이 0.1 내지 2.0중량%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95 내지 115℃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ASTM D785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표면 경도(Rs)가 100 내지 115이고, ASTM D523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광택도가 32%이하인 성형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ASTM D256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1/8" 두께의 시편을 Notched 조건에서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8 내지 20 kgf·cm/cm이고, ASTM D785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표면 경도(Rs)가 100 내지 115인 성형품.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1/4" 두께 시편에 대하여 ISO 306B50에 규정된 평가방법에 의하여 하중 5kg, 50℃/hr 조건에서 측정한 비컷 연화점(VST)이 101 내지 110℃인 성형품.
KR1020140139220A 2014-06-26 2014-10-15 스티렌계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81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47,207 US9902850B2 (en) 2014-06-26 2015-06-23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894 2014-06-26
KR20140078894 2014-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72A true KR20160001572A (ko) 2016-01-06
KR101781677B1 KR101781677B1 (ko) 2017-09-25

Family

ID=5516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220A KR101781677B1 (ko) 2014-06-26 2014-10-15 스티렌계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67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594A1 (ko) * 2016-12-27 2018-07-0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8124614A1 (ko) * 2016-12-30 2018-07-0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8124592A1 (ko) 2016-12-30 2018-07-0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9132387A1 (ko) * 2017-12-27 2019-07-04 롯데첨단소재(주)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1136449B2 (en) 2016-12-30 2021-10-05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11365304B2 (en) 2016-12-23 2022-06-21 Lotte Chemical Corporation Foaming resin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foam using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등록특허 제4,460,742호(1984.07.17)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5304B2 (en) 2016-12-23 2022-06-21 Lotte Chemical Corporation Foaming resin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foam using same
WO2018124594A1 (ko) * 2016-12-27 2018-07-0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1124643B2 (en) 2016-12-27 2021-09-21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WO2018124614A1 (ko) * 2016-12-30 2018-07-0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8124592A1 (ko) 2016-12-30 2018-07-0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80078901A (ko) * 2016-12-30 2018-07-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1066547B2 (en) 2016-12-30 2021-07-20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US11136449B2 (en) 2016-12-30 2021-10-05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O2019132387A1 (ko) * 2017-12-27 2019-07-04 롯데첨단소재(주)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677B1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677B1 (ko) 스티렌계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9902850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10035907B2 (en)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JP2015108140A (ja) 芳香族ビニル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含む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9856371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low-gloss molded article made therefrom
CN105273116B (zh) 共聚物以及包含其的热塑性树脂组合物
US20210230333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9850333B2 (en) Copolymers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JP657037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US10100193B2 (en)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KR101717821B1 (ko)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17819B1 (ko)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5252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702710B1 (ko)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26480B1 (ko)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9522994B2 (en) Vinyl copolymer having high heat resistance and low-gloss, and thermoplastic resin comprising the same
KR20150015279A (ko)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604533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US10941290B2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KR101717820B1 (ko)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7177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저광택성을 가지는 성형품
KR101397693B1 (ko)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9745457B2 (en) Aromatic vinyl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KR20180075095A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KR101796345B1 (ko) 내열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