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473A -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473A
KR20160001473A KR1020140080078A KR20140080078A KR20160001473A KR 20160001473 A KR20160001473 A KR 20160001473A KR 1020140080078 A KR1020140080078 A KR 1020140080078A KR 20140080078 A KR20140080078 A KR 20140080078A KR 20160001473 A KR20160001473 A KR 20160001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s
score
farm
yes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833B1 (ko
Inventor
박선일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0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8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양돈장의 차단방역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본원 발명은 내부 위험도 점수를 위한 설문 결과 및 외부 위험도 점수를 위한 사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과 및 사항에 따라 각각의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과 중 상기 내부 위험도 점수의 일부 항목들에 가중치를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치 부여 여부 결정에 따라 상기 점수를 재계산하여 최종 점수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A METHOD FOR EVALUATING BIOSECURITY RISK LEVEL FOR A SWINERY}
본원 발명은 양돈장의 방역 정도에 따른 위험수준의 평가에 관한 것이다.
2011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농업분야 생산액은 43조7천억원이며, 이 중 축산업 생산액은 18조원으로 농축산업 생산액의 약 41.2%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축산업은 중요한 산업이다. 이러한 축산업에서 가장 중요하고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은 가축질병에 의한 피해이다. 여러 경우에 있어서 질병 발생에 의한 산업의 피해는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그 피해액과 빈도도 더욱 확대되고 있다.
더욱 중요한 문제는, 많은 가축 질병이 사람의 건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것인데 사람에서 발생하고 있는 신종전염병(emerging human pathogens)의 약 60%는 인수공통질병이며, 이 중 약 75%는 동물에서 유래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우리나라의 법정가축전염병 65종 중 11종은 돼지 질병이며, 이 중 돼지일본뇌염, 돼지단독, 돼지인플루엔자는 인수공통전염병인데, 돼지 질병이 전파되는 경로는 정액, 사람 및 차량, 사체, 사료, 음용수, 분변, 동물(개, 고양이, 조류, 설치류 등), 농장의 장비 및 기구, 농장 근무자의 작업복 및 장화, 축산물, 절지동물 등에 의한 기계적 전파와 공기 매개 전파 등 매우 다양하며, 이 중 감염된 돼지와 감수성 돼지 간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전파경로가 가장 일반적이다.
또한, 감염된 농장은 감염원으로 작용하여 이웃하고 있는 다른 농장뿐만 아니라 차량 등의 매개체를 통하여 장거리로 질병을 전파한 사례가 국내에서도 보고된바 있다.
따라서 양돈장으로 질병 유입되고 이차적으로 확산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차단방역(biosecurity)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실행하여 차단 방역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데, 현행의 평가 방법으로는 그 객관적인 효과가 명확하지 않다.
참고문헌 1: Lanza ST, Collins LM, Lemmon DR, Schafer JL. PROC LCA: A SAS Procedure for Latent Class Analysis. Struct Equ Modeling 2007; 14: 671-694.
따라서, 본원 발명은 양돈장의 차단방역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돈장 차단 방역의 위험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 위험도 점수를 위한 설문 결과 및 외부 위험도 점수를 위한 사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과 및 사항에 따라 각각의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과 중 상기 내부 위험도 점수의 일부 항목들에 가중치를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치 부여 여부 결정에 따라 상기 점수를 재계산하여 최종 점수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 위험도 점수를 위한 설문은, 환경 및 차단 방역 시설에 대한 항목들, 방문객 및 차량 관리에 대한 항목들, 도입돈 및 사료 관리에 대한 항목들, 농장 및 돈사 관리에 관한 항목들 및 질병관리 및 예방에 대한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위험도 점수를 위한 사항은, 농장 밀집도에 대한 점수, 사육두소 밀집도에 대한 점수 및 구제역 발생 이력에 대한 점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중치 부여 여부 결정 단계는, 상기 방문객 및 차량 관리에 대한 항목들, 상기 도입돈 및 사료 관리에 대한 항목들, 상기 농장 및 돈사 관리에 관한 항목들 및 상기 질병관리 및 예방에 대한 항목들에 대한 점수에 대해서 가중치를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문객 및 차량 관리에 대한 항목들, 상기 도입돈 및 사료 관리에 대한 항목들 및 상기 농장 및 돈사 관리에 관한 항목들에 대한 가중치는 1.5이며, 상기 질병관리 및 예방에 대한 항목들에 대한 가중치는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농장 밀집도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10이고, 상기 사육두소 밀집도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10이며, 상기 구제역 발생 이력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경 및 차단 방역 시설에 대한 항목들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15이고, 상기 방문객 및 차량 관리에 대한 항목들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11이며, 상기 도입돈 및 사료 관리에 대한 항목들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10이고, 상기 농장 및 돈사 관리에 관한 항목들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42이며, 상기 질병관리 및 예방에 대한 항목들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2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면 상기 기재된 본원 발명의 방법 중 임의의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면 상기 기재된 본원 발며의 방법 중 임의의 하나의 방법을 수행한다.
본원 발명을 통해 양돈장의 차단 방역 수준을 평가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의 단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의 한 부분인 외부 위험도 점수를 위한 항목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의 한 부분인 내부 위험도 점수를 위한 항목들을 도시한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위험 수준 평가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의 단계 100과 같이 각 농장의 방역 위험 수준 평가는 내부 위험도 점수(Internal risk score, IRS)와 외부 위험도 점수(External risk score, ERS)에 대한 설문 결과를 입력 받음으로서 개시된다.
외부 위험도 점수(ERS)는 도 2와 같이 각 농장이 소재하고 있는 지리적 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목장용지(임야 포함) 대비 농장 밀집도(ERS1)(210), 목장용지 대비 사육두수 밀집도(ERS2)(220) 및 구제역 발생 이력(ERS3)(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위험도 점수(IRS)는 평가대상 농장의 위험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농장 환경 및 차단방역 시설 기준(IRS1)(310), 방문객 및 출입차량 관리(IRS2)(320), 외부 도입돈 및 사료관리(IRS3)(330), 농장 및 돈사 관리(IRS4)(340) 및 질병관리 및 예방(IRS5)(3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래 표 1은 ERS1을 설정하기 위한 표로서 농장 밀집도가 가장 낮은 강원도를 기준으로 각 행정구역별 상대 위험비(relative risk, RR)를 계산하여 점수를 부여하게 된다.
행정구역 km2 당 농가 수 위험비 위험등급 위험점수
강원 0.015233 1.00 1 Low 0
경북 0.041606 2.73 1 Low 0
충북 0.063867 4.19 1 Low 0
경남 0.106458 6.99 2 Moderate 5
전북 0.159602 10.48 2 Moderate 5
전남 0.165087 10.84 2 Moderate 5
경기 0.175354 11.51 2 Moderate 5
충남 0.231570 15.20 3 High 10
제주 0.303969 19.95 3 High 10
전국 평균 0.098647 6.48
또한, 아래 표 2는 ERS2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육두수 밀집도가 가장 낮은 강원도를 기준으로 해서 각 행정구역별 상대 위험비를 계산하여 점수를 부여하게 된다. 즉, 본원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는 농장의 위치가 어디인지에 따라 상대적으로 ERS2 점수가 부여된다.
행정구역 km2 당 사육두수 위험비 위험등급 위험점수
강원 26.78 1.00 1 Low 0
경북 83.19 3.11 1 Low 0
충북 123.67 4.62 1 Low 0
전남 139.14 5.19 1 Low 0
경남 149.28 5.57 1 Low 0
전북 272.12 10.16 2 Moderate 5
경기 295.04 11.02 2 Moderate 5
충남 411.09 15.35 3 High 10
제주 523.9 19.56 3 High 10
전국 평균 153.06 5.71
한편, 아래 표 3은 ERS3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2000년 이후 우리나라의 구제역 발생 지역을 통해 그 이력에 따른 위험도 점수를 부여하게 된다.
행정구역 발생지역 시, 군, 구
강원 13 강릉, 고성, 삼척, 양구, 양양, 여월, 원주, 철원, 춘천, 평창, 홍천, 화천, 횡성
경기
(서울, 인천)
22 가평, 강화, 계양, 고양, 광명, 김포, 남양주, 동두천, 서구, 시흥, 안성, 양주, 양평, 여주, 연천, 용인, 의정부, 이천, 파주, 평택, 포천, 화성
경남
(부산, 울산)
4 김해, 사하구, 양산, 울주
충남(대전) 11 공주, 논산, 당진, 동구, 보령, 아산, 연기, 예산, 천안, 청양, 태안, 홍성
충북 8 괴산, 음성, 제천, 증평, 진천, 청원, 청주, 충주
경북(대구) 16 경산, 경주, 문경, 봉화, 상주, 안동, 영덕, 영양, 영주, 영천, 예천, 울진, 의성, 청도, 청송, 포항
전남(광주) 0
전북 0
제주 0
아래는 본원 발명에서 입력받는 질문 리스트이다.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 수준 평가용 질문 리스트
1. 농장 환경 및 차단방역 기본시설 (18): Environment and Facility (A)
Q1 방문객 차량의 주차장소가 농장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 농장을 출입하는 입구가 1개 이상인가?
① 예( 개) ② 아니오
Q3 농장출입구 정문에 차단방역을 위한 소독시설(소독조)가 구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 농장이 외부와 차단되는 울타리가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 출하담당 업체의 차량이 농장 내부로 출입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6 출입을 금지하는 안내판이 농장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7 돈사 출입 전 샤워장이 구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8 물품반입창고에는 병원성 미생물 소독을 위한 자외선등이 설치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9 출하대가 농장외부에 설치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10 돈사 내로 조류의 유입방지를 위한 방조망이 구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11 돈사내로 애완동물 (개, 고양이)의 출입을 차단하는 시설이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12 가장 인접한 다른 농장과의 거리 (km, m)(입력):
Q13 대중교통이 왕래하는 주도로(main road)와 농장과의 거리 (km, m)(입력):
Q14 농장이 HACCP 지정을 받았는가?
① 예( 년) ② 아니오
Q15 사료보관 창고에 동물(개, 고양이, 야생동물)의 출입차단 시설이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16 사료보관 창고의 시설은 적절한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17 외부인과 농장내부와의 연락을 위한 인터폰(벨) 시설이 구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18 분뇨차량의 농장내부 진입을 피하기 위한 다른 전용 출입구가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2. 농장 방문자 및 출입차량 관리 (11): Visitors and Vehicles (B)
Q21 농장 구역(청결/준청결/오염) 간 이동시 소독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22 농장 직원의 다른 축산시설 방문 후 농장 출입시 소독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23 외부방문자의 농장 출입 전용 방역복과 장화(1회용)를 착용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24 외부방문자에 대하여 방명록을 작성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5 외부방문자의 질병발생농장(해외여행) 방문 여부를 질문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6 해외를 다녀온 방문자의 농장 출입을 일정기간 통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7 방문자의 제반 물품을 농장내로 반입을 통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8 농장 출입차량(가축운반/사료운반)의 소독을 실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9 사료운반차량 운전기사의 돈사내 출입을 통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10 지대사료를 계류장소(자외선등 설치)에 하역 후 돈사내로 반입시키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11 사료운반차량이 농장마다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거나 세척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3. 외부 도입돈 및 사료관리 (12): Feed and Pigs (C)
Q31 외부 구입돈에 대한 격리, 수용돈사(돈방)가 구비 및 운영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32 격리돈사가 있다면 기존돈사와 격리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33 일정기간(30일) 순치과정을 유지하며 임상증상을 관찰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34 격리기간 중 필요시 백신을 접종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35 격리시설 출입시 매일 장화와 작업복을 갈아입고 작업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36 후보돈의 도입/격리/순치를 위한 프로그램(관리지침서)을 운영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37 방역상황이 인증된 종돈장에서 돼지를 구입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38 외부 구입돈에 대하여 질병검사 결과를 확인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39 1개의 종돈장에서 돼지를 구입하는가 (최근 1년)?
① 없음 ② 1개 ③ 2개 이상
Q310 1개 이상의 종돈장에서 돼지를 구입하는 경우 업체 수 (최근 1년)?
(입력): 개소
Q311 사료의 원료 공급원(수입 등)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312 사료에 대한 품질검사 결과를 확인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4. 농장 및 돈사관리 (42): Management (D)
Q41 돈사구조가 돼지의 이동방향(분만→이유→육성→비육→출하)을 고려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2 분만돈사와 종돈사가 오염지역(분뇨처리장/비육돈사)과 충분히 떨어졌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3 출하차가 양돈장을 횡단하지 않도록 농장 내 도로가 정비되어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4 농장진입로에 주기적으로 (주 1회 이상) 소독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5 농장 내 현장 사무실에 장화세척기, 장화, 신발장 등을 설치하였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6 돈사 입구에 발판소독 시설을 운영하며 수시로 교체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7 돈사 내 분무소독을 1일 1회 소독약을 정량 희석하여 실시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8 전출후 돈방 내 돼지가 없는 상태에서 소독을 실시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9 분만사에서 사용도구를 세척, 소독하고, 적절한 보관 장소가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10 환돈방이 다른 그룹의 돼지와 섞이지 않도록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11 환돈방의 돼지가 회복된 이후 기존 돈군으로 편입되지 않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2 폐사돈을 땅에 끌지 않고 운반할 수 있는 수송기구가 준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3 폐사돈을 즉시 처리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4 폐사돈에 개, 야생동물 등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15 폐사돈 처리를 위해 전용 장비와 도구를 사용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6 한번 편성된 돈군이 출하시점까지 지속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17 농장 내에 직원(관리자)이 거주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8 농장의 규모를 고려할 때 직원의 수는 적절한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19 외부에서 유입되는 장비와 도구를 소독한 후 농장으로 반입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20 축사 간 이동시 장비와 도구를 세척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21 장비와 도구를 농장 외부로 반출할 때 세척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22 장비와 도구의 수리를 위하여 부속품을 일정량 여분으로 보유하고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23 돈사 내 일교차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5℃가 넘지 않도록 관리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24 각 돈사별 적정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25 돈사 내 습도계가 설치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26 돈사 내 적정습도가 유지되고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27 돈사 내 암모니아 가스농도를 주 1회 측정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28 돈사 내 암모니아 가스농도가 20ppm이하로 유지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29 돈사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0.5%이하로 유지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30 돈사 내 유화수소 가스농도가 10ppm이하로 유지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31 정기적으로(2회/년) 수질검사를 검사기관에 의뢰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32 염소 소독된 음용수를 사용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33 돈사 내 급수기에서 적정 수량이 유지되고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34 돈사 내 급수기가 적절한 높이에 위치해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435 자돈, 육성, 비육돈을 혼합사육을 금지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36 (농장 내 돈사 전체) 올인올아웃을 시행하고 있는가?
Q4361 분만사
① 예 ② 아니오
Q4362 자돈사
① 예 ② 아니오
Q4363 육성돈사
① 예 ② 아니오
Q4364 비육돈사
① 예 ② 아니오
Q437 임신돈사
① 적정 ② 과밀
Q438 분만돈사
① 적정 ② 과밀
Q439 후보돈사
① 적정 ② 과밀
Q440 자돈사
① 적정 ② 과밀
Q441 육성돈사
① 적정 ② 과밀
Q442 비육돈사
① 적정 ② 과밀
5. 농장 질병관리 및 예방 (27):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
Q51 병발생 의심시 수의사의 진단을 요청하고, 진단을 받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2 농장 직원이 매일 임상검사를 실시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53 백신선택에 있어서 수의사와 협의하여 농장에 맞는 백신을 선택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4 권장 백신접종 일령 및 접종간격을 지키고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55 백신보관 온도(2-7도)에서 약품을 보관하고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56 질병검사를 위해 정기적으로 혈청검사를 시행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7 계절백신(일본뇌염)을 실시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8 주요 질병(PRRS, PCV2 등)에 대한 백신을 실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9 치료경력, 백신접종 등에 대한 기록부를 보관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0 약품재고에 관련한 주문서 및 재고 기록을 보관, 유지하고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511 약품은 건조하고 통풍이 잘되며, 안전한 곳에 보관하고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512 약품주문은 주 1회 등과 같이 정기적으로 주문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3 자돈의 경우 주사침 1침당 15두 이상 사용하지 않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4 원인불명 폐사돈에 대하여 수의사에게 부검을 의뢰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5 수의사가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돈군을 관리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6 농장의 사육성적 등을 전산으로 관리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7 농장을 청결, 준청결, 오염구역 등으로 엄격히 구분하여 관리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8 정기적으로(매월 1회) 구충 및 구서작업을 실시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519 직원이 농장 내 모든 축사를 자유롭게 출입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520 차단방역에 대한 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21 자체 차단방역점검표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점검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22 외부의 기관에서 실시하는 교육 프로그램에 직원이 참석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23 농장에 외국인 근로자가 없는가?
① 예(없음) ② 아니오(있음)
Q524 모든 돈사입구에 발판소독조가 구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25 외부반입품은 물품반입창고에서 최소 24시간 계류 후 돈사로 반입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26 출하대 주변이 청결하게 유지되고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Q527 농장을 방문한 출하차량의 수세/소독을 철저히 실시하는가?
①매우 우수 ②우수 ③보통 ④불량 ⑤매우 불량
6. 농장정보: Farm information (F)
Q61 상시사육두수 (입력): 두
Q62 모돈수 (입력): 두
Q63 PSY(모돈두당 연간 이유두수) (입력): 두
Q64 MSY(모돈두당 연간 출하두수) (입력): 두
Q65 모돈회전율 (입력): 회
Q66 폐사율 (입력): %
Q67 분만율 (입력): %
Q68 년간 총 출하두수 (입력): 두
Q69 농장형태 ① 일반농장 ② 종돈장
Q610 경영형태 ① 단독 ② 계열 ③ 단지
Q611 사육형태 ① 일관 (번식→분만→자돈→비육)
② 번식1 (번식→분만)
③ 번식2 (번식→분만→자돈)
④ 비육1 (자돈→비육)
⑤ 비육2 (비육)
⑥ 혼합
Q612 농장 주소(도/시/군/구/통/반/번지까지 상세히) (입력):
Q613 위도(좌표) 자동입력
Q614 경도(좌표) 자동입력
Q615 해당 지역 (도 단위)의 돼지 사육 농가수 자동입력
Q616 해당 지역 (도 단위)의 돼지 사육두수 자동입력
Q617 해당 지역의 면적 (km2) 자동입력
Q618 해당 지역의 돼지 사육밀도 (두수/km2) 자동입력
이상의 질문 문항들에 대해서 해당 양돈장의 현황에 따라 답한 결과를 입력한다.(단계 100)
그 이후, 수신된 설문 결과에 따라 각각의 점수를 부여하게 되는데, 먼저 IRS의 점수 부여 방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IRS1은 "1. 농장 환경 및 차단방역 기본시설 (18): Environment and Facility (A)"의 문항들 중 Q12, Q13, Q14를 제외한 15개 문항을 사용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IRS2는 "2. 농장 방문자 및 출입차량 관리 (11): Visitors and Vehicles (B)"의 11개 문항을 사용하여 점수를 부여하며, IRS3은 "3. 외부 도입돈 및 사료관리 (12): Feed and Pigs (C)"문항 중 Q39, Q310을 제외한 10개 문항을 사용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IRS4는 "4. 농장 및 돈사관리 (42): Management (D)"의 42개 문항을 사용하여 점수를 부여하며, IRS5는 "5. 농장 질병관리 및 예방 (27):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의 27개 문항을 사용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응답이 "예/아니오"로 되는 이분형 문항에 대해서는 "예" 응답인 경우 0점을, "아니오" 응답인 경우 1점을 부여하게 되며, 5점 척도 문항에 대한 응답의 경우 "매우 우수"는 0점, "우수"는 0.2점, "보통"은 0.5점, "불량"은 0.8점, 그리고 "매우 불량"은 1점을 각각 부여한다.
한편, 외부 위험도 점수(ERS)의 경우, ERS1는 RR이 1 - 5.9일 경우 위험등급 low (점수 0), 6 - 14.9일 경우 위험등급 moderate (점수 5) 그리고 15 이상일 경우 위험등급 high (점수 10)를 부여하고, ERS2의 경우 RR이 1 - 5.9일 경우 위험등급 low (점수 0), 6 - 14.9일 경우 위험등급 moderate (점수 5), 그리고 15 이상일 경우 위험등급 high (점수 10)를 부여한다.
한편, ERS3는 평가대상 농장이 표3에 제시된 지역이면 10점, 그렇지 않으면 0점을 부여한다.(단계 110)
한편, 위험도 점수(total biosecurity risk score, TBRS)는
TBRS = ERS+IRS = ERS1+ERS2+ERS3+IRS1+IRS2+IRS3+IRS4+IRS5 - 식 1)
로 계산되는데, 이때 가중치를 주지 않고 계산하는 방법과 가중치를 주어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가중치의 경우, IRS2, IRS3, IRS4는 1.5를 그리고 IRS5는 2.0을 주어 계산할 수 있는데, 가중치를 줄지 여부를 결정하고 난 후(단계 120), 그 결정에 따라 TBRS가 도출된다.(단계 130)
아래 표 4는 가중치의 유무에 따른 TBRS의 분포 범위를 표시한다.
따라서, 총점의 범위는 가중치(weight)를 부여하지 않을 경우 0 - 135점 (ERS 30, IRS 105점)이 되고, 가중치를 부여할 경우 0 - 163.5점(ERS 30, IRS 133.5점)이 된다.
평가
단계
세부단계 평가방법 비가중 총점
(최소, 최대)
가중치 가중 총점
(최소, 최대)
ERS:
외부
위험도
ERS 1: 목장용지 대비 농장 밀집도 평가대상 양돈장이 해당 기준(표 1-3)을 충족하는 여부에 따라 0-10점 부여 0-10 1.0 0-10
ERS 2: 목장용지 대비 사육두수 밀집도 0-10 1.0 0-10
ERS 3: 구제역 발생 기왕력 0-10 1.0 0-10
IRS:
내부
위험도
IRS 1: 농장 환경 및 차단방역 시설 18개 문항 중 Q12, Q13, Q14를 제외한 15개 문항 0-15 1.0 0-15
IRS 2: 방문객 및 출입차량 관리 11개 문항 0-11 1.5 0-16.5
IRS 3: 외부 도입돈 및 사료관리 12개 문항 중 Q39, Q310을 제외한 10개 문항 0-10 1.5 0-15
IRS 4: 농장 및 돈사 관리 42개 문항 0-42 1.5 0-63
IRS 5: 질병관리 및 예방 27개 문항 0-27 2.0 0-54
합계 135 163.5
따라서, TBRS가 높을수록 양돈장의 차단방역 위험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한편, 본원 발명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방법에 따른 위험도 예측이 얼마나 정확한지 분석하는 두개의 모형이 존재한다.
설문항목 개수에 따라 축소모형(중요 선별된 설문 24개 항목으로 구성)과 포화모형(모든 설문 48개 항목으로 구성)으로 나뉘고, 그 정확도는 각각 0.961 및 0.957 이 되는데, 상기 정확도는 예측된 위험도와 컨설팅에 의해 실제로 평가된 위험도를 비교하여 그 비례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 표 5는 축소모형에서 사용되는 설문 항목들이 도시된다.
시스템
문항
설문 내용 응답
Q4 1 농장이 외부와 차단되는 울타리가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 2 출하담당 업체의 차량이 농장 내부로 출입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7 3 돈사 출입 전 샤워장이 구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9 4 출하대가 농장외부에 설치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17 5 외부인과 농장내부와의 연락을 위한 인터폰(벨) 시설이 구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5 6 외부방문자의 질병발생농장(해외여행) 방문 여부를 질문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6 7 해외를 다녀온 방문자의 농장 출입을 일정기간 통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9 8 사료운반차량 운전기사의 돈사 내부 출입을 통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10 9 지대사료를 계류장소(자외선등 설치)에 하역 후 돈사 내부로 반입시키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38 10 외부 구입돈에 대하여 질병검사 결과를 확인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311 11 사료의 원료 공급원(수입 등)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5 12 농장 내 현장 사무실에 장화세척기, 장화, 신발장 등을 설치하였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1 13 환돈방의 돼지가 회복된 이후 기존 돈군으로 편입되지 않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3 14 폐사돈을 즉시 처리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7 15 농장 내에 직원(관리자)이 거주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25 16 돈사 내 습도계가 설치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36 17 모든 돈사에서 올인올아웃을 시행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 18 질병발생 의심시 수의사에게 정확한 진단을 요청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6 19 질병검사를 위해 정기적으로 혈청검사를 시행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2 20 약품주문은 주 1회 등과 같이 정기적으로 주문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3 21 자돈의 경우 주사침 1침당 15두 이상 사용하지 않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7 22 농장을 청결, 준청결, 오염구역 등으로 엄격히 구분하여 관리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21 23 자체 차단방역점검표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점검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23 24 농장에 외국인 근로자가 없는가? ① 예 ② 아니오
한편, 아래 표 6에는 포화모형에서 사용되는 48개의 설문 항목들이 도시된다.
시스템
문항
설문 내용 응답
Q3 1 농장출입구 정문에 차단방역을 위한 소독시설(소독조)이 구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 2 농장이 외부와 차단되는 울타리가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 3 출하담당 업체의 차량이 농장 내부로 출입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6 4 출입을 금지하는 안내판이 농장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7 5 돈사 출입 전 샤워장이 구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8 6 물품반입창고에는 소독을 위한 자외선등이 설치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9 7 출하대가 농장외부에 설치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10 8 돈사 내로 조류의 유입방지를 위한 방조망이 구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14 9 농장이 HACCP 지정을 받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17 10 외부인과 농장내부와의 연락을 위한 인터폰(벨) 시설이 구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18 11 분뇨차량의 농장내부 진입을 회피하기 위한 다른 전용 출입구가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4 12 외부방문자에 대하여 방명록을 작성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5 13 외부방문자의 질병발생농장(해외여행) 방문 여부를 질문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6 14 해외를 다녀온 방문자의 농장 출입을 일정기간 통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7 15 방문자의 제반 물품을 농장내로 반입을 통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8 16 농장 출입차량(가축운반/사료운반)에 대하여 소독을 실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9 17 사료운반차량 운전기사의 돈사 내부 출입을 통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210 18 지대사료를 계류장소(자외선등 설치)에 하역 후 돈사 내부로 반입시키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32 19 격리돈사는 기존돈사와 격리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38 20 외부 구입돈에 대하여 질병검사 결과를 확인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311 21 사료의 원료 공급원(수입 등)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5 22 농장 내 현장 사무실에 장화세척기, 장화, 신발장 등을 설치하였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1 23 환돈방의 돼지가 회복된 이후 기존 돈군으로 편입되지 않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2 24 폐사돈을 땅에 끌지 않고 운반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3 25 폐사돈을 즉시 처리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5 26 폐사돈 처리를 위해 전용 장비와 도구를 사용하는가?
Q417 27 농장 내에 직원(관리자)이 거주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19 28 외부에서 유입되는 장비와 도구를 소독한 후 농장으로 반입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25 29 돈사 내 습도계가 설치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31 30 정기적으로(2회/년) 수질검사를 검사기관에 의뢰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32 31 염소 소독된 음용수를 사용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436 32 모든 돈사에서 올인올아웃을 시행하고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 33 질병발생 의심시 수의사에게 정확한 진단을 요청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3 34 백신선택에 있어서 수의사와 협의하여 농장에 맞는 백신을 선택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6 35 질병검사를 위해 정기적으로 혈청검사를 시행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7 36 계절백신(일본뇌염)을 실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8 37 주요 질병(PRRS, PCV2 등)에 대해 백신을 접종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9 38 치료경력, 백신접종 등에 대한 기록부를 보관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2 39 약품주문은 주 1회 등과 같이 정기적으로 주문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3 40 자돈의 경우 주사침 1침당 15두 이상 사용하지 않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4 41 원인불명 폐사돈은 항상 수의사에게 부검을 의뢰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5 42 수의사가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돈군을 관리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6 43 농장의 사육성적 등을 전산으로 관리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17 44 농장을 청결, 준청결, 오염구역 등으로 엄격히 구분하여 관리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20 45 차단방역에 대한 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21 46 자체 차단방역점검표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점검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23 47 농장에 외국인 근로자가 없는가? ① 예 ② 아니오
Q524 48 모든 돈사입구에 발판소독조가 구비되어 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축소 모형 및 포화 모형은 모두 참고문헌1에서 설명된 LCA 분석기법에 의해 분석된다.
한편, 본원 발명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명령어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행하는 웹프로그램이나 독립적 실행프로그램의 형태와 관계없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다.

Claims (9)

  1. 양돈장 차단 방역의 위험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 위험도 점수를 위한 설문 결과 및 외부 위험도 점수를 위한 사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과 및 사항에 따라 각각의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결과 중 상기 내부 위험도 점수의 일부 항목들에 가중치를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치 부여 여부 결정에 따라 상기 점수를 재계산하여 최종 점수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위험도 점수를 위한 설문은,
    환경 및 차단 방역 시설에 대한 항목들, 방문객 및 차량 관리에 대한 항목들, 도입돈 및 사료 관리에 대한 항목들, 농장 및 돈사 관리에 관한 항목들 및 질병관리 및 예방에 대한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인,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위험도 점수를 위한 사항은,
    농장 밀집도에 대한 점수, 사육두소 밀집도에 대한 점수 및 구제역 발생 이력에 대한 점수를 포함하는 것인,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부여 여부 결정 단계는,
    상기 방문객 및 차량 관리에 대한 항목들, 상기 도입돈 및 사료 관리에 대한 항목들, 상기 농장 및 돈사 관리에 관한 항목들 및 상기 질병관리 및 예방에 대한 항목들에 대한 점수에 대해서 가중치를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인,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객 및 차량 관리에 대한 항목들, 상기 도입돈 및 사료 관리에 대한 항목들 및 상기 농장 및 돈사 관리에 관한 항목들에 대한 가중치는 1.5이며,
    상기 질병관리 및 예방에 대한 항목들에 대한 가중치는 2.0인 것인,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농장 밀집도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10이고,
    상기 사육두소 밀집도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10이며,
    상기 구제역 발생 이력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10인 것인,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및 차단 방역 시설에 대한 항목들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15이고,
    상기 방문객 및 차량 관리에 대한 항목들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11이며,
    상기 도입돈 및 사료 관리에 대한 항목들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10이고,
    상기 농장 및 돈사 관리에 관한 항목들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42이며,
    상기 질병관리 및 예방에 대한 항목들에 대한 점수는 0 내지 27인 것인,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8.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면 상기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9.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면 상기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0080078A 2014-06-27 2014-06-27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KR10158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078A KR101582833B1 (ko) 2014-06-27 2014-06-27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078A KR101582833B1 (ko) 2014-06-27 2014-06-27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73A true KR20160001473A (ko) 2016-01-06
KR101582833B1 KR101582833B1 (ko) 2016-01-07

Family

ID=5516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078A KR101582833B1 (ko) 2014-06-27 2014-06-27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83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26720A (zh) * 2020-02-28 2020-05-08 深圳前海微众银行股份有限公司 养殖场风险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199798A (zh) * 2018-11-16 2020-05-26 北京好啦科技有限公司 基于调查问卷的风险参数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00075437A (ko) * 2018-12-18 2020-06-26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KR102165891B1 (ko) * 2020-01-16 2020-10-14 한국축산데이터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축산 데이터 분석 기반 농가 상태 진단 시스템
KR102274263B1 (ko) * 2021-03-09 2021-07-08 한국축산데이터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가축 건강상태 면역 지표화 시스템
CN117437095A (zh) * 2023-10-08 2024-01-23 厦门农芯数字科技有限公司 基于虚拟养猪的技能考核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7437095B (zh) * 2023-10-08 2024-06-04 厦门农芯数字科技有限公司 基于虚拟养猪的技能考核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317A (ko) * 2003-07-19 2005-01-27 유종철 농장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37096A (ko) * 2010-06-16 2011-12-22 모듈티시 주식회사 가축방역 예방시스템 및 그 예방방법
JP2012008902A (ja) * 2010-06-28 2012-01-12 Lixil Corp 防犯診断提案方法
KR20130089801A (ko) * 2012-01-03 2013-08-13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317A (ko) * 2003-07-19 2005-01-27 유종철 농장컨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37096A (ko) * 2010-06-16 2011-12-22 모듈티시 주식회사 가축방역 예방시스템 및 그 예방방법
JP2012008902A (ja) * 2010-06-28 2012-01-12 Lixil Corp 防犯診断提案方法
KR20130089801A (ko) * 2012-01-03 2013-08-13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참고문헌 1: Lanza ST, Collins LM, Lemmon DR, Schafer JL. PROC LCA: A SAS Procedure for Latent Class Analysis. Struct Equ Modeling 2007; 14: 671-694.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9798A (zh) * 2018-11-16 2020-05-26 北京好啦科技有限公司 基于调查问卷的风险参数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00075437A (ko) * 2018-12-18 2020-06-26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KR102165891B1 (ko) * 2020-01-16 2020-10-14 한국축산데이터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축산 데이터 분석 기반 농가 상태 진단 시스템
CN111126720A (zh) * 2020-02-28 2020-05-08 深圳前海微众银行股份有限公司 养殖场风险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74263B1 (ko) * 2021-03-09 2021-07-08 한국축산데이터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가축 건강상태 면역 지표화 시스템
WO2022191484A1 (ko) * 2021-03-09 2022-09-15 한국축산데이터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가축 건강상태 면역 지표화 시스템
CN117437095A (zh) * 2023-10-08 2024-01-23 厦门农芯数字科技有限公司 基于虚拟养猪的技能考核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7437095B (zh) * 2023-10-08 2024-06-04 厦门农芯数字科技有限公司 基于虚拟养猪的技能考核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833B1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833B1 (ko)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Maes et al. Non‐infectious factors associated with macroscopic and microscopic lung lesions in slaughter pigs from farrow‐to‐finish herds
Correia-Gomes et al. Exploring the role of small-scale livestock keepers for national biosecurity—The pig case
Hege et al. Incidence of reinfections with Mycoplasma hyopneumoniae and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in pig farms located in respiratory-disease-free regions of Switzerland–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risk factors
Schewe et al. Herd management and social variables associated with bulk tank somatic cell count in dairy herds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Ledo et al. Persistent challenges in safety and hygiene control practices in emerging dairy chains: The case of Tanzania
Gillespie et al. Husbandry, health and biosecurity of the smallholder and pet pig population in England
Engle et al. Farm‐level cost drivers of salmonid fish health inspections
Schembri et al. A qualitative study of the management and biosecurity practices of 13 interviewed pig owners selling via informal means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Gillespie et al. Factors affecting production efficiency in a new alternative enterprise: the case of the Ratite industry
Larsen Semi‐subsistence producers and biosecurity in the Slovenian Alps
Lestari et al. Identification of biosecurity on beef cattle farms
Demirbaş et al. Food safety practices in milk collection centers in Turkey: a case study
Nixon Laws and regulations governing backyard poultry in the United States
Win et al. Constraints and opportunities to improve livestock production and health, and reduce zoonotic risks in small-scale native chicken, cattle and small ruminant farms in the central dry zone of Myanmar
Saka et al. Incidence of African swine fever (ASF) disease and its associated implications on pig production in Lagos State, Nigeria
Arabi et al. Biosecurity practices in commercial poultry farms located in ElFashir Locality-Sudan
Ledo An approach towards improving safety and hygiene control practices in emerging dairy chains: the case of Tanzania
Tuan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for African swine fever (ASF) along pig value chain in Lào Cai Province
Miller et al. US Sheep Industry Research, Development, and Education Priorities
Salman¹ et al. BIOSECURITY MEASURES RELATED TO THE PURCHASE AND TRANSPORTATION OF DAY-OLD CHICKS IN POULTRY FARMS IN KHARTOUM STATE, SUDAN
Stankovic et al. Determination of new biosecurity indicators on cattle and pig farms based on different publications
Alvarez et al. OPEN ACCESS EDITED BY
Meek et al. Analysis of the Veterinary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Plan questionnaire responses for dairy herds enrolled in the Northern Ireland Johne's disease control programme
Fentie et al.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MODULE ON BIOSECURITY IN POULTRY, DAIRY AND FEEDLOT FA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