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437A -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437A
KR20200075437A KR1020180164107A KR20180164107A KR20200075437A KR 20200075437 A KR20200075437 A KR 20200075437A KR 1020180164107 A KR1020180164107 A KR 1020180164107A KR 20180164107 A KR20180164107 A KR 20180164107A KR 20200075437 A KR20200075437 A KR 20200075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management
management plan
performance
implementation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103B1 (ko
Inventor
류연기
윤준헌
신창현
박중돈
송치선
이명지
이은별
마병철
문명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Priority to KR102018016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1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은, 위해관리계획의 이행을 점검하는 요구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하여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을 점검하는 이행 점검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은, 상기 이행 점검부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입력 정보) 및상기 이행 점검부에 의해 상기 입력 정보가 처리되어 생성된 정보(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SYSTEM FOR CHECKING PERFORMANCE OF RISK MANAGEMENT PLAN}
본 발명은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학물질관리법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중 화학사고 발생 우려가 높거나 사고 발생 시 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물질 97종을 사고대비물질로 지정하여 해당 물질을 지정수량 이상으로 취급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위해관리계획 제도를 이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위해관리계획 제도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통한 화학사고 예방과 사업장 대내외 비상대응계획 수립, 주민에 대한 사전 정보제공 및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통하여 효과적인 사고대응 및 피해최소화를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위해관리계획 제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여부를 확인하고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해관리계획의 이행을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은, 위해관리계획의 이행을 점검하는 요구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하여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을 점검하는 이행 점검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행 점검 시스템은, 상기 이행 점검부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입력 정보) 및상기 이행 점검부에 의해 상기 입력 정보가 처리되어 생성된 정보(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정보는 사업장, 사업장 보유 화학 물질, 위해관리계획서, 및 이행 점검 평가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정보는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대상자와의 면담 결과,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관련 기록의 검토 결과, 및 이행 수준 평가 결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행 점검부는,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대상자와 면담을 실시하는 면담 수단,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관련 기록을 검토하는 기록 검토 수단, 및 상기 면담 및 상기 기록 검토에 의해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수준을 평가하는 이행 수준 평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행 수준 평가는 사업장 내부활동에 대한 평가와 사업장 외부활동에 대한 평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행 수준 평가 결과에 따라 차기 이행 점검 시기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면담 수단은, 상기 위해관리계획에 대한 상기 이행 대상자의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이행 관련 기록은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실시 여부, 상기 이행 대상자의 이행 점검반 구성, 및 상기 이행 대상자의 이행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점검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학사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발생한 화학사고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을 위한 평가표를 나타낸다.
도 2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중 면담의 세부 평가내용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중 기록 검토와 현장 조사의 세부 평가내용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을 위한 평가 결과표를 나타낸다.
도 5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이행 점검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5의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인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및 이행 점검 방법을 사용하는 자로 "사업자"와 "관리자"를 포함하고, "사업자"는 화학 물질을 제조, 사용, 처리, 및/또는 관리하는 자로 개인, 법인 등을 의미하며, "관리자"는 상기 화학 물질을 법적으로 행정적으로 규제, 점검, 및/또는 감독하는 자로 정부 기관, 감독 기관 등을 의미한다. 또, "사업장"은 상기 화학 물질을 보관, 저장, 제조, 사용, 및/또는 처리하는 시설을 포함하여 상기 화학 물질과 관련된 사업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일정한 장소를 의미한다.
[이행 점검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방법은, 위해관리계획의 이행을 점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대상자와 면담을 실시하는 면담 단계,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관련 기록을 검토하는 기록 검토 단계, 및 상기 면담 및 상기 기록 검토에 의해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수준을 평가하는 이행 수준 평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이행 점검 방법은 상기 이행 대상자의 사업장에 대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는 현장 조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해관리계획 제도는 오프-사이트(Off-site) 영향까지 고려하여 화학 사고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장외영향평가 제도와 함께 도입되었다. 기존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상의 ‘사고대비물질 취급자가 작성하는 자체방제계획서’가 확대되어 현재 화학물질관리법 제41조의 위해관리계획(KRMP) 제도로 재편되었다. 위해관리계획제도는 화재 및 폭발, 반응성 등이 높거나 급성독성이 큰 사고대비물질을 일정규모 이상 취급할 경우, 취급시설과 공정의 사고예방 및 피해최소화 계획을 사전에 수립하여 평소에는 화학사고 예방에 힘쓰며 사고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대응하여 주민과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그 취지가 있다. 화학물질관리법 시행 이전 국내 화학사고 관리제도가 화학사고 예방분야에 집중하였다면, 위해관리계획 제도는 그 보호대상을 인근주민과 주변 환경으로 확대하고 화학사고 대비·대응분야에 집중하여 기존 유사제도와 차별성 있게 설계되었다.
위해관리계획 제도는 사고 발생시 대피에 필요한 위험성과 비상시 응급 조치 요령 등을 인근지역 주민에게 사전 제공하는 등 대중에 대한 정보제공 의무를 강화시켜 화학 사고에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사고발생 우려가 높거나 사고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물질로 지정된 사고대비물질을 지정수량 이상 취급할 경우 위해관리계획서의 작성대상이 된다. 상기 지정수량은 제조·사용 수량과 보관·저장 수량으로 구분된다. 제조·사용 수량은 사고대비물질을 1년간 제조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최대수량을 말하고 보관·저장수량은 저장소, 저장탱크 등 사고대비물질 보관·저장 시설에서 보관·저장할 수 있는 최대 수량을 말한다.
위해관리계획서는 사고예방, 장외평가, 비상대응의 3개 분야로 구성되며 주요 작성 사항은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사고예방 분야는 취급 사고대비물질의 목록 및 유해성 정보, 사고대비물질 취급시설의 목록, 방제시설 및 장비의 보유현황, 사고대비 물질 취급시설의 공정안전정보, 공정위험성 분석자료, 공정운전절차 및 유의사항, 사고대비물질의 운전책임자·작업자 현황, 화학사고 대비 교육·훈련 및 자체점검계획, 그 밖에 사고대비물질의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된다.
장외평가 분야는 화학사고 발생 시 유출·누출 시나리오 및 응급조치 계획, 화학사고 발생 시 영향범위에 있는 주민, 공작물·농작물 및 환경매체 확인으로 구성된다.
비상대응 분야는 화학사고 발생 시 비상 연락체계 및 가동중지에 관한 권한자 등 안전관리 담당조직, 화학사고 발생 시 주민의 소산계획, 화학사고 피해의 최소화·제거 및 복구 등을 위한 조치계획으로 구성된다.
위해관리계획 제도는 사업장 외부에 미치는 영향 유무, 최근 5년간 사고발생 여부 및 다른 법령에 따른 유사제도 적용 여부에 따라 작성 수준을 3단계(1수준, 2수준, 3수준)로 구분하고 있다.
1수준은 과거 5년간 화학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사고로 인한 영향범위 내에 주민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며, 2수준은 1수준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다른 법령에 따른 유사제도의 제출대상이 아닌 경우에 해당한다. 3수준은 1, 2수준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로서 다른 법령에 따른 유사제도에 적용을 받는 경우에 해당한다.
위해관리계획서는 장외영향평가서와 달리 제출시기를 명확하게 하고 있지 않으나, 사고대비물질 취급시설이 가동하기 전에는 위해관리계획서 적합 여부가 확인되어야 하므로 검토 및 현장 확인 등에 필요한 기간을 고려하여 제출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위해관리계획서는 최초 제출 이후 공정이나 취급량 등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된 위해관리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변경이 없더라도 5년마다 재 제출하게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주변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항상 최신정보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3수준의 적용을 받은 사업장은 위해관리계획서 내용 중 일부분은 지역 사회 알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매년 1회 이상 인근지역 주민 등 지역사회에 고지해야 한다. 위해관리계획서의 적합통보를 받은 사업장은 3개월 이내에 사고대비물질 명칭, 사고대비물질이 외부 유출되었을 경우 인체 또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 대피방법 및 응급조치 요령 등을 포함한 응급대응 정보 요약서를 지역사회에 고지해야 하며, 최초 고지 이후에도 매년 1회 이상 고지하도록 하고 있다. 변경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1개월 이내에 변경사항에 대하여 고지하여야 한다.
상기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방법에서, 상기 면담 단계는, 상기 위해관리계획에 대한 상기 이행 대상자의 이해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행 관련 기록은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실시 여부, 상기 이행 대상자의 이행 점검반 구성, 및 상기 이행 대상자의 이행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담 및 상기 기록 검토는 온라인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행 수준 평가는 사업장 내부활동에 대한 평가와 사업장 외부활동에 대한 평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행 수준 평가 결과에 따라 차기 이행 점검 시기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을 위한 평가표를 나타내고, 도 2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중 면담의 세부 평가내용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3은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중 기록 검토와 현장 조사의 세부 평가내용의 일 예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을 위한 평가 결과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행 점검 평가표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수준 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평가항목, 배점기준, 평가방법 등을 포함한다.
이행 점검 평가표는 위해관리계획서 작성내용을 기반으로 사업장 내부활동에 대한 평가와 사업장 외부활동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다. 사업장 내부활동의 평가 항목은 위해관리계획 제도에 대한 이해와 자체확인 등에 대한 위해관리계획 이행작동성, 내·외부 비상대응계획 및 응급조치·사후계획 등에 대한 비상대응계획의 작동성, 안전관리조직과 교육·훈련 실시 여부 및 방제물품 관리 등에 대한 화학사고 대비활동의 적절성, 공정안전자료 및 안전관리계획 등에 대한 평가항목인 화학사고 예방활동의 적절성을 포함한다. 사업장 외부활동의 평가 항목은 주민정보제공 및 참여와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포함한다.
사업장 내부활동 분야는 16개의 세부항목 및 총점 80점, 사업장 외부활동 분야는 4개의 세부항목 및 총점 20점으로 구성된다. 세부항목은 총 20개로 배점은 5점으로 모두 동일하며, 항목별 점검(평가) 방법은 3가지 방법(면담, 기록 검토, 현장 확인)으로 구분하여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각 항목의 평가목적과 점검요소 등을 고려하여 최소 1개에서 최대 3개의 평가방법을 항목별로 구분·적용한다.
면담(Interview)은 취급자 등 관계자의 위해관리계획 이해도 평가와 같이 직접적인 질문이 필요한 점검방법으로, 대표 질문유형이 제시되어 있고, 항목별 면담을 통해 부여할 수 있는 점수에 따라 질문의 수가 5개 또는 3개로 제한된다.
기록 검토(Record review)는 사업장이 위해 관리계획서대로 이행하고 있는지를 문서화된 자료 또는 기록 등을 통해 확인하기 위한 점검방법으로, 필수 반영사항을 제시하여 해당 사항을 어느 정도 준수하고 있는지에 따라 점수가 부여된다.
현장 확인(On-site condition)은 기록 검토와 마찬가지로 필수 반영사항을 제시하여 해당 내용이 어느 정도 준수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점검방법이며, 통제실 내부 자료 비치 여부 확인, 방제물품 관리상태 확인 등 현장에서 직접적인 확인이 필요한 사항을 주로 평가한다.
이행 점검 평가결과(총점)에 따라 해당 사업장의 이행 수준 평가 등급(1~4군)이 결정되며, 차기 이행 점검(정기 점검) 시기도 결정된다. 총점이 90점 이상으로 이행 수준 평가 등급이 1군에 해당하는 사업장은 차기 이행 점검 시기가 4년 경과 후로 결정되고, 총점이 80점 이상 90점 미만으로 이행 수준 평가 등급이 2군에 해당하는 사업장은 차기 이행 점검 시기가 3년 경과 후로 결정된다. 또, 총점이 70점 이상 80점 미만으로 이행 수준 평가 등급이 3군에 해당하는 사업장은 차기 이행 점검 시기가 2년 경과 후로 결정되고, 총점이 70점 미만으로 이행 수준 평가 등급이 4군에 해당하는 사업장은 차기 이행 점검 시기가 1년 경과 후로 결정된다.
[이행 점검 시스템]
도 5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7은 도 6의 이행 점검부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8은 도 5의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나타낸다.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방법에 대한 설명은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방법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10)은 웹 서버(30)를 통해 사용자 클라이언트(20)에 연결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는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웹 서버(30)에 연결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는 사업자 클라이언트(21) 및 관리자 클라이언트(22)를 포함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는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산업용 및 개인용 컴퓨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업자 클라이언트(21)와 관리자 클라이언트(22)는 서로 원거리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업자 클라이언트(21)는 사업장에 배치될 수 있고, 관리자 클라이언트(22)는 정부 기관이나 감독 기관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10)은 이행 점검부(100) 및 정보 저장부(200)를 포함한다.
이행 점검부(100)는 웹 서버(30)를 통해 사용자 클라이언트(20)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처리하여 위해관리계획의 이행을 점검하고 이행 수준을 평가한다.
정보 저장부(200)는 웹 서버(30)와 이행 점검부(100)에 연결되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에 의해 입력된 정보(입력 정보)와 이행 점검부(100)에 의해 처리된 정보(처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정보는 사업장, 사업장 보유 화학 물질, 위해관리계획서, 이행 점검 평가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정보는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대상자와의 면담 결과,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관련 기록의 검토 결과, 이행 수준 평가 결과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정보와 상기 처리 정보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로 출력될 수 있다.
이행 점검부(100)는 면담 수단(110), 기록 검토 수단(120), 및 이행 수준 평가 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면담 수단(110)은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대상자와 면담을 실시할 수 있다. 면담 수단(110)은 취급자 등 관계자의 위해관리계획 이해도 평가와 같이 직접적인 질문을 제공하고 그 답변을 받는다.
기록 검토 수단(120)은 사업장이 위해 관리계획서대로 이행하고 있는지를 문서화된 자료 또는 기록 등을 통해 확인하며, 필수 반영사항을 제시하여 해당 사항을 어느 정도 준수하고 있는지 점검한다.
이행 수준 평가 수단(130)은 구체적인 평가항목, 배점기준, 평가방법 등을 포함하는 이행 점검 평가표에 따라 위해관리계획 이행 수준을 평가한다.
이행 점검 평가표는 위해관리계획서 작성내용을 기반으로 사업장 내부활동에 대한 평가와 사업장 외부활동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다. 사업장 내부활동의 평가 항목은 위해관리계획 제도에 대한 이해와 자체확인 등에 대한 위해관리계획 이행작동성, 내·외부 비상대응계획 및 응급조치·사후계획 등에 대한 비상대응계획의 작동성, 안전관리조직과 교육·훈련 실시 여부 및 방제물품 관리 등에 대한 화학사고 대비활동의 적절성, 공정안전자료 및 안전관리계획 등에 대한 평가항목인 화학사고 예방활동의 적절성을 포함한다. 사업장 외부활동의 평가 항목은 주민정보제공 및 참여와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포함한다.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10)은 관리자에게 현장 확인을 요구하거나 관리자의 현장 확인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현장 확인(On-site condition)은 기록 검토와 마찬가지로 필수 반영사항을 제시하여 해당 내용이 어느 정도 준수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점검방법이며, 통제실 내부 자료 비치 여부 확인, 방제물품 관리상태 확인 등 현장에서 직접적인 확인이 필요한 사항을 주로 평가한다.
이행 점검 평가결과(총점)에 따라 해당 사업장의 이행 수준 평가 등급(1~4군)이 결정되며, 차기 이행 점검(정기 점검) 시기도 결정된다.
이행 수준 평가 수단(130)은 이행 수준 평가 결과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에 출력하고, 사업자와 관리자는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20 : 사용자 클라이언트
30 : 웹 서버 100 : 이행 점검부
110 : 면담 수단 120 : 기록 검토 수단
130 : 이행 수준 평가 수단 200 : 정보 저장부

Claims (8)

  1. 위해관리계획의 이행을 점검하는 요구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처리하여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을 점검하는 이행 점검부를 포함하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 점검부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입력 정보) 및상기 이행 점검부에 의해 상기 입력 정보가 처리되어 생성된 정보(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는 사업장, 사업장 보유 화학 물질, 위해관리계획서, 및 이행 점검 평가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정보는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대상자와의 면담 결과,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관련 기록의 검토 결과, 및 이행 수준 평가 결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 점검부는,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대상자와 면담을 실시하는 면담 수단,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관련 기록을 검토하는 기록 검토 수단, 및
    상기 면담 및 상기 기록 검토에 의해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수준을 평가하는 이행 수준 평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 수준 평가는 사업장 내부활동에 대한 평가와 사업장 외부활동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 수준 평가 결과에 따라 차기 이행 점검 시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면담 수단은,
    상기 위해관리계획에 대한 상기 이행 대상자의 이해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 관련 기록은 상기 위해관리계획의 이행 실시 여부, 상기 이행 대상자의 이행 점검반 구성, 및 상기 이행 대상자의 이행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KR1020180164107A 2018-12-18 2018-12-18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KR102266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107A KR102266103B1 (ko) 2018-12-18 2018-12-18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107A KR102266103B1 (ko) 2018-12-18 2018-12-18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437A true KR20200075437A (ko) 2020-06-26
KR102266103B1 KR102266103B1 (ko) 2021-06-17

Family

ID=7113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107A KR102266103B1 (ko) 2018-12-18 2018-12-18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1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717B1 (ko) * 2009-11-10 2011-01-24 한국동서발전(주)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
KR101556642B1 (ko) * 2015-06-16 2015-10-05 (주)금호씨엔씨 부생가스 처리설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60001473A (ko) * 2014-06-27 2016-01-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KR101844473B1 (ko) * 2017-03-31 2018-04-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업장 안전 화학물질 전주기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717B1 (ko) * 2009-11-10 2011-01-24 한국동서발전(주)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
KR20160001473A (ko) * 2014-06-27 2016-01-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KR101556642B1 (ko) * 2015-06-16 2015-10-05 (주)금호씨엔씨 부생가스 처리설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844473B1 (ko) * 2017-03-31 2018-04-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업장 안전 화학물질 전주기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103B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Human and organizational factors in Chinese hazardous chemical accidents: A case study of the ‘8.12’Tianjin Port fire and explosion using the HFACS-HC
Momani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Are we prepared for future disasters
Vincoli Basic guide to accident investigation and loss control
Chen et al. Integration of process safety engineering and fire protection engineering for better safety performance
Badamasi et al. Framework for managing cybercrime risks in Nigerian Universities
KR20210104503A (ko)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KR20200075437A (ko)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시스템
KR20200075434A (ko)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방법
Schütz et al. Bridging the Gap between Security Competencies and Security Threats: Toward a Cyber Security Domain Model
KR20210104504A (ko)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방법
KR20210104502A (ko) 위해관리계획 이행 점검 장치
Johnson Inadequate legal, regulatory and technical guidance for the forensic analysis of cyber-attacks on safety-critical software
Maarop et 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success factors: a review
Romadhona et al. Evalu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in crisis response using KAMI index: The case of company XYZ
Moulton et al. Accidents will happen: safety‐critical knowledge and automated control systems
Pretorius et al. Digital Risk Management: Investigating Human-Factor Security with a Behaviorist Approach
KR102211242B1 (ko) 화학 시설에 대한 테러 위험도 평가 방법
KR102239376B1 (ko) 화학 시설에 대한 보안 수준 평가 방법
KR102240737B1 (ko) 화학 시설에 대한 보안 취약성 평가 방법
Ahmed et al. ACCIDENTS IN CHEMICAL & PROCESS INDUSTRIES OF BANGLADESH: AWARENESS AMONG PEOPLE WORKING IN CHEMICAL & PROCESS PLANTS
Fields Ransomware Tabletop Exercise for Government Agencies
Shashidhar Workplace Harassment and Violence: A Primer on Critical Strateg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Hale Mission assurance: a review of continuity of operations guidance for application to cyber incident mission impact assessment (CIMIA)
Stephens et al. Continuity of Government as a Framework for Local Emergency Managers
Chizubem Indicators as Early Warning Signal Performance to Solve Underlying Safety Problem before They Emerge as Accident Ris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