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801A -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801A
KR20130089801A KR1020120000428A KR20120000428A KR20130089801A KR 20130089801 A KR20130089801 A KR 20130089801A KR 1020120000428 A KR1020120000428 A KR 1020120000428A KR 20120000428 A KR20120000428 A KR 20120000428A KR 20130089801 A KR20130089801 A KR 20130089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disease
weight
item
syndr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1801B1 (ko
Inventor
홍각표
손봉기
Original Assignee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넷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넷커스 filed Critical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8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서버의 가축질병 예찰방법은,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로부터 가축정보, 작성시간정보, 하나 이상의 증후군 체크항목, 및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포함하는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통해 상기 가축정보에 대응하는 가축의 제1 질병 내지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상기 제1 질병 내지 상기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선정된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JECTURING LIVESTOCK DISEASE IN ADVANCE}
본 발명은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가의 가축 관리자에게 가축에게 질병이 발생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증후군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가축 관리자가 작성한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각 증후군 항목별 가중치를 설정하여 해당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여 그에 따른 후속대책을 제어하는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인 인적, 물적 교역의 증가로 인해 구제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 악성 가축전염병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피해가 극심한 상황이다. 가축전염병 발생시 신속한 방역을 통한 피해 확산 저지를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상시적인 예찰체제를 유지하여 가축전염병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의 예찰체계는 예찰인력 부족으로 인한 예찰 주기의 장기화(특별방역 주 1회, 평시방역 월 1회), 예찰요원 전문성 결여, 수작업을 통한 예찰정보 수집 및 전산화와 복잡한 보고체계 등으로 인해 질병발생징후 조기포착을 통한 가축전염병 조기 발견이 어렵고, 질병 발생시 예찰정보를 기반으로 한 방역관련 전략 수립이 지연되고 있다.
예찰정보 수집 및 전산화를 예찰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하기 위해 PDA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사용이 번거로워 예찰업무 효율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가축전염병에 대한 지식 부족과 비과학적인 임상검사로 축산농가의 의심축 발견 및 신고가 지연되고 있으며, 사육 가축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가장 잘 알고 있고, 상시적인 예찰이 가능한 축산농가의 자가예찰 능력을 사장시키고 있다.
따라서, 예찰요원과 축산농가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찰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과학적 예찰과 농가자가예찰을 통한 상시예찰이 가능하고, 수집된 예찰정보를 기반으로 가축전염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보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농가의 가축 관리자에게 가축에게 질병이 발생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증후군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가축 관리자가 작성한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각 증후군 항목별 가중치를 설정하여 해당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여 그에 따른 후속대책을 제어하는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서버의 가축질병 예찰방법은,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로부터 가축정보, 작성시간정보, 하나 이상의 증후군 체크항목, 및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포함하는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통해 상기 가축정보에 대응하는 가축의 제1 질병 내지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상기 제1 질병 내지 상기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선정된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서버의 가축질병 예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증후군 체크항목은 하나 이상의 중분류 항목 및 상기 각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소분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중분류 항목은 보행장애, 수포발생, 발열, 림프절 종대, 정서상태, 침흘림 정도, 설사지속 기간, 개체사망, 식욕상태, 분변상태, 호흡곤란, 유산시기, 쇠약정도, 기침정도, 유사증상 개체수, 및 후산정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서버의 가축질병 예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통해 상기 가축정보에 대응하는 가축의 제1 질병 내지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이 포함하는 중분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중분류 가중치 및 소분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소분류 가중치가 기록된 가중치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질병에 대응하는 증후군 체크항목의 중분류 항목이 제1 중분류 항목 및 제2 중분류 항목인 경우, 상기 제1 중분류 항목 및 상기 제2 중분류 항목에 각각 설정된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제2 중분류 가중치의 합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응답정보 및 상기 가중치 테이블을 통해, 상기 제1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1 소분류 항목의 가중치인 제1-1 소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1 소분류 항목의 가중치인 제2-1 소분류 가중치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1-1 소분류 가중치의 곱인 제1 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2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1 소분류 가중치의 곱인 제2 값을 연산한 후,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의 합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의 상기 합을, 상기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 중분류 가중치의 합으로 나누어 상기 가축에 대한 상기 제1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서버의 가축질병 예찰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상기 제1 질병 내지 상기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선정된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해당농가의 관리자 단말기 및 해당기관의 서버로 상기 제1 질병 내지 상기 제N 질병의 발생 가능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질병의 발생 가능성에 따라 상기 해당기관 서버로 상기 해당농가에 대한 정밀검사 또는 방역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서버의 가축질병 예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는 디지털펜 및 전자종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PC, 및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하나 이상의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와, 가축정보, 작성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를 가축질병 예찰서버로 전송하는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 및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통해 상기 가축정보에 대응하는 가축의 제1 질병 내지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상기 제1 질병 내지 상기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선정된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하는 가축질병 예찰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이 포함하는 중분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중분류 가중치 및 소분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소분류 가중치가 기록된 가중치 테이블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질병에 대응하는 증후군 체크항목의 중분류 항목이 제1 중분류 항목 및 제2 중분류 항목인 경우, 상기 제1 중분류 항목 및 상기 제2 중분류 항목에 각각 설정된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제2 중분류 가중치의 합을 연산하며, 상기 응답정보 및 상기 가중치 테이블을 통해, 상기 제1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1 소분류 항목의 가중치인 제1-1 소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1 소분류 항목의 가중치인 제2-1 소분류 가중치를 판독하고, 상기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1-1 소분류 가중치의 곱인 제1 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2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1 소분류 가중치의 곱인 제2 값을 연산한 후,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의 합을 연산하며,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의 상기 합을, 상기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 중분류 가중치의 합으로 나누어 상기 가축에 대한 상기 제1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축종별 가축전염병 증후군에 대한 표준화된 통합 체크리스트를 통해 가축전염병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한 예찰요원 및 축산농가의 과학적 예찰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각 증후군에 대한 가중치 부여를 통해 전문성이 부족한 농가의 관리자가 단지 가축의 외형상 나타나는 증상에 대한 정보만을 입력하는 것으로도 다양한 종류의 가축질병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예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예찰현장에서 디지털펜으로 작성한 통합 체크리스트의 정보를 서버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질병을 조기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예찰자별, 지역별 예찰활동 및 실적을 취합하여 통계 정보를 관리하고, 예찰정보를 필요로 하는 방역기관의 외부 시스템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예상되는 질병, 발생확률, 조치사항을 마련하여 신속하게 가축질병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의 가축질병 예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방법 중 질병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은 소, 돼지, 닭 등 다양한 종류의 가축에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가축의 종류에 따라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에 포함되는 중분류 항목 및 소분류 항목의 내용이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각각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축과 질병을 소와 구제역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은 소와 구제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가축 및 질병에 다양한 방법으로 각각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은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110) 및 가축질병 예찰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110)는 디지털 펜, 전자종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PC나 노트북 등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전문성이 결여된 예찰인력의 보다 손쉬운 체크리스트 항목 입력을 위해 펜이나 손가락을 통해 터치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가축질병 예찰서버(120)는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110)와 유무선 인터넷, CDMA, WCDMA, GSM, WiBro, LTE 등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가축질병 예찰서버(120)는 농가(130)의 통신 단말기, 해당기관(140)의 통신 단말기, 방역당국(150)의 통신 단말기 등 외부의 각종 서버나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의 가축질병 예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방법은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 및 가축질병 예찰서버를 포함하는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 및 가중치 테이블을 유지한다(단계(211)).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증후군 체크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증후군 체크항목은 각각 하나 이상의 중분류 항목 및 소분류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분류 항목은 "보행장애", "수포발생", "발열", "림프절 종대", "정서상태", "침흘림 정도", "설사지속 기간", "개체사망", "식욕상태", "분변상태", "호흡곤란", "유산시기", "쇠약정도", "기침정도", "유사증상 개체수", 및 "후산정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중분류 항목은 하나 이상의 소분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장애"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보행을 꺼림", "다리를 절음", "잘 넘어짐", 및 "기립불능"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포발생"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혀", "구강점막 부위", "발굽", "유두", 및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미열", "중열", 및 "고열"을 포함할 수 있다. "림프절 종대"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여" 및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정서상태"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침울함", "불안", 및 "외부자극에 민감"을 포함할 수 있다. "설사지속 기간"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1일", "2일 내지 5일", 및 "6일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개체사망"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여" 및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식욕상태"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정상", "식욕부진", "식욕결핍", 및 "식욕절폐"를 포함할 수 있다. "분변상태"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정상변", "묽은설사", "수양성 설사변", 및 "녹변"을 포함할 수 있다. "호흡곤란"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여" 및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산시기"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임신초기", "임신중기", 및 "임신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쇠약정도"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심한 소모성 수척증상" 및 "체중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침정보"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통증이 있는 마른기침" 및 "간헐적인 마른기침"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증상 개체수"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1개체", "2개체 내지 5개체", 및 "6개체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후산정체"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은 "여" 및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중분류 항목과 상기 각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소분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분류 항목은 질문항목으로 구현되고, 상기 소분류 항목은 응답항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예찰요원은 가축의 현재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각 중분류 항목의 질문에 대응하여 상기 각 소분류 항목을 통해 응답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를 상기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로 제공한다(단계(212)). 상기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는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단계(213)). 상기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포함하는 각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의 선택을 통하여 해당 가축의 현재상태에 대한 응답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가축질병 체크리스트에 대한 응답정보를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로 전송한다(단계(215)).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통해 상기 가축정보에 대응하는 가축의 제1 질병 내지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한다(단계(216)). 단계(216)의 질병 발생 가능성 판단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방법 중 질병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이 포함하는 중분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중분류 가중치 및 소분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소분류 가중치가 기록된 가중치 테이블을 유지한다(단계(311)).
상기 각각의 가중치는 각 질병에 대응하여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제역에 대응하여 중분류 항목 중 보행장애에는 가중치 1, 발열에는 가중치 1, 수포(발생부분)에는 가중치 2, 집단발병에는 가중치 1, 침흘림에는 가중치 2가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구제역에 대응하여 보행장애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 중 보행을 꺼림에는 가중치 1, 다리를 절음에는 가중치 1, 잘 넘어짐에는 가중치 0.5, 기립불능에는 가중치 0.5, 정상에는 가중치 0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구제역에 대응하여 발열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 중 미열(39도~40도)에는 가중치 0.5, 중열(40도~41도)에는 가중치 0.7, 고열(41도 이상)에는 가중치 1, 정상에는 가중치 0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구제역에 대응하여 집단발명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 중 1개체에는 가중치 0.5, 2~5개체에는 가중치 0.7, 6개체 이상에는 가중치 1, 없음에는 가중치 0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구제역에 대응하여 수포(발생부분)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 중 혀에는 가중치 1, 구강점막부위에는 가중치 1, 발굽에는 가중치 1, 유두에는 가중치 0.5, 없음에는 가중치 0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구제역에 대응하여 침흘림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소분류 항목 중 소량에는 가중치 0.5, 보통에는 가중치 0.7, 다량에는 가중치 1, 정상에는 가중치 0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중치 테이블에는 각각의 질병에 대응하여 중분류 항목의 가중치, 소분류 항목의 가중치가 각각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의 설정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제1 질병에 대응하는 증후군 체크항목의 중분류 항목이 제1 중분류 항목 및 제2 중분류 항목인 경우, 상기 제1 중분류 항목 및 상기 제2 중분류 항목에 각각 설정된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제2 중분류 가중치의 합을 연산한다(단계(312)).
예를 들어 단계(312)에서, 상기 제1 질병이 구제역이고 그에 대응하는 중분류 가중치 및 소분류 가중치가 상술한 예와 같은 경우,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보행장애 가중치 1, 발열 가중치 1, 수포(발생부분) 가중치 2, 집단발병 가중치 1, 및 침흘림 가중치 2의 총합인 7을 가중치 합으로 연산할 수 있다.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응답정보 및 상기 가중치 테이블을 통해, 상기 제1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1 소분류 항목의 가중치인 제1-1 소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1 소분류 항목의 가중치인 제2-1 소분류 가중치를 판독한다(단계(313)). 상기 각 소분류 항목의 가중치는 상술한 예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1-1 소분류 가중치의 곱인 제1 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2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1 소분류 가중치의 곱인 제2 값을 연산한 후,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의 합을 연산한다(단계(314)).
예를 들어 상술한 예의 경우, 상기 응답정보가 보행장애에 대응하여 다리를 절음이 선택되고, 발열에 대응하여 중열이 선택되고, 침흘림에 대응하여 다량이 선택되고, 집단발병에 대응하여 없음이 선택되고, 수포(발생부분)에 대응하여 없음이 선택된 경우,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보행장애 중분류에 대응하는 제1 값을 (1*1)+(1*0.7)+(2*1)=3.7로 연산할 수 있다.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의 상기 합을, 상기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 중분류 가중치의 합으로 나누어 상기 제1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한다(단계(315) 및 단계(316)).
예를 들어 상기의 예에서,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응답정보에 따라 선택된 각 소분류 항목 가중치 및 각 중분류 항목 가중치 간의 곱의 합인 3.7을 상기 각 중분류 가중치 간의 합인 7로 나눈 값인 0.53을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가축에 대한 구제역 발생 가능성을 53%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질병발생 가능성 정보를 상기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로 제공한다(단계(217)). 상기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는 상기 질병발생 가능성 정보를 예찰요원 등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단계(218)).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질병발생 가능성 정보에 따라 선정된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한다(단계(219)).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해당농가의 관리자 단말기 및 해당기관의 서버로 상기 제1 질병 내지 상기 제N 질병의 발생 가능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각 질병의 발생 가능성에 따라 상기 해당기관 서버로 상기 해당농가에 대한 정밀검사 또는 방역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제역에 대한 발생 가능성이 60% 이상이면,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방역당국이나 관계기관에 현장출동하여 해당가축에 대한 혈청검사 및 방역대 설치를 요망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구제역에 대한 발생 가능성이 40% 내지 60%인 경우,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관계자에게 해당가축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을 요망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구제역에 대한 발생 가능성이 40% 미만인 경우, 해당가축이 건강한 정상상태인 것으로 간주하는 메시지를 관계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질병 예찰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
120: 가축질병 예찰서버
130: 농가
140: 해당기관
150: 방역당국

Claims (8)

  1.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로부터 가축정보, 작성시간정보, 하나 이상의 증후군 체크항목, 및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포함하는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통해 상기 가축정보에 대응하는 가축의 제1 질병 내지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상기 제1 질병 내지 상기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선정된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질병 예찰서버의 가축질병 예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증후군 체크항목은 하나 이상의 중분류 항목 및 상기 각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소분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중분류 항목은 보행장애, 수포발생, 발열, 림프절 종대, 정서상태, 침흘림 정도, 설사지속 기간, 개체사망, 식욕상태, 분변상태, 호흡곤란, 유산시기, 쇠약정도, 기침정도, 유사증상 개체수, 및 후산정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질병 예찰서버의 가축질병 예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통해 상기 가축정보에 대응하는 가축의 제1 질병 내지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이 포함하는 중분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중분류 가중치 및 소분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소분류 가중치가 기록된 가중치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질병에 대응하는 증후군 체크항목의 중분류 항목이 제1 중분류 항목 및 제2 중분류 항목인 경우, 상기 제1 중분류 항목 및 상기 제2 중분류 항목에 각각 설정된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제2 중분류 가중치의 합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응답정보 및 상기 가중치 테이블을 통해, 상기 제1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1 소분류 항목의 가중치인 제1-1 소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1 소분류 항목의 가중치인 제2-1 소분류 가중치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1-1 소분류 가중치의 곱인 제1 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2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1 소분류 가중치의 곱인 제2 값을 연산한 후,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의 합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의 상기 합을, 상기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 중분류 가중치의 합으로 나누어 상기 가축에 대한 상기 제1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질병 예찰서버의 가축질병 예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상기 제1 질병 내지 상기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선정된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해당농가의 관리자 단말기 및 해당기관의 서버로 상기 제1 질병 내지 상기 제N 질병의 발생 가능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질병의 발생 가능성에 따라 상기 해당기관 서버로 상기 해당농가에 대한 정밀검사 또는 방역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질병 예찰서버의 가축질병 예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는 디지털펜 및 전자종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PC, 및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질병 예찰서버의 가축질병 예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하나 이상의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와, 가축정보, 작성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를 가축질병 예찰서버로 전송하는 예찰정보 수집 단말기; 및
    상기 가축증후군 체크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에 대응하는 응답정보를 통해 상기 가축정보에 대응하는 가축의 제1 질병 내지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상기 제1 질병 내지 상기 제N 질병 각각의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선정된 이벤트의 수행을 제어하는 가축질병 예찰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질병 예찰서버는, 상기 각 증후군 체크항목이 포함하는 중분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중분류 가중치 및 소분류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소분류 가중치가 기록된 가중치 테이블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질병에 대응하는 증후군 체크항목의 중분류 항목이 제1 중분류 항목 및 제2 중분류 항목인 경우, 상기 제1 중분류 항목 및 상기 제2 중분류 항목에 각각 설정된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제2 중분류 가중치의 합을 연산하며, 상기 응답정보 및 상기 가중치 테이블을 통해, 상기 제1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1-1 소분류 항목의 가중치인 제1-1 소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 중분류 항목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2-1 소분류 항목의 가중치인 제2-1 소분류 가중치를 판독하고, 상기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1-1 소분류 가중치의 곱인 제1 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2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1 소분류 가중치의 곱인 제2 값을 연산한 후,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의 합을 연산하며, 상기 제1 값 및 상기 제2 값의 상기 합을, 상기 제1 중분류 가중치 및 상기 제2 중분류 가중치의 합으로 나누어 상기 가축에 대한 상기 제1 질병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KR1020120000428A 2012-01-03 2012-01-03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 KR101401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428A KR101401801B1 (ko) 2012-01-03 2012-01-03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428A KR101401801B1 (ko) 2012-01-03 2012-01-03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01A true KR20130089801A (ko) 2013-08-13
KR101401801B1 KR101401801B1 (ko) 2014-05-30

Family

ID=4921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428A KR101401801B1 (ko) 2012-01-03 2012-01-03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8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73A (ko) * 2014-06-27 2016-01-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KR102337219B1 (ko) * 2021-08-04 2021-12-09 (주)네오딘바이오벳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975A (ko) 2021-02-18 2022-08-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혈청 예찰용 대상 개체 선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077A (ja) * 2002-04-22 2003-11-05 Seiko Instruments Inc 家畜管理システム及び家畜管理方法
KR100414692B1 (ko) * 2003-02-06 2004-01-13 유종철 사이버 동물병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73A (ko) * 2014-06-27 2016-01-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돈장 차단 방역 위험수준 평가 방법
KR102337219B1 (ko) * 2021-08-04 2021-12-09 (주)네오딘바이오벳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801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antz et al. The use of mobile phone data to inform analysis of COVID-19 pandemic epidemiology
Randrianasolo et al. Sentinel surveillance system for early outbreak detection in Madagascar
Salathé et al. Early evidence of effectiveness of digital contact tracing for SARS-CoV-2 in Switzerland
Hoff et al. Evolution of a disease surveillance system: an increase in reporting of human monkeypox disease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2001–2013
Chamberlain et al. Real-time detection of COVID-19 epicenters within the United States using a network of smart thermometers
Wiratsudakul et al. Dynamics of Zika virus outbreaks: an overview of mathematical modeling approaches
Vrbova et al. Systematic review of surveillance systems for emerging zoonoses.
Ng et al. Spatially adjusted time-varying reproductive numbers: understanding the geographical expansion of urban dengue outbreaks
Roberts et al. Screening for Chlamydia trachomati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conomic evaluations and modelling
Gustafson et al. Combining surveillance and expert evidence of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freedom: a decision science approach
Konty et al. Influenza surveillance using wearable mobile health devices
Cox et al. The uncertain burden of Plasmodium falciparum epidemics in Africa
Miller et al. Improving state-level influenza surveillance by incorporating real-time smartphone-connected thermometer readings across different geographic domains
Nelli et al. Distance sampling for epidemiology: an interactive tool for estimating under-reporting of cases from clinic data
Xiong et al. Establishment of epidemic early warning index system and optimization of infectious disease model: Analysis on monitoring data of public health emergencies
KR101401801B1 (ko) 가축질병 예찰 시스템 및 방법
Monteiro et al. Robust surveillance of animal diseases: an application to the detection of bluetongue disease
Dubey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ctive case detection methods to support visceral leishmaniasis elimination in India
Wen et al. Evaluating the role of disease importation in the spatiotemporal transmission of indigenous dengue outbreak
Elser et al. The economics of a successful raccoon rabies elimination program on Long Island, New York
Noy et al. Measuring the economic risk of epidemics
Omar et al. Risk stratification and assessment framework for international travel and border measures Amidst the COVID-19 pandemic–A Malaysian perspective
Wu et al. Predicting onset of COVID-19 with mobility-augmented SEIR model
Christensen et al. Scenario tree model for animal disease freedom framed in the OIE context using the example of a generic swine model for Aujeszky’s disease in commercial swine in Canada
Gundermann et al. Change-point models for identifying behavioral transitions in wild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