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443U - 우산 케이스 - Google Patents
우산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1443U KR20160001443U KR2020140007735U KR20140007735U KR20160001443U KR 20160001443 U KR20160001443 U KR 20160001443U KR 2020140007735 U KR2020140007735 U KR 2020140007735U KR 20140007735 U KR20140007735 U KR 20140007735U KR 20160001443 U KR20160001443 U KR 2016000144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mbrella
- tube
- case
- stopper
- outer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라 외통(10)이 우산(U)의 휴대시 최소 길이에 대응토록 제안되어 우산(U)을 내통(20) 속으로 끼워 넣을 경우 완전수납이 가능하게 되어, 들고 다니거나 실내에 세워둘 경우 극히 편리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견상의 간소함으로 상품성을 보장케 할 수 있으며, 특히 우산(U)을 받아들이는 내통(20)이 우산(U)의 길이에 연동되면서 외통(10) 속으로 들어가 축소되거나 외통(10)으로부터 인출 연장됨으로써 단 두 개의 구성으로, 즉 외통(10)과 내통(20)이라는 단 두 개의 구성으로 우산(U)으로부터 낙하되는 빗물을 받아주면서도 간단히 보관케 할 수 있어 실용성은 물론이거니와 생산성까지 보장하여 일회용의 자원낭비를 극복한 상시사용까지 가능케 하여 환경오염까지 방지토록 할 수 있는 우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우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 휴대시의 편리함은 물론이거니와 상품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다양한 우산의 크기에 연동되어 실용적으로 보관케 할 수 있는 우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우산대, 즉 샤프트를 중심으로 우산살이 펼쳐지면서 천을 통해 빗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우천시 사용된 우산을 실내에 들여놓기 위해서는 우산살을 비롯한 천을 접어 세워놓아야 하는데, 이러할 경우 천에 묻힌 빗물이 낙수가 되어 실내로 떨어지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신장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단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가 단축된 상태로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는 우산(1)의 우산대(1a)에 일체로 삽설 고정되고 나사부(12)가 형성된 지지관체(10)와, 지지관체(10)를 중심으로 슬라이더 이동 가능하게 삽설 지지됨과 동시에 우산(1)의 절첩시 인위적으로 신축 조작되어 우산(1)을 커버하기 위한 신축식 케이스(20)와, 지지관체(10)의 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되되 이의 내부로는 빗물을 모으기 위한 빗물 집수공간부(32)를 갖는 조절캡(30)으로 구성된다.
도 5는 선행기술문헌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에 적용된 신축식 케이스 중 자바라식 관체의 신장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신축식 케이스(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서로 다른 다단식 관체(22)로 상호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신축식 케이스(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체(10)에 일체로 삽설 지지됨과 동시에 하단부를 향해 직경이 확장되는 자바라식 관체(202)로 이루어진다.
한편, 지지관체(10)의 나사부(12)로는 빗물 배수공(14)을 더 형성하여 조절캡(30)의 조절에 따라 빗물이 배수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는 신축식 케이스(20)가 다수의 다단식 관체(22)로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생산성 및 조립성 나아가 사용 편리성이 현저히 떨어짐과 동시에 다단식 관체(22) 상호간의 틈새로 인하여 오히려 빗물이 새어나가 불편함과 지저분함을 초래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 신축식 케이스(20)가 자바라식 관체(202)로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지지관체(10)와의 실링(Sealing)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견상 볼품이 없어 상품성 내지는 휴대성이 떨어지며 특히 다양한 크기를 갖는 우산(1)의 길이에 유연하게 대응하기엔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우산 휴대시의 편리함은 물론이거니와 상품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다양한 우산의 크기에 연동되어 실용적으로 보관케 할 수 있는 우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들고 다니거나 실내에 세워둘 경우 극히 편리케 하면서 외견상의 간소함으로 상품성을 보장케 할 수 있는 우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우산을 받아들이는 내통이 우산의 길이에 연동되면서 외통 속으로 들어가 축소되거나 외통으로부터 인출 연장되도록 하여 단 두 개의 구성으로, 즉 외통과 내통이라는 단 두 개의 구성으로 우산으로부터 낙하되는 빗물을 받아주면서도 간단히 보관케 하여 실용성은 물론이거니와 생산성까지 보장하여 일회용의 자원낭비를 극복한 상시사용으로 환경오염까지 방지토록 할 수 있는 우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캡의 조립 및 분해를 보장케 하면서도 그 사이의 틈새로 빗물이 새어나오는 현상을 오링으로 철저히 봉쇄토록 할 수 있는 우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통이 우산의 휴대시 최소 길이에 대응되면서 우산을 내통 속으로 끼워 넣을 경우 완전수납을 가능케 하고, 우산을 받아들이는 내통이 우산의 길이에 연동되어 외통 속으로 들어가 축소되거나 외통으로부터 인출 연장케 하는 특징을 걸림수단의 간단 구성, 즉 걸림뭉치와 내통의 등간격 걸림턱 상호간의 걸침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 생산성, 상시사용 및 환경오염 방지까지 실현케 할 수 있는 우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통 속으로 내통이 끼워지면서 걸림턱이 지나갈 경우 스토퍼가 슬라이딩 봉의 슬라이딩에 의해 후퇴한 후 이웃 걸림턱에 걸쳐지도록 하여, 내통의 외통 속으로의 진입 또는 외통 속으로부터의 인출을 부드럽게 보장토록 하는 우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토퍼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외통 속으로의 진입 또는 외통 속으로부터의 인출을 더욱 부드럽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더욱 견고하게 걸림턱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우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토퍼로 하여금 걸림턱들 사이에 마련된 걸림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우산의 길이에 맞추어 내통을 외통으로부터 인출 연장케 한 상태를 흔들림없이 유지토록 할 수 있는 우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시 비를 막아주면서 휴대시 1단을 유지하거나 2단 내지 5단으로 접혀 길이의 가감이 가능한 우산을 받아들이는 우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우산의 휴대시 최소 길이에 대응하는 외통과,
상기 우산을 받아들이면서 걸림수단에 의해 상기 외통 속에 걸쳐짐과 동시에 상기 우산의 길이에 연동되면서 상기 외통 속으로 들어가 축소되거나 상기 외통으로부터 인출되어 연장되는 내통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우산 휴대시의 편리함은 물론이거니와 상품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다양한 우산의 크기에 연동되어 실용적으로 보관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외통이 우산의 휴대시 최소 길이에 대응되도록 제안되어 우산을 내통 속으로 끼워 넣을 경우 완전수납이 가능하게 되어, 들고 다니거나 실내에 세워둘 경우 극히 편리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견상의 간소함으로 상품성을 보장케 할 수 있으며, 특히 우산을 받아들이는 내통이 우산의 길이에 연동되면서 외통 속으로 들어가 축소되거나 외통으로부터 인출 연장됨으로써 단 두 개의 구성으로, 즉 외통과 내통이라는 단 두 개의 구성으로 우산으로부터 낙하되는 빗물을 받아주면서도 간단히 보관케 할 수 있어 실용성은 물론이거니와 생산성까지 보장하여 일회용의 자원낭비를 극복한 상시사용으로 환경오염까지 방지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하부캡만을 탈거시켜 빗물을 간단히 비우고 다시 하부캡을 조립시켜 실내에 간단히 보관토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하부캡의 조립 및 분해를 보장케 하면서도 그 사이의 틈새로 빗물이 새어나오는 현상을 오링으로 철저히 봉쇄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우산을 내통 속으로 끼워 넣을 때 더욱 원활하고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외통 속으로 내통이 끼워지면서 걸림턱이 지나갈 경우 스토퍼가 슬라이딩 봉의 슬라이딩에 의해 후퇴한 후 이웃 걸림턱에 걸쳐지도록 하여, 외통 속으로의 진입 또는 외통 속으로부터의 인출을 부드럽게 보장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스토퍼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내통의 외통 속으로의 진입 또는 외통 속으로부터의 인출을 더욱 부드럽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더욱 견고하게 걸림턱을 받쳐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스토퍼로 하여금 걸림턱들 사이에 마련된 걸림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우산의 길이에 맞추어 내통을 외통으로부터 인출 연장케 한 상태를 흔들림없이 유지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외통 속으로 내통의 진입 및 외통 속으로부터 내통의 인출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내통이 외통의 하측방향으로 끼워질 때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더욱 수월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우산 케이스를 실내나 차량에 준비된 뾰족한 부분 등에 거치시켜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야간에 경고표시 및 식별표시로서 활용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신장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단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가 단축된 상태로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선행기술문헌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에 적용된 신축식 케이스 중 자바라식 관체의 신장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신장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단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우산 케이스가 단축된 상태로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선행기술문헌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에 적용된 신축식 케이스 중 자바라식 관체의 신장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 비를 막아주면서 휴대시 1단을 유지하거나 2단 내지 5단으로 접혀 길이의 가감이 가능한 우산(U)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계된다.
우산(U)은 흔히 접혀지지 않는 장 우산(1단 유지)과 2단 내지 5단으로 접혀지는 접힘 우산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러한 우산(U)은 사용시 비를 막아주고 휴대시 빗물을 털어 내면서 접게 된다.
그런데, 빗물이 마르지 않는 우산(U)을 휴대하거나 실내에 세워둘 경우 낙수에 의한 불편함이 상존하게 되는데,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비닐봉지나 기타 다양한 우산 빗물받이가 제안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우산(U) 휴대시의 편리함은 물론이거니와 상품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다양한 우산(U)의 크기에 연동되어 실용적으로 보관케 할 수 있도록 우산 케이스를 제안하는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산(U)의 휴대시 최소 길이에 대응하는 외통(10)과, 우산(U)을 받아들이면서 걸림수단(30)에 의해 외통(10) 속에 걸쳐짐과 동시에 우산(U)의 길이에 연동되면서 외통(10) 속으로 들어가 축소되거나 외통(10)으로부터 인출되어 연장되는 내통(20)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라 외통(10)이 우산(U)의 휴대시 최소 길이에 대응토록 제안되어 우산(U)을 내통(20) 속으로 끼워 넣을 경우 완전수납이 가능하게 되어, 들고 다니거나 실내에 세워둘 경우 극히 편리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견상의 간소함으로 상품성을 보장케 할 수 있으며, 특히 우산(U)을 받아들이는 내통(20)이 우산(U)의 길이에 연동되면서 외통(10) 속으로 들어가 축소되거나 외통(10)으로부터 인출 연장됨으로써 단 두 개의 구성으로, 즉 외통(10)과 내통(20)이라는 단 두 개의 구성으로 우산(U)으로부터 낙하되는 빗물을 받아주면서도 간단히 휴대 및 보관케 할 수 있어 실용성은 물론이거니와 생산성까지 보장하여 일회용의 자원낭비를 극복한 상시사용으로 환경오염까지 방지토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통(10)은 하측방향으로 뚫려진 낙수구멍(11)과,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착탈턱(12)을 구비하고, 다른 한편으로 착탈턱(12)에 조립되는 착탈돌기(41)를 지니면서 낙수구멍(11)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수용하는 하부캡(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가 오는 날 우산(U)을 내통(20) 속으로 끼워 넣은 상태에서 우산 케이스를 실내에 오래도록 세워놓을 시 빗물이 하부캡(40)을 비롯한 외통(10) 및 내통(20)에 채워지게 되는데, 이러할 경우 우산(U)을 빼내고 빗물을 비울 경우 주변이 낙수로 인해 지저분하게 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우산 케이스를 통째로 들고 화장실이나 실외 등지에서 하부캡(40)만을 탈거시켜 빗물을 간단히 비운 후 다시 하부캡(40)을 조립시켜 실내에 보관토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착탈턱(12)과 착탈돌기(41)는 상호 나사 조립 및 나사 풀림으로 간단히 동작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우산 케이스는 외통(10)의 하부에 형성된 링홈(13)과, 이 링홈(13)에 끼워져 하부캡(40)의 조립시 실링을 가능케 하는 오링(13a)을 더 포함하여, 하부캡(40)의 조립 및 분해를 보장케 하면서도 그 사이의 틈새로 빗물이 새어나오는 현상을 오링(13a)으로 철저히 봉쇄토록 한다.
한편, 내통(20)의 상부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직경을 가지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우산(U)을 내통(20) 속으로 끼워 넣을 때 더욱 원활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핵심 특징에 따라 걸림수단(30)은 외통(10)의 내주연에 구비된 걸림뭉치(31)와, 우산(U)의 길이에 연동되면서 내통(20)이 외통(10) 속으로 들어가 축소되거나 외통(10)으로부터 인출되어 연장될 경우 걸림뭉치(31)에 걸쳐지도록 내통(20)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돌출된 걸림턱(32)을 포함할 수 있다.
외통(10)이 우산(U)의 휴대시 최소 길이에 대응되면서 우산(U)을 내통(20) 속으로 끼워 넣을 경우 완전수납을 가능케 하고, 우산(U)을 받아들이는 내통(20)이 우산(U)의 길이에 연동되면서 외통(10) 속으로 들어가 축소되거나 외통(10)으로부터 인출 연장케 하는 특징을 걸림수단(30)의 간단한 구성, 즉 걸림뭉치(31)와 걸림턱(32) 상호간의 걸침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 생산성, 상시사용 더불어 환경오염 방지까지 보장 및 실현케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걸림뭉치(31)는 외통(10)의 상단 내주연으로부터 외향으로 확장되어 고정홈(31a)을 보장하면서 통공(31b)이 뚫려진 고정벽(31c)과, 통공(31b)에 슬라이딩 끼워지는 슬라이딩 봉(31d)을 지니면서 걸림턱(32)에 걸쳐지는 스토퍼(31e)를 포함한다.
고정벽(31c)의 고정홈(31a)에 스토퍼(31e)가 안착되고, 특히 슬라이딩 봉(31d)이 통공(31d)에 슬라이딩 끼워져, 외통(10) 속으로 내통(20)이 끼워지면서 걸림턱(32)이 지나갈 경우 스토퍼(31e)가 슬라이딩 봉(31d)의 슬라이딩에 의해 후퇴한 후 이웃 걸림턱(32)에 걸쳐지도록 하여, 내통(20)으로 하여금 외통(10) 속으로의 진입 또는 외통(10) 속으로부터의 인출을 부드럽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따라 슬라이딩 봉(31d)에 끼워져 스토퍼(31e)를 걸림턱(32)을 향에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스프링(31f)을 더 포함하여, 스토퍼(31e)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외통(10) 속으로의 내통(20)의 진입 또는 외통(10) 속으로부터 의 내통(20)의 인출을 더욱 부드럽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더욱 견고하게 걸림턱(32)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걸림수단(30)은 스토퍼(31f)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걸림턱(32)들 사이에 마련된 걸림홈(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1f)가 걸림턱(32)들 사이에 마련된 걸림홈(33)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우산(U)의 길이에 맞추어 내통(20)을 외통(10)으로부터 인출 연장케 한 상태를 흔들림없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내통(20)의 상부 외주연에는 거치수단(21)을 더 포함시켜 우산 케이스를 실내나 차량에 준비된 뾰족한 부분 등에 거치시켜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외통(10)의 외주연에 다양한 형상으로 된 발광수단(14; 야광 페이트, 야광 시트, 솔러셀을 활용한 LED, 배터리 전원을 통한 발광수단 등)을 더 포함시켜 야간에 경고표시(차량 통제) 및 식별표시(보행자 보호)로서 활용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우천시 사용되는 우산 관련의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U : 우산
10 : 외통 11 : 낙수구멍
12 : 착탈턱 13 : 링홈
13a : 오링 14 : 발광수단
20 : 내통 21 : 거치수단
30 : 걸림수단 31 : 걸림뭉치
31a : 고정홈 31b : 통공
31c : 고정벽 31d : 슬라이딩 봉
31e : 스토퍼 31f : 스프링
32 : 걸림턱 33 : 걸림홈
40 : 하부캡 41 : 착탈돌기
10 : 외통 11 : 낙수구멍
12 : 착탈턱 13 : 링홈
13a : 오링 14 : 발광수단
20 : 내통 21 : 거치수단
30 : 걸림수단 31 : 걸림뭉치
31a : 고정홈 31b : 통공
31c : 고정벽 31d : 슬라이딩 봉
31e : 스토퍼 31f : 스프링
32 : 걸림턱 33 : 걸림홈
40 : 하부캡 41 : 착탈돌기
Claims (10)
- 사용시 비를 막아주면서 휴대시 1단을 유지하거나 2단 내지 5단으로 접혀 길이의 가감이 가능한 우산(U)을 받아들이는 우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우산(U)의 휴대시 최소 길이에 대응하는 외통(10)과,
상기 우산(U)을 받아들이면서 걸림수단(30)에 의해 상기 외통(10) 속에 걸쳐짐과 동시에 상기 우산(U)의 길이에 연동되면서 상기 외통(10) 속으로 들어가 축소되거나 상기 외통(10)으로부터 인출되어 연장되는 내통(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은 하측방향으로 뚫려진 낙수구멍(11)과,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착탈턱(12)을 구비하고,
상기 착탈턱(12)에 조립되는 착탈돌기(41)를 지니면서 상기 낙수구멍(11)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수용하는 하부캡(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의 하부에 형성된 링홈(13)과, 상기 링홈(13)에 끼워져 상기 하부캡(40)의 조립시 실링을 가능케 하는 오링(13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의 상부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30)은
상기 외통(10)의 내주연에 구비된 걸림뭉치(31)와,
상기 우산(U)의 길이에 연동되면서 상기 내통(20)이 상기 외통(10) 속으로 들어가 축소되거나 상기 외통(10)으로부터 인출되어 연장될 경우 상기 걸림뭉치(31)에 걸쳐지도록 상기 내통(20)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돌출된 걸림턱(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뭉치(31)는
상기 외통(10)의 상단 내주연으로부터 외향으로 확장되어 고정홈(31a)을 보장하면서 통공(31b)이 뚫려진 고정벽(31c)과,
상기 통공(31b)에 슬라이딩 끼워지는 슬라이딩 봉(31d)을 지니면서 상기 걸림턱(32)에 걸쳐지는 스토퍼(31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봉(31d)에 끼워져 상기 스토퍼(31e)로 하여금 상기 걸림턱(32)을 향에 밀려가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1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30)은 상기 스토퍼(31f)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32)들 사이에 마련된 걸림홈(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의 상부 외주연에 거치수단(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의 외주연에 발광수단(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7735U KR20160001443U (ko) | 2014-10-24 | 2014-10-24 | 우산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7735U KR20160001443U (ko) | 2014-10-24 | 2014-10-24 | 우산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1443U true KR20160001443U (ko) | 2016-05-04 |
Family
ID=5602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7735U KR20160001443U (ko) | 2014-10-24 | 2014-10-24 | 우산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1443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8568B1 (ko) * | 2018-12-03 | 2019-06-12 | 전은정 | 휴대용 우산통 |
KR102111646B1 (ko) | 2018-12-14 | 2020-05-15 | 손홍석 | 자바라형 커버가 장착된 빗물받이 캡 장치 |
-
2014
- 2014-10-24 KR KR2020140007735U patent/KR20160001443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8568B1 (ko) * | 2018-12-03 | 2019-06-12 | 전은정 | 휴대용 우산통 |
KR102111646B1 (ko) | 2018-12-14 | 2020-05-15 | 손홍석 | 자바라형 커버가 장착된 빗물받이 캡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890683A (zh) | 遮篷杆系统 | |
US10012379B2 (en) | Sunshade lamp fixing device and sunshade | |
KR20160001443U (ko) | 우산 케이스 | |
US20050005958A1 (en) | Combination of a shade and rain umbrella | |
US20090266391A1 (en) | Safety umbrella with water collecting and drainage mechanism | |
US20140130406A1 (en) | Shading device for potted plants | |
KR20130058330A (ko) | 텐트 지지폴의 지지용 허브장치 | |
AU2011100199A4 (en) | A mounting assembly for a post | |
KR101508336B1 (ko) | 차량에 결합가능한 차양막의 고정구조 | |
WO2017054206A1 (zh) | 一种伞盒 | |
KR101868080B1 (ko) |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 | |
CN203692734U (zh) | 具有伞套的伞具 | |
CN204232422U (zh) | 一种便携雨伞 | |
KR101710236B1 (ko) | 천 고정 장치 | |
KR20110004584U (ko) | 우산손잡이 일체형 방수 커버 | |
JPH1014634A (ja) | 伸縮カバー筒付傘 | |
CN204368822U (zh) | 方便搬运的垃圾桶 | |
CN104621884A (zh) | 易于组装的晴雨伞 | |
CN216723461U (zh) | 一种新型伸缩伞中棒 | |
CN203731243U (zh) | 一种路灯 | |
KR102275934B1 (ko) | 우산커버와 우산받침대가 결합된 우산 | |
CN209898484U (zh) | 一种便于收纳的雨伞 | |
KR20100130766A (ko) | 커버체가 일체로 구비된 우산 | |
KR20140003068A (ko) | 우산용 빗물받이 커버 | |
CN210800538U (zh) | 一种营地灯三脚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