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53U -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 - Google Patents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53U
KR20160001353U KR2020140007536U KR20140007536U KR20160001353U KR 20160001353 U KR20160001353 U KR 20160001353U KR 2020140007536 U KR2020140007536 U KR 2020140007536U KR 20140007536 U KR20140007536 U KR 20140007536U KR 20160001353 U KR20160001353 U KR 201600013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ounting
charging jack
surface proje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철
Original Assignee
안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철 filed Critical 안영철
Priority to KR2020140007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353U/ko
Publication of KR20160001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가 개시되는 것으로, 상단 둘레부를 따라 전면돌출부(11), 후면돌출부(12), 좌측면돌출부(13), 우측면돌출부(14)가 각각 수직 입설되고 내부에 동전 등의 물품이 보관되는 보관부(15)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면돌출부(13)와 우측면돌출부(14)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되고 스마트폰(S)이 끼워져 거치되는 거치부(16)가 구비되는 몸체(10)를 갖는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전면돌출부(11)의 중앙에는 스마트폰 화면의 가려짐을 방지하는 개방부(17)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면돌출부(11)에는 스마트폰 충전잭 선(101)이 꽂아져 끼워지도록 상기 전면돌출부(11)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수직연장되는 끼움부(2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supporting pad for smart-phone with charge adapter put in part}
본 고안은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패드의 전면에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충전잭을 끼울 수 있는 충전잭 끼움부를 더 구비하여 충전잭 선을 가지런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도록 한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들은 고속도로 톨게이트의 비용 계산이나 또는 계산 후의 잔돈의 동전을 나중에 계속 사용하기 위해 자동차에 보관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바, 이러한 동전을 자동차에 보관하는 방법이 주로 자동차에 구성된 동전홀더나 또는 재떨이에 넣어 보관하고 있다.
또한, 동전홀더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자동차의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동전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떨이에 주로 보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와 같이 동전홀더나 재떨이에 동전을 보관할 경우 일정깊이로 형성된 동전홀더의 깊이 또는 재떨이의 깊이에 의해 동전의 종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비용 이상으로 많은 동전을 꺼낸 후 손에 움켜진 동전을 일일이 파악한 다음, 필요한 비용만큼 동전을 다른 손으로 옮기고 나머지 동전은 다시 동전홀더나 재떨이에 넣게 되는 바, 운전 중에 동전을 꺼낼 때 양 손을 이용함으로써 운전 부주위의 원인이 되고, 손에 움켜진 동전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어 운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에는 보편적으로 길을 안내하여 주는 네비게이션이 장착되어 있으나, 근래 들어서는 스마트폰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길 안내를 받는 운전자들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길 안내를 받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화면이 잘 보이도록 스마트폰을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거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종래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 거치수단의 경우에는, 자석과 금속판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부착방식이거나 또는 스마트폰의 거치대를 자동차의 대시보드 측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있지만, 자석과 금속판을 이용할 경우에는 자석 또는 금속판을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먼저 부착하여야 함에 따라 자동차의 내부 미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고, 반대로 스마트폰의 후면에도 역시 자석 또는 금속판을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석의 자력이 스마트폰에 영향을 주게 되어 스마트폰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거치대를 별도로 구입하여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설치할 경우에는 역시 대시보드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가 깔끔하고 미려하게 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수단들은 단순하게 스마트폰만의 지지를 위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동전을 컵홀더나 재떨이에 보관하여 사용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20-0462859호인 지지부가 형성된 슬립방지패드를 안출한 바 있으며, 이는 저면에 자동차의 대시보드와 밀착되어 논슬립되는 논슬립면이 형성되고 상면에 동전이 보관되는 보관부가 형성된 몸체로 구성되는 슬립방지 패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이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몸체의 상부측으로 수직형성되며 후면에 제1지지경사각이 형성된 제1지지턱과, 상기 제1지지턱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제1지지턱과 동일하게 수직되게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제1지지턱의 제1지지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제2경사각이 형성된 제2지지턱으로 구성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하나의 슬립방지패드를 이용하여 동전보관과 함께 스마트폰이나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어 두 가지 기능에 의한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스마트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을 할 경우 충잭과 연결선 선에 의해 스마트폰이 거치된 패드의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전용 잭의 경우 스마트폰을 충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선이 그대로 책상이나 자동차의 내부에 방치됨에 따라 공간활용성에 크게 제한을 받을 수 있으며, 선에 의해 주변이 지저분해질 뿐만 아니라, 선이 책상이나 자동차의 대시보드로부터 떨어지거나 또는 이탈되어 밟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종래 기술의 패드는 이와 같은 스마트폰 충전용 잭에 대한 문제점을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62859호(2012.09.26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94272호(2005.08.24 등록)
본 고안은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홈부를 갖는 패드의 전면에 충전잭 선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를 더 구비하여 줌으로써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함과 동시에 충전잭 선을 깔끔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도록 하고 충전잭 선이 걸리적거리거나 또는 책상이나 자동차의 대시보드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는, 상단 둘레부를 따라 전면돌출부, 후면돌출부, 좌측면돌출부, 우측면돌출부가 각각 수직 입설되고 내부에 동전 등의 물품이 보관되는 보관부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면돌출부와 우측면돌출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되고 스마트폰이 끼워져 거치되는 거치부를 갖는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전면돌출부의 중앙에는 스마트폰 화면의 가려짐을 방지하는 개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면돌출부에는 스마트폰 충전잭 선이 꽂아져 끼워지도록 상기 전면돌출부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수직연장되는 끼움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좌측면돌출부와 우측면돌출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거치부의 일면에는 거치부에 끼워지는 스마트폰을 밀착시켜 스마트폰이 거치부로부터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톱니형의 밀착돌기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거치부가 구비되는 좌측면돌출부와 우측면돌출부에는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케이스 덮개가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스마트폰과는 또 다른 스마트폰이 거치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제2거치부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끼움부의 내측 상단에는 스마트폰 충전잭 선이 인입될 때 끝단부가 내려갔다가 스마트폰 충전잭 선이 끼움부에 완전히 인입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끼움부에 끼워진 스마트폰 충전잭 선이 끼움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스마트폰이 끼워져 거치되는 거치부가 구비되는 패드의 전면돌출부에 스마트폰 충전잭 선이 끼워지는 끼움부를 더 구비하여 거치부에 끼워져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충전시에 충전잭 선을 끼움부에 끼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잭 선이 널부러지거나 하지 않고 깔끔하게 정리정돈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충전하지 않거나 또는 스마트폰을 거치부에 거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충전잭 선을 끼움부에 끼워 보관함에 따라 주변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책상이나 자동차의 대시보드 등으로부터 충전잭이 떨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방부에 의해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하부의 가림을 최소화하여 스마트폰의 화면 하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네비게이션 등의 화면이 가려짐을 방지하고 스마트폰의 하부에 구비된 스위치를 개방부를 통해 눌러주도록 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스위치 누름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에 충전잭이 끼워지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에 스마트폰과 충전잭이 끼워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를 이용하여 2개의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케이스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는, 상단 둘레부를 따라 전면돌출부(11), 후면돌출부(12), 좌측면돌출부(13), 우측면돌출부(14)가 각각 수직 입설되고 내부에 동전 등의 물품이 보관되는 보관부(15)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면돌출부(13)와 우측면돌출부(14)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되고 스마트폰(S)이 끼워져 거치되는 거치부(16)가 구비되는 몸체(10)를 갖는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전면돌출부(11)의 중앙에는 스마트폰 화면의 가려짐을 방지하는 개방부(17)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면돌출부(11)에는 스마트폰 충전잭 선(101)이 꽂아져 끼워지도록 상기 전면돌출부(11)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수직연장되는 끼움부(2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입설되는 전면돌출부(11), 후면돌출부(12), 좌측면돌출부(13), 우측면돌출부(14), 보관부(15), 거치부(16)는,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일반적인 패드의 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개방부(17)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거치부(16)에 끼워져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화면 일부를 상기 전면돌출부(11)가 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것으로, 전면돌출부(11)의 중앙에 개방부(17)가 더 구비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등의 기능을 이용할 때 스마트폰의 화면 가려짐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고안은, 끼움부(20)가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끼움부(20)에 스마트폰 충전잭 선(101)을 꽂아 끼움으로써 선(101)이 걸리적거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즉, 종래의 패드는 거치부에 스마트폰을 끼워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을 위해 충전잭을 스마트폰에 꽂아주면 충전잭 선이 패드의 바깥쪽으로 빠져나오기 때문에 걸리적거렸으나, 본 고안은 거치부(16)에 스마트폰(S)을 꽂아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잭을 스마트폰에 꽂더라도 충전잭 선(101)을 상기 끼움부(20)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충전잭 선(101)에 의한 걸리적거림을 해결할 수 있다.
더하여,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거치부(16)에 거치하지 않더라도 충전잭 선(101)을 끼움부(20)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어 충전잭을 바로 찾을 수 있으며, 충전잭이 책상 또는 자동차의 대시보드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충전잭 선이 끼움부(20)에 꽂아진 상태에서 고정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충전잭 선에 대한 정리정돈이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거치부(16)에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잭 선(101)을 끼움부(20)에 꽂아 보관하거나 충전잭 선(101)을 끼움부(20)에 꽂아 끼운 상태에서 거치부(16)에 거치된 스마트폰(S)의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성 및 편의성을 더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좌측면돌출부(13)와 우측면돌출부(14)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거치부(16)의 일면에는 거치부(16)에 끼워지는 스마트폰을 밀착시켜 스마트폰이 거치부(16)로부터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톱니형의 밀착돌기(18)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부(16)에 스마트폰(S)을 꽂으면 스마트폰(S)의 전면이 상기 톱니형의 밀착돌기(18)에 의해 밀착되기 때문에 스마트폰(S)이 상기 거치부(16)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자동차의 운행 중에 자동차의 흔들거림에 의해 스마트폰이 거치부로부터 빠져나가거나 쓰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거치부(16)가 구비되는 좌측면돌출부(13)와 우측면돌출부(14)에는 상기 거치부(16)에 거치되는 스마트폰(S)의 케이스 덮개(102)가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거치부(16)에 거치되는 스마트폰(S)과는 또 다른 스마트폰(S1)이 거치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제2거치부(19)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거치부(19)가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마트폰(S)(S1)을 각각 거치부(16)와 제2거치부(19)에 거치하여 충전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지갑형 케이스의 경우에는 덮개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이 덮개가 구비된 케이스의 덮개(102)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거치부(19)에 꽂아 거치시킬 수 있어 스마트폰을 지갑형 케이스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끼움부(20)의 내측 상단에는 스마트폰 충전잭 선(101)이 인입될 때 끝단부가 내려갔다가 스마트폰 충전잭 선(101)이 끼움부(20)에 완전히 인입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끼움부(20)에 끼워진 스마트폰 충전잭 선(101)이 끼움부(2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21)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잭 선(101)이 상기 끼움부(20)측으로 끼워질 때 충전잭 선(101)의 끼움방향을 따라 휘어진 상태로 하향지다가 충전잭 선(101)을 끼움부(20)에 완전히 끼우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충전잭 선(101)이 끼움부(20)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탈방지돌기(21)는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본 고안은, 상기 몸체(10)의 상단에는 상기 후면돌출부(12)의 일측에 위치되고 운전자의 연락번호를 표기할 수 있는 표기부(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표기부(30)가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 운전자의 연락번호를 상기 표기부(30)에 표기한 후 자동차의 대시보드 위에 상기 몸체(10)를 올려 놓으면 외부에서 자동차 운전자의 연락번호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운전자 연락표기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표기부(30)에는 운전자가 필기구를 이용하여 연락번호를 직접 수기하여 표기하거나 또는 연락번호가 인쇄된 스티커를 표기부(30)에 부착하여 표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11 : 전면돌출부
12 : 후면돌출부 13 : 좌측면돌출부
14 : 우측면돌출부 15 : 보관부
16 : 거치부 17 : 개방부
18 : 밀착돌기 19 : 제2거치부
20 : 끼움부 21 : 이탈방지돌기
30 : 표기부 101 : 충전잭 선
102 : 덮개

Claims (5)

  1. 상단 둘레부를 따라 전면돌출부(11), 후면돌출부(12), 좌측면돌출부(13), 우측면돌출부(14)가 각각 수직 입설되고 내부에 동전 등의 물품이 보관되는 보관부(15)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면돌출부(13)와 우측면돌출부(14)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되고 스마트폰(S)이 끼워져 거치되는 거치부(16)가 구비되는 몸체(10)를 갖는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전면돌출부(11)의 중앙에는 스마트폰 화면의 가려짐을 방지하는 개방부(17)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면돌출부(11)에는 스마트폰 충전잭 선(101)이 꽂아져 끼워지도록 상기 전면돌출부(11)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수직연장되는 끼움부(2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돌출부(13)와 우측면돌출부(14)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거치부(16)의 일면에는 거치부(16)에 끼워지는 스마트폰을 밀착시켜 스마트폰이 거치부(16)로부터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톱니형의 밀착돌기(18)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6)가 구비되는 좌측면돌출부(13)와 우측면돌출부(14)에는 상기 거치부(16)에 거치되는 스마트폰(S)의 케이스 덮개(102)가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거치부(16)에 거치되는 스마트폰(S)과는 또 다른 스마트폰(S1)이 거치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제2거치부(19)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20)의 내측 상단에는 스마트폰 충전잭 선(101)이 인입될 때 끝단부가 내려갔다가 스마트폰 충전잭 선(101)이 끼움부(20)에 완전히 인입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끼움부(20)에 끼워진 스마트폰 충전잭 선(101)이 끼움부(2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21)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단에는 상기 후면돌출부(12)의 일측에 위치되고 운전자의 연락번호를 표기할 수 있는 표기부(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
KR2020140007536U 2014-10-17 2014-10-17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 KR201600013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536U KR20160001353U (ko) 2014-10-17 2014-10-17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536U KR20160001353U (ko) 2014-10-17 2014-10-17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53U true KR20160001353U (ko) 2016-04-27

Family

ID=5591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536U KR20160001353U (ko) 2014-10-17 2014-10-17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35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3094A1 (zh) * 2019-10-28 2021-05-06 新嘉数码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可变形置物垫支架
WO2021083095A1 (zh) * 2019-10-28 2021-05-06 新嘉数码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带插接遮阳板的置物垫支架
KR20210093717A (ko) * 2020-01-20 2021-07-28 안영철 거치대 교체가 용이한 논슬립형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3094A1 (zh) * 2019-10-28 2021-05-06 新嘉数码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可变形置物垫支架
WO2021083095A1 (zh) * 2019-10-28 2021-05-06 新嘉数码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带插接遮阳板的置物垫支架
KR20210093717A (ko) * 2020-01-20 2021-07-28 안영철 거치대 교체가 용이한 논슬립형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54574U (zh) 车用可调式手机固定结构
US9432071B2 (en) 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RU2602875C2 (ru) Вставка приборной панели
US20130193706A1 (en) Overhead console with storage unit insert
KR20160001353U (ko) 충전잭 끼움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용 패드
CN107406000B (zh) 布置在机动车中的装置、具有装置的机动车及运行装置的方法
KR101502943B1 (ko) 차량의 무선 충전용 고정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센터 콘솔 조립체
KR20140091266A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JP2016107686A (ja) アームレスト
US10850679B2 (en) Rollup tablet computer holder
KR200462859Y1 (ko) 지지부가 형성된 슬립방지패드
CN106352208A (zh) 一种重力自锁手机或平板电脑的支架
CA2903963A1 (en) Customizable compact disposable smartphone vehicle mount for enhancing accessibility, viewing, communications, and safety
CN203185317U (zh) 工具箱
CN205292457U (zh) 方向盘手机支架
KR20180039354A (ko) 차량용 무선충전기
WO2013189415A2 (zh) 通用车载装置
KR20130002954U (ko)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
US20110284416A1 (en) Multipurpose container
KR200456530Y1 (ko) 휴대폰 거치 장치
US20070035913A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apparatus
US20150060507A1 (en) Sun visor housing for sunglasses
KR20190056224A (ko) 차량용 핸드폰 충전 거치대와케이스
CN111791805A (zh) 一种汽车用储物盒
CN208947226U (zh) 车载显示器及含有该车载显示器的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