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21U - 빨래 도구함 - Google Patents

빨래 도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21U
KR20160001321U KR2020140007460U KR20140007460U KR20160001321U KR 20160001321 U KR20160001321 U KR 20160001321U KR 2020140007460 U KR2020140007460 U KR 2020140007460U KR 20140007460 U KR20140007460 U KR 20140007460U KR 20160001321 U KR20160001321 U KR 201600013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aundry
compartments
washing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361Y1 (ko
Inventor
김정미
Original Assignee
김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미 filed Critical 김정미
Priority to KR2020140007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36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3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4Cabinets with compartments provided with trays revolving on a vertical axis

Landscapes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래 도구함은, 내부에 복수의 구획실이 구비되는 도구함 본체; 및 상기 복수의 구획실 둥 어느 하나의 구획실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납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통;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빨래 도구함{TOOLBOX FOR WASHING}
본 고안은 각종 빨래 도구를 사용 후 간편하게 수납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빨래 도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부들은 청소와 정리정돈이 스트레스이다. 통상 손빨래를 할 때 세탁실이 따로 없는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등에서는 욕실이나 베란다에서 손빨래를 한다. 손빨래시 비누, 빨래솔, 세제 및 빨래판 등과 같은 용품이 필요하며 손빨래 후에는 이러한 용품들을 다시 정리하여 보관한다.
그러나 손빨래를 위한 용품들이 여러 종류이기 때문에 정리가 쉽지 않다. 예컨대 손빨래시 빨래 용품을 여기 저기 늘어놓고 사용하기 때문에 손빨래 후 빨래 용품을 정리하기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빨래 용품을 한번에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빨래 도구함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3-0022981호는 "비누갑"을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는 각종 빨래 도구를 사용 후 간편하게 수납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빨래 도구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래 도구함은, 내부에 복수의 구획실이 구비되는 도구함 본체; 및 상기 복수의 구획실 중 어느 하나의 구획실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납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통;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구함 본체는 내부에 구비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으로 구획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 구획실 중 어느 한쪽 구획실에는 구획실에 부합하도록 복수의 수납통이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통이 수납되는 구획실에 대향하는 타측 구획실에는 개폐문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문의 외측면에는 개폐문이 닫힌 상태에서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수납된 수납통 외형과 대칭을 이루도록 각 수납통의 경계에 대칭되는 장식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통은 일측 끝단이 대응하는 수납실의 끝단부에 회전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구함 본체는 후판; 상기 후판 상부 전방에 구비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대향하여 후판 하부 전방에 구비되는 하판; 및 상기 상하판을 좌우 구획실로 나눌 수 있도록 상하단이 상하판에 연결되는 격벽;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과 하판은 반원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에는 방향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판에는 복수의 배수구멍이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손잡이 구멍이 구비된 손잡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판의 배면 좌우 양측에는 빨래판의 좌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빨래판의 좌우 폭에 부합하는 고정부재가 대향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판의 배면 하부에는 빨래판의 하단을 받치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래 도구함에 의하면, 각종 빨래 도구를 사용 후 간편하게 수납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손빨래에 필요한 용품들을 세트로 수납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공간안에 필요한 빨래 용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이동이 편리한 빨래 도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빨래 도구함 자체의 미려한 디자인으로 인한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판에 방향제가 구비되어 있어 향상 은은한 향이 방출되는 등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통과 개폐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통과 개폐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래 도구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통과 개폐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통과 개폐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래 도구함은 내부에 복수의 구획실이 구비되는 도구함 본체(10) 및 도구함 본체(10)의 구획실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납통(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구함 본체(10)는 후판(15)과, 후판(15) 상부 전방에 결합되는 상판(13)과, 상판(13)과 간격을 두고 후판(15) 하부 전방에 결합되는 하판(14) 및 상하단이 상하판(13, 14)을 연결하는 격벽(16)을 포함한다.
상하판(13, 14)은 외형에 제한을 받지 않으나 디자인이 미려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13)에는 방향제(40)가 구비될 수 있다. 방향제(40)는 상판(13)의 상면 내부에 결합되어 상판(13)의 상면과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16)은 상하판(13, 14)를 좌우로 구획하여 좌우 구획실을 형성한다. 격벽(16)에 의해 도구함 본체(10) 내부에는 좌우 양측으로 구획실(11, 12)이 구비된다. 좌우 구획실 중 일측 구획실(11)에는 복수의 수납통(20)이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수납된다. 격벽(16)을 기준으로 수납통(20)이 수납되지 않는 대향하는 반대편 타측 구획실(12)에는 개폐문(30)이 결합된다.
수납통(20)은 일측 구획실(11) 내부에 부합하는 외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비누, 빨래솔 등과 같은 수납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다. 후판(15)에 밀착되는 수납통(20)의 끝단 모서리부와 이에 대응하는 일측 구획실(11) 후판(15)의 끝단 모서리부는 힌지축 등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수납통(20)이 일측 구획실(11)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회전 개폐될 수 있다.
개폐문(30)은 타측 구획실(12)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후판(15)에 밀착되는 개폐문(30)의 끝단 모서리부와 타측 구획실(12)의 후판(15) 끝단 모서리부는 힌지축 등과 같은 부재와 결합되어 개폐문(30)이 회전 개폐될 수 있다. 한편, 개폐문(30) 외측면에는 장식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홈(31)은 도 3과 같이 개폐문(30)을 닫았을 때 일측 구획실(11)에 수납된 복수의 각 수납통(20)의 경계와 대칭되는 문양을 이루어 어느 쪽이 개폐문(30)이고 어느 쪽이 복수의 층을 이루는 수납통(20)인지를 구분하기 어렵도록 한다.
하판(14)에는 복수의 배수구멍(121)이 천공된다. 이 배수구멍(121)은 좌우 구획실(11, 12) 내부의 물을 배출하여 좌우 구획실(11, 12) 내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판(13) 후방의 상면 부위에는 손잡이부(17)가 구비된다. 손잡이부(17)에는 사용자가 손을 넣을 수 있도록 손잡이 구멍(171)이 천공된다. 손잡이부(17)의 외형은 제한이 없으나, 파지가 용이한 아치(arch)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판(15)의 배면에는 빨래판(50)을 결합할 수 있도록 별도의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후판(15)의 배면 좌우에는 빨래판(50)의 좌우 폭에 부합하는 좌우 고정부재(151)가 대향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후판(15)의 배면 하부에는 빨래판(50)의 하단을 받치는 걸림턱(152)이 구비된다. 이러한 좌우 고정부(151) 및 걸림턱(152)에 의해 빨래판(50)을 후판(15)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후판(15)과 손잡이부(17)는 빨래판(50) 이상의 크기로 형성하여 결합된 빨래판(50)이 후판(15)과 손잡이부(17)의 둘레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래 도구함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도구함 본체(10)의 일측 구획실(11)에 복수의 층으로 결합된 수납통(20) 내부에 비누나 빨래솔 등과 같이 부피가 작은 수납대상물을 넣어 보관할 수 있다. 수납통(20)이 복수이기 때문에 다양한 수납대상물을 수납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일측 구획실(11)에 대향하는 반대편 타측 구획실(12)에는 세제용기 등과 같이 수납통(20)에 수납하기 어려운 다소 길이가 긴 형태의 수납대상물을 넣어 보관할 수 있다.
수납대상물을 넣은 다음 도 3과 같이 개폐문(30)과 수납통(20)을 완전히 닫는다. 개폐문(30)에는 장식홈(31)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문(30)이 닫은 상태에는 시각적으로 개폐문(30)과 복수의 수납통(20)을 구분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개폐문(30)에 장식홈(31)을 형성함으로써, 디자인적인 형상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판(14)에 천공된 배수구멍(121)을 통해 좌우 구획실(11, 12) 내부의 물이 배출될 수 있어 좌우 구획실(11, 12)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후판(15)에는 빨래판(50)을 결합할 수 있다. 즉 빨래판(50)의 좌우 측면이 지지되도록 빨래판(50)의 좌우를 좌우 고정부재(151)에 맞추어 끼워 넣는다. 이때 빨래판(50)의 하단은 걸림턱(152)에 지지되어 더욱 안정된 빨래판(5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빨래 도구함은, 빨래판은 물론 비누, 세제, 세제용기 및 빨래솔 등과 같은 각종 수납대상물을 한번에 수납할 수 있어 빨래 용품을 세트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어 운반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상판에 방향제가 구비되어 있어 향상 은은한 향이 방출되는 등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도구함 본체 11:구획실
12:구획실 13:상판
14:하판 15:후판
16:격벽 17:손잡이부
20:수납통 30:개폐문
31:장식홈 40:방향제
50:빨래판 121:배수구멍
151:고정부재 152:걸림턱
171:손잡이 구멍

Claims (13)

  1. 내부에 복수의 구획실이 구비되는 도구함 본체; 및
    상기 복수의 구획실 중 어느 하나의 구획실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납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통;
    을 포함하는 빨래 도구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구함 본체는,
    내부에 구비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으로 구획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도구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우 구획실 중 어느 한쪽 구획실에는,
    구획실에 부합하도록 복수의 수납통이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도구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이 수납되는 구획실에 대향하는 타측 구획실에는,
    개폐문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도구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의 외측면에는,
    개폐문이 닫힌 상태에서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수납된 수납통 외형과 대칭을 이루도록 각 수납통의 경계에 대칭되는 장식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도구함.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은,
    일측 끝단이 대응하는 수납실의 끝단부에 회전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도구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구함 본체는,
    후판;
    상기 후판 상부 전방에 구비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대향하여 후판 하부 전방에 구비되는 하판; 및
    상기 상하판을 좌우 구획실로 나눌 수 있도록 상하단이 상하판에 연결되는 격벽;
    을 포함하는 빨래 도구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은 반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도구함.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방향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도구함.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복수의 배수구멍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도구함.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손잡이 구멍이 구비된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도구함.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후판의 배면 좌우 양측에는,
    빨래판의 좌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빨래판의 좌우 폭에 부합하는 고정부재가 대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도구함.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후판의 배면 하부에는,
    빨래판의 하단을 받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도구함.
KR2020140007460U 2014-10-14 2014-10-14 빨래 도구함 KR200480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60U KR200480361Y1 (ko) 2014-10-14 2014-10-14 빨래 도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60U KR200480361Y1 (ko) 2014-10-14 2014-10-14 빨래 도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21U true KR20160001321U (ko) 2016-04-22
KR200480361Y1 KR200480361Y1 (ko) 2016-05-16

Family

ID=5591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460U KR200480361Y1 (ko) 2014-10-14 2014-10-14 빨래 도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3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7154A (zh) * 2021-10-30 2021-12-24 吕惠宇 一种清洁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290Y1 (ko) 2004-04-21 2004-07-27 김상현 회전식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7154A (zh) * 2021-10-30 2021-12-24 吕惠宇 一种清洁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361Y1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3936B1 (en) Leakage catch basin and configurable storage unit
US20100243660A1 (en) Bathroom organizer with dual paper toilet storage holder
KR200480361Y1 (ko) 빨래 도구함
JP6054619B2 (ja) 流し台用シンク
KR20120001748U (ko) 세면대 일체형 샤워기
US6343845B1 (en) Multiple bar soap storage dispenser
KR20120045345A (ko) 천장 매립형 수납장
JP3641599B2 (ja) キャビネット構造
KR101349419B1 (ko) 세정부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JP6193580B2 (ja) 間仕切り収納構造
KR101241297B1 (ko) 코너용 물품 수납장
JP7166845B2 (ja) 洗面化粧台
JPH11221172A (ja) カウンター取付構造
KR101478265B1 (ko) 욕실장
KR200196574Y1 (ko) 욕실용품 비치수단이 구비된 수납식 비치함
JP3109684U (ja) 水道栓柱取付備品箱
KR200360550Y1 (ko) 청소도구 보관 거치대
KR200495767Y1 (ko) 기능성 목욕 바구니
JP7253339B2 (ja) 収納用仕切部材
KR200249155Y1 (ko) 코너설치용수납장
JPH0417105Y2 (ko)
KR200374651Y1 (ko) 화장실 다용도 수납장
KR200389591Y1 (ko)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
KR101268684B1 (ko) 식기 세척기의 하부 커버의 수납 구조
JP3925353B2 (ja) 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