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591Y1 -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 - Google Patents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591Y1
KR200389591Y1 KR20-2005-0010648U KR20050010648U KR200389591Y1 KR 200389591 Y1 KR200389591 Y1 KR 200389591Y1 KR 20050010648 U KR20050010648 U KR 20050010648U KR 200389591 Y1 KR200389591 Y1 KR 200389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lid
main body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삼
Original Assignee
이덕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삼 filed Critical 이덕삼
Priority to KR20-2005-0010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1Storing of cleaning tools, e.g. contain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02Shakers for dust-cloths or mops; Bumpers therefor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수도꼭지를 털어놓고 대걸레와 손걸레를 세척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1)나 뚜껑(2)에 물을 받아 세척하여 물을 아낄수 있고 더나아가 손걸레(6)를 세척한 물을 버리지 말고 본체(1)에 붓고 대걸레(3)를 본체(1)에서 세척하면 물을 엄청나게 아낄수 있다.
대걸레(3), 빗자루(4), 쓰레받기(5)등을 본체(1)에 수직상으로 세워서 보관하고 손걸레(6)는 접어서 걸레수납부(9)에 내장하고 뚜껑(2)의 개구부가 아래방향으로 향한채 본체(1)에 끼우면 청소도구들이 은폐가 되어 실내환경이 깨끗하게 한는데 효과있는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a cleaning outfitbox has a saving water function.}
청소도구보관통은 청소도구들을 수납하는 보관통이다.
청소도구들을 수납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청소도구통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청소도구 사용방법과 보관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첫째로 대걸레와 손걸레를 세척할때 수도꼭지를 털어놓고 세척하다보니 약 20ℓ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물을 낭비하는 문제점과 둘째로 건물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대걸레,빗자루,쓰레받기,손걸레,양동이,세수대야 등이 필요로 하며 구비하는데 번거러운 문제점과 셋째로 상기 청소도구들을 사용후 정리가 되지 않은채 흩어져 보관되어 미관상 보기가 안좋아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것으로 대걸레,빗자루,쓰레받기,손걸레가 청소도구보관통에 내장되고 청소도구보관통이 대걸레를 세척하는 용기로 그리고 뚜껑이 손걸레를 세척하는 용기로 사용되어 수도요금이 적게나와 가정경제와 국가경제에 도움이 되고 실내환경미화에 이바지하는 청소도구보관통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1)은 양동이 형상을 유지하면서 대걸레(3),빗자루(4),쓰레받기(5)등의 청소도구들을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며 세수대야 형상이고 걸레수납부(9)를 구비한 뚜껑(2)을 수반하며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체(1)의 사시도이고 도2는 뚜껑(2)의 개구부가 아래방향을 향한채 본체(1)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체(1)의 바닥면이 빨래판 형상을 하고 있는것을 도시한 평면도 이다
도4는 걸레수납부(9)의 결합공(11)과 걸레수납부뚜껑(10)의 결합공(11)에 결합봉(12)이 끼워져 결합되는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걸레수납부(9)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부(13)와 체결홈(14)을 구비한 체결고리(15)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6은 본인이 따로 출원한 접는 대걸레(3)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체(1)는 대걸레(3),빗자루(4),쓰레받기(5)를 수납하는 수납함 또는 물을 담아 대걸레(3)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용기로 사용된다.
본체(1)개구부 외측면 하단부에는 뚜껑걸림턱(7)이 돌출형성되고 뚜껑(2)이 상기 뚜껑걸림턱(7)에 착지되며 뚜껑걸림턱(7) 하단부 양측면에는 아치형상인 손잡이(8)가 횡으로 형성된다.
본체(1)는 전기한 바와 같이 물을 담아 대걸레(3)를 세척하는 용기로 사용되는데 도(3)와 같이 바닥면에는 가로로 족족 골을 지게 빨래판형상으로 구성하여 대걸레(3)를 깨끗하게 세척하는데 효과가 있고 본체(1) 둘레의 높이가 비교적 높아 대걸레(3) 세척시 물이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뚜껑(2)은 둥근 세수대야 형상이며 개구부를 아래방향으로 향하게하여 본체(1)의 뚜껑걸림턱(7)에 착지되며 본체(1)와 함께 대걸레(3),빗자루(4),쓰레받기(5)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더나아가 뚜껑(2)에 걸레수납부(9)를 두어 손걸레(6)도 보이지 않게한다.
뚜껑(2)은 물을 담아 손걸레(6)를 세척하는 용기로 사용되며 뚜껑(2)내측부분이 본체(1)의 외측부분에 넉넉하게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뚜껑(2)의 외측면 양측에는 아치형상의 손잡이(8)가 횡으로 하여 손을 파지하기에 알맞게 구성되고 손잡이(8)를 위로 당기면 뚜껑걸림턱(7)에 착지된 뚜껑(2)이 느슨하게 분리된다. 뚜껑(2)의 저면부 가장자리인 테두리를 적당한 운두를 유지시켜 손걸레(6)를 수용하는 걸레수납부(9)가 형성된다. 걸레수납부(9)는 손걸레(6)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며 입구를 이루는 테두리부 외측부에 형성된 결합공(11)과 걸레수납부뚜껑(10) 테두리부 외측부에 형성된 결합공(11)에 결합봉(12)이 끼워져 상기 결합봉(12)을 축으로 걸레수납부뚜껑(10)이 회전하면서 여닫을수 있다.
걸레수납부뚜껑(10)의 내측부분이 걸레수납부(9)의 외측부분에 끼워서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11)이 위치한 부위의 반대쪽 외주면에는 지지돌기(16)와 체결홈(14)을 구비한 체결고리(15)가 형성된다.
걸레수납부(9) 외측부 하단부에는 체결고리(15)를 지지하는 걸림부(13)가 형성되고 체결고리(15)의 체결홈(14)에 걸레수납부뚜껑(10) 외주면에 납작하게 돌출된 지지돌기(16)가 끼워져 걸레수납부뚜껑(10)이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작용은 대걸레(3)는 본체(1)에서 세척하고 손걸레(6)는 뚜껑(2)에서 세척한후 대걸레(3),빗자루(4),쓰레받기(5)등을 본체(1)내부에 수직상으로 세워서 보관하고 손걸레(6)는 접어서 걸레수납부(9)에 내장하고 뚜껑(2)의 개구부가 아래방향으로 향한채 본체(1)에 끼우면 청소도구들이 은폐가 되어 실내환경이 깨끗하게 된다.
그리고 수도꼭지를 털어놓고 대걸레(3)와 손걸레(6)를 세척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1)나 뚜껑(2)에 물을 받아 세척하여 물을 아낄수 있고 더나아가 손걸레(6)를 세척한물을 버리지 말고 본체(1)에 붓고 대걸레(3)를 세척하면 물을 엄청나게 아낄수 있다.
청소도구로서 사용되는 대걸레,빗자루,쓰레받기,손걸레 등을 본 고안에 의해 실현된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에 보관하고 사용함으로써 효과는 아래와 같다.
우선 첫째로 청소도구들이 본체에 은폐되어 실내환경미화에 이바지 할수있고 둘째로 본체는 대걸레를 세척하는 용기로 사용되고 뚜껑은 손걸레를 세척하는 용기로 사용되어 별도의 양동이나 세수대야가 필요없고 물을 담아 세척하다보니 수도요금이 적게나와 가정경제나 국가경제에도 이바지 할수있고 셋째로 타청소도구보관통 보다는 부피가 작아 청소하고자 하는 장소로 간편하게 들고 다닐수 있고 넷째로 자주 사용되는 손걸레가 본체 상단부인 걸레수납부에 내장되어있어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수있어 사용자가 신뢰할수있다.
도1은 본체(1)의 사시도
도2는 뚜껑(2)의 개구부가 아래방향을 향한채 본체(1)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체(1)의 바닥면이 빨래판 형상을 하고 있는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4는 걸레수납부(9)의 결합공(11)과 걸레수납부뚜껑(10)의 결합공(11)에 결합봉(12)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걸레수납부(9)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부(13)와 체결홈(14)을 구비한 체결고리(15)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6은 본인이 따로 출원한 접는대걸레(3)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뚜껑
3. 대걸레 4. 빗자루
5. 쓰레받기 6. 손걸레
7. 뚜껑걸림턱 8. 손잡이
9. 걸레수납부 10. 걸레수납부뚜껑
11. 결합공 12. 결합봉
13. 걸림부 14. 체결홈
15. 체결고리 16. 지지돌기
17. 걸림부삽입구멍

Claims (1)

  1. 대걸레(3),빗자루(4),쓰레받기(5)등의 청소도구들이 양동이 형상의 본체(1)에 보관되고 손걸레(6)는 세수대야 형상의 뚜껑(2)에 보관되고 뚜껑(2)의 개구부가 아래로 향한채 본체(1)의 뚜껑걸림턱(7)에 결합되어 청소도구들을 은폐하고 사출성형된 본체(1)에 있어서, 본체(1)는 대걸레(3)를 세척하는 용기로 사용되고 뚜껑(2)은 손걸레(6)를 세척하는 용기로 사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
KR20-2005-0010648U 2005-04-18 2005-04-18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 KR200389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648U KR200389591Y1 (ko) 2005-04-18 2005-04-18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648U KR200389591Y1 (ko) 2005-04-18 2005-04-18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591Y1 true KR200389591Y1 (ko) 2005-07-14

Family

ID=4369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648U KR200389591Y1 (ko) 2005-04-18 2005-04-18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5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183B2 (en) Combination game cleaning station, portable sink and ice chest
US5238106A (en) Kitchen-sink organizer
KR200389591Y1 (ko) 물을 절약하는 청소도구보관통
KR200392981Y1 (ko) 청소도구보관통
KR200434958Y1 (ko) 바닥 개방형 쓰레기통
JP7062822B1 (ja) 液体洗剤容器
KR200192792Y1 (ko) 싱크대용 걸레받이 서랍
CA2743815C (en) Sink with recess for receiving cleaning devices
KR200172549Y1 (ko) 욕실청소용 브러쉬 보관함
KR200313511Y1 (ko) 세탁물 보관용 바스켓
KR200480361Y1 (ko) 빨래 도구함
JPH0527561Y2 (ko)
KR101387964B1 (ko) 쓰레받기 겸용 휴지통
CN218791068U (zh) 一种多功能清洁剂刷
KR200392983Y1 (ko) 우산과 청소도구를 함께 보관할수 있는 보관통
KR200388623Y1 (ko) 우산과 청소도구를 함께 보관할수 있는 보관통
KR100679647B1 (ko) 씽크
KR200360550Y1 (ko) 청소도구 보관 거치대
KR200396663Y1 (ko) 화분 수납공간을 갖는 청소도구보관통
JPS5841253Y2 (ja) 散水函
JP2022148203A (ja) スポンジホルダー
JP3126588U (ja) ゴミ箱
JPH0510066Y2 (ko)
KR200384819Y1 (ko)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JPH11140934A (ja) 引き出し式収納庫付きシ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