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254U -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254U
KR20160001254U KR2020140007288U KR20140007288U KR20160001254U KR 20160001254 U KR20160001254 U KR 20160001254U KR 2020140007288 U KR2020140007288 U KR 2020140007288U KR 20140007288 U KR20140007288 U KR 20140007288U KR 20160001254 U KR20160001254 U KR 201600012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martphone
tooth
illuminance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257Y1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2020140007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5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2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 및 부가 장치(2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치아 확인용 카메라에 있어서,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는, 원판 형태의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전면부에 환형의 테두리로 각 LED 소자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환자의 입안으로 마이크로 카메라(12)를 포함한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이 들어가면 어두운 곳 치아를 조도를 향상시켜 촬영을 하도록 하며, 각 LED 소자에 조도 감지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각 센싱된 조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디밍(Dimming) 기능을 수행하는 LED 라이트(11); LED 라이트(11)의 각 LED 소자에 둘러 쌓인 형태로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중앙에 형성되어 입안의 어금니와 같이 환자 입안의 안쪽의 치아상태 까지를 촬영하기 위해 형성되는 마이크로 카메라(12); 마이크로 카메라(12)와 케이블 단자(14) 사이에 형성되는 직선 형태의 연결 케이블(13); 및 연결 케이블(13)과 연결된 마이크로 카메라(12)와, 스마트폰(15)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스마트폰(15)으로부터 마이크로 카메라(12)로의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케이블 단자(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Camera apparatus for confirming teeth image based on smartphone}
본 고안은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카메라가 비추는 곳을 스마트폰의 스크린 화면을 통해 구현하도록 하게 함으로서, 치과 치료를 받는 환자가 언제든지 장소 불문하고 바로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어느 나라든지 많은 병원이 있고 그 병원 중에서는 각기 다른 과의 진료를 보고 있다. 치료를 위한 진료 중에서는 어린이가 가도 그리 겁을 먹지 않고 울지 않는 과들이 많은데 유독 치과만큼은 어린이나 어른도 하는 사람들이 상당수가 있다.
다른 외과나 소아과도 여러 과에서는 의료장비의 소음 내지 형상에 비해 유독 치과에서만큼은 치아치료용 도구의 소리나 치료 중에 감당해야 할 통증은 어른은 물론 아이들에게는 공포의 소리로 들려서 한번 치과 치료를 받은 아이라면 다시는 치과에 가기가 좀 어려운 일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소리나 통증에 대한 대비를 위해 아이나 어른에게 자신의 치아 상태를 바로 보고 치아의 상태를 보고 치료를 해야 하는지 또는 아닌지를 확인을 할 수 있다면 치과 치료를 더욱 편안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입을 크게 벌려서 부모나 가족에게 플래시를 같이 비춰서 확인을 하는 방법을 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 치과 치료 전에 확인을 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관련기술문헌]
1. 치아영상으로부터 치아영역 추출방법 및 치아영상을 이용한 신원확인방법 및 장치(특허출원번호 제10-2002-0085916호)
2. 개인식별에 적합한 재현성 있는 치아 영상 획득 및 처리시스템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16460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로 카메라가 비추는 곳을 스마트폰의 스크린 화면을 통해 구현하도록 하게 함으로써, 치과 치료를 받는 환자가 언제든지 장소 불문하고 바로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앞으로 원격진료의 도입시 병원과 먼 곳에서 거주하는 경우나 먼 곳에 병원을 찾아가고 싶지만 치과 병원 위치가 너무 멀어서 어려운 산간 지역 마을 및 노약자만 사는 섬 마을 등에서는 치료를 목적으로 많은 시간을 준비하고 다녀야 할 마을 주민들이 치아상태를 먼 마을에 위치한 치과 의사로부터 장거리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단순 진료를 위해 꼭 찾아가지 않아도 치과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꼭 치아를 관리하는데 목적을 두지 않고 갑자기 사고나 재난 등으로 사람이 다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일이 생긴다면 마이크로 카메라로 상처 부위를 비추면서 의사나 119 요원과 현장에 오는 동안 긴급 응급진료 상황을 알 수 있게 도와줌으로써,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차츰 병원은 수입이 줄어서 폐원하는 일이 잦으면서 의사도 신용불량으로 전락하고 있는 요즘 시대에 상대적으로 기술력은 높아졌지만 그 응용가치가 높은 스마트폰에 치아관리용 카메라를 이용하면서 응급 상황을 스마트폰에 촬영을 하고 먼 곳에 있는 의사나 119 및 112 상황실 현장 출동을 하는 요원들에게 상처 등을 보여주어 그 대처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함으로써, 의사들에게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는,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 및 부가 장치(2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치아 확인용 카메라에 있어서,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는, 원판 형태의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전면부에 환형의 테두리로 각 LED 소자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환자의 입안으로 마이크로 카메라(12)를 포함한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이 들어가면 어두운 곳 치아를 조도를 향상시켜 촬영을 하도록 하며, 각 LED 소자에 조도 감지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각 센싱된 조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디밍(Dimming) 기능을 수행하는 LED 라이트(11); LED 라이트(11)의 각 LED 소자에 둘러 쌓인 형태로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중앙에 형성되어 입안의 어금니와 같이 환자 입안의 안쪽의 치아상태 까지를 촬영하기 위해 형성되는 마이크로 카메라(12); 마이크로 카메라(12)와 케이블 단자(14) 사이에 형성되는 직선 형태의 연결 케이블(13); 및 연결 케이블(13)과 연결된 마이크로 카메라(12)와, 스마트폰(15)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스마트폰(15)으로부터 마이크로 카메라(12)로의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케이블 단자(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스마트폰(15)은, 케이블 단자(14) 및 연결 케이블(13)을 통해 마이크로 카메라(12)로부터 촬영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스크린(16) 상의 정형화된 치과 치료용 치열 배열판에 치아 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가 장치(20)는,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전면부에 하부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투명 케이스로 형성되어, 마이크로 카메라(12)의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보호 투명 케이스(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가 장치(20)는, 어금니와 같은 환자 치아의 안쪽을 마이크로 카메라(12)를 이용하여 촬영하기 위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끝단에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금속 재질로 한 방향으로 굽힘 음각이 다수개가 형성되어 외력을 다시 주기 전까진 고정된 상태에서 촬영을 할 수 있는 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각도 조절형 보호 케이블(2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이크로 카메라(12)는, LED 라이트(11)의 각 LED 소자와 함께 형성된 각 조도 감지 센서(미도시)로부터 센싱된 조도 정보를 수신한 뒤, 미리 설정된 제 1 조도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 1 조도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1 조도 임계치에서 부족한 조도만큼을 연산하여 LED 라이트(11)의 LED 소자에 대한 광량 밝기를 높이는 디밍(dimming) 제어를 수행하는 LED 소자용 조도 제어모듈(12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LED 소자용 조도 제어모듈(12a)은, LED 라이트(11)의 각 LED 소자와 함께 형성된 각 조도 감지 센서(미도시)로부터 센싱된 조도 정보를 수신한 뒤, 미리 설정된 제 2 조도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 2 조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 2 조도 임계치에서 초과한 조도만큼을 연산하여 LED 라이트(11)의 LED 소자에 대한 광량 밝기를 낮추는 디밍(dimming) 제어를 수행하며, 제 2 조도 임계치는 제 1 조도 임계치보다 높은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는, 마이크로 카메라가 비추는 곳을 스마트폰의 UI 화면을 통해 구현하도록 하게 함으로서, 치과 치료를 받는 환자가 언제든지 장소 불문하고 바로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는, 앞으로 원격진료의 도입시 병원과 먼 곳에서 거주하는 경우나 먼 곳에 병원을 찾아가고 싶지만 치과 병원 위치가 너무 멀어서 어려운 산간 지역 마을 및 노약자만 사는 섬 마을 등에서는 치료를 목적으로 많은 시간을 준비하고 다녀야 할 마을 주민들이 치아상태를 먼 마을에 위치한 치과 의사로부터 장거리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단순 진료를 위해 꼭 찾아가지 않아도 치과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는, 꼭 치아를 관리하는데 목적을 두지 않고 갑자기 사고나 재난 등으로 사람이 다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일이 생긴다면 마이크로 카메라로 상처 부위를 비추면서 의사나 119 대원하고 현장에 오는 동안 긴급 응급진료 상황을 알 수 있게 도와줌으로써,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는, 차츰 병원은 수입이 줄어서 폐원하는 일이 잦으면서 의사도 신용불량으로 전락하고 있는 요즘 시대에 상대적으로 기술력은 높아졌지만 그 응용가치가 높은 스마트폰에 치아관리용 카메라를 이용하면서 응급 상황을 스마트폰에 촬영을 하고 먼 곳에 있는 의사나 119 및 112 상황실 현장 출동을 하는 요원들에게 상처 등을 보여주어 그 대처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함으로써, 의사들에게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의 부가 장치(2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 중 마이크로 카메라(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의 부가 장치(2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 및 부가 장치(2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는 아이나 어른에게 자신의 치아 상태를 바로 보고 치아의 상태를 보고 치료를 해야 하는지 또는 아닌지를 스마트폰으로 바로 확인을 할 수 있어서 치과 치료를 보다 선택적이고 편안하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는 LED 라이트(11), 마이크로 카메라(12), 연결 케이블(13), 케이블 단자(14)를 포함하여 스마트폰(15)의 스마트폰 스크린(16)으로 치아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폰(15)과의 케이블 단자(14)로의 체결을 통해 스마트폰(15)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장소를 가리지 않고 촬영을 함으로써, 장소나 전원 공급을 위한 유선 단말인 퍼스널 컴퓨터 등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을 제공한다.
LED 라이트(11)는 원판 형태의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전면부에 환형의 테두리로 각 LED 소자가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입안으로 마이크로 카메라(12)를 포함한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이 들어가면 어두운 곳 치아를 조도를 향상시켜 촬영을 하도록 한다. 한편, LED 라이트(11)는 각 LED 소자에 조도 감지 센서(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각 센싱된 조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디밍(Dimming)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이크로 카메라(12)는 LED 라이트(11)의 각 LED 소자에 둘러 쌓인 형태로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중앙에 형성됨으로써, 입안의 어금니와 같이 환자 입안의 안쪽의 치아상태 까지를 촬영하기 위해 형성된다.
연결 케이블(13)은 마이크로 카메라(12)와 케이블 단자(14) 사이에 형성되며, 외부면 중 마이크로 카메라(12)와 인접한 영역에는 보조 장치(20) 중 각도 조절형 보호 케이블(22)에 의해 외주면이 둘러 싸여서 형성된다.
케이블 단자(14)는 연결 케이블(13)과 연결된 마이크로 카메라(12)와, 스마트폰(15)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스마트폰(15)으로부터 마이크로 카메라(12)로의 전원 공급을 수행한다.
스마트폰(15)은 케이블 단자(14) 및 연결 케이블(13)을 통해 마이크로 카메라(12)로부터 촬영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스크린(16) 상의 정형화된 치과 치료용 치열 배열판에 치아 상태를 구현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보호 투명 케이스(21)는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전면부에 하부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투명 케이스로 형성됨으로써, 마이크로 카메라(12)의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다.
각도 조절형 보호 케이블(22)은 어금니와 같은 환자 치아의 안쪽을 마이크로 카메라(12)를 이용하여 촬영하기 위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끝단에 형성됨으로써, 플렉시블한 금속 재질로 한 방향으로 굽힘 음각이 다수개가 형성되어 외력을 다시 주기 전까진 고정된 상태에서 촬영을 할 수 있는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 중 마이크로 카메라(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카메라(12)는 일반적인 구성인 카메라 렌즈(12-1) 외에 LED 소자용 조도 제어모듈(12a), 촬영 및 형상 인식 모듈(12b) 및 데이터 가공 및 전송 모듈(12c)을 포함한다.
LED 소자용 조도 제어모듈(12a)은 LED 라이트(11)의 각 LED 소자와 함께 형성된 각 조도 감지 센서(미도시)로부터 센싱된 조도 정보를 수신한 뒤, 미리 설정된 제 1 조도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 1 조도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1 조도 임계치에서 부족한 조도만큼을 연산하여 LED 라이트(11)의 LED 소자에 대한 광량 밝기를 높이는 디밍(dimming) 제어를 수행한다.
반대로, LED 소자용 조도 제어모듈(12a)은 LED 라이트(11)의 각 LED 소자와 함께 형성된 각 조도 감지 센서(미도시)로부터 센싱된 조도 정보를 수신한 뒤, 미리 설정된 제 2 조도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 2 조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 2 조도 임계치에서 초과한 조도만큼을 연산하여 LED 라이트(11)의 LED 소자에 대한 광량 밝기를 낮추는 디밍(dimming)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 2 조도 임계치는 제 1 조도 임계치보다 높은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 및 형상 인식 모듈(12b)은 광시야각(150° 내지 170°)를 갖는 카메라 렌즈(12-1)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한 뒤, 촬영 데이터로부터 치아의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가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촬영 및 형상 인식 모듈(12b)은 영상정보로부터 각 치아를 판별한다. 촬영 및 형상 인식 모듈(12b) 자체의 저장부에는 다양한 치아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데, 촬영 및 형상 인식 모듈(12b)은 이러한 다양한 치아 패턴 자체 정보 또는 상기 다양한 치아 패턴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과 영상정보에 포함된 치아의 패턴을 비교하여 영상정보 속의 치아를 판별하여, 정형화된 치과 치료용 치열 배열판에 치아 상태 구현을 위한 상대적 좌표 정보를 생성한다.
데이터 가공 및 전송 모듈(12c)은 촬영 및 형상 인식 모듈(12b)에 의해 촬영된 치아 촬영 데이터, 그리고 촬영 및 형상 인식 모듈(12b)에 의해 생성된 치아 상태 구현을 위해 가공된 데이터인 상대적 좌표 정보를 스마트폰(15)으로 케이블 단자(14) 및 연결 케이블(13)을 통해 제공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15)은 마이크로 카메라(12)로부터 촬영 데이터, 그리고 가공 데이터를 조합하여 스마트폰 스크린(16) 상의 정형화된 치과 치료용 치열 배열판에 치아 상태로 구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11: LED 라이트
12: 마이크로 카메라
13: 연결 케이블
14: 케이블 단자
15: 스마트폰
16: 스마트폰 스크린
20: 부가 장치
21: 보호 투명 케이스
22: 각도 조절형 보호 케이블

Claims (6)

  1.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 및 부가 장치(2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치아 확인용 카메라에 있어서,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10)는,
    원판 형태의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전면부에 환형의 테두리로 각 LED 소자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환자의 입안으로 마이크로 카메라(12)를 포함한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이 들어가면 어두운 곳 치아를 조도를 향상시켜 촬영을 하도록 하며, 각 LED 소자에 조도 감지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각 센싱된 조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디밍(Dimming) 기능을 수행하는 LED 라이트(11);
    LED 라이트(11)의 각 LED 소자에 둘러 쌓인 형태로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중앙에 형성되어 입안의 어금니와 같이 환자 입안의 안쪽의 치아상태 까지를 촬영하기 위해 형성되는 마이크로 카메라(12);
    마이크로 카메라(12)와 케이블 단자(14) 사이에 형성되는 직선 형태의 연결 케이블(13); 및
    연결 케이블(13)과 연결된 마이크로 카메라(12)와, 스마트폰(15)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스마트폰(15)으로부터 마이크로 카메라(12)로의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케이블 단자(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스마트폰(15)은,
    케이블 단자(14) 및 연결 케이블(13)을 통해 마이크로 카메라(12)로부터 촬영 데이터 및 가공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스크린(16) 상의 정형화된 치과 치료용 치열 배열판에 치아 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부가 장치(20)는,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전면부에 하부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투명 케이스로 형성되어, 마이크로 카메라(12)의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보호 투명 케이스(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부가 장치(20)는,
    어금니와 같은 환자 치아의 안쪽을 마이크로 카메라(12)를 이용하여 촬영하기 위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이크로 카메라 하우징(12a)의 끝단에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금속 재질로 한 방향으로 굽힘 음각이 다수개가 형성되어 외력을 다시 주기 전까진 고정된 상태에서 촬영을 할 수 있는 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각도 조절형 보호 케이블(2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이크로 카메라(12)는,
    LED 라이트(11)의 각 LED 소자와 함께 형성된 각 조도 감지 센서(미도시)로부터 센싱된 조도 정보를 수신한 뒤, 미리 설정된 제 1 조도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 1 조도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 1 조도 임계치에서 부족한 조도만큼을 연산하여 LED 라이트(11)의 LED 소자에 대한 광량 밝기를 높이는 디밍(dimming) 제어를 수행하는 LED 소자용 조도 제어모듈(12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6. 청구항 5에 있어서, LED 소자용 조도 제어모듈(12a)은,
    LED 라이트(11)의 각 LED 소자와 함께 형성된 각 조도 감지 센서(미도시)로부터 센싱된 조도 정보를 수신한 뒤, 미리 설정된 제 2 조도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 2 조도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 2 조도 임계치에서 초과한 조도만큼을 연산하여 LED 라이트(11)의 LED 소자에 대한 광량 밝기를 낮추는 디밍(dimming) 제어를 수행하며,
    제 2 조도 임계치는 제 1 조도 임계치보다 높은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KR2020140007288U 2014-10-07 2014-10-07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KR200480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88U KR200480257Y1 (ko) 2014-10-07 2014-10-07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88U KR200480257Y1 (ko) 2014-10-07 2014-10-07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54U true KR20160001254U (ko) 2016-04-18
KR200480257Y1 KR200480257Y1 (ko) 2016-05-04

Family

ID=5591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288U KR200480257Y1 (ko) 2014-10-07 2014-10-07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5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48Y1 (ko) * 2017-06-08 2018-03-15 주식회사 맥스덴탈 다기능 광쉴드
KR20200008769A (ko) * 2018-07-17 2020-01-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888014A (zh) * 2020-07-10 2020-11-06 刘保华 一种用于牙科手机的全方位检查装置
CN117857912A (zh) * 2024-01-15 2024-04-09 中山大学附属口腔医院 用于牙科的信息采集方法和系统
CN117857912B (zh) * 2024-01-15 2024-06-07 中山大学附属口腔医院 用于牙科的信息采集方法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395B1 (ko) * 2019-10-14 2021-10-13 주식회사 큐티티 치주염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KR102311385B1 (ko) * 2019-10-14 2021-10-13 주식회사 큐티티 치아우식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WO2020080819A1 (ko) * 2018-10-16 2020-04-23 주식회사 큐티티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48Y1 (ko) * 2017-06-08 2018-03-15 주식회사 맥스덴탈 다기능 광쉴드
KR20200008769A (ko) * 2018-07-17 2020-01-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888014A (zh) * 2020-07-10 2020-11-06 刘保华 一种用于牙科手机的全方位检查装置
CN111888014B (zh) * 2020-07-10 2022-08-12 珠海市晶彩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牙科手机的全方位检查装置
CN117857912A (zh) * 2024-01-15 2024-04-09 中山大学附属口腔医院 用于牙科的信息采集方法和系统
CN117857912B (zh) * 2024-01-15 2024-06-07 中山大学附属口腔医院 用于牙科的信息采集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257Y1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257Y1 (ko) 스마트폰 치아 확인용 카메라
CN107405066B (zh) 用于执行身体成像的设备和方法
CN101919261B (zh) 提供到和来自嘴可佩戴式通信器的双向通信的系统和方法
JP6126224B2 (ja)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遠隔診断システム
JP2009125133A (ja) 歯科医療支援システム及び歯科医療支援用x線センサ
KR101499649B1 (ko) 구강촬영용 트레이, 구강촬영용 트레이를 포함하는 구강촬영장치 및 구강촬영 시스템
KR101758977B1 (ko) 진단 영상 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영상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US115897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near infrared-based diagnostic images of teeth
AU2007247827A1 (en) Portable ey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101559661B1 (ko) 카메라 내장형 칫솔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검진 시스템
CN102711588B (zh) 具有附加功能的用于医疗设备的辅助部件
KR20200000833A (ko) 구강 진단 시스템
KR102041888B1 (ko) 구강 관리 시스템
KR20190053446A (ko) 구강 진단 시스템
JP3205042U (ja) 照明装置兼見守り装置
CN104706422A (zh) 一种头戴式医疗装置、医疗系统及其操作方法
US20200196871A1 (en) Diagnostic toothbrush
KR101890516B1 (ko) 치아 관리용 칫솔
TW201344502A (zh) 耳戴式眼控裝置
KR20150136817A (ko) 듀얼모드 의료용 카메라 장치
KR20170024994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구강 엑스선 촬영 장치 및 시스템
Shahrul et al. Technique for orthodontic clinical photographs using a Smartphone
CN210903081U (zh) 一种牙齿成像装置
US11576757B1 (en) Dental bridge fitting system
KR100972433B1 (ko) 휴대용 메디컬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