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215A -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215A
KR20160001215A KR1020140079233A KR20140079233A KR20160001215A KR 20160001215 A KR20160001215 A KR 20160001215A KR 1020140079233 A KR1020140079233 A KR 1020140079233A KR 20140079233 A KR20140079233 A KR 20140079233A KR 20160001215 A KR20160001215 A KR 2016000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torque
touch point
side clutch
engagemen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246B1 (ko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2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41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of rate of change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6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mai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87Adaptive control, e.g. the control parameters adapted by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즉,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가 적용된 차량에서, 주행 상태에서도 터치 포인트와 관련된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서의 변속에 따른 충격 발생 방지 및 응답 특성 개선 등 차량의 운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있다.

Description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가 적용된 차량에서, 주행 상태에서도 터치 포인트와 관련된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는 종래 단판클러치 변속기 시스템과 달리 2 개의 클러치를 구비하게 되어, 각 클러치의 작동상태 전환만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더블 클러치 변속기가 적용된 차량에서는 발진 시 클러치 제어와 변속 시 클러치 제어 등이 운전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클러치에 의한 변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인 터치 포인트(Touch Point)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맞지 않는 경우 차량의 충격이 발생하거나, 응답 특성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선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이 요구되나, 기존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의 경우 차량의 정차 상태에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가 적용된 차량에서, 주행 상태에서도 터치 포인트와 관련된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 차량의 변속제어장치는, 업 시프트가 이루어지는 시점인 터치 포인트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시점까지의 구간인 모니터링 구간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모니터링 구간에서 확인되는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의 합산 값이 일정 토크를 유지하도록 클러치 토크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 구간에서의 상기 클러치 토크의 변동량을 기초로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러치 토크의 변동량은,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와,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 간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보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큰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한 학습량을 결정하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보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작은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학습량에는,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 제한량이 지정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학습 제한량 한도 내에서만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 차량에 이루어지는 변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업 시프트가 이루어지는 시점인 터치 포인트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시점까지의 구간인 모니터링 구간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모니터링 구간에서 확인되는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의 합산 값이 일정 토크를 유지하도록 클러치 토크를 제어하는 제어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구간에서의 상기 클러치 토크의 변동량을 기초로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러치 토크의 변동량은,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와,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 간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보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큰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한 학습량을 결정하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보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작은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학습량에는,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 제한량이 지정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학습 제한량 한도 내에서만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가 적용된 차량에서, 주행 상태에서도 터치 포인트와 관련된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서의 변속에 따른 충격 발생 방지 및 응답 특성 개선 등 차량의 운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토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제어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제어장치는 클러치 토크를 확인하는 확인부(100), 클러치 토크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및 터치 포인트에서의 학습량을 결정하는 결정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확인부(100), 제어부(200), 및 결정부(300)를 포함하는 변속제어장치의 전술한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변속제어장치는 차량에서 이루어지는 변속과 관련하여 클러치의 토크 결정 등 변속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변속제어유닛(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가 적용된 차량에서 클러치에 의한 변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인 터치 포인트(Touch Point)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블 클러치 변속기는 2 개의 클러치를 구비하고, 터치 포인트에서의 각 클러치의 작동상태 전환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클러치의 작동상태는 결합과 해제로 구분될 수 있는데, 목표 단수로 변속을 위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클러치는 결합 측 클러치라 명명되며, 이전 단수에 따른 결합 상태에서 해제가 이루 클러치는 해제 측 클러치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더블 클러치 변속기가 적용된 차량의 경우, 터치 포인트에서 변속에 적합한 토크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 변속에 따른 충격이나 응답 특성이 나빠지게 된다.
때문에, 터치 포인트에서의 적합한 클러치 토크를 형성하기 위해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게 되나. 이는, 차량의 정지 상태에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특히, 정차 시 시동이 자동으로 꺼졌다 재출발 시동이 자동으로 켜지는 Idle stop & go 기능이 들어가 있는 차량에서는 위 학습 방법마저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선 차량의 정차 상태가 아닌, 주행 상태에서도 터치 포인트에서의 학습이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서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확인부(100)는 클러치 토크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00)는 차량에서 변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기 설정된 모니터링 구간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에서 이루어지는 변속은 업 시프트(Up-Shift)를 일컫는 것이며, 상기 모니터링 구간의 경우 결합 측 클러치에 의해 업 시프트가 이루어지는 시점인 터치 포인트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는 시점까지의 구간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차량의 변속이 'i'단에서 'i+1' 단으로 업 시프트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이때, 결합 측 클러치에 의해 업 시프트가 이루어지는 시점인 터치 포인트(T1)로부터 설정시간(T)이 경과하는 시점(T2)까지가 모니터링 구간으로 설정되며, 확인부(100)는 모니터링 구간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제어부(200)는 클러치 토크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상기 모니터링 구간에서 확인되는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의 합산 값이 일정 토크를 유지하도록 클러치 토크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결합 측 클러치 토크(B)는 업 시프트를 위해 충분한 토크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인 터치 포인트(T1)로부터 향상되게 되고, 그와 반대로 해제 측 클러치 토크(C)는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증가되는 결합 측 클러치 토크(B)와 감소되는 해제 측 클러치 토크(C)의 합산 값(B+C)은 클러치 토크(A)가 될 수 있는데, 모니터링 구간에서, 결합 측 클러치 토크(B)의 증가량에 따라, 클러치 토크(A)가 변동되게 된다.
이에, 제어부(200)는 모니터링 구간 즉, 터치 포인트(T1)로부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T2)까지 결합 측 클러치 토크(B)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C)의 합산 값(B+C)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클러치 토크(A)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구간에서 결합 측 클러치 토크(B)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를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제어부(200)는 결합 측 클러치 토크(B)를 증가시키게 되며, 이는 결국 클러치 토크(A)의 증가로 이어져 터치 포인트(T1)에서의 클러치 토크(A)보다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T2)의 클러치 토크(A)가 커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구간에서 결합 측 클러치 토크(B)가 필요 이상으로 큰 경우를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제어부(200)는 결합 측 클러치 토크(B)를 감소시키게 되며, 이는 결국 클러치 토크(A)의 감소로 이어져 터치 포인트(T1)에서의 클러치 토크(A)보다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T2)의 클러치 토크(A)가 작아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결정부(300)는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300)는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면 모니터링 구간에서 발생한 클러치 토크의 변동량을 기초로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결정부(300)는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보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큰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한 학습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T2)에서의 클러치 토크와, 터치 포인트(T1)에서의 클러치 토크와의 차이가 '△T2'인 경우,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은 'L1'이 되며, '△T1'인 경우에는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그에 대한 학습량 'L2'가 될 수 있다.
한편, 결정부(300)는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시킴에 있어, 학습 제한량 한도 내에서만 토크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는,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의 지나친 증가로 인해 차량의 주행 성능과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반면, 결정부(300)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보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작은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학습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T2)에서의 클러치 토크와, 터치 포인트(T1)에서의 클러치 토크와의 차이가 '△T3'인 경우,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은 'L3'가 되며, '△T4'인 경우에는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그에 대한 학습량 'L4'가 될 수 있다.
결국, 결정부(300)는 클러치 토크의 변동량을 기초로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하여, 결정된 학습량에 따라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변속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충격 및 응답성을 개선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제어장치에 따르면, 더블 클러치 변속기가 적용된 차량에서, 주행 상태에서도 터치 포인트와 관련된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서의 변속에 따른 충격 발생 방지 및 응답 특성 개선 등 차량의 운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5에 도시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확인부(100)는 차량에서 변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기 설정된 모니터링 구간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를 확인한다(S100).
이때, 확인부(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측 클러치에 의해 업 시프트가 이루어지는 시점인 터치 포인트(T1)로부터 설정시간(T)이 경과하는 시점(T2)까지 설정된 모니터링 구간에서, 결합 측 클러치 토크(B)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C)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200)는 상기 모니터링 구간에서 확인되는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의 합산 값이 일정 토크를 유지하도록 클러치 토크를 제어한다(S200)
이때, 제어부(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구간에서 결합 측 클러치 토크(B)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 결합 측 클러치 토크(B)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는 결국 클러치 토크(A)의 증가로 이어져 터치 포인트(T1)에서의 클러치 토크(A)보다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T2)의 클러치 토크(A)가 커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반대로, 제어부(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구간에서 결합 측 클러치 토크(B)가 필요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결합 측 클러치 토크(B)를 감소시키게 되는데, 이는 결국 클러치 토크(A)의 감소로 이어져 터치 포인트(T1)에서의 클러치 토크(A)보다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T2)의 클러치 토크(A)가 작아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후, 결정부(300)는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면 모니터링 구간에서 발생한 클러치 토크의 변동량을 기초로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한다(S300-S500).
이때, 결정부(300)는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보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큰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한 학습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T2)에서의 클러치 토크와, 터치 포인트(T1)에서의 클러치 토크와의 차이가 '△T2'인 경우,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은 'L1'이 되며, '△T1'인 경우에는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그에 대한 학습량 'L2'가 될 수 있다.
한편, 결정부(300)는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시킴에 있어, 학습 제한량 한도 내에서만 토크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는,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의 지나친 증가로 인해 차량의 주행 성능과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반면, 결정부(300)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보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작은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학습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T2)에서의 클러치 토크와, 터치 포인트(T1)에서의 클러치 토크와의 차이가 '△T3'인 경우,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은 'L3'가 되며, '△T4'인 경우에는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그에 대한 학습량 'L4'가 될 수 있다.
결국, 결정부(300)는 클러치 토크의 변동량을 기초로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하여, 결정된 학습량에 따라 터치 포인트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변속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충격 및 응답성을 개선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더블 클러치 변속기가 적용된 차량에서, 주행 상태에서도 터치 포인트와 관련된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서의 변속에 따른 충격 발생 방지 및 응답 특성 개선 등 차량의 운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데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가 적용된 차량에서, 주행 상태에서도 터치 포인트와 관련된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확인부
200: 제어부
300: 결정부

Claims (9)

  1.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 차량의 변속제어장치에 있어서,
    업 시프트가 이루어지는 시점인 터치 포인트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시점까지의 구간인 모니터링 구간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모니터링 구간에서 확인되는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의 합산 값이 일정 토크를 유지하도록 클러치 토크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니터링 구간에서의 상기 클러치 토크의 변동량을 기초로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토크의 변동량은,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와,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 간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보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큰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한 학습량을 결정하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보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작은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량에는,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 제한량이 지정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학습 제한량 한도 내에서만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제어장치.
  5.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 차량에 이루어지는 변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업 시프트가 이루어지는 시점인 터치 포인트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시점까지의 구간인 모니터링 구간에서의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모니터링 구간에서 확인되는 결합 측 클러치 토크와 해제 측 클러치 토크의 합산 값이 일정 토크를 유지하도록 클러치 토크를 제어하는 제어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구간에서의 상기 클러치 토크의 변동량을 기초로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토크의 변동량은,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와,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 간의 차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보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큰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한 학습량을 결정하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클러치 토크보다 상기 모니터링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의 클러치 토크가 작은 경우,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량에는,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 제한량이 지정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터치 포인트에서의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를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학습 제한량 한도 내에서만 상기 결합 측 클러치 토크에 대한 학습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40079233A 2014-06-26 2014-06-26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1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233A KR102171246B1 (ko) 2014-06-26 2014-06-26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233A KR102171246B1 (ko) 2014-06-26 2014-06-26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15A true KR20160001215A (ko) 2016-01-06
KR102171246B1 KR102171246B1 (ko) 2020-10-28

Family

ID=5516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233A KR102171246B1 (ko) 2014-06-26 2014-06-26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4211A (zh) * 2016-02-15 2017-08-2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学习用于dct车辆的离合器触点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071A (ko) * 2011-11-29 2013-06-07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퍼센트 토크용량을 이용한 자동변속기 클러치 변속제어방법
KR20140060011A (ko) * 2012-11-09 2014-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 보호 방법
KR20140060009A (ko) * 2012-11-09 2014-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탐색 방법
KR20140074545A (ko) * 2012-12-10 2014-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탑재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071A (ko) * 2011-11-29 2013-06-07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퍼센트 토크용량을 이용한 자동변속기 클러치 변속제어방법
KR20140060011A (ko) * 2012-11-09 2014-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 보호 방법
KR20140060009A (ko) * 2012-11-09 2014-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탐색 방법
KR20140074545A (ko) * 2012-12-10 2014-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탑재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4211A (zh) * 2016-02-15 2017-08-2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学习用于dct车辆的离合器触点的方法
US10036436B2 (en) 2016-02-15 2018-07-3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learning clutch touch point for DCT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246B1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762B1 (ko) 차량의 건식클러치 전달토크 예측 방법
KR101393872B1 (ko) 차량의 건식클러치 전달토크 예측 방법
US9068651B2 (en) State transition control for a multi-mode hybrid powertrain
US20140136065A1 (en) Method of searching for touch point of clutch
KR20160122220A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풀 클러치 슬립 파워 시프트
CN107401562B (zh) 离合器控制方法以及用于车辆的离合器控制滤波器
KR102030144B1 (ko) Dc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US982165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creep driving
KR101349539B1 (ko) 퍼센트 토크용량을 이용한 자동변속기 클러치 변속제어방법
KR20150139655A (ko) 솔레노이드 밸브의 클리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1215A (ko)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7010806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lutch of vehicle
CN110230690B (zh) 一种双离合式自动变速器的升档控制方法和装置
KR102324757B1 (ko) 차량용 클러치 제어방법
WO2015178202A1 (ja) 電子制御装置
KR20160124529A (ko)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124527A (ko)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64880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제어 방법
KR101731458B1 (ko)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7182932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1839885B1 (ko) 자동변속제어장치 및 자동변속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CN109555797B (zh) 用于控制具有自动手动变速器的车辆的离合器的方法
US8930102B2 (en) Control device of a vehicle
KR102235759B1 (ko)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35301A (ko) 변속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