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65A - 페어링 장치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페어링 장치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65A
KR20160000865A KR1020150089244A KR20150089244A KR20160000865A KR 20160000865 A KR20160000865 A KR 20160000865A KR 1020150089244 A KR1020150089244 A KR 1020150089244A KR 20150089244 A KR20150089244 A KR 20150089244A KR 20160000865 A KR20160000865 A KR 20160000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s
pairing
pattern
tracing
trac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갈아시스 뵨
보넷 다미안
폰테나 패트릭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6000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4/00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두 장치들의 페어링을 위한 방법으로서, 둘 중 하나는 제1 장치이고, 다른 하나는 제2 장치이고, 본 방법은 제1 장치에서 구현되고: 제1 장치와 제2 장치 양쪽에 또는 한쪽에 디스플레이되는 패턴을 발생시키는 단계(407); 트레이싱 패턴이 있다면, 트레이싱 패턴을 제2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장치로 트레이싱 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내는 단계(409); 상응하는 트레이싱 패턴을 제1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410,412); 제2 장치에서 트레이싱 결과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414); 그리고 두 장치의 페어링을 수용하는 단계(424)를 포함하는 두 장치들의 페어링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페어링 장치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AIRING DEVICES}
본 발명은 페어링 장치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별히 요청되는 보안 레벨에 따른 페어링 장치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우리 일상 활동에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것은 단순히 통신 수단 이상이며; 비지니스, 교육, 건강, 라이프 스타일, 또는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서비스를 가져오는 특징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안에서 디스플레이들 또는 센서들과 같은 자원들 또는 정보들을 공유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페어링(pair)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서, 제3 장치가 사적인 데이터를 캡쳐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방해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페어링을 확보(secure)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우려와 관련하여, 장치 페어링을 확보하기 위한 상이한 메커니즘들이 존재한다.
-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은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에서와 같이 키 셰어링(key sharing){핀(PIN) 코드, 패스퍼레이즈(passphrase)}에 기초한 것이다.
- 또 하나의 방법은, 예를 들어 자기 유도(magnetic induction)를 이용하여 작용하는 NFC를 통해 현재 페어링되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근접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 컨트롤러 장치가 페어링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또 하나의 방법은 그것과 동시에 사건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장치들을 서로 접촉시키게 함으로써 행해진다.
- 장치 B가 SiB(seeing-is-believing) 방법에서와 같이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다면, 장치 A는 장치 B를 인증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어플레이션(application)들에서, 스마트폰 커플링(coupling)은 실시간으로 다른 이용자들과 컨텐츠를 공유하고, 콘텐츠를 플레이 하도록 허용한다. 삼성(Samsung)은 이러한 서비스를, 몇몇 스마트폰들이 더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비디오와 연관될 수 있는 그룹 플레이(Group Play)로서 제공한다.
스마트폰들 또는 더욱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능력을 가지는 전자 장치의 연관은 새로운 이용을 가져온다. 본 발명에서는, 멀티 장치 자원들의 결합으로부터 이점을 갖는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들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멀티스크린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서비스 런칭 또는 장치 인증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도록 우리를 이끌 것이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커플링을 통해 안전하고 사용하기에 쉬운 방식으로 장치 페어링을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커플링 장치들의 기존 인터페이스들은 각각의 장치가 한 명의 유저에 의하여 다루어진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새로운 이용으로 단일 유저가 몇몇 장치들을 동시에 다루게 된다. 이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스마트폰들이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하기 위해 커플링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서, 상기 방법은 유저로 하여금 유저의 행동의 가지 수를 줄여, 장치들의 페어링을 제어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페어링은 통신 매체 결합(communication medium association)일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협력, 즉 멀티 장치 미디어 렌더링(rendering), 및 게임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고, 둘 중 하나가 제1 장치이고, 나머지가 제2 장치이고, 본 방법은 제 1 장치에서 구현되며, 제1 장치와 제2 장치 양쪽에 또는 한쪽에 디스플레이되는 트레이싱(tracing) 패턴을 발생시키는 단계; 트레이싱 패턴이 있다면, 트레이싱 패턴을 제2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장치로 트레이싱 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내는 단계; 상응하는 트레이싱 패턴을 제1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2 장치에서 트레이싱 결과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정보에 따라 두 장치들의 페어링을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상에 따라,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고, 둘 중 하나가 제1 장치이고, 나머지가 제2 장치이고, 프로세서로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 양쪽에 또는 한쪽에 디스플레이되는 트레이싱 패턴을 발생시키는 것과; 트레이싱 패턴이 있다면, 트레이싱 패턴을 제2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장치로 트레이싱 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내는 것과; 상응하는 트레이싱 패턴을 제1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제2 장치에서 트레이싱 결과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정보에 따라 두 장치의 페어링을 수용하는 것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어지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이점과 더 많은 양상들이 발견될 것으로 이해된다.
발명의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도록 포함되고, 이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이에 병합되는 첨부 도면들은, 상세한 설명에 의해 설명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본 발명이 실시예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멀티 장치 소스들의 결합으로부터 이점을 갖는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들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멀티스크린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서비스 런칭 또는 장치 인증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장치(103)와 마스터 장치(101)에 디스플레이된 패턴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정된 시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패턴에서의 유저의 트레이스에 대한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대안적인 해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에서 두 장치들의 페어링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두 장치들의 페어링에 대한 단순한-시간 기반-패턴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시스템 내의 슬레이브 장치의 관점에서의 두 장치들의 페어링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시스템 내의 마스터 장치의 관점에서의 두 장치들의 페어링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정보와 임계치(threshold)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두 장치들의 페어링의 코드 패턴들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두 장치들의 페어링의 코드 패턴들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두 장치들의 페어링의 코드 패턴들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의 픽셀 오프셋(pixel offset)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중 구역(zone)들을 도시하는 도면.
이어지는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여러 양상이 설명될 것이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특정 구성과 세부내용은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진술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존재하는 구체적인 세부내용 없이도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장치 페어링이 종종 단일 유저에 의해 관리된다는 점을 고려해본다면, 본 발명은 제한된 시간 내 그리고 참조 패턴에 순응하여 양쪽 스크린 모두에서의 트레이스들의 검출을 활용하는 인증을 위한 유저 프랜들리(user friendly)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크린들의 결합을 사용한다. 페어링되기 위해서, 마스터 장치로 고려되는 장치 A와, 장치 B는, 현재 페어링되는 장치가 다른 것이 아니라, 장치 B라는 것을 장치 A의 프로세서에 보증해주는 공통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마스터 장치 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잠금 해제 스크린 패턴과 유사한 패턴을 생성하며, 이 패턴은 블루투스(Blutooth), 및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장치 B로 전달된다. 이 패턴은 완전한 패턴이거나 페어링 장치들의 양쪽 스크린에서 표현되는 패턴의 유일한 일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패턴은 장치들의 어느 한쪽에 표현될 완전한 패턴일 수 있다. 페어링 장치로부터 캡쳐된(captured) 스크린 트레이스를 설명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마스터 장치는 상기 정보가 실제로 장치 B로부터 발생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이용가능한 장치 자원들(통신 네크워크 타입, 스크린 해상도...) 또는 요청되는 안전 레벨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다른 변형 방법들을 제시한다.
인증은 디스플레이들 또는 센서들과 같은 자원 또는 콘텐츠를 공유하거나 두 개의 장치에서 작동되는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동기화하는데에 있어 중요하다. 만약 인증이 연결 셋업(set up)에 관련된다면, 제1 불안정 데이터 교환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페어링(pairing)"이라는 용어는 무선 네크워크(NFC, Wi-Fi, Bluetooth 등과 같은)를 통해 두 개의 장치 사이에서의 커플링 또는 연관을 지시한다.
페어링 동안, 장치들 중 하나가 마스터 장치로 고려된다. 마스터 장치는:
-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어느 한쪽에만 디스플레이되거나, 양쪽 스크린 모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패턴을 발생시키는 것과;
- 슬레이브 장치로 스크린 패턴을 전달(communicate)하는 것과;
-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모으는 것과;
- 요청된 트레이스들에 대한 유저의 행동과 순응하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담당한다.
마스터 장치는 일반적으로 페어링이 개시된다거나 페어링 요청을 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페어링 프로세스는 슬레이브 장치에 의해 개시된다.
마스터 및 슬레이브 장치들은 처음으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설립하고, 이를 통해 슬레이브 장치는 페어링 요청을 전송한다. 이 시작 포인트는 슬레이브 장치에서 작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서의 유저의 행동의 결과이거나 마스터 장치와 통신하는 특별한 특권을 요청하는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특별한 사건이다. 페어링을 요청하기 전에, 슬레이브 장치는 반드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와 같은 선택된 통신 링크(link)의 마스터 장치 주소를 알아야 한다. 장치는 기존의 상이한 발견 메커니즘을 경유하여 임의의 타입의 네크워크들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선언할 수 있다. 블루투스의 경우, 디스커버러블(discoverable) 모드에서 장치는 정보를 송신한다: 장치 이름, 분류, 서비스들의 목록, 제조사 또는 특징.
인커밍(incoming)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 페어링 요청을 보낸다. 이 요청은 스크린 사이즈와 밀도를 포함한 장치의 특징 및 페어링 이후에 교환될 수 있는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마스터 및 슬레이브 장치들 각각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두 개의 이미지들로 만들어진 패턴을 발생시킨다. 마스터 장치는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또는 이 이미지에 대한 참조를 페어링 장치에 보내고, 자신의 패턴 부분을 디스플레이한다. 마스터 장치의 패턴 발생기(pattern generator)는 두 개의 스크린들이 나란히 위치되었을 때 두 개의 스크린들에 의해 산출된 표면과 매칭되는 패턴을 구축하기 위해 양쪽 장치들의 사이즈와 밀도와 같은 디스플레이 특성을 고려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장치(101)와 슬레이브 장치(103)에 디스플레이된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장치들의 각각의 이미지는 정렬 참조(105,107)로서 양쪽 장치들을 어떻게 위치시키는지를 유저에게 지시하는 지시자를 갖고 있다. 이 요소를 통해, 마스터 디스플레이에 접근하는 유저만이 트레이스하는 정확한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지시자들이 양쪽 장치들의 상대적 위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상이할 때 특별히 유용하다. 시작 지시자(109)는 또한 마스터 장치의 이미지에도 사용된다. 오직 한 명의 유저만이 마스터 장치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는 옳은 방향으로 패턴을 트레이스할 수 있다. 유저의 패턴 트레이스에 대한 방향을 지시하는 대안적인 해법은 이후에 설명될 도 3에서 지시된 마스터 장치 이미지에 화살표들을 표현하는 것이다. 양쪽 장치들에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면, 유저는 정렬 참조(105,107)을 이용하여 그들을 정확히 정렬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유저가 디스플레이된 패턴을 스와이핑한 경로의 정렬을 검출한다. 유저의 손가락이 출력 포인트(111,113)에서 스크린을 떠날 때의 시간은 미래의 사용을 위해 기록된다. 슬레이브 장치는 그러고 나서 자신의 스크린의 패턴과 스와이핑 사이의 매칭(mathcing)을 체크한다. 유저의 손가락이 입력 포인트(114,115)에서 마스터 스크린으로 돌아올 때, 다른 스크린에서 스와이핑을 위해 소비된 시간이 측정된다. 도 2는 추정된 시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측정된 시간이 슬레이브 스크린의 패턴을 스와이핑하는 추정된 시간과 일치하지 않으면, 페어링은 거절된다. 시간 추정은 길이, 패턴의 복잡성, 마스터 스크린에서의 관찰된 스와이핑 속도를 고려할 수 있다.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턴은 스크린들 사이로 몇 번 왔다 갔다 할 수 있다. 슬레이브 스크린의 패턴은 또한 일부 포인트들이 유저에 의해 터치될 때, 알림과 연관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알림은 유저의 손가락이 각각 패턴의 포인트 "1"(117),"2"(119), 및 "3"(121)을 터치할 때 전송된다.
도 3은 패턴에서 유저의 트레이스의 방향을 지시하는 대안적인 해법을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장치(301)는 마스터 장치이고; 장치(303)는 슬레이브 장치이다. 두 지시자(307,309)는 장치들(301,303)이 정확히 위치될 수 있도록 장치(301,303)에 대한 정렬 참조들로서의 역할을 한다. 포인트(305)는 마스터 장치 이미지에 화살표(311,313)를 표시함으로써 시작 포인트로 인식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두 장치들의 페어링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시스템은 마스터 장치일 수 있다. 단계(401)에서, 절차가 시작된다. 단계(403)에서, 시스템은 마스터 및 슬레이브 장치들 사이의 통신 링크를 셋업한다. 단계(405)에서, 시스템은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마스터 장치 내에서 페어링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407)에서, 시스템은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어느 한쪽이나 양쪽 스크린 모두에 디스플레이될 패턴을 발생시킨다. 단계(409)에서, 마스터 장치를 통해, 시스템은 스크린 패턴을 슬레이브 장치에 전달한다. 단계(410,412)에서, 패턴은, 설정될 때,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스크린 둘 중 하나에만 또는 양쪽 스크린 모두에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만약 패턴이 정확히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면, 단계를 반복한다. 단계(414)에서, 시스템은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트레이스 정보를 수신한다. 만약 시스템이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트레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면, 같은 단계를 반복한다. 단계(416)에서, 시스템은 요청된 참조 패턴과 수신된 트레이스 정보를 비교한다. 단계(418)에서, 시스템은 수신된 트레이스 정보가 참조 패턴과 일치하는지를 결정한다.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단계(420)로 가고, 페어링 요청은 중단되거나, 단계(401)로 되돌아 간다. 만약 일치한다면, 단계(422)에서, 시스템은 유저에 의한 트레이스가 패턴의 끝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한다. 만약 아니라면, 단계(414)로 되돌아 간다. 만약 맞다면, 단계(424)로 가고, 페어링 요청은 수용될 것이다.
도 5는 또 하나의 실시예로서, 두 장치들의 페어링을 위한 단순-시간 기반-패턴의 예시를 도시한다. 패턴은 두 개의 스크린(501,503)의 단일 분리선(505,507)으로 구성된다. 장치(501)는 마스터 장치이고; 장치(503)는 슬레이브 장치이다. 유저는 장치들(501,503)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패턴들(505,507)(즉, 선)을 정렬하고, 그러고 나서 유저는 장치들(501,503)을 페어링하기 위해 양쪽 스크린들 모두에서 스와이핑한다. 두 개의 지시자(509,511)들은 스와이핑 제스쳐를 위한 방향을 지시하기 위해 패턴에 부가될 수도 있다. 나아가, 지시자(509,511)들은 장치(501,503)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경우, 페어링 유효성은 특정 사건들의 시간에 기초한다: 메시지의 접수; 그리고 스크린상에서의 제스쳐의 검출. 프로세스는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슬레이브 장치의 관점에서의 두 장치들의 페어링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시스템은 슬레이브 장치를 이용해 다음의 단계들을 프로세싱한다. 단계(601)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패턴을 수신한다. 단계(603)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605)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스크린 상의 스와이핑 제스쳐를 검출한다. 만약 스와이핑 제스쳐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611)로 간다. 스크린상에서 스와이핑 제스쳐가 검출되고 나면, 단계(607)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스와이프가 스크린을 "떠날" 때, 마스터 장치에 메시지를 보낸다. 메시지는 스크린상에서 스와이프가 떠나는 것이 검출된 이후 "즉시" 슬레이브 장치에 의해 보내진다. 메시지는 절대적 또는 상대적 시간의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609)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에 의해 페어링 요청이 수용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611)에서, 만약 슬레이브 장치가 미리 정해진 시간 안에 스와이핑 제스쳐를 검출하지 못한다면, 단계(613)로 가고, 페어링 요청은 중단될 것이다. 만약, 여전히 미리 정해진 시간 내라면, 단계(605)로 돌아간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시스템에서의 마스터 장치의 관점에서 두 장치의 페어링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시스템은 마스터 장치를 이용해 다음의 단계들을 프로세싱한다. 단계(701)에서, 마스터 장치는 국부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703)에서,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에 원격 패턴을 보낸다(또는 패턴을 방송한다). 단계(705 및 707)에서, 마스터 장치는 스와이핑 제스쳐와 메시지를 위해 대기한다. 마스터 장치가 패턴과 부합하는 스크린 위의 스와이핑 제스쳐를 검출할 때, 절대적 또는 상대적 시간을 기록한다. 마스터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때, 메시지의 수신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시간을 기록한다. 단계(709)에서, 두 시간 정보(즉, 하나는 국부 제스쳐 검출로부터의 것이고, 다른 하나는 메시지 수신의 시간으로부터의 것임) 사이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이면, 페어링은 단계(711)에서 수용된다. 만약 차이가 임계치 미만이 아니라면, 단계(715)로 간다. 임계치는 슬레이브 장치 대신에 제3 장치가 페어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100밀리초(ms)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두 메시지들이 임계치보다 아래에서 수신되면, 페어링은 포기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프로세스는 반복될 수 있다. 만약 마스터 장치가 단계(705)에서 스와이핑 제스쳐를 검출하지 않거나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713)로 간다. 만약 단계(713)에서, 타임아웃(timeout)이면, 단계(715)로 간다. 만약 아직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있다면, 단계(705)로 간다. 단계(715)에서, 페어링 요청은 중단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정보와 임계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대안적으로, 도 9, 도 10, 그리고 도 11은 두 장치를 페어링하기 위한 코드 패턴들의 예시를 도시한다. 각각의 패턴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 장치들을 올바른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두 개의 스크린들 각각에 디스플레이된 정렬 심볼;
- 마스터 장치(이에 따라 마스터 장치 이외에 다른 장치에 의해서는 알려지지 않음)에만 디스플레이된 제스쳐 패턴.
유저는 장치들을 올바른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심볼(예컨대, 적색 화살표)(905, 907, 1005, 1007, 1105, 1107)을 정렬시켜야 하고, 유저는 장치들을 페어링하기 위해 양쪽 스크린들에서 스와이핑 한다. 이 실시예들에서, 장치(903, 1003, 1103)는 마스터 장치들이고; 장치(901, 1002, 1101)는 슬레이브 장치들이다. 지시자(909, 1009, 1109)(즉, 녹색, 청색, 황색 화살표들)는 스와이핑 제스쳐의 방향을 지시하기 위해 패턴(911, 1011, 1111)에 부가될 수 있다. 스와이핑 프로세스는 유저에 의해서 지시자(909, 1009, 1109) 앞에서 시작되어야 하고, 즉, 유저는 코드 패턴이 오직 마스터 장치에만 디스플레이되어 있더라도, 양쪽 스크린 모두에 스와이핑해야 한다. 스와이핑 프로세스는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지시자(909, 1009, 1109)의 위치가 변화하는 동안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에서, 페어링 유효성(validation)은 특정 패턴 시퀀스(sequence)의 제스쳐 검출들의 위치에 기초한다. 프로세스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슬레이브 장치(901, 1002, 1101)에서, 프로세스는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 마스터 장치(903, 1003, 1103)로부터 패턴(참조 심볼)(905,1005,1105)을 수신하는 단계;
- 도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역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패턴을 옵션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스크린에서 스와이핑 제스쳐를 검출하는 단계{스와이핑 프로세스는 유저에 의해 지시자(909, 1009, 1109)의 앞에서 시작되어야 함);
- 스와이프가 스크린을 "떠날 때" 마스터 장치(903, 1003, 1103)에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
메시지는 스와이프가 스크린을 떠나는 것을 검출한 후에 슬레이브 장치(901, 1002, 1101)에 의해 보내진다. 메시지에는 스크린을 떠나는 제스쳐의 위치가 포함된다. 메시지에는 스크린 사이즈와 밀도와 같은 디스플레이 특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스터 장치(903, 1003, 1103)에서, 프로세스는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 국부 패턴(911, 1011, 1109)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슬레이브 장치(901, 1002, 1101)에 원격 패턴(참조 심볼)(905, 1005, 1105)을 보내는 단계(또는 패턴을 방송);
- 스와이핑 제스쳐에 선택적으로 메시지를 위해 대기하는 단계;
선택사항으로서, 패턴과 일치하는 스크린 상의 스와이핑 제스쳐가 검출되면, 위치가 체크되고;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때, 메시지에서 지시된 제스쳐의 위치가 기록된다.
만약 메시지에서 지시된 위치가 제스쳐 패턴 및 정렬 심볼에 일치하는 계산된 위치와 일치한다면, 페어링 단계는 유효하다. 프로세스는 제스쳐 패턴의 새로운 위치로 선택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렬 심볼 위치는 역시 변화될 수 있다. 많은 올바른 패턴들 이후에, 페어링은 유효하다. 안전성은 패턴들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즉, 4개의 패턴들). 이것은 제3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 대신에 페어링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해:
- 제3 장치가 동일한 메시지를 반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직 첫 번째 수신된 메시지만이 고려된다는 것과;
- 만약 메시지가 그릇된 위치로 수신된다면, 새로운 제스쳐가 보내지고 현재 제스쳐는 버려진다는 것과;
- 몇몇 실패들 이후에, 페어링은 중단된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위치 유효성은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해법은 슬레이브 장치(1201)가 도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정상(top)으로부터 스크린을 떠나는 제스쳐의 픽셀 오프셋을 보내는 것이다. 그러고 나서 마스터 장치(1203)는 슬레이브 및 마스터 장치들의 스크린(사이즈와 밀도)에 기초한 예측된 오프셋, 정렬 심볼의 오프셋 그리고 제스쳐 패턴의 오프셋을 계산할 수 있다. 위치는 스크린 사이즈와 밀도에 기초한, 허용 오차(예를 들어, +/- 10 픽셀)로 유효할 수 있다.
제2 해법은 슬레이브 장치(1301)의 스크린이 다중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개의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100 또는 1000개의 구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슬레이브 장치(1301)는 스크린을 떠나는 제스쳐와 일치하는 구역 번호를 보낸다(이 경우: 구역#2).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및 마스터 장치들의 스크린들(사이즈와 밀도)에 기초하여 예측된 구역 번호와, 정렬 심볼의 오프셋과, 제스쳐 패턴의 오프셋을 계산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양쪽 기술, 즉, 시간 기반 및 코드 기반 페어링은 페어링의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동일한 프로세스에서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약들 모두는 페어링을 유효화하는데 반드시 만족되어야 한다:
메시지와 그것과 일치하는 스크린상의 제스쳐 검출 사이의 시간의 차이;
슬레이브 상의 제스쳐 검출의 위치와 그것의 일치하는 마스터 상에 디스플레이된 패턴.
마지막 제안은 메인 스크린(1401)상에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유저가 양쪽 장치들(1401,1403) 앞에 있기 때문에, 유저는 제1 장치에 표현된 수치를 제2 장치(1403)에 가져올 수 있다. 제2 장치(1403)는 유저의 손가락에 의해 도달된 포인트들의 시퀀스를 보낸다. 시퀀스가 스크램블링(scrambling) 없이 전송되기 때문에, 오직 첫 번째로 수신된 메시지만이 페어링 요청을 위해 수용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페어링을 위해 수용된 시퀀스는 {5,9,13,17,11,4}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프로세서는 스마트폰들과 같은 전자 장치들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들은 이에 따라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만약 몇몇 장치들이 비디오를 더 큰 사이즈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연관될 수 있다면,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많은 구현들이 소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수정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구현을 산출하기 위해 상이한 구현들의 요소가 결합, 보충, 수정,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덧붙여, 당업자는 다른 구조들과 프로세스들이 개시된 것들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점과, 개시된 구현들과 동일한 결과(들)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성취하기 위해 결과적인 구현들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들)로 동일한 기능(들)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행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및 다른 구현들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고려되고, 첨부된 청구항들로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들의 양상들이 시스템, 방법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양상은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히 스프트웨어 실시예{펌웨어(firmware), 레지전트(resident)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micro-code) 등을 포함}, 또는 여기서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양상을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더군다나, 본 발명의 원리들의 양상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의 결합이 활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들)에 구체화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그 내부에 정보를 저장할 능력 및 정보를 그 내부로부터 인출하는 능력을 고려해볼 때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 고려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그러나 제한되지는 않게, 전자, 자기적, 광학적, 전자기적, 적외선의, 또는 반도체 시스템, 기구, 또는 장치이거나 앞서 말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의 특정한 예들을 제공하는 동안, 뒤따르는 것은 완결된 리스팅(listing)이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인식되도록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ROM); 소거 가능하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판독-전용 메모리(EPROM 또는 Flash memory);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장치; 자기적 저장 장치; 또는 앞서 말한 것의 적절한 조합.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표현된 블록도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체화하는 회로 및/또는 예시적인 시스템 구성요소의 개념도를 나타낸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인식될 것이다. 유사하게도, 임의의 순서도들, 흐름도들, 상태 변이도들, 및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서 실질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101: 마스터 장치 505,507: 패턴들
103: 슬레이브 장치 509,511: 지시자들
105,107: 정렬 참조
109: 시작 지시자
111,113: 출력포인트
114,115: 입력포인트
301: 마스터 장치
303: 슬레이브 장치
307,309: 지시자
311,313: 화살표
501: 마스터 장치
503: 슬레이브 장치

Claims (18)

  1. 두 장치들을 페어링(pairing)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둘 중 하나는 제1 장치이고, 다른 하나는 제2 장치이고, 상기 방법은 제1 장치에서 구현되고,
    제1 장치와 제2 장치 양쪽에 또는 한쪽에 디스플레이되는 트레이싱(tracing) 패턴을 발생시키는 단계;
    트레이싱 패턴이 있다면, 트레이싱 패턴을 제2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장치로 트레이싱 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내는 단계;
    상응하는 트레이싱 패턴을 제1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2 장치에서 트레이싱 결과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정보에 따라 두 장치의 페어링을 수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하는 단계는
    정보를 트레이싱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정보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만약 정보가 조건을 만족한다면 두 장치들의 페어링을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페어링은 제2 장치에 의해 또는 제1 장치 자신에 의해 요청되거나, 특정한 사건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트레이싱 패턴이 오직 제1 장치에만 디스플레이되더라도, 트레이싱 패턴의 트레이싱은 제2 장치를 올바른 위치로 스와이핑(swipe)하기 위해 트레이싱 패턴의 앞에서 시작되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조건은 시간과 트레이스(trace)에 관련되고, 스와이핑을 위한 시간은 스와이프의 출력 및 입력 포인트들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정렬 참조(alignment reference)들을 위해 제1 및 제2 장치들 양쪽에 지시자의 쌍을 셋팅(setting) 및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두 장치들의 페어링을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1 장치는 하나의 제2 장치와 페어링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2 장치들과 동시에 페어링될 수 있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방법.
  8.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는 장치로서, 둘 중 하나는 제1 장치이고, 다른 하나는 제2 장치이고,
    프로세서로서:
    제1 장치와 제2 장치 양쪽에 또는 한쪽에 디스플레이되는 트레이싱 패턴을 발생시키는 것과;
    트레이싱 패턴이 있다면, 트레이싱 패턴을 제2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2 장치로 트레이싱 패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내는 것과;
    상응하는 트레이싱 패턴을 제1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제2 장치에서 트레이싱 결과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정보에 따라 두 장치의 페어링을 수용하는 것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를 포함하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수용하는 것은
    정보를 트레이싱 패턴과 비교하는 것과;
    정보가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하는 것과;
    만약 정보가 조건을 만족한다면 두 장치들의 페어링을 수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페어링은 제2 장치에 의해 또는 제1 장치 자신에 의해 요청되거나, 특정한 사건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트레이싱 패턴이 오직 제1 장치에만 디스플레이되더라도, 트레이싱 패턴의 트레이싱은 제2 장치를 올바른 위치로 스와이핑하기 위해 트레이싱 패턴의 앞에서 시작되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조건은 시간과 트레이스에 관련되고, 스와이핑을 위한 시간은 스와이프의 출력 및 입력 포인트들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정렬 참조들을 위해 제1 및 제2 장치들 양쪽에 지시자의 쌍을 셋팅 및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는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제1 장치는 하나의 제2 장치와 페어링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2 장치들과 동시에 페어링되는, 두 장치들을 페어링하는 장치.
  15. 제1 장치와 페어링될 제2 장치로서,
    프로세서로서:
    트레이싱 패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있다면, 제1 장치로부터 트레이싱 패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신하는 것과;
    수신된 트레이싱 패턴을 제2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것과;
    제2 장치의 스크린에서 트레이싱을 검출하는 것과;
    제2 장치에서의 트레이싱 결과를 지시하는 정보를 제1 장치에 보내는 것과;
    정보에 따라 제1 장치에 의해 페어링이 수용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를 포함하는, 제1 장치와 페어링될 제2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정렬 참조들을 위해 제2 장치에 지시자의 쌍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장치와 페어링될 제2 장치.
  17.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통신 네크워크로부터 다운로드 할 수 있고/있거나,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고/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제1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8.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매체에 기록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
KR1020150089244A 2014-06-25 2015-06-23 페어링 장치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008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305999.6A EP2961209A1 (en) 2014-06-25 2014-06-25 Method and device for pairing devices
EP14305999.6 2014-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65A true KR20160000865A (ko) 2016-01-05

Family

ID=5117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244A KR20160000865A (ko) 2014-06-25 2015-06-23 페어링 장치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622280B2 (ko)
EP (2) EP2961209A1 (ko)
JP (1) JP2016009503A (ko)
KR (1) KR20160000865A (ko)
CN (1) CN1053024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1795B2 (en) * 2016-08-22 2021-07-13 Optimal Plus Ltd. Methods of smart pairing
JP2020500380A (ja) * 2016-11-23 2020-01-09 ビデ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Videri Inc. 編成されたデジタル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CN108616485B (zh) * 2016-12-09 2020-11-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融合设备的通信方法和设备
US11068478B2 (en) 2017-03-15 2021-07-20 Optimal Plus Ltd. Augmenting reliability models for manufactured products
US9949124B1 (en) * 2017-04-24 2018-04-17 Zihan Chen Method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wireless pairing and/or data transfer between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CN107103227B (zh) * 2017-06-02 2019-12-03 广东汇泰龙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锁的图案解锁验证的方法及其系统
JP2021009619A (ja) * 2019-07-02 2021-01-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1882439B2 (en) * 2019-11-19 2024-0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hentication of devices using touch interface
WO2023157121A1 (ja) * 2022-02-16 2023-08-24 マクセル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127B1 (ko) * 2004-11-16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에서 본딩 프로세스 방법 및 장치
US20090286479A1 (en) * 2008-05-16 2009-11-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system for sensory pairing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9082117B2 (en) * 2008-05-17 2015-07-14 David H. Chin Gesture based authentication for wireless payment by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00278345A1 (en) * 2009-05-04 2010-11-04 Thomas Matthieu Alsin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based pairing of mobile devices
US8260261B2 (en) 2009-08-31 2012-09-04 Qualcomm Incorporated Securing pairing verification of devices with minimal user interfaces
US8970733B2 (en) * 2010-05-28 2015-03-03 Robert Bosch Gmbh Visual pairing and data exchange between devices using barcodes for data exchange with mobile navigation systems
US8738783B2 (en) * 2010-06-22 2014-05-2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interaction of paired devices
US9372618B2 (en) 2010-10-01 2016-06-21 Z124 Gesture based application management
WO2012048028A1 (en) * 2010-10-05 2012-04-12 Citrix Systems, Inc. Gesture support for shared sessions
RU2582855C2 (ru) * 2010-12-31 2016-04-27 Ибэй Инк. Методы и системы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контента на множественных сетевых устройствах с помощью простой команды
JP2012175148A (ja) 2011-02-17 2012-09-10 Panasoni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GB201106555D0 (en) 2011-04-19 2011-06-01 Tomtom Int Bv Taxi dispatching system
US8405729B2 (en) * 2011-05-11 2013-03-26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hand-held devices utilizing a front-facing camera
US8849200B2 (en) * 2011-09-14 2014-09-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ling pairing of entities responsive to motion challenges and responses
US9131333B2 (en) 2011-12-30 2015-09-08 Linkedi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device pairing
US9838651B2 (en) * 2012-08-10 2017-12-05 Logitech Europe S.A. Wireless video camera and connection methods including multiple video or audio streams
US20140108241A1 (en) * 2012-10-08 2014-04-17 NXT-ID, Inc. Method for Replacing Traditional Payment and Identity Management Systems and Components to Provide Additional Security and a System Implementing Said Method
US9910499B2 (en) * 2013-01-11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ree dimensional gestures to initiate and complete the transfer of application data between networked devices
US8989773B2 (en) * 2013-01-29 2015-03-24 Apple Inc.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among devices
US20140282068A1 (en) * 2013-03-15 2014-09-18 SingTel Idea Factory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of objects among mobile devices based on pairing and matching using actions and/or gestures associated with the mobile device
US9199609B2 (en) * 2013-05-16 2015-1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art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9535646B2 (en) * 2013-06-18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ink projection
US9327645B2 (en) * 2013-08-28 2016-05-0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Providing alerts for objects left in a vehicle
US20150193069A1 (en) * 2014-01-03 2015-07-0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eamless content transfer
US9282283B2 (en) * 2014-01-29 2016-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patterns traced on a screen of a user device
US10334650B2 (en) * 2014-01-29 2019-06-25 Yodel Code LLC Automatic peer selection in a field of common peers
US9413872B2 (en) * 2014-03-19 2016-08-09 Google Inc. Motion to connect to kiosk
US11343864B2 (en) * 2014-04-25 2022-05-24 Lenovo (Singapore) Pte. Ltd. Device pai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5015294A2 (pt) 2017-04-04
CN105302446A (zh) 2016-02-03
JP2016009503A (ja) 2016-01-18
US9622280B2 (en) 2017-04-11
EP2961209A1 (en) 2015-12-30
US20150382388A1 (en) 2015-12-31
US20170257901A1 (en) 2017-09-07
EP2961211A1 (en) 2015-12-30
US10244571B2 (en) 2019-03-26
EP2961211B1 (en)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571B2 (en) Method and device for pairing devices
CN107483715B (zh) 终端与设备通信的方法和系统、终端、存储介质
JP6374010B2 (ja) 情報交信方法、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8370599B (zh) 信息处理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信息处理系统
US20140013100A1 (en) Establish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ing visual codes
US10516774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device
RU2646354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установки соединения передачи
JP6500043B2 (ja) 端末機器の無線ネットワークへ接続する方法及び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90319673A1 (en) Automated Wireless Device Pairing
US20150312240A1 (en) Wireless automatic pairing method, method of establishing connection, and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BR112016006734B1 (pt) Método e servidor para definir uma conta de gerenciamento de dispositivo inteligente
US1003388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thereof
KR102003546B1 (ko) 사용자 디바이스와 스트리밍 미디어 콘텐츠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인증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KR101642019B1 (ko) 단말기 검증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66100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8514820A (ja) オンライン支払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80336087A1 (en) Techniques for repairing an inoperable auxiliary device using another device
US998594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of devices using dynamic routes encoded in security tokens and a dynamic optical label
KR101643870B1 (ko) 와이-파이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와 댁내 무선 공유기 사이의 연결 안내방법
US984393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CN104243159A (zh) 业务操作的验证方法、服务器及终端
EP3562183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960181B2 (ja) ユーザ位置情報を利用したユーザ識別情報を安全に検証するためのネットワーク認証方法
KR102325169B1 (ko) 보안 표시 방법, 장치 및 보안 단말
US11347985B2 (en) Method and system of granting control access via QR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