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764U - 팬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764U
KR20160000764U KR2020140006359U KR20140006359U KR20160000764U KR 20160000764 U KR20160000764 U KR 20160000764U KR 2020140006359 U KR2020140006359 U KR 2020140006359U KR 20140006359 U KR20140006359 U KR 20140006359U KR 20160000764 U KR20160000764 U KR 201600007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ub
blade
fa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153Y1 (ko
Inventor
노시훈
Original Assignee
노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시훈 filed Critical 노시훈
Priority to KR2020140006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5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compressors
    • F04D29/322Blad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04D29/329Details of the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8Blad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팬(fan)에 관한 것으로, 팬을 제조함에 있어서, 일정 각도가 형성된 브래킷을 허브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성형 후에 인위적으로 제조되었던 각이 다시 원 상태로 돌아가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바람이 불균일하게 형성되거나 끊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팬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팬은, 팬 조립체에 있어서, 일측이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허브; 상기 허브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3개 이상의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허브 및 상기 브래킷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이다.

Description

팬{Fan}
본 고안은 팬(fan)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팬을 제조함에 있어서, 일정 각도가 형성된 브래킷을 허브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성형 후에 인위적으로 제조되었던 각이 다시 원 상태로 돌아가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바람이 불균일하게 형성되거나 끊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은 송풍기나 선풍기 등에 사용되며, 모터 등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약간의 경사각을 이루는 블레이드가 공기를 밀어내면서 일정방향으로 바람이 송풍 되어지는 송풍장치이다.
이러한 팬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소형에서부터 공장과 공항시설 등에 사용되는 대형까지 다양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형상에 따라 사용되는 재료 및 성형방법에 차이가 있으나, 그 구조는 중심부를 이루는 허브 및 블레이드 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팬의 허브 및 블레이드는, 프레스 등의 제조방법으로 따로 성형되어진 후 용접 등의 작업을 통해 이들을 결합시켰으며 이후 허브와 블레이드 간에 원하는 각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인위적인 힘을 가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인위적인 작업으로는 팬에 주어진 각을 형성시키는 것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각이 형성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성형 후 용접됐던 처음 상태로 돌아가려는 관성 때문에 완성된 팬은 블레이드 마다 이루는 각이 일정치 못하여 불량품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사용되는 팬은 그 블레이드의 수가 3개로 이루어져 있어 풍속의 불균일 및 끊김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허브 성형 시에 일정한 각을 이루는 브래킷을 동시에 성형하여, 각 블레이드가 이루는 각이 일정하고, 3개 이상의 블레이드를 형성시킴으로써, 풍속의 불균일 및 풍향의 끊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팬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43914호(발명의 명칭:보강된 블레이드를 구비한 냉각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64078호(발명의 명칭:성형 냉각 팬)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팬을 제조함에 있어서, 일정 각도가 형성된 브래킷을 허브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성형 후에 인위적으로 제조되었던 각이 다시 원 상태로 돌아가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바람이 불균일하게 형성되거나 끊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팬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팬은, 팬 조립체에 있어서, 일측이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허브; 상기 허브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3개 이상의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허브 및 상기 브래킷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는, 상기 허브의 중심에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중공부를 가진 기둥형상의 보스부; 상기 보스부의 둘레방향으로 등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는 밸런스부; 상기 밸런스부와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브래킷 형성부; 및 상기 브래킷 형성부의 내측 벽면에 상기 브래킷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보스부는 중단에 상기 회전축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보스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브래킷에 걸려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홀; 및 상기 걸림홀에 맞춰진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브래킷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브래킷 이음홀;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면이 일부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과 같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돌출 프레임; 상기 브래킷 이음홀과 대응되어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블레이드 이음홀; 및 상기 걸림홀에 상기 블레이드가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돌출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래킷은 상기 허브의 중심 내측방향으로 2.0~2.5˚의 각을 이루며, 상기 허브의 전방으로 10~15°의 등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허브 및 상기 브래킷은 알루미늄, 철 및 스테인리스의 군(群)에서 선택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의 군(群)에서 선택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팬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허브 및 브래킷을 성형 가공하는 경우에 일정한 각도가 형성된 브래킷을 허브에 일체로 금형시킴으로써 블레이드 마다 일정한 각이 형성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브레이드를 이룸으로써 불균일한 풍속 및 끊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팬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팬을 뒤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팬을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팬의 블레이드를 나타낸 블레이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 및 브래킷에 대한 배면도(a) 및 배면도(a)의 c-c'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횡단면도(b)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에 블레이드가 위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 단면도 (a) 및 이들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 단면도(b)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팬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팬을 뒤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따른 팬을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팬의 블레이드를 나타낸 블레이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송풍기 또는 선풍기 등에 사용되는 팬(100)은 허브(200), 브래킷(300)및 블레이드(400)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허브(200)는 팬(100)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의 회전축(미도시)과 결합되며, 일측이 회전축과 결합되는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회전축 보스부(210), 밸런스부(220) 및 브래킷 형성부(240)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보스부(210)는 허브(200)의 중심에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를 가진 기둥형상을 이루는 것이 좋으며, 회전축이 보스부(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나사 등의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밸런스부(220)는 보스부(210)의 둘레방향으로 등각도를 이루며 돌출 될 수 있다. 이때 밸런스부(220)는 7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그 수는 변동될 수 있다.
그리고 밸런스부(220)가 등각도를 이루며 돌출되는 것은 팬(100)이 회전하는 동안, 허브(200)내부의 공간에 공기의 유동으로 생기는 무게를 각이 형성된 밸런스부(220)가 분산시킴으로써, 팬(100)에 부가되는 무게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블레이드(400)의 크기에 따라 이를 지지하는 허브(200)의 크기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회전축과 결합되는 보스부(210) 외의 공간, 즉 허브(200) 내부의 공간이 블레이드(400)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밸런스부(220)가 길어 질수록 공기와 닿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공기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밸런스부(220) 사이사이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링의 돌출부(220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밸런스부(22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일 뿐 본 고안의 필수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어떠한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전용가능 할 수 있다.
브래킷 형성부(240)는 밸런스부(220)와 결합되며 브래킷 형성부(240)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브래킷(3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 형성부(240)에 형성된 브래킷(300)이 팬(100)의 계속된 구동으로 파손되거나 결합된 블레이드(400)에 손상이 생겨 브래킷(300) 간의 무게가 달라질 경우, 균등하지 못한 무게 때문에 회전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그 무게를 보강하는 돌기(230)가 브래킷 형성부(240)의 내측 벽면에 일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돌기(230)는 위와 같은 경우뿐만 아니라, 제조된 후에 브래킷(300) 간의 무게가 다른 경우에도 돌기(230)를 가공하여 그 무게를 맞춤으로써, 브래킷(300)의 균형 유지 및 팬(10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브래킷(300)은 브래킷 형성부(240)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3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개인 것이 좋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300)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그 이하 또는 이상의 수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상기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브래킷(300)은 허브(200)의 전방으로 10~15˚의 등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허브(200)의 전방으로 10~15˚의 각을 이루는 것은 공기를 앞으로 밀어내 바람을 일으키기 위함이다.
또한, 브래킷(300)은 블레이드(400)와 단단하게 결합되기 위해 브래킷 이음홀(330) 및 걸림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브래킷 이음홀(330)은 4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림홀(320)은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브래킷(300)및 블레이드(400)가 결합되기 위한 홀의 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일 뿐이므로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수의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당연할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허브(200) 및 브래킷(300)은 알루미늄, 철 및 스테인리스의 군(群)에서 선택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성형방법으로는 다이 캐스팅에 의한 주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래킷(300)의 각도가 허브(200)에 고정되어 성형되기 때문에 브래킷(300)의 각도를 따로 조절할 필요가 없으며, 각 브래킷(300)의 각도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 등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다이 캐스팅은 강제(鋼製)의 금형에 용해금속을 주입하여 금형과 똑같은 주물을 얻는 정밀 주조법으로, 브래킷(300)의 각도가 허브(200)에 고정되어 성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 예시일 뿐,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의한 성형방법 및 알루미늄 등의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에 전용가능 한 성형방법 및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블레이드(400)는 많은 양의 바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브래킷(300)의 수에 상응되는 수의 블레이드(400)가 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400)는 블레이드(400) 후방 일면에 브래킷(300)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브래킷(3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돌출 프레임(410)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돌출 프레임(410)은 블레이드(400)이 브래킷(300)에 결합된 후에 같은 방향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400)는 돌출 프레임(410)에 브래킷(300)이 위치되면 블레이드(400)가 브래킷(300)과 체결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 이음홀(430) 및 돌출탭(4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 이음홀(430)은 브래킷 이음홀(430)과 대응되도록 4개 이상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돌출탭(420)은 걸림홀(320)과 대응되도록 3개 이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브래킷(300)및 블레이드(400)가 결합되기 위한 홀의 개수는 브래킷 이음홀(430) 및 걸림홀(320)과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일 뿐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개수의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당연할 것이다.
또한, 블레이드(400)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의 군(群)에서 선택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성형방법으로는 사출성형에 의한 주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400)가 성형이 용이한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통해 사출성형되기 때문에 블레이드(400)의 각 조절이 편리하다는 장점 등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의한 성형방법 및 플라스틱 등의 재료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에 전용가능 한 성형방법 및 재료를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 및 브래킷에 대한 배면도(a) 및 배면도(a)의 c-c'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횡단면도(b)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허브(200)와 브래킷(300)이 일체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보스부(210)에 보스홀(211)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허브(200)는 일측이 회전축에 결합되는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이때, 허브(200)의 중심에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기둥형상의 보스부(210), 보스부(210)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돌출되어 형성된 밸런스부(220), 밸런스부(220)과 결합되며 브래킷(300)이 허브(200)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허브(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브래킷 형성부(240) 및 브래킷(30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브래킷 형성부(240)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230)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보스홀(211)은 보스부(210)의 중단에 고정나사(또는 '볼트 및 너트'라 한다)가 체결될 수 있는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보스부(210)에 회전축(미도시)이 삽입되면 회전축에서 팬(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볼트 및 너트의 체결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리벳 등의 체결방식으로 전용가능 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할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에 블레이드가 위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 단면도 (a) 및 이들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 단면도(b)이다.
도 7(a)를 참고하면, 브래킷(300)에는 블레이드(400)와 결합되기 위한 걸림홀(320)이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블레이드(400)에는 이와 대응되는 돌출탭(420)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같이 블레이드의 돌출탭(420)이 브래킷(300)의 브래킷 이음홀(320)에 걸림으로써 적절한 위치에 블레이드(400)와 브래킷(300)이 놓여질 수 있으며, 브래킷(300)과 같은 방향으로 블레이드(400)가 위치되기 위해 블레이드(400)에는 블레이드 돌출 프레임(410)이 형성됨으로써 각 블레이드(400)의 방향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브래킷(300)이 허브(200)의 중심 내측방향으로 2.0~2.5˚의 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허브(200)의 중심 내측방향으로 2.0~2.5˚의 각을 형성하는 것은, 팬(100)이 회전하는 경우에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 바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7(b)를 참고하면, 블레이드 이음홀(430) 및 브래킷 이음홀(330)에 의해 볼트 및 너트가 삽입됨으로써 블레이드(400) 및 브래킷(300)이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a)에서와 같이 돌출탭(420)이 걸림부(320)에 끼워짐으로써 블레이드 이음홀(430) 및 브래킷 이음홀(330)이 적절하게 위치되어 질 수 있으며, 어렵지 않게 볼트 및 너트를 삽입할 수 있다. 다만 보스부(210)에 회전축이 고정되는 경우와 같이 볼트 및 너트의 체결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리벳 등의 체결방식으로 전용가능 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팬 200 : 허브
210 : 보스부 211 : 보스홀
220 : 밸런스부 221 : 돌출부
230 : 돌기 240 : 브래킷 형성부
300 : 브래킷 320 : 걸림홀
330 : 브래킷 이음홀 400 : 블레이드
410 : 돌출 프레임 420 : 돌출탭
430 : 블레이드 이음홀

Claims (7)

  1. 팬(fan) 조립체에 있어서,
    일측이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허브;
    상기 허브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3개 이상의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허브 및 상기 브래킷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허브의 중심에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중공부를 가진 기둥형상의 보스부;
    상기 보스부의 둘레방향으로 등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는 밸런스부;
    상기 밸런스부와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의 브래킷 형성부; 및
    상기 브래킷 형성부의 내측 벽면에 상기 브래킷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보스부는 중단에 상기 회전축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보스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브래킷에 걸려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홀; 및
    상기 걸림홀에 맞춰진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브래킷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브래킷 이음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일면이 일부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과 같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돌출 프레임;
    상기 브래킷 이음홀과 대응되어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블레이드 이음홀; 및
    상기 걸림홀에 상기 블레이드가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돌출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허브의 중심 내측방향으로 2.0~2.5˚의 각을 이루며, 상기 허브의 전방으로 10~15°의 등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및 상기 브래킷은 알루미늄, 철 및 스테인리스의 군(群)에서 선택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의 군(群)에서 선택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
KR2020140006359U 2014-08-27 2014-08-27 KR200481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359U KR200481153Y1 (ko) 2014-08-27 2014-08-2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359U KR200481153Y1 (ko) 2014-08-27 2014-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64U true KR20160000764U (ko) 2016-03-08
KR200481153Y1 KR200481153Y1 (ko) 2016-08-22

Family

ID=5553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359U KR200481153Y1 (ko) 2014-08-27 2014-08-27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11242A (zh) * 2022-10-24 2023-02-24 北京新安特风机有限公司 一种静叶可调轴流风机的叶轮结构及其制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8282B1 (en) 2022-03-02 2023-11-07 Aaon, Inc. Propeller fan assembly with silencer seeds and concentric hub and method of u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894A (ja) * 1992-03-18 1993-12-07 Daikin Ind Ltd 軸流ファン
KR100743914B1 (ko) 2003-01-06 2007-07-30 델타 티 코포레이션 보강된 블레이드를 구비한 냉각팬
KR100764078B1 (ko) 1999-12-23 2007-10-09 보그워너 인코포레이티드 성형 냉각 팬
JP2007285135A (ja) * 2006-04-13 2007-11-01 Calsonic Kansei Corp リングファ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32786A (ko) * 2008-06-23 2009-12-31 이용삼 프로펠러 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894A (ja) * 1992-03-18 1993-12-07 Daikin Ind Ltd 軸流ファン
KR100764078B1 (ko) 1999-12-23 2007-10-09 보그워너 인코포레이티드 성형 냉각 팬
KR100743914B1 (ko) 2003-01-06 2007-07-30 델타 티 코포레이션 보강된 블레이드를 구비한 냉각팬
JP2007285135A (ja) * 2006-04-13 2007-11-01 Calsonic Kansei Corp リングファ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132786A (ko) * 2008-06-23 2009-12-31 이용삼 프로펠러 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11242A (zh) * 2022-10-24 2023-02-24 北京新安特风机有限公司 一种静叶可调轴流风机的叶轮结构及其制备
CN115711242B (zh) * 2022-10-24 2023-12-22 北京新安特风机有限公司 一种静叶可调轴流风机的叶轮结构及其制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153Y1 (ko)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9265B2 (en) Multi-component rotor for an electric motor of an appliance
EP2416016B1 (en) Fan and vibration-absorbing boss thereof
US9523372B2 (en) Fan with overmolded blades
KR200481153Y1 (ko)
US10393129B2 (en) Draft inducer blower wheel having improved shaft connection
CN106402022B (zh) 叶轮及风机
US11359643B2 (en) Fan having housing formed by connectable pieces and including air guide ribs and an internal ramp
CN102251971A (zh) 贯流风扇
US1056945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mpeller
US6352407B2 (en) Blade assembly for fan apparatus
CN206175306U (zh) 叶轮及风机
US10883520B2 (en) Fan device, motor and liquid pump
US2637489A (en) Blower wheel construction
CN109404337A (zh) 离心风轮、空调及离心风轮的装配方法
JP2003343488A (ja) 送風機用羽根車
US20060222498A1 (en) Impeller for centrifugal blower
US11242861B2 (en) Split fan collar orifice
CN209025885U (zh) 离心风轮及空调
KR20160148999A (ko) 날개 없는 선풍기용 환형 노즐
US20230064111A1 (en) Structured geometry for a tub rear wall of a laundry appliance
KR101536667B1 (ko) 축사용 환풍기
KR200466330Y1 (ko) 조립식 임펠러
US20150308437A1 (en) Fan system having an external rotor
JP2004027870A (ja) 多翼羽根車及び多翼羽根車の製造方法
CN114076120A (zh) 单件式风扇轮毂铸件和制造风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