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601A - Apparatus for fixing a cargo in an automobi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xing a cargo in an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601A
KR20160000601A KR1020140077832A KR20140077832A KR20160000601A KR 20160000601 A KR20160000601 A KR 20160000601A KR 1020140077832 A KR1020140077832 A KR 1020140077832A KR 20140077832 A KR20140077832 A KR 20140077832A KR 20160000601 A KR20160000601 A KR 20160000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uide rail
moving
cargo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8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4443B1 (en
Inventor
박희경
Original Assignee
박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경 filed Critical 박희경
Priority to KR102014007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443B1/en
Publication of KR20160000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60P7/14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the load bracing means comprising a movable bulk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fixing device for an automobile. The cargo fixing device for an automobile comprises: a guiderail which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a front part and a door of a cargo box for loading cargo in an automobile a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a bottom and a ceiling; and multiple movement fixing units which move along the guiderail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nd are fix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fixing device for an automobile is variously applied to a truck, a freight car, a recreational vehicle (RV), a freight truck, etc., which have a cargo box, as the cargo received in the cargo box is stably fix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carried through fixing rings and fixing straps installed in the movement fixing units moving along the guiderail horizontally installed in the side door of the carbo box and a rear door.

Description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A CARGO IN AN AUTOMOBILE}[0001] APPARATUS FOR FIXING A CARGO IN AN AUTOMOBI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 및 수량에 맞춰 고정 끈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hold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go holding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can adjust and fix the position of a fixing strap according to the size and quantity of the cargo loaded on the cargo hold.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은 적재함의 바닥을 형성하는 리어플로어판넬과, 상기 리어플로어판넬의 좌우 양측 및 후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사이드 게이트와 리어 게이트로 구성된다. Generally, a loading box of a lorry is composed of a rear floor panel that forms the bottom of a loading box, and a side gate and a rear gate that are opened and closed by turning around the hinges on the left and right and rear sides of the rear floor panel.

그리고 화물을 적재함에 적재시에는 사이드 게이트나 리어 게이트를 힌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적재함을 개방한 후, 상기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다음, 사이드 게이트나 리어 게이트를 힌지를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회동시켜 적재함에 놓인 화물이 적재함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When the cargo is loaded on the cargo hold, the side gate or the rear gate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bout the hinge to open the cargo hold. Then, the cargo is loaded on the cargo hold and the side gate or the rear gate is moved upward So that the cargo placed in the loading box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다음으로 상기 사이드 게이트와 리어 게이트에는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로프걸이가 외면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후에는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과 사이드 게이트 또는 리어 게이트에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로프걸이를 결합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시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Next, the side gate and the rear gate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with a rope hook for fixing the cargo loaded on the cargo hold. After the cargo is loaded on the cargo hold, the cargo and the side gate or the rear gate By joining the formed rope hooks, the cargo loaded on the cargo hold is prevented from flowing when the car is driven.

그러나 종래의 적재함은 화물이 작거나 소량인 경우에는 로프 또는 와이어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할 수 없으므로 불필요하게 다른 화물을 적재하여 화물을 고정시켜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loading box can not be fixed through a fixing means such as a rope or a wire when the load is small or small,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ad must be fixed by loading another load unnecessarily.

특히, 냉장탑차, 냉동탑차, 내장탑차, 윙탑차는 내부에 고정수단이 없고, 꽃배달 등에 많이 사용되는 호루차의 경우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물건을 외부의 고정고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없으므로 부득이하게 별도 고정수단을 구비하던가 아님 별도의 내부 개조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in refrigerated cars, refrigerated cars, built-in cars, and wing-top cars, there is no fixing means inside, and in the case of a whorled car used for flower delivery and the like, it is not possible to fix an article contained therein by using an external fixing ring. There is a problem that separate fixing means or separate internal modification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4825호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1482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0687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0687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재함의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적재함의 내부에 수용되는 화물을 지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So that the cargo accommodated in the cargo can be stably fixed and transported at a designated posi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는 차량의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의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rgo hold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uide rail mount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a door and a front portion of a loading box for loading cargo of a vehicle, and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a floor and a ceiling; And a plurality of moving and fixing means that are moved and fix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s.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관통공과 이동 구간의 사이에는 지지 구간이 구비된 격벽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가 장착된다. The guide rail has a rectangular shape and a predetermined length. The guide rail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an inner side with a gap therebetween. A movement sec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A partition wall having a support section is formed, and a finisher is mounted at an end thereof.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측에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가 장착될 수 있다. Further, the guide rail has a rectangular shape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 the outer side, a moving sec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nd a finishing support earth can be mounted on the end.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xing grooves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door and the front portion located on the same line of the guide rail, and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또한 상기 고정 홈이 형성되는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에는 상기 고정 홈에 수용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먼지 제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a dust remov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a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loor and the ceiling to remove dust contained in the fixing groove.

그리고 상기 이동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면에 배치되면서 이동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구;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정 끈과 연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the movement fixing means includes a moving plate that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moves while moving; A moving member mounted on the moving plate and moving and fixing along the guide rail; And a fixture mounted on the moving plate and moving along the guide rail and connected to the fixing strap.

여기서 상기 이동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고정구 몸체; 상기 고정구 몸체의 끝단에 형성되고 전후 작동에 따라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고정 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구 몸체의 반대 측 끝단에 형성되는 이동고리;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몸체에 삽입장착되는 스프링; 상기 고정구 몸체의 도중에 설치되는 스프링 지지부; 상기 이동고리의 끝단에 형성되는 작동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Wherein the moving member has a fixing bod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 fixing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fixing body and inserted or separat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nd the front part and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loor and the ceiling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A moving ring formed at an opposite side end of the fixture body; A spring inserted into the fixture body located inside the guide rail; A spring support portion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fixture body; And an operating handle formed at an end of the moving ring.

또한 상기 고정구는 일 측이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지지부와 상기 이동판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연결부 및 상기 고정 끈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로 구성된다. Further, the fixture includes a fixture support part having one side located inside the guide rail, a fixture connection part positioned outside the moveable plate, and a connection ring connected to the fixing strap.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의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화물을 고정시킬 수 있고, 특히 이동고정수단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므로 화물에 종류에 맞게 고정위치를 조정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fix a cargo at a desired position by using a movement fixing means moving along a guide rail mount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a door and a front portion of a loading box and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a floor and a ceiling, Since the fixing means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rails, it can be fixed while adjusting the fixing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cargo.

또한 호루차 뿐 아니라, 적재함이 구비되는 화물차, RV, 탑차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forklift but also to a freight car, a RV, a top car,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가 적용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차량.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적재함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도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과 이동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마감 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 및 8(b)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적재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 및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과 이동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마감 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9 및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ehicle cargo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loading box of a cargo hol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oor constituting a cargo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guide rail and a movement fixing means constituting a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rail constituting a cargo hol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nishing portion of a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 and 8 (b)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guide rail constituting a cargo hol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 and 9 (b) are views showing a connecting bracket constituting a cargo hol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ement fixing means constituting a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strap constituting a cargo hol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argo hold of a cargo hold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3 and 14 are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guide rail and the movement fixing means constituting Fig.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guide rail constituting Fig.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ead-end holding zone constituting FIG.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fixing means constituting Fig.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8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ement fixing means constituting Fig.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and 20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mobile fixing means constituting a cargo lock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원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가 적용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차량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적재함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도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과 이동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마감 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a) 및 8(b)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rgo hold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cargo hold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oor constituting a cargo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rail constituting a cargo hol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 and 8 (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end portions of the guide rails constituting the cargo hol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 and 9 (b) are views showing a connecting bracket constituting a cargo hol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cargo holding device for a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strap constituting the cargo hol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원발명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10)는 적재함(20)의 도어(21)와 전면부(21a)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21b)과 천장(21c)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40)과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을 포함한다.The cargo holding apparatus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rail 40 mount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of the door 21 and the front portion 21a of the loading box 20 and horizontally of the bottom 21b and the ceiling 21c And a plurality of moving and fixing means 50 that are moved and fixed along the guide rail 40.

여기서 상기 차량의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20)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차, RV, 탑차 등의 차량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본원발명에서는 상부와 측면이 호루(25)에 덮이는 호루차에 적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loading box 20 for loading the cargo of the vehicle can be applied to vehicles such as a freight car, an RV, and a car which can load cargo.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도어(21)와 전면부(21a)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21b)과 천장(21c)의 수평방향으로 고정 홈(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홈(23)은 수평이나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A fixing groove 23 is form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21 and the front portion 21a a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ottom 21b and the ceiling 21c. At this tim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fixing grooves 23 may be form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고정 홈(23)이 형성되는 도어(21)와 전면부(21a)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21b)과 천장(21c)의 수평방향에는 상기 고정 홈(23)에 수용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먼지 제거 홈(26)이 형성된다.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door 21 and the front portion 21a in which the fixing grooves 23 are formed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ottom 21b and the ceiling 21c form dust A dust removing groove 26 is formed so as to be removable.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먼지 제거 홈(26)은 도시된 도 4와 같이 고정 홈(23)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고정 홈(23)을 통해 삽입되는 먼지 등을 수납하게 되는 것이다. The dust removing groove 26 is form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groove 23 is formed as shown in FIG. 4 to accommodate dust and the like inserted through the fixing groove 23 .

한편, 가이드 레일(40)은 도어(21)와 전면부(21a)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21b)과 천장(21c)의 수평방향에 전체뿐만 아니라 일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측면도어(21)에는 가이드 레일(40)이 설치되고, 배면도어(21-1)에는 고정 끈(6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배면 고정 고리(24)가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guide rail 40 may be installed not only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21 and the front portion 21a but also in the entire horizontal portion of the floor 21b and the ceiling 21c.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guide rail 40 is provided on the side door 21, and a rear fixing ring 24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door 21-1 so as to fix the fixing strap 60 Can be mount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this.

상기 수직 고정판(3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측면도어(21)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ide door 21.

여기서 상기 수직 고정판(30)은 도시된 도 3과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의 측면도어(21)에 장착된다. 3,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is mounted on the side door 21 of the section excluding the section where the guide rail 40 is mounted.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측면도어(21)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도시된 도 3과 같이 측면도어(21)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 고정판(30)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고정판(30)은 통상적인 호루차의 적재함 시공 과정에서 추가로 설치된 부분이 될 수 있다.The guide rail 40 is attached directly to the side door 21 or to a vertical fixing plate 30 mounted vertically to the side door 21 as shown in Fig. Here,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may be a part installed in the loading process of a conventional forklift.

더불어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측면도어(21) 또는 수직 고정판(30)의 상,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ail 4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ide door 21 or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at intervals. That is, the guide rails 40 may be installed as many as necessary.

그리고 도시된 도 6과 같이 수직 고정판(30)의 내부에 삽입장착되는 가이드 레일(40)은 측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 관통공(4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4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관통공(41)과 이동 구간(42)의 사이에는 지지 구간(44)이 구비된 격벽(43)이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46)가 고정장착된다.As shown in FIG. 6, the guide rail 40 inserted into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oupling through hole 41 is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guide rail 40 And a partition wall 43 having a support section 44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through hole 41 and the movement section 42. The partition wall 43 is formed at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42, And a finishing end portion 46 is fixedly mounted on both ends thereof.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그 사이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을 수용하면서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에 따라 위치 이동하면서도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guide rail 40 can be fixed while being moved according to the cargo accommodated in the loading box 20 while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moving and fixing means 50 mounted therebetween.

이때 상기 결합 관통공(41)은 설치에 따른 오차와 함께 상기 측면도어(21)의 고정 홈(23)에 원활하게 삽입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홈(23)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In this case, it is effective that the coupling through hole 4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xing groove 23 so as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and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23 of the side door 21 together with an error caused by installation.

더불어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상, 하에는 수직 고정판(30)에 가이드 레일(40)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레일 지지구(45)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In addition, the rail support member 45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rail 40 to fix and support the guide rail 40 to the vertical support plate 30.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마감 지지구(46)는 가이드 레일(40)의 내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이동 구간(42)과 연통되는 부분에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 홈(46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홈(46a)에는 상기 마감 지지구(46)를 고정하는 나사(46b) 또는 볼트가 장착된다. The finishing stopper 46 mounted on both ends of the guide rail 40 is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rail 40 and is spaced apart from a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moving section 42 At least two or more fixing grooves 46a are formed and a screw 46b or a bolt for fixing the finishing supporting portion 46 is mounted on the fixing groove 46a.

즉 상기 마감 지지구(46)는 가이드 레일(40)의 양측 끝단에 삽입장착된 후 상기 고정 홈(46)에 삽입장착되는 나사(46b) 또는 볼트를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고정장착되는 것이다. That is, the finishing support portion 46 is fixedly mounted on the guide rails 40 through bolts or screws 46b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guide rails 40 and then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46 will be.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적재함(20)에 도시된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장착될 수 있다. Next, the guide rails 40 can be mounted as shown in Figs. 8 (a) and 8 (b) shown in the loading box 20.

먼저 도시된 도 8(a)는 적재함(20)을 구성하는 도어(21)와 전면부(21a) 및 바닥(21b)에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시된 도 8(b)는 적재함을 구성하는 도어(21)와 바닥(21b)에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고 전면부(21a)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8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guide rail 40 is horizontally mounted on the door 21 and the front portion 21a and the bottom portion 21b constituting the loading box 20, 8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guide rail 40 is mounted horizontally on the door 21 and the bottom 21b constituting the loading box and the guide rail 40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21a in the vertical direction .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용도 및 목적 등에 따라서 상기 도어(21), 전면부(21a), 바닥(21b)에 수직이나 수평방향으로 각각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guide rails 40 can be mount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 the door 21, the front portion 21a, and the floor 21b,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purpose.

이때 상기 도어(21)와 전면부(21a) 및 바닥(21b)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40)이 교차 또는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의 원활한 이동 및 작동을 위하여 도시된 도 9(a) 및 9(b)의 가이드 레일 연결 브라켓(40a)이 장착된다. 9 (a) and 9 (b) for smooth movement and operation of the movement fixing means 50 are provided at the intersections or the intersections of the door 21, the front portion 21a and the guide rail 40 provided on the floor 21b, the guide rail connecting bracket 40a of Fig. 9 (a) and 9 (b) is mounted.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 연결 브라켓(40a)의 형상은 가이드 레일(40)의 형상 및 교차부분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Here, the shape of the guide rail connecting bracket 40a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hape and the crossing portion of the guide rail 40.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은 가이드 레일(40)의 외면에 배치되면서 이동하는 다수개의 이동판(51)과, 상기 이동판(51)에 각각 장착되면서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구(52)와, 상기 이동구(52)와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고정구(53) 등으로 구성된다. A plurality of moving and fixing means 50 that are moved and fixed along the guide rail 40 include a plurality of moving plates 51 that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40 and move to the moving plate 51 A moving member 52 mounted on the guide rail 40 so as to move and fix along the guide rail 40 while being mounted on the guide rail 40 while being spaced horizontally from the moving member 52, And a fixture 53 connected to the fixture 53 and the like.

즉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은 하나의 이동판(51)에 이동구(52)와 고정구(53)가 장착되어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이동구(52)를 통해 가이드 레일(40)에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고정구(53)에 고정 끈(60)을 연결하여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moving and fixing means 50 moves along the guide rail 40 in accordance with the cargo accommodated in the loading box 20 by mounting the moving tool 52 and the fixing tool 53 on one moving plate 51 When the position is fixed to the guide rail 40 through the moving hole 52, the fixing strap 60 is connected to the fixing hole 53 to fix the cargo loaded on the loading box 20.

그리고 상기 이동판(51)에 장착되는 이동구(5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고정구 몸체(52a)와, 상기 고정구 몸체(52a)의 끝단에 형성되고 전후 작동에 따라 측면도어(21)에 형성되는 고정 홈(23)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52b)와, 상기 고정구 몸체(52a)의 반대 측 끝단에 형성되는 이동고리(52c)와,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몸체(52a)에 삽입장착되는 스프링(52d)과, 상기 고정구 몸체(52a)의 도중에 설치되는 스프링 지지부(52e)와, 상기 이동고리(52c)의 끝단에 형성되는 작동손잡이(52f)로 이루어진다. The moving plate 52 mounted on the moving plate 51 has a fixture body 52a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ixing member 52a formed on the end of the fixture body 52a, A moving ring 52c form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fixing body 52a and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23 formed in the guide rail 40; A spring support portion 52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fixture body 52a and an operating handle 52f formed at an end of the movement ring 52c .

즉 상기 이동구(52)는 가이드 레일(40)에 고정구 몸체(52a)와 고정부(52b)와 스프링(52d) 및 스프링 지지부(52e)가 삽입되고 상기 이동고리(52c)가 외부 배치되어, 상기 작동손잡이(52f)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고정부(52b)가 측면도어(21)의 고정 홈(23)에 고정되는 것이다. That is, the moving tool 52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40 with the fixing body 52a, the fixing portion 52b, the spring 52d, and the spring supporting portion 52e, and the moving ring 52c is disposed outside, The fixing part 52b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23 of the side door 21 after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knob 52f.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이동구(52)는 가이드 레일(40)에 장착된 후, 상기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에 따라 상기 작동손잡이(52f)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상기 고정부(52b)를 측면도어(21)의 고정 홈(23)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The moving tool 52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40 and then the operating handle 52f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cargo loaded on the loading box 20, And then the fixing portion 52b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23 of the side door 21.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스프링(52d)은 이동고정수단(50)의 작동에 따른 압축시 상기 이동구(52)와 함께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작동손잡이(52f)의 미작동시에는 스프링(52d)의 탄성을 통해 상기 이동구(52)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The spring 52d is moved along the guide rail 40 together with the moving tool 52 when the movement fixing means 50 is operated and the spring 52d is moved at the same time when the operating knob 52f is not operated. So that the moving tool 52 is fixed through the elasticity of the moving mechanism.

여기서 상기 고정구 몸체(52a)와 스프링 지지부(52e)는 스프링(52d)의 원활한 삽입 및 분리를 위하여 나선 결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Here, it is effective that the fastener body 52a and the spring support portion 52e are helically coupled for smooth insertion and separation of the spring 52d.

상기 고정구(53)는 일 측이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지지부(53a)와 상기 이동판(51)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연결부(53b) 및 상기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53c)로 구성된다. The fixture 53 includes a fixture support portion 53a having one side located inside the guide rail 40 and a fixture connection portion 53b positioned outside the movement plate 51 and a fixing member And a connecting link 53c.

즉 상기 고정구(53)는 이동판(51)의 작동시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고정구 지지부(53a)를 형성하고, 외부에는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53c)가 장착되는 고정구 연결부(53b)를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fixture 53 is formed with a fixture support portion 53a inside the guide rail 40 so that the fixture 53 can be interlocked when the move plate 51 is operated, 53c are mounted.

여기서 상기 고정구(53)를 구성하는 고정구 연결부(53b)와 연결 고리(53c)는 도시된 도 18과 같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53c)에 공지된 깔깔이바의 고리 등을 용이하게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fastener connecting portion 53b and the connecting hook 53c constituting the fastener 53 are formed in a shape as shown in FIG. 18 so that the hooks and the like of the fastener bar, which are known to the connecting hook 53c, .

상기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을 고정하는 고정 끈(6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이동고정수단(50)에 고정구(53)에 연결되며, 타단은 반대 측면도어(21)에 장착되는 이동고정수단(50)의 고정구(53)나 배면도어(21-1)의 배면 고정 고리(24)에 연결된다. One end of the fixing strap 60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ans 53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strap 60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door 21 And is connected to the fixture 53 of the movement fixing means 50 to be mounted and the rear surface fixing hook 24 of the rear door 21-1.

즉 상기 고정 끈(60)은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에 맞춰 위치조절되는 이동고정수단(50)의 고정구(53)에 일단을 연결한 후 타단을 반대 측면도어(21)에 장착되는 이동고정수단(50)의 고정구(53)나 배면도어(21-1)의 배면 고정 고리(24)에 연결한 것이다. That is, one end of the fixing strap 60 is connected to the fixture 53 of the movement fixing means 50, whic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argo loaded on the loading box 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door 21 And is connected to the fixture 53 of the fixing means 50 and the back surface fixing ring 24 of the back door 21-1.

이때 상기 고정 끈(60)의 외면에는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을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끈 고정부(62)가 코팅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a string fixing part 62 made of rubber or silicon can be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strap 60 so as to closely adhere the cargo loaded on the loading box 20.

다음으로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적재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 및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과 이동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마감 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를 구성하는 이동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argo hold fix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 and 14 are cross- 12 is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guide rails and the movement fixing means constituting Fig. 12, Fig.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guide rail constituting Fig.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fixing means constituting Fig.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ement fixing means constituting Fig.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원발명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10)는 적재함(20)의 도어(21)와 전면부(21a)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21b)과 천장(21c)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40)과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을 포함한다.The cargo holding apparatus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rail 40 mount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of the door 21 and the front portion 21a of the loading box 20 and horizontally of the bottom 21b and the ceiling 21c And a plurality of moving and fixing means 50 that are moved and fixed along the guide rail 40.

여기서 상기 차량의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20)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차, RV, 탑차 등의 차량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본원발명에서는 상부와 측면이 호루(25)에 덮이는 호루차에 적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loading box 20 for loading the cargo of the vehicle can be applied to vehicles such as a freight car, an RV, and a car which can load cargo.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한편, 가이드 레일(40)은 도어(21)와 전면부(21a)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21b)과 천장(21c)의 수평방향에 전체뿐만 아니라 일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측면도어(21)에는 가이드 레일(40)이 설치되고, 배면도어(21-1)에는 고정 끈(6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배면 고정 고리(24)가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guide rail 40 may be installed not only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21 and the front portion 21a but also in the entire horizontal portion of the floor 21b and the ceiling 21c.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a guide rail 40 is provided on the side door 21, and a rear fixing ring 24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door 21-1 so as to fix the fixing straps 60 Can be mount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this.

상기 수직 고정판(3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측면도어(21)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ide door 21.

여기서 상기 수직 고정판(30)은 도시된 도 13 및 14와 같이 측면도어(21)의 전체에 걸쳐 수직 고정판(30)이 장착된다. Here,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is mounted on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over the entire side door 21 as shown in FIGS. 13 and 14.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측면도어(21)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도시된 도 14와 같이 측면도어(21)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 고정판(30)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고정판(30)은 통상적인 호루차의 적재함 시공 과정에서 추가로 설치된 부분이 될 수 있다.The guide rail 40 is attached directly to the side door 21 or to a vertical fixing plate 30 mounted vertically to the side door 21 as shown in Fig. Here,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may be a part installed in the loading process of a conventional forklift.

더불어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측면도어(21) 또는 수직 고정판(30)의 상,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ail 4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ide door 21 or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at intervals. That is, the guide rails 40 may be installed as many as necessary.

그리고 도시된 도 15와 같이 수직 고정판(30)의 외부에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40)은 측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42)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홈(47)이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46)가 고정장착된다.As shown in FIG. 15, the guide rail 40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outer side, a moving section 42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fixing groove 47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t intervals, and a finishing support 46 is fixedly mounted on both ends.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수직 고정판(30)의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장착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을 수용하면서도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에 따라 위치 이동하면서도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guide rail 4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ccommodated therein while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moving and fixing means 50, .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마감 지지구(46)는 가이드 레일(40)의 내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이동 구간(42)과 연통되는 부분에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 홈(46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홈(46a)에는 상기 마감 지지구(46)를 고정하는 나사(46b) 또는 볼트가 장착된다. The finishing stopper 46 mounted on both ends of the guide rail 40 is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rail 40 and is spaced apart from a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moving section 42 At least two or more fixing grooves 46a are formed and a screw 46b or a bolt for fixing the finishing supporting portion 46 is mounted on the fixing groove 46a.

즉 상기 마감 지지구(46)는 가이드 레일(40)의 양측 끝단에 삽입장착된 후 상기 고정 홈(46)에 삽입장착되는 나사(46b) 또는 볼트를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고정장착되는 것이다. That is, the finishing support portion 46 is fixedly mounted on the guide rails 40 through bolts or screws 46b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guide rails 40 and then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46 will be.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적재함(20)에 도시된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장착될 수 있다. Next, the guide rails 40 can be mounted as shown in Figs. 8 (a) and 8 (b) shown in the loading box 20.

먼저 도시된 도 8(a)는 적재함(20)을 구성하는 도어(21)와 전면부(21a) 및 바닥(21b)에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시된 도 8(b)는 적재함을 구성하는 도어(21)와 바닥(21b)에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고 전면부(21a)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레일(4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8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guide rail 40 is horizontally mounted on the door 21 and the front portion 21a and the bottom portion 21b constituting the loading box 20, 8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guide rail 40 is mounted horizontally on the door 21 and the bottom 21b constituting the loading box and the guide rail 40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21a in the vertical direction .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용도 및 목적 등에 따라서 상기 도어(21), 전면부(21a), 바닥(21b)에 수직이나 수평방향으로 각각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guide rails 40 can be mount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 the door 21, the front portion 21a, and the floor 21b,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purpose.

이때 상기 도어(21)와 전면부(21a) 및 바닥(21b)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40)이 교차, 만나는 부분 또는 직각으로 꺽이는 부분에는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의 원활한 이동 및 작동을 위하여 도시된 도 9(a) 내지 9(c)의 가이드 레일 연결 브라켓(40a)이 장착된다. In order to smoothly move and operate the movement fixing means 50 at a portion where the door 21 intersects with the guide rail 40 installed at the front portion 21a and the bottom 21b, The guide rail connecting bracket 40a shown in Figs. 9 (a) to 9 (c) is mounted.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 연결 브라켓(40a)의 형상은 가이드 레일(40)의 형상 및 교차부분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Here, the shape of the guide rail connecting bracket 40a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hape and the crossing portion of the guide rail 40.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은 도시된 도 17 내지 18과 같이 구성된다. A plurality of movement fixing means 50, which are moved and fixed along the guide rail 40, are constructed as shown in Figs. 17 to 18.

먼저 도시된 도 17의 이동고정수단(50)은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판(51a)과, 상기 이동판(51a)의 상,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 장착홈(51b)에 장착되면서 상기 고정홈(47)에 고정 및 지지되는 스프링(51e)이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구(51d)과, 상기 이동판(51a)의 연결 장착홈(51c)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며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고정구(53) 등으로 구성된다.17 shows a moving fixture 50 of FIG. 17 includes a moving plate 51a which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40 and moves and fixes along the guide rail 40, A spring fixing member 51d having a spring 51e fixed to and supported by the fixing groove 47 mounted on the movable mounting groove 51b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plate 51a, And a fixture 53 which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40 and moves along the guide rail 40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strap 60.

즉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은 스프링(51e) 및 스프링 고정구(51d)가 구비되는 이동판(51a)에 고정구(53)를 장착하여, 상기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고정구(53)에 고정 끈(60)을 연결하여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moving and fixing means 50 is mounted on the moving plate 51a on which the spring 51e and the spring fixing member 51d are provided, When the position is fixed to the guide rail 40, the fixing strap 60 is connected to the fixing hole 53 to fix the cargo loaded on the loading box 20.

이때 상기 이동판(51a)에 장착되는 스프링 고정구(51d)는 상기 고정구(53)의 작동에 따라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스프링 고정구(51d)는 스프링(51e)을 압축하여 고정구(51)의 진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고정구(53)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스프링(51e)의 탄성에 의하여 스프링 고정구(51d)가 고정홈(47)에 삽입장착되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spring fixing member 51d mounted on the moving plate 51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xing member 53, the spring fixing member 51d compresses the spring 51e to move the fixing member 51 The spring fixing hole 51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groove 47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51e when the external force of the fixing hole 53 is not applied.

그리고 상기 고정구(53)는 일 측이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지지부(53a)와 상기 이동판(51)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연결부(53b) 및 상기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53c)로 구성된다. The fixture 53 includes a fixture support portion 53a having one side located inside the guide rail 40, a fixture connection portion 53b positioned outside the move plate 51, And a connection link 53c connected thereto.

즉 상기 고정구(53)는 이동판(51)의 작동시 연동작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고정구 지지부(53a)를 형성하고, 외부에는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53c)가 장착되는 고정구 연결부(53b)를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fixture 53 is formed with a fixture support portion 53a inside the guide rail 40 so that the fixture 53 can be interlocked when the move plate 51 is operated, 53c are mounted.

다음으로 도시된 도 18의 이동고정수단(50)은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판(51a)과, 상기 이동판(51a)의 상,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 장착홈(51b)에 삽입장착되면서 상기 고정홈(47)에 고정 및 지지되는 스프링(51e)이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구(51d)과, 상기 이동판(51a)의 연결 장착홈(51c)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며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고정구(53) 등으로 구성된다.The movement fixing means 50 shown in Fig. 18 shown next is composed of a moving plate 51a which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40 and moves and fixes along the guide rail 40, A spring fixture 51d having a spring 51e inserted and mounted in a movable mounting groove 51b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fixed and supported in the fixing groove 47, And a fastener 53 mounted on the guide rail 51c and moving along the guide rail 40 and connected to the fixing strap 60. [

즉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은 도시된 도 17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구(53)를 구성하는 연결고리(53c)의 양측 끝단을 고정하여, 상기 연결고리(53c)에 공지된 깔깔이바의 고리 등을 용이하게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movement fixing means 50 has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 17 and fixes both ends of the connection ring 53c constituting the fixing hole 53, And the like can be easily fixedly coupled.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이동고정수단(50)은 스프링(51e) 및 스프링 고정구(51d)가 구비되는 이동판(51)에 고정구(53)를 장착하여, 상기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고정구(53)의 연결고리(53c)에 고정 끈(60)이나 깔깔이바의 고리를 연결하여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The movement fixing means 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xing plate 53 is mounted on the moving plate 51 having the spring 51e and the spring fixing member 51d so that the load The fixing strap 60 or the collar of the ba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llar 53c of the fixing collar 53 when the guide rail 40 moves along the guide rail 40 So that the cargo loaded on the loading box 20 is fixed.

한편, 도 10과 도 18에서의 고정구(53)의 연결고리(53c)는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서는 회전이 불가하고 고정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connection link 53c of the fixture 53 in FIGS. 10 and 18 is shown as being rotatable, it can not be rotated if necessary and may be manufactured in a fixed form.

상기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을 고정하는 고정 끈(6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이동고정수단(50)에 고정구(53)에 연결되며, 타단은 반대 측면도어(21)에 장착되는 이동고정수단(50)의 고정구(53)나 배면도어(22)의 배면 고정 고리(24)에 연결된다. One end of the fixing strap 60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ans 53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strap 60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door 21 And is connected to the fixture 53 of the movement fixing means 50 to be mounted and the rear surface fixing hook 24 of the rear door 22. [

즉 상기 고정 끈(60)은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에 맞춰 위치조절되는 이동고정수단(50)의 고정구(53)에 일단을 연결한 후 타단을 반대 측면도어(21)에 장착되는 이동고정수단(50)의 고정구(53)나 배면도어(22)의 배면 고정 고리(24)에 연결한 것이다. That is, one end of the fixing strap 60 is connected to the fixture 53 of the movement fixing means 50, whic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argo loaded on the loading box 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door 21 And is connected to the fixture 53 of the fixing means 50 and the rear surface fixing hook 24 of the rear door 22. [

이때 상기 고정 끈(60)의 외면에는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을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끈 고정부(62)가 코팅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a string fixing part 62 made of rubber or silicon can be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strap 60 so as to closely adhere the cargo loaded on the loading box 2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embodiment of the vehicle cargo fix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먼저,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적재함(20)의 양측에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내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 홈(23)이 형성되는 측면도어(21)를 양측에 각각 장착한 후 상기 측면도어(21)의 배면에 간격을 두고 배면 고정 고리(24)가 장착되는 배면도어(21-1)를 장착한다. First, a side door 21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length formed on both sides of a loading box 20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ize and having a fixing groove 23 formed at an interval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 rear door 21-1 on which the rear fixing hooks 24 are mounted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ide door 21 at intervals.

그리고 상기 측면도어(21)의 내면에 측면도어(21)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제외한 구간에만 고정장착되는 수직 고정판(30)을 장착한다. A vertical fixing plate 30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door 21 so as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ide door 21 and fixedly mounted only in a section except for the guide rail 40.

다음으로 상기 수직 고정판(30)과 수직 고정판(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측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 관통공(4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4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관통공(41)과 이동 구간(42)의 사이에는 지지 구간(44)이 구비된 격벽(43)이 형성되고, 양측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46)가 고정장착되는 가이드 레일(40)을 장착한다. Next, a spac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and the vertical fixing plate 30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 side end fa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coupling through hole 41 is formed at an inner side with a gap, A partition wall 43 having a support section 44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through hole 41 and the movement section 42 and a partition wall 43 having a support section 44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through- A guide rail 40 to which the finisher 46 is fixed is mounted.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이동판(51)과 이동구(52) 및 고정구(53)가 한 조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50)을 장착하면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When a plurality of moving and fixing means 50 having a moving plate 51, a moving tool 52 and a fixing tool 53 are mounted on the guide rail 40, It is finished.

이때 상기 이동구(5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고정구 몸체(52a)와, 상기 고정구 몸체(52a)의 끝단에 형성되고 전후 작동에 따라 측면도어(21)에 형성되는 고정 홈(23)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52b)와, 상기 고정구 몸체(52a)의 반대 측 끝단에 형성되는 이동고리(52c)와,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몸체(52a)에 삽입장착되는 스프링(52d)과, 상기 고정구 몸체(52a)의 도중에 설치되는 스프링 지지부(52e)와, 상기 이동고리(52c)의 끝단에 형성되는 작동손잡이(52f)로 이루어지고, At this time, the moving tool 52 has a fixing body 52a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fixing groove 23 formed at the end of the fixing body 52a and formed on the side door 21 according to the back and forth operation, A moving ring 52c formed at an opposite end of the fixing body 52a and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fixing body 52a located in the inside of the guide rail 40, A spring support portion 52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fixture body 52a and an operation handle 52f formed at an end of the movement ring 52c,

상기 고정구(53)는 일 측이 가이드 레일(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지지부(53a)와 상기 이동판(51)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연결부(53b) 및 상기 고정 끈(60)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53c)로 이루어진다. The fixture 53 includes a fixture support portion 53a having one side located inside the guide rail 40 and a fixture connection portion 53b positioned outside the movement plate 51 and a fixing member And a connecting link 53c.

여기서 상기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It is noted that the assembling procedure of the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vehicle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use state of the vehicle cargo fixing apparat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화물차를 구성하는 적재함(20)의 측면과 상부에 호루(25)를 덮이면서 고정하여 호루차를 구성한다.First, a forearm 25 is covered on the side and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20 constituting the above-mentioned vans to constitute a forklift truck.

그리고 상기 적재함(20)에 화물을 적재한 후, 상기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을 후방 또는 전방 또는 임의 위치에 밀착시킨 다음, 상기 적재함(20)에 수용되는 화물에 맞춰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장착된 이동고정수단(50)의 위치를 조절한다. After the cargo is loaded on the loading box 20, the cargo stored in the loading box 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rgo stored in the loading box 20 rearward, The position of the movement fixing means 50 mounted on the movable frame 50 is adjusted.

즉 상기 가이드 레일(40)에 장착되는 한 조로 구성되는 이동판(51)과 이동구(52) 및 고정구(53)를 상기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moving plate 51, the moving tool 52, and the fixing tool 53 constituted by a set of the guide rails 40 ar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s 40.

이때 상기 이동구(52)에 장착되는 스프링(52d)은 이동구(52)의 작동에 따른 압축시 상기 이동구(52)와 함께 가이드 레일(4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이동구(52)를 구성하는 작동손잡이(52f)의 미작동시에는 스프링(52d)의 탄성을 통해 팽창하여 상기 이동 구(52)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pring 52d mounted on the moving tool 52 moves along the guide rail 40 together with the moving tool 52 when the moving tool 52 is opera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operating knob 52f is constructed to be unfolded, the moving knob 52 expands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52d and fixes the moving mouth 52.

그리고 상기 고정구(53)의 연결 고리(53c)에 고정 끈(60)의 일단을 고정한 후 타단을 배면도어(21-1)의 배면 고정 고리(24)에 장착하면 적재함(20)에 적재되는 화물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one end of the fixing strap 60 is fixed to the connection ring 53c of the fixture 53 and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rear fixing ring 24 of the rear door 21-1, It can be fixed firmly.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는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 및 수량에 맞춰 고정 끈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포장도로에서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fixing strap can be adjusted and fixed according to the size and quantity of the cargo loaded on the cargo box, the cargo cargo fixing device can firmly fix the cargo loaded on the cargo box,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20 : 적재함,
30 : 수직 고정판, 40 : 가이드 레일,
50 : 이동고정수단, 60 : 고정 끈.
10: cargo hold device for vehicle, 20: load box,
30: vertical fixing plate, 40: guide rail,
50: mobile fixing means, 60: fixing strap.

Claims (8)

차량의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의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동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A guide rail mount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a door and a front part of a loading box for loading cargo of a vehicle and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a floor and a ceiling; And
And a plurality of moving and fixing means that are moved and fix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관통공과 이동 구간의 사이에는 지지 구간이 구비된 격벽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rail has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 coupling through hole is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guide rail with a gap therebetween. A movement sec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Wherein a partition wall having a support section is formed and a finishing support section is mounted at an end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사각형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측에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내부와 연통하는 이동 구간이 형성되고, 끝단에는 마감 지지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rail has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ormed with a moving sec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n an outer side thereof and a finisher is mounted on an end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xing groove is form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door and the front portion located on the same line of the guide rail and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홈이 형성되는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에는 상기 고정 홈에 수용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먼지 제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dust removing groove is form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a door and a front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and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a floor and a ceiling so as to remove dust contained in the fix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면에 배치되면서 이동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및 고정하는 이동구;
상기 이동판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정 끈과 연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ement fixing means comprises:
A moving plat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moving while moving;
A moving member mounted on the moving plate and moving and fixing along the guide rail;
And a fixture mounted on the moving plate and moving along the guide rail and connected to the fixing strap.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고정구 몸체;
상기 고정구 몸체의 끝단에 형성되고 전후 작동에 따라 도어와 전면부의 수평 또는 수직방향과 바닥과 천장의 수평방향에 형성되는 고정 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구 몸체의 반대 측 끝단에 형성되는 이동고리;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몸체에 삽입장착되는 스프링;
상기 고정구 몸체의 도중에 설치되는 스프링 지지부;
상기 이동고리의 끝단에 형성되는 작동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fixture bod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 fixing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fixing body and inserted or separat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and the front part and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loor and the ceiling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A moving ring formed at an opposite side end of the fixture body;
A spring inserted into the fixture body located inside the guide rail;
A spring support portion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fixture body;
And an operating handle formed at an end of the moving r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일 측이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지지부와 상기 이동판의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구 연결부 및 상기 고정 끈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xture comprises a fixture support part having one side located inside the guide rail, a fixture connection part positioned outside the moveable plate, and a connection ring connected to the fixing strap.
KR1020140077832A 2014-06-25 2014-06-25 Apparatus for fixing a cargo in an automobile KR101584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832A KR101584443B1 (en) 2014-06-25 2014-06-25 Apparatus for fixing a cargo in an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832A KR101584443B1 (en) 2014-06-25 2014-06-25 Apparatus for fixing a cargo in an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01A true KR20160000601A (en) 2016-01-05
KR101584443B1 KR101584443B1 (en) 2016-01-11

Family

ID=5516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832A KR101584443B1 (en) 2014-06-25 2014-06-25 Apparatus for fixing a cargo in an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44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474A (en) 2020-12-14 2022-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pace division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947U (en)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Car's cargo lock
KR20020015206A (en) * 2000-08-21 2002-02-27 이계안 A Net for Fixation of Freight in The Trunk
KR20030024488A (en) * 2001-09-18 2003-03-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fixing a cargo in an automobile
KR20080006872A (en) 2006-07-14 2008-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oad fixing device for load space in vehicle
KR20130014825A (en) 2011-08-01 2013-02-12 김종재 Sorage device for cargo box of pick-up truc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947U (en)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Car's cargo lock
KR20020015206A (en) * 2000-08-21 2002-02-27 이계안 A Net for Fixation of Freight in The Trunk
KR20030024488A (en) * 2001-09-18 2003-03-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fixing a cargo in an automobile
KR20080006872A (en) 2006-07-14 2008-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oad fixing device for load space in vehicle
KR20130014825A (en) 2011-08-01 2013-02-12 김종재 Sorage device for cargo box of pick-up tru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474A (en) 2020-12-14 2022-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pace divi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443B1 (en)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0846B (en) Slide out cargo floor
JP6375390B2 (en) Vehicle roof box mounting device
US8172296B2 (en) Parcel shelf structure
CN104349939A (en) Vehicle storage compartment assembly
JP4521052B2 (en) Vehicle storage device
JP2009521355A (en) Luggage placement device for vehicles
KR101584443B1 (en) Apparatus for fixing a cargo in an automobile
KR200412701Y1 (en) Bike carrier for vehicle
JP2009539685A (en) Device for forming a luggage rack in a vehicle trunk room
CN105383395A (en)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CA3191209A1 (en) Vehicle sliding door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WO2016076045A1 (en) Vehicular rear gate
KR20080006872A (en) Load fixing device for load space in vehicle
KR101821271B1 (en) Guide device for preventing scratches on the car side
KR200325046Y1 (en) Covered apparatus truck lading case
JP6403553B2 (en) Box-type vehicle exterior folding door structure
KR101730257B1 (en) Trolley
KR200399028Y1 (en) Shelf trim assembly
KR101836470B1 (en) Side trim of luggage room for vehicle
JP4660854B2 (en)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s, especially automobiles
KR101567240B1 (en) Device for fixing the luggage
KR200476662Y1 (en) fence device for truck cargo box
CN109823419B (en) Roof-rack in car of van and be equipped with its van
KR101519091B1 (en) The covering devices for cargo loading box
KR200327947Y1 (en) Loading box covering equipment for wag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