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561U - Standing phone case - Google Patents

Standing phone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561U
KR20160000561U KR2020140005936U KR20140005936U KR20160000561U KR 20160000561 U KR20160000561 U KR 20160000561U KR 2020140005936 U KR2020140005936 U KR 2020140005936U KR 20140005936 U KR20140005936 U KR 20140005936U KR 20160000561 U KR20160000561 U KR 201600005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winding
groove
fitting
win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93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0063Y1 (en
Inventor
안성호
Original Assignee
안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호 filed Critical 안성호
Priority to KR2020140005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63Y1/en
Priority to PCT/KR2014/007727 priority patent/WO2015026154A1/en
Publication of KR20160000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56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6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권선부를 이용하여 이어폰줄의 권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받침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의 스탠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capable of not only winding an earphone string using a winding portion but also allowing a portable terminal to stand through a pedestal.

Description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Standing phone case}Standing phone case {Standing 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이어폰이 감길 수 있는 슬라이딩 권선부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지지대 없이 휴대폰 케이스에 의해서 휴대폰이 서 있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for protecting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which is equipped with a sliding winding part that can be wound around an earphone, and in which a mobile phone can stand by a mobile phone case without a separate support,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possible mobile 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기술로서, 본 고안자의 특허등록 제10-1357323호를 개량하여, 상기 특허의 권선부에 추가적으로 스탠딩이 가능하도록 받침대를 착탈식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relating to a mobile phone case, which is a modification of the inventor's patent registration No. 10-1357323, wherein the pedestal is detachably provided so as to additionally stand on the winding portion of the patent.

본 고안은 상기 특허의 기본 구성 요소를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배경 기술로서, 상기 특허의 도면을 발췌하여 스탠딩 기능이 없는 슬라이딩 권선부만을 갖는 종래 휴대폰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ll of the basic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patent, a conventional mobile phone case having only a sliding winding portion without a standing function by extracting the drawing of the patent will be described as a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슬라이딩 권선부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서,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단말기(P)가 수용되는 본체(100)와, 이어폰줄이 권선되도록 본체(100)에 결합되는 권선부(200: 도 1c 참조)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P)는 협의의 휴대폰을 포함하여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 PDA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휴대단말기(P)는 충격에 약하므로, 휴대단말기(P)의 후면을 본체(100)에 삽입하여 보관 및 사용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P)에는 이어폰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라디오나 TV 수신, 동영상 시청, 음악 청취 등을 할 수 있다. 본체(100)는 전방에 휴대단말기(P)가 삽입되도록 수용부(114)가 형성되고, 후방에 권선부(200)가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에서는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의 결합형 본체(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후방커버(120)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커버(1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아 후방커버(120)가 필요 없을 시에는 후방커버(120)를 전방커버(110)에서 탈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방커버(110) 및 후방커버(120)는 휴대단말기(P)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 기능키, 스피커, 이어폰 단자 등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부분과 대향되는 위치에 개방공(112, 122)이 필요한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conventional sliding winding portion. The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por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P is accommodated, (See Fig. 1 (c)). The portable terminal P includes all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and a PDA including a negotiated mobile phone. Since the portable terminal P is vulnerable to an impact,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and stored and used. In addition, an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P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enjoy the radio, the TV reception, the video watching, and the music listening. The main body 100 has a receiving portion 114 for receiving the portable terminal P in front and a winding portion 200 is slidingly coupled to the rear portion.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front cover 110 and the rear cover 120. The front cover 110 and the rear cover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110 and the rear cover 12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 rear cover 12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cover 110. When the rear cover 120 is not needed because no earphone is used, (110). The front cover 110 and the rear cover 120 are provided with openings 112 and 122 at positions opposite to a portion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uch as a camera lens, a function key, a speaker, Can be formed as many as necessary.

도 1c는 종래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에 권선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d 종래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에 권선부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배면도이다.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후방 즉, 본체(100)의 후방커버(120)의 후면에는 권선부(200)의 내면이 안내되도록 오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24)는 후방커버(120)의 후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권선부(200)가 오목부(124)에서 그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오목부(124)의 높이는 권선부(200)의 높이와 같거나, 권선부(200)의 높이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권선부(200)가 오목부(124)에 위치되면 권선부(200)의 외면이 후방커버(120)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된다. 권선부(200)는 본체(100)의 후방커버(120)의 후면에 형성되는 오목부(12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권선부(200)가 후방커버(120)의 후면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된 후, 이어폰(10)이 권선부(200)에 권선된다. 이러한 권선부(200)는 탄성재질 등으로 형성되며, 이어폰(10)이 용이하게 권선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는 오목부(124)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더 작을 수 있다.
FIG. 1C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winding part is coupled to a main body of a cell phone case having a conventional winding part, and FIG. 1D is a rear view of a case of a cell phone case having a conventional winding part in a state where a winding part is coupled. 1C and 1D, a recess 124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cover 120 of the main body 100 to guide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ing portion 200 . The concave portion 124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120 so that the winding portion 200 is slidably moved from the concave portion 124 to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 height of the concave portion 124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winding portion 200. When the winding portion 200 is located in the concave portion 124,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over 120 does not protrude outside the rear cover 120. The winding part 200 is slidably mounted on a recess 124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120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winding part 200 is sli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120 And then the earphone 10 is wound on the winding part 200. As shown in Fig. The winding part 20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earphone 10 can be easily wound and the length thereof may be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concave part 124 have.

권선부(200)에는 고정홈(210), 고정돌기(220) 및 가이드홀(2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21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권선부(200)의 외주연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어폰(10)의 일부가 고정홈(210)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돌기(220)는 권선부(200)의 외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호 이격 되어, 그 사이에 고정홈(222)이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홈(222)에 이어폰(10)의 일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The winding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groove 210, a fixing protrusion 220, and a guide hole 230. The fixing groove 210 is formed of at least one member and is formed to be concav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ding part 200 so that a part of the earphone 10 is fitted and fixed in the fixing groove 210. The fixing protrusions 220 protrude from the uppe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ing part 200. The fixing protrusions 2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provided with fixing grooves 222 therebetween. And a part of the earphone 10 is fitted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222.

가이드홀(230)은 권선부(200)의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커버(120)의 오목부(124)에는 가이드홀(230)에 삽입되도록 안내돌기(130)가 형성되어, 권선부(200)가 안내돌기(130)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홀(23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홀(232), 제 2 홀(234) 및 제 3 홀(236)이 차례로 구비되되, 상기 제 1 홀(232) 및 상기 제 3 홀(236)에서 상기 제 2 홀(234)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안내돌기(130)는 상기 제 2 홀(234)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권선부(200)가 안내돌 The guide hole 230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winding part 200 in the shape of a hole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 guide protrusion 130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124 of the rear cover 12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30 so that the winding portion 200 is guided by the guide protrusion 130 and slidably moved. The guide hole 230 has a first hole 232, a second hole 234 and a third hole 236 successiv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first hole 232 and the third hole 236) to the second hole (234). The guide protrusion 130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hole 234,

기(130)에 가이드되어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제 2 홀(234)이 안내돌기(130)의 폭 만큼 억지로 벌어진 후 이동된다. 한편, 권선부(200)의 가이드홀(230)의 내주연에도 이어폰(10)의 일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hole 234 is forced to spread by the width of the guide protrusion 130 and is then moved when the guide hole 130 is guided and slid upward or downwardly. A fixing groove 21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hole 230 of the wire winding part 200 so that a part of the earphone 10 can be fitted and fixed.

도 1e는 종래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폰 케이스는 본체(100) 및 권선부(200)를 포함하되, 권선부(200)가 본체(100) 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1a 내지 1d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오목부(124)가 후방커버(120) 구비되었으나, 도 1e의 실시예에서는 오목부(116)가 전방커버(110)에 구비된다. 오목부(116)는 전방커버(110)의 후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권선부(200)가 오목부(116)에 삽입되어, 권선부(200)는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 사이의 공간 내에서 슬라이딩된다.
1E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cell phone case having a conventional winding portion. The cell phone case includes a main body 100 and a winding portion 200, except that the winding portion 2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to be slid, 1A to 1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cave portion 124 is provided with the rear cover 120, bu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E, the concave portion 116 is provided in the front cover 110. The concave portion 116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0 so that the winding portion 200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116 so that the winding portion 200 is separated from the front cover 110, And is slid in the space between the covers 120.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35732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57323

본 고안은 특허등록 제10-10357323호를 개량하여, 권선부에 받침대를 착탈식으로 더 구비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원하는 각도로 세워놓을 수 있는 기능을 더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patent registration No. 10-10357323 to further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ith a desired angle by detachably mounting a pedestal on the winding section.

본 고안은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권선부 중 슬라이딩 되어 본체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는 이어폰줄이 감겨 지며, 상기 받침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 winding unit slidably mounted on the body; And a pedestal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inding part. An earphone line is wound on a part of the winding part exposed from the main body by sliding,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set up using the pedestal. Provide a possible mobile phone case.

특히, 상기 권선부와 받침대는 돌기와 홈 형상의 암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ing part and the pedestal are coupled by projections and groove-like male and female fittings.

특히, 상기 권선부와 받침대는 각각 자석부를 더 가지며, 상기 자석부의 자석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winding part and the pedestal has a magnet part and is coupled by the magnet coupling of the magnet part.

특히, 상기 권선부의 외측 말단에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홈 형상으로 형성된 권선부끼움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권선부끼움홈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의 받침대끼움돌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권선부끼움홈과 받침대끼움돌기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end of the wind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winding portion fitting groove formed in an inner shape and formed in a groove shape, wherein the pedestal further comprises a pedestal fitting protrusion of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fitting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ement is made by fitting the fitting groove and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pedestal.

특히, 상기 권선부의 외측말단에는 돌기 형상의 권선부끼움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권선부끼움돌기에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홈 형상의 받침대끼움홈이 더 구비되어, 상기 권선부끼움돌기와 받침대끼움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the outer end of the wind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sion-shaped winding portion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further includes a groove-like base fit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portion fitting protrusion so as to be fittable with the winding portion fitting protrus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s and the receiving grooves are engaged by engaging the grooves.

특히, 상기 받침대는 신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the pedestal is preferably a shoe shape.

특히, 상기 권선부의 외측 말단이 절개되어 홈을 갖되, 상기 홈의 양 내측으로 직선상의 레일돌기를 더 가지며, 상기 받침대의 양 측면으로는 상기 레일돌기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의 직선상의 레일홈을 더 가져, 상기 권선부와 받침대가 상기 레일돌기와 레일홈의 수평적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the outer end of the winding portion is cut to have a groove, and furthermore, a rail protrusion linearly inward of the groov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edestal, a linear rail groove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protrusion So that the winding part and the pedestal are coupled by horizontal fitting of the rail projections and the rail grooves.

특히, 상기 받침대와 권선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틸팅 기능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edestal and the winding part have a tilting func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본 고안은 슬라이딩되는 권선부를 통하여 이어폰줄을 감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를 세워놓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not only the earphone string can be wound around the winding part to be slid, but also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t up through the pedestal.

또한, 간단한 끼움 결합 또는 자석 결합에 의하여 받침대를 권선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바, 필요에 따라 매우 쉽게 받침대를 권선부로부터 분리하여 보관 또는 결합 사용이 가능하다.Further, the pedestal can be separated from the winding part by simple fitting or magnet coupling, and the pedestal can be separated from the winding part very easily, if necessary, and stored or used.

또한, 본 고안은 틸팅 기능을 더 구비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기립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has a tilting function, which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standing angl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adjusted.

도 1a 내지 도 1e는 종래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1357323호의 발췌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상하 끼움 방식의 권선부 및 받침대의 분해도 및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상하 끼움 방식의 권선부 및 받침대의 분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상하 끼움 방식의 권선부의 사시도이며, 도 5b 및 5c는 받침대의 x축(길이 방향) 및 y축(폭 방향) 단면도이며, 도 5d는 틸팅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의한 수평 끼움 방식의 권선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6c는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6d는 수평 끼움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의한 자석 결합 방식의 권선부 및 받침대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의한 끼움 결합 방식과 자석 결합 방식의 혼합 결합 방식을 적용한 실시예이다.
Figs. 1A to 1E are illustrations of the prior art 10-1357323.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an exploded view and a coupled view of a winding part and a pedestal of the up-and-down fit typ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a winding part and a pedestal of a top-and-bottom fitting typ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ing portion of a top-and-bottom fit type capable of tilting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B and 5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edestal in the x-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lting function.
FIGS. 6A and 6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rizontal insertion type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C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and FIG.
FIG. 7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 magnet unit-coupled winding unit and a pedestal according to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ngaging method and a magnet coupling method are used.

본 고안은 슬라이딩 권선부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특허 제10-1357323호를 개량한 고안으로서, 본 고안에서도 상기 특허의 기본적인 기능인 "슬라이딩 권선부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기술을 모두 사용하되, 권선부를 개량한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으므로, 전술한 도 1a 내지 도 1e에서 사용한 용어 및 도면 부호는 본 고안에서도 그대로 사용하며, 상기 도면을 통해 설명한 기본적인 구성(본체, 슬라이딩 권선부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Patent No. 10-1357323 relating to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sliding wind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techniques of "mobile phone case having a sliding winding portion", which is a basic function of the above patent, Sinc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above-described Figs. 1A to 1E are used as they ar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cription of the basic structure (body, sliding winding portion, etc.) do.

또한, 본 고안에서 받침대(300)는 육면체, 원통형 등 스탠딩이 가능한 모든 형태가 가능하나, 이하 설명에서는 받침대(300)의 전체적 형상이 신발 형태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300 may be of any shape capable of standing, such as a hexahedron or a cylinder, b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overall shape of the pedestal 300 is a shoe shape.

또한, 이하 권선부(200)는 "슬라이딩 권선부(200)"의 약칭으로 사용됨을 밝힌다.
Hereinafter, the winding section 200 is used as an abbreviation of "the sliding winding section 200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1000)의 사시도로서, 특허등록 제10-1357323호와는 달리 권선부(200)에 착탈 가능한 받침대(300)를 더 갖는다. 상기 받침대(300)는 착탈식으로 결합하므로 휴대단말기(P)를 세워둘 필요가 없는 경우 받침대(300)는 탈거하여 별도로 보관 가능하다.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case 10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10-1357323, the mobile phone further includes a pedestal 300 detachable from the winding unit 200. Since the pedestal 300 is detachably coupled, the pedestal 300 can be detached and stored separately if it is not necessary to set up the portable terminal P.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100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P)를 세운 상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자의 특허등록 제10-1357323호와는 달리 받침대(300)가 슬라이딩 권선부(200)의 말단, 즉, 이어폰이 감기는 말단과 결합되어 있어, 권선부(200)를 통해 이어폰줄을 감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300)를 통해 휴대단말기(P)를 세울 수 있다.
FIG. 2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P is set up using the cellular phone case 10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inventor's patent registration No. 10-1357323 in that the pedestal 30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liding winding part 200, that is, the end of the earphone, It is possible to wind up the portable terminal P through the pedestal 300,

이러한 권선부(200)와 받침대(300)의 다양한 착탈식 구조가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의 권선부(200)와 받침대(300)의 착탈식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을 하되, 설명의 편의상 도 2a 및 2b와 달리 본체(100)와 휴대단말기(P)를 생략하고, 권선부(200)와 받침대(300)만을 도식화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 도면에서 본체(100) 등이 표현되어 있지 않더라도, 권선부(200)는 본체(10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음을 명시한다.
Hereinafter, a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of the winding unit 200 and the pedest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preferred embodiments, The main body 100 and the portable terminal P are omitted, and only the winding part 200 and the pedestal 300 are illustrated in order to simplify the explanation. Therefore, even if the main body 100 is not shown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winding unit 200 specifies that the main body 100 is slidingly coupled.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상하 끼움 방식의 권선부 및 받침대의 분해도 및 결합도이다.
FIGS. 3A and 3B are an exploded view and a coupled view of a winding part and a pedestal of the up-and-down fit typ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권선부(200)는 슬라이딩시 외부로 노출되어 이어폰줄이 감기는 외측 말단(250)에 홈 형상의 권선부끼움홈(240)을 더 갖는다.
The winding pa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roove-shaped winding part insertion groove 240 at an outer end 250 of the earphone string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liding part is slid.

한편, 상기 권선부(200)와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받침대(300)는 지면(또는 책상 등의 평면을 모두 의미)에 닿는 바닥면(310)과 권선부(200)와 결합되는 결합면(320)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상기 결합면(320)에는 상기 권선부끼움홈(240)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돌출 형상의 대응되는 형상의 받침대끼움돌기(340)를 갖는다. 결합면(320) 전체가 받침대끼움돌기(340)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히, 도 3a와 같이, 상부면(320)의 대략 중간 정도에는 상부면(320)의 폭(d1)보다 폭이 좁은(d2)을 갖도록 측면이 절개된 단차부(341)를 더 갖고, 상기 단차부(341)에 권선부끼움홈(240)이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edestal 300 has a bottom surface 310 contacting the ground surface (or a plane such as a desk or the like), and a coupling surface 320 coupled to the winding portion 200 so as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winding portion 200. [ The coupling surface 320 has a protrusion protruding protrusion 34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so as to be fitted into the winding fitting groove 240. 3A, the width of the coupling surface 32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d1 of the upper surface 320 at about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320, and a stepped portion 341 having a side cut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d2. The winding portion fitting groove 240 is preferably fitted to the stepped portion 341.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와 반대로 권선부(200)에 끼움 돌기가 구비되고, 받침대(300)에 홈이 구비되어 끼움 결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상하 끼움 방식의 권선부 및 받침대의 분해도이다.
Contrary to the embodiment of FIGS. 3A and 3B, the winding part 200 is provid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 and the supporting part 300 is provided with the groove, so that the fitting part can be fitted.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a winding part and a pedestal of a top-and-bottom fitting typ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권선부(200)의 외측말단(250)에는 돌출 형상의 권선부끼움돌기(270)가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권선부끼움돌기(270)는 육면체 형상이어도 되나, 원통형, 오각형, 십자가형 등 다양한 돌출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권선부끼움돌기(270)와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받침대(300)의 결합면(320)에는 상기 권선부끼움돌기(270)에 대응되는 홈 형상의 받침대끼움홈(370)을 구비하여, 상기 권선부끼움돌기(270)와 받침대끼움홈(370) 사이의 상하 끼움 결합에 의하여 권선부(200)와 받침대(300)가 착탈된다.
Unlike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the protrusion 270 is formed at the outer end 250 of the winding part 200. As shown in FIG. 4, the winding part fitting protrusion 270 may be in the form of a hexahedron, but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 pentagonal shape and a cross shape are possible. The engaging surface 320 of the pedestal 300 is provided with a groove-shaped pedestal fitting groove 370 corresponding to the coil-engaging projection 270 so that the coil-engaging projection 270 can be engaged with the coil- And the winding part 200 and the pedestal 300 are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up-and-down fitting between the winding part fitting protrusion 270 and the base fitting groove 370.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고안에서는 받침대(300)와 권선부(200)가 일직선상이 아닌 일정한 각도로 틸팅(tilting)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틸팅 기능은 사용자가 휴대폰(P)을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휴대폰(P)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각도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300 and the winding unit 200 can be tilted at a certain angle instead of a straight line. This tilting function is required to adjust the cellular phone P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groun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user looks at the cellular phone P. [

틸팅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구체적인 틸팅 방식을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서,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5d를 참고하여, 틸팅 방식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ince the tilting method can be implemented in a wide variety of ways, the present tilt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is specific tilting method. However, for example, the tilting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D.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상하 끼움 방식의 권선부의 사시도이며, 도 5b 및 5c는 받침대의 x축(길이 방향) 및 y축(폭 방향) 단면도이며, 도 5d는 틸팅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ing portion of a top-and-bottom fit type capable of tilting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B and 5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edestal in the x-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lting function.

도 5a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는 도 4의 실시예와는 달리 권선부끼움돌기(270)의 양 측면에 톱니돌기(271)를 더 갖는다.
As shown in FIG. 5A,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4, the thir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tooth protrusion 271 on both sides of the winding part fitting protrusion 270.

한편, 이에 대응하는 받침대(300)의 x축(신발 길이 방향) 단면도인 도 5b와 y축(신발 폭 방향) 단면도인 도 5c와 같이, 상기 톱니돌기(271)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의 홈인 톱니홈(371)이 받침대끼움홈(370)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끼움결합이 가능하다. 참고로, 본 고안에서 받침대(300)와 권선부(200) 중 최소 하나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비록 톱니돌기(271)가 있더라도 받침대끼움홈(370)에 강제 끼움이 가능하다.
5B,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destal 300 corresponding to the x-axis (shoe length direction), and FIG. 5C,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y- The toothed grooves 371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pedestal fitting grooves 370 so that mutual fitting is possible. Since at least one of the pedestal 300 and the winding part 2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ce-fit the pedestal 300 and the winding part 200 into the pedestal fitting groove 370 even if the toothed protrusion 271 exists.

도 5d는 틸팅 기능을 더 갖는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틸팅되는 상태를 도시화한 것이다. 틸팅을 위해서 받침대끼움홈(370)의 폭은 권선부끼움돌기(270)보다 소폭 길어야, 받침대(300)가 회전 가능하다. 상기 톱니돌기(270)가 톱니홈(371)내에서 톱니 회전함에 따라 일정 각도로 틸팅되고, 따라서 권선부(200)와 결합된 본체(100)가 같은 각도로 틸팅되며, 본체(100)와 끼움 결합된 휴대단말기(P) 역시 같은 각도로 틸팅이 이루어진다.
FIG. 5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ellular phone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tilting function is tilted. For the tilting, the pedestal 300 should be rotatable so long as the width of the pedestal fitting groove 370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winding portion fitting projection 270. [ The main body 100 combined with the winding part 200 is tilted at the same angle and the main body 100 is fitted with the main body 100. In this case, The combined portable terminal P is also tilted at the same angle.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한편, 끼움 결합 방식의 일종이기는 하나, 상하 끼움 결합 방식이 아닌, 측면에서 수평적으로 결합되도록 레일을 이용한 레일 결합 방식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a type of fitting method, it is possible to use a rail coupling method using a rail so as to be coupled horizontally on the side rather than a top-bottom fitting method.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의한 수평 끼움 방식의 권선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6c는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6d는 수평 끼움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S. 6A and 6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rizontal insertion type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C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and FIG.

도 6a 및 6b와 같이, 레일돌기부(280)는 하측 말단(250)이 관통 절개되는 점에서는 전술한 권선부끼움홈(240)과 유사하지만, 권선부끼움홈(240)과 달리 내측면에 대향되게 2 개의 일직선상의 레일돌기(28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받침대(300)의 레일홈(380, 도 6c 참조)에 끼움 결합된다.
6A and 6B, the rail protrusion 280 is similar to the winding fitting groove 240 described above in that the lower end 250 is cut through, but unlike the winding fitting groove 240, Two rail protrusions 281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straight line and are fitted to the rail grooves 380 (see FIG. 6C) of the pedestal 300 described later.

도 6c는 레일홈(380)을 갖는 받침대(300)의 사시도로서, 받침대(300)의 결합면(320)에는 상기 레일돌기부(280)에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양 측면에 일직선 홈 형상의 레일홈(380)이 형성된다.
6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300 having the rail grooves 380. The engaging surface 320 of the pedestal 300 has a shape and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ail protrusions 280, Shaped rail groove 380 is formed.

도 6d는 도 6a의 권선부(200)와 도 6c의 받침대(300)가 상호 결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받침대(300)를 기준으로 어느 한쪽의 말단으로부터 수평적으로 권선부(200)를 끼운 후 중앙 부분으로 이동시켜 결합을 완료한다.
6D shows how the winding unit 200 of FIG. 6A and the bracket 300 of FIG. 6C are coupled to each other. Referring to FIG. 6D, the winding unit 200 is horizontally After inserting it, move it to the center part to complete the coupling.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본 고안에서 권선부(200)와 받침대(300)는 끼움 방식이 아닌 자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ing unit 200 and the pedestal 300 can be coupled by a magnet, not by a fitting method.

도 7은 자석 결합 방식으로 권선부(200)와 받침대(300)가 결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권선부(200)의 하부 말단(320)에는 자석부(290)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게 받침대(300)의 결합면(320)에도 자석부(390)가 형성되어 서로 자석 결합이 가능하다.
7 shows a case where the winding part 200 and the pedestal 300 are coupled by the magnet coupling method. A magnet portion 290 is provided at a lower end 320 of the winding portion 200 and a magnet portion 390 is also formed on a coupling surface 320 of the pedestal 300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제6실시예Sixth Embodiment

전술한 끼움 결합 방식과 자석 결합 방식을 동시에 적용한 결합 방식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upling method in which the above-described fitting method and the magnet coupling method are simultaneously applied.

예를 들어, 도 8은 도 4의 제2실시예에 의한 권선부(200) 및 받침대(300)를 개량하여 자석을 더 구비하는 실시예로서, 권선부(200)의 권선부끼움돌기(270) 하부에 자석부(290)를 더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받침대(300)의 권선부끼움홈(370)에 내부 바닥면에도 자석부(390)를 더 구비하여, 끼움 결합과 동시에 자석 결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FIG. 8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winding unit 200 and the pedestal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4 are modified to further include a magnet, and the winding part of the winding part 200 And a magnet portion 390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il fitting groove 370 of the pedestal 300 so that the magnet coupling .

이러한 자석 결합은 전술한 제2실시예 이외에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This magnet coupling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other tha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110 : 전방커버 112 : 개방공
114 : 수용부 120 : 후방커버
122 : 개방공 124 : 오목부
130 : 안내돌기 200 : 권선부
240 : 권선부끼움홈 250 : 외측 말단
270 : 권선부끼움돌기 271 : 톱니돌기
280 : 레일돌기부 281 : 레일돌기
290. 390 : 자석부 300 : 받침대
310 : 바닥면 320 : 결합면
340 : 받침대끼움돌기 370 : 받침대끼움홈
371 : 톱니홈
110: front cover 112: opening hole
114: receptacle 120: rear cover
122: Opening hole 124:
130: guide projection 200: winding part
240: Winding groove 250: Outer end
270: winding-in projection 271: serration
280: rail protrusion 281: rail protrusion
290. 390: magnet part 300: pedestal
310: bottom surface 320: coupling surface
340: Pedestal insert projection 370: Pedestal insert groove
371: Toothed groove

Claims (8)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권선부; 및
상기 권선부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권선부 중 슬라이딩 되어 본체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는 이어폰줄이 감겨 지며, 상기 받침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A body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ortable terminal is formed in front;
A winding unit slidably mounted on the body; And
And a pedestal detachably coupled to the winding portion,
Wherein an earphone line is wound around a portion of the winding part exposed from the main body by sliding,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set up using the pedestal.
제1항에서, 상기 권선부와 받침대는 돌기와 홈 형상의 암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The stand-up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nding part and the pedestal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projections and groove-like male and female fittings.
제1항에서, 상기 권선부와 받침대는 각각 자석부를 더 가지며, 상기 자석부의 자석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The standabl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nding part and the pedestal each have a magnet part, and are coupled by the magnet coupling of the magnet part.
제2항에서, 상기 권선부의 외측 말단에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홈 형상으로 형성된 권선부끼움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권선부끼움홈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의 받침대끼움돌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권선부끼움홈과 받침대끼움돌기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wire fitting groove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winding section and formed in a groove shape inwardly, wherein the pedestal further includes a pedestal fitting protrusion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fitting groove And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by engaging of the winding part fitting groove and the pedestal fitting projections.
제2항에서, 상기 권선부의 외측말단에는 돌기 형상의 권선부끼움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권선부끼움돌기에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홈 형상의 받침대끼움홈이 더 구비되어, 상기 권선부끼움돌기와 받침대끼움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uter end of the wind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projection-like wire-portion insertion protrusion, and the base further includes a groove-shaped base-portion fit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wire-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winding portion and the engaging groove of the receiving portion.
제1항에서, 상기 받침대는 신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The stand-up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destal is a shoe shape.
제2항에서, 상기 권선부의 외측 말단이 절개되어 홈을 갖되, 상기 홈의 양 내측으로 직선상의 레일돌기를 더 가지며, 상기 받침대의 양 측면으로는 상기 레일돌기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의 직선상의 레일홈을 더 가져,
상기 권선부와 받침대가 상기 레일돌기와 레일홈의 수평적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3. The motorcycle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rail protrusion having an outer end of the winding section cut out and having a groove, the coil protruding in a straight line to the inner side of the groove, Take more rails,
Wherein the winding part and the pedestal are coupled by horizontal fitting of the rail protrusion and the rail groove.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권선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틸팅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8. The standabl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pedestal and the winding part further have a tilting func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KR2020140005936U 2013-08-20 2014-08-07 Standing phone case KR200480063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36U KR200480063Y1 (en) 2014-08-07 2014-08-07 Standing phone case
PCT/KR2014/007727 WO2015026154A1 (en) 2013-08-20 2014-08-20 Mobile terminal case having winding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936U KR200480063Y1 (en) 2014-08-07 2014-08-07 Standing phone 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61U true KR20160000561U (en) 2016-02-17
KR200480063Y1 KR200480063Y1 (en) 2016-04-07

Family

ID=5544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936U KR200480063Y1 (en) 2013-08-20 2014-08-07 Standing phone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63Y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097Y1 (en) 2012-03-22 2012-10-18 주식회사 유엑스씨 Case of portable terminal with rell type earphone and detachable rell type ear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063Y1 (en)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84520B (en) Decoration for the input/output architecture in electronic equipment
US20110201213A1 (en) Low profile connector system
CN1787548B (en) Mobile terminal having speaker
KR101024928B1 (en) Stand hinge be able to separated and fixed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150236745A1 (en) Housing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accessories
KR101892546B1 (en) Mobile phone cover
KR101281064B1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US20150208810A1 (en) Foldable chair having portable telephone holder
KR101925871B1 (en) Smart phone case
US7805109B2 (en) Detachable earphone structure
KR200480063Y1 (en) Standing phone case
KR101618002B1 (en) Wallet for holding a mobile phone
KR200476235Y1 (en) Mobilephone case
KR20120103831A (en) Functional case for mobile phone
KR20150004606U (en) Case of cellular phone
KR101938258B1 (en) Mobile phone case
US9247035B1 (en) Twisted case
KR101462255B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holder function
KR101041103B1 (en) Stand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2324828B1 (en) A mounting means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96191B1 (en) Protective Case with Built-in Antenna
KR102200869B1 (en) Smart phone supporting cradle
JP3186615U (en)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that can insert a dustproof plug and can store earphone cords
KR200469634Y1 (en) 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Member for Mobile Device
CN210225496U (en) Mobile phone shell with magnetic adsorption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