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634Y1 - 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Member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Member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634Y1
KR200469634Y1 KR2020120002163U KR20120002163U KR200469634Y1 KR 200469634 Y1 KR200469634 Y1 KR 200469634Y1 KR 2020120002163 U KR2020120002163 U KR 2020120002163U KR 20120002163 U KR20120002163 U KR 20120002163U KR 200469634 Y1 KR200469634 Y1 KR 200469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ase body
case
support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1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5648U (en
Inventor
김영준
심재승
Original Assignee
김영준
주식회사 중앙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주식회사 중앙정공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2020120002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634Y1/en
Publication of KR201300056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4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63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본체에서 분리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지지홈으로 끼워지는 받침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받침 부재는 케이스 본체에 결합하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에 케이스 본체의 배면에 결합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body detachab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upport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to form a part of the case body, the support member being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and fitted into a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case body. The supporting member of the portable terminal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ase body, and when necessary,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case body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tably supported.

Description

탈착 가능 받침 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Member for Mobile Device}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Member for Mobile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착 가능한 받침 부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removable support member.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통신기술의 융합 등으로 인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구현할 수 있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화나 문자 메시지 전송 및 수신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넘어, MP3 및 동영상의 재생은 물론, DMB를 통한 방송 수신이 가능하고, 특히 내부에 카메라 모듈을 탑재함으로써 소형 광학 기기로서의 기능도 구현하고 있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convergence of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multimedia can be realized through a portable terminal. Recently, portable terminals are capable of receiving MP3s and videos as well as receiving broadcasts through DMB, as well a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sending and receiving voice calls and text messages. It also implements functionality.

이에 따라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는 통신 모듈은 물론이고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각종의 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게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탑재된 각종 모듈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될 수 있고 특히 디스플레이부는 물에 빠지는 경우에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가죽 혹은 경질이나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을 반영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문양을 가미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portable terminal is generally equipped with various modules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multimedia as well as communication modules.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ules mounted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and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may not function properly when drowned. Therefore, a portable terminal case using leather or hard or soft plastic material may be used. It is used. Recently, portable terminal cases with various designs and patterns reflecting user's preferences have been widely used.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DMB 시청이나 동영상을 감상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케이스를 파지한 상태에서 적절한 각도로 기울여야 하거나 별도로 받침대를 구매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케이스에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However, when a user wants to watch DMB or watch a video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accommodated, the user needs to tilt the case at an appropriate angle while holding the case or separately purchase a pedesta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have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ase.

또한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는 전면과 평면이 편평한 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고, 이를 내부에 수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 역시 편평한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내에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한 경우, 전체적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전면과 배면이 편평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특별히 돌출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예를 들어 바지 주머니나 핸드백 등에 휴대용 단말기가 수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휴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most portable terminals have a hexahedron shape having a flat front and a fla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case accommodating the same has a flat shape. Therefo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accommod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case, the overall portable terminal case maintains a flat shape in the front and the back. Since there is no special protruding portion, the user can carry a portable terminal cas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accommodated, for example, in a pants pocket or a handbag.

한편,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어느 정도 돌출되는 받침대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미관에 있어서도 좋지 않다.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바지 주머니나 핸드백 등으로부터 빼내는 과정에서 단말기 케이스 배면의 돌출된 받침대로 인하여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제대로 빠지지 못하거나 돌출된 받침대가 주머니나 핸드백에 걸려서 주머니나 핸드백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된 홈부 등에 받침대가 매립되어 있다가 필요한 경우에만 받침대를 케이스의 후단 쪽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a pedestal protruding to some extent must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case. Such a portable terminal case is not good in appearance. 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the protruding pedestal on the back of the terminal case may not be properly removed or the protruding pedestal may be caught in the pocket or handbag to damage the pocket or the handbag. There is concern.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it is usually possible to consider protruding the pedestal toward the rear end of the case only when the pedestal is embedd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rear of the portable terminal.

예를 들어 폴딩(folding)이 가능한 접힘 구조의 받침대 또는 힌지와 같은 접철식 거치대 등을 사용하여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접힘 구조의 경우 특히 접힘 부분이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고, 휴대용 단말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접힘 부분으로 힘이 집중되는 경우에 접힘 구조가 해체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렵다. 또한 힌지 수단과 같은 접철식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케이스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용화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접철 기능을 발휘하지 못함으로써 결국 받침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For example, there is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using a folding stand such as a folding stand or a folding stand such as a hinge that can be fold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folded structure, the folded portion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and when the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folded portion in the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ccommodated, the folded structure is dismantled and it is difficult to stably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folding structure such as the hinge means is adop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ase structure becomes too complicated, and thus there is a limitation in commercialization, and thus the folding structure cannot be used due to an external impact, so that it cannot be used as a pedestal. .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하여 휴대폰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 부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support a mobile phon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충격에 대해서 파손의 우려가 적고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받침 부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a support member which is less susceptible to damage to external impact and can stably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본체로부터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고 간이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se that can easily detach from the case body and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하는 도면을 통해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술한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본체에서 분리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지지홈으로 끼워지는 받침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is a case body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upport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to form a part of the case body, the support member being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and fitted into a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case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 부재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 측면으로 슬라이딩되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pport memb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in a form of sliding toward one side of the case body.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 측면은 상기 받침 부재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딩된 받침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Particularly preferably, one side of the case body may include a guide part to which the support member is slidable and a fastening part to which the sliding support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이때, 상기 받침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체결부로 끼워지는 결합 돌기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supporting member includes a guide protrusion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and a coupling protrusion fitted to the fastening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 부재의 끝단은 만곡 또는 절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has a curved or bent shap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본 고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필요에 따라 케이스의 배면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안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DMB 시청이나 동영상을 감상하고자 하는 경우, 탈착 가능한 받침 부재를 케이스 배면에 결합시킴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ortable terminal case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 of the case as necessary. Accordingly, when the user wants to watch a DMB or watch a video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accommodated, the user can grip the hand by holding the hand to maintain a constant angle becaus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tably supported by coupling the removable support member to the back of the case. It saves you the trouble of doing.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받침 부재는 평상시에는 케이스 본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가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케이스 본체에서 분리하여 케이스 본체 배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미관이 우수하다.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a part of the case body, but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back of the case body is excellent in aesthetics.

기존의 접힘식 구조의 받침대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의 우려와 함께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였으나, 본 고안의 받침 부재는 평상시에는 케이스 본체와 일체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파손의 없을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Conventional folding structure of the stand does not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stably with the fear of damage due to external impact, but since the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body, there is no damage and the portable The terminal can be stably supported.

또한 본 고안의 받침 부재는 일상적으로 사용할 때는 케이스 본체의 일부를 형성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지면 등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케이스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상용화에 큰 이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suppor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art of the case main body in daily use,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tended to be fixed to the ground or the like,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se main body and has a great advantage in commercialization by adopting a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로서 받침 부재가 케이스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로서, 받침 부재가 케이스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특히 받침 부재 부분과 이 받침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케이스 본체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받침 부재를 케이스 본체에서 분리하여 받침 부재로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의 일면에 받침 부재를 결합하여 휴대폰 단말기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case body.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is sliding along the case body.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body portion and the case body portion in which the support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in FIG.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used as a support member by separating the support member from the cas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phone terminal is supported by coupling a support member to one surface of 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자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 충격에 강하고 간이한 구조를 채택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대하여 노력한 끝에 본 고안을 완성하였는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기 전에,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중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부분을 전면, 그 반대쪽 면을 배면, 후면이라고 기재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와 관련해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는 일면을 전면으로, 그 반대쪽 면을 배면 또는 후면이라고 기재한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ndeavoring a portable terminal case adopting a simple structure that can support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nd is strong against external shocks,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pecifically,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rtion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loc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described as a front side and a reverse side thereof as a rear side and a rear side.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described as the front 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referred to as the rear or rear surfa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로서 받침 부재가 케이스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는 휴대용 단말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는 케이스 본체(110)와 케이스 본체(110)의 일부를 형성하면서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받침 부재(200)를 갖는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case body. The portable terminal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member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a case body 110 and a case body 110 that are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preferably the rear surface ( 200).

케이스 본체(110)의 전면 중앙은 휴대용 단말기가 그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배면 쪽을 향하여 적절한 폭,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요입 형태를 갖는 수용부(112)를 이루고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114)은 전면과 달리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으로 구성된다. The front center of the case body 110 forms an accommodating part 112 having a concave shape having an appropriate width toward the rear sid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ated therein, preferably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ubstantially the same. have. On the other hand, the back surface 114 of the case body 110 is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unlike the front surface.

케이스 본체(10) 전면 외곽 영역은 수용부(112)에 비하여 전면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6)을 형성한다. 이 걸림턱(116)은 케이스 본체(110)의 상단(117a), 하단(117b), 양 측면(118a, 118b)을 따라 형성된다. 케이스 본체(110)의 외곽을 이루는 걸림턱(116)은 대략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수용부(112)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가 본 고안의 케이스(100)에 부착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상단, 하단 및 양 측면은 이 걸림턱(116)에 의하여 에워싸인 형태로 수용부(112)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The front outer region of the case body 10 forms a locking step 116 protruding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case body 112. The locking jaw 116 is formed along the upper end 117a, the lower end 117b, and both side surfaces 118a and 118b of the case body 110. Since the catching jaw 116 that forms the outline of the case body 110 protrudes from the receiving portion 112 by approximately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attached to the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accommoda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12 in a form surrounded by the locking step 116.

필요에 따라서는 이 걸림턱(116)의 전면부는 내측을 향하여 약간 절곡되도록 구성하여, 걸림턱(116)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외주면은 물론이고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주변부도 에워싸이는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상단, 하단 및 양 측면을 포함하는 외주면과 전면 주변부가 보호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front portion of the latching jaw 116 may be configured to be bent slightly toward the inside, and the hooking jaw 116 may be accommodated in the form of enclosing not on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but also the front periphery of the portable terminal. have. According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ront periphery including the top, bottom,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protected by the portable terminal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상적으로 케이스 본체(110)는 외부의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는 임의의 재질, 예를 들어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가죽이나 섬유 원단을 사용하여 일체화하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일부를 형성하는 받침 부재(200)가 휴대용 단말기를 적절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경질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경질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0)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미려한 질감이나 견고함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이나 탄소 섬유(carbon fiber) 등의 단단한 소재를 사용하여 수용부(112)에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완화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Typically, the case body 110 may be manufactured by any material that can absorb the external impact to some extent, for example, by integrating it with leather or fabric for beauty of appearance. Preferably, as described below, in order for the support member 200 that forms part of the case body 110 to appropriately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a rigid plastic, for example, polycarbonate (PC), polypropylene (PP), or the like It can be produced through injection molding using a hard plastic of. Another alternative method that can be used as the case body 110 is to mount to the receiving portion 112 using a metal such as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or a rigid material such as carbon fiber in consideration of the beautiful texture or robustnes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mitigating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이에 따라, 걸림턱(116)의 내주면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본 고안의 케이스(100) 내에 수용되어 수용부(112)에 안착될 수 있으며, 수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손쉽게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는 휴대용 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부착된다. 이처럼 휴대용 단말기가 케이스(100)에 대하여 탈착할 때 발생하는 외부의 압력이나 압력 해제에 따라 원상으로 회복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걸림턱(116) 중 내주면으로는 탄성 재질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고안이 이러한 구성으로 결코 한정되지 않는다.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jaw 116 and may be se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2, and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case 100. have.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and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us, for example, an elastic material may be used a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jaw 116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ccording to external pressure or pressure release generat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detached from the case 1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by no means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한편,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을 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른바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인터넷에 접근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구현하기 위해서 휴대용 단말기에는 송신과 수신 또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음성 조절을 위한 버튼, DMB 시청 등을 위한 안테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연결부, USB 연결부(인터페이스), 조작 버튼 등을 구비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recent portable terminals can implement a variety of multimedia beyond the simple call function, and can search the desired information by freely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so-called smartphone. In order to implement such various multimedia,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butto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r controlling the voice in a multimedia environment, an antenna for viewing DMB, a charging connection for charging a battery, a USB connection (interface), an operation button, and the like. have.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 본체(110)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이러한 기능을 구현할 필요가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 본체(110)에는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스피커, 안테나, 충전 연결부, USB 연결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크기의 홀(hole), 홈 또는 조작 버튼 형태를 구성하고 있다. 예시적으로 케이스 본체(110)의 일 측면(118a)에는 통화시의 볼륨 조절이나 DMB 시청, 음성 파일 청취, 동영상 파일 감상 등에서의 미디어 기기의 볼륨 조절 등을 위한 볼륨 조절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볼륨 조절 개방홀(120a, 120b)과, 이어폰 연결부 관통홀(130)을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110)의 하단(117a)으로는 USB 연결부(인터페이스) 관통홀(140)을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 모듈의 렌즈 유닛과 연통되는 카메라 모듈 관통홀(150)을 도시하고 있다.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such a function without removing the case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case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antenna, charging connection, USB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shape of a hole, a groove, or an operation button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figuration is. For example, one side 118a of the case body 110 may allow a user to control a volume control button for volume control during a call, DMB viewing, audio file listening, video file viewing, and the like. The volume control opening holes 120a and 120b and the earphone connection part through hole 130 are formed, and the lower end 117a of the case body 110 forms the USB connection part (interface) through hole 140. The back of the main body 110 shows a camera module through hole 15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lens unit of the camera module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그 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 본체(110)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부분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수신홀, DMB 등을 시청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의 상단에 통상 형성되는 안테나 관통부, 휴대용 단말기의 외주에 통상 형성되는 충전부 관통홀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내에 탑재된 관련 제어 장치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거나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모듈의 위치는 휴대용 단말기 제조업체마다 상이한데,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 모델에 대응하여 휴대용 단말기 내에 탑재된 모듈을 조작할 수 있도록 이들 개방되거나 버튼 형태의 구성 요소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은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In addition, the case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antenna through-hole, which is usual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reception hole, DMB, etc.,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peak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viewed. By providing a charging unit through-hole to be opened, it may be open or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utton so that the user can freely manipulate the associated control device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ifferent for each portable terminal manufacturer, the position of these open or button-type components can be changed to operate the module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each model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특히, 본 고안에서는 예를 들어 케이스 본체(110)의 일 측면(118b), 바람직하게는 그 하단부에 케이스 본체(110)의 일부를 형성하면서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받침 부재(200)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one side 118b of the case main body 110, preferably at the lower end thereof, has a supporting member 200 which is detachably coupled while forming a part of the case main body 11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로서, 받침 부재가 케이스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에서 특히 받침 부재 부분과 이 받침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케이스 본체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받침 부재를 케이스 본체에서 분리하여 받침 부재로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slides along the case body, and FIG. 4 particularly illustrates a support member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body in FIG. 3.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body,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and used as the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즉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케이스 본체(110)의 일부를 이루어 휴대용 단말기를 내부에 수용하는데 관여하는 받침 부재(200)는 예를 들어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하단으로 결합한다. 이때, 받침 부재(200)는 대략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114)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면(202)과,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면(204)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110)의 전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걸림턱(116)의 일부를 형성하고 걸림턱(116)의 가로 폭에 해당하는 제 3 면(206)을 가질 수 있다. 만약 걸림턱(116)의 전면부가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경우에는, 제 3 면(206)은 실질적으로 제 1 면(202)의 폭에 해당하는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when the portable terminal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monly used, that is, when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case 100 from external shocks, etc. The supporting member 200 which is part of the case body 110 and participates in accommodating the portable terminal therein is coupled to the bottom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supporting member 200 has a first surface 202 forming a part of the back surface 114 of the case body 110, and a second surface 204 forming a part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It may be divided into a), may form a part of the locking jaw 116 forming the front edge of the case body 110 and may have a third surface 206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width of the locking jaw 116. If the front portion of the locking step 116 is bent inward, the third surface 206 may have a width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surface 202.

그런데 전술한 것과 같이, 받침 부재(200)는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예를 들어 대략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의 대략 1/4 ~ 1/3 정도를 형성하도록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전체 길이에 대한 받침 부재(200)의 케이스 본체(110)의 길이 방향의 비율은 본 고안에 있어서 핵심적인 사항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ing member 200 forms a part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for example, approximately 1/4 to 1 / of the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to form three degre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atio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se body 110 of the support member 200 to the entire length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is not essential in the present invention.

받침 부재(200)가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받침 부재(200)가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분리됨으로 인하여, 상단 영역에 비하여 중앙 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하부 단부에 가이드부(180)를 형성하고, 받침 부재(200) 중에서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114)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제 1 면(202)의 단부에 이 가이드부(180)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부(230)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As the support member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for example, since the support member 200 is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110, the support member 200 is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110. The first surface (18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that is bent, and forms a part of the back surface 114 of the case body (110) among the supporting members (200). It may be considered to form the sliding portion 230 corresponding to the guide portion 180 at the end of the 202.

이때, 가이드부(180)는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하부 단부에 케이스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케이스 본체(110)의 하단(117b)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80)는 전면과 배면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82a, 182b)에 비하여 그 중앙은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 또는 절곡되어 있는 가이드홈(184)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받침 부재(200)의 제 1 면(202) 단부에서 케이스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 부(230) 역시 그 전면과 배면에 각각의 가이드 레일(182a, 182b)에 대응하여 면-접촉하는 슬라이더(232a, 232b)를 형성하고, 이들 슬라이더(232a, 232b)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더(232a, 232b)에 비하여 제 1 면(202)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234)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받침 부재(200)의 일 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부(23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34)가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하부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84)으로 끼워지면 케이스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guide part 180 extends an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body 110 to the lower end 117b of the case body 110. The guide portion 180 has guide grooves 184 that are curved or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body 110, as compared with the guide rails 182a and 182b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Correspondingly, the sliding portion 23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body 110 at the end of the first surface 202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also has guide rails 182a and 182b on its front and rear surfaces. Guide protrusions 234 protruding from the ends of the first surface 202 relative to the sliders 232a and 232b between the sliders 232a and 232b. It is composed of Accordingly, the guide protrusion 234 formed on the sliding portion 230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uide groove 184 form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When fitted,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in a form that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body 110.

아울러,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114) 중 일측 하단으로는 전술한 가이드부(180)를 통하여 슬라이딩되는 받침 부재(2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 형상의 체결부(170)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받침 부재(200) 중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114)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면(202)의 상단 단부에는 체결부(170)로 내삽되는 결합 돌기(220)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받침 부재(200)가 가이드부(180)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받침 부재(200)의 상단이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하단과 접촉하면, 결합 돌기(220)가 체결부(170)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t one sid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114 of the case main body 110, a fastening portion 170 having a groove shape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ing member 200 sliding through the guide unit 180 may be fitted. . Correspondingly,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rface 202 forming a part of the back surface 114 of the case body 110 of the support member 200, a coupling protrusion 220 interpolated into the fastening portion 170 is formed. have.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lid along the guide portion 180, so that whe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00 contacts the bottom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the coupling protrusion 220 is Will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ortion 170 can be combined.

도면에서는 예를 들어 받침 부재(200) 중에서,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114)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면(202) 단부에 가이드 돌기(234)를 도시하고, 이에 대응하여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하단의 외측 단부에 가이드홈(184)을 갖는 가이드부(180)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반대로 받침 부재(200) 중 제 1 면(202) 단부에 가이드홈을 구성하고,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하단 외측 단부에 이에 대응하는 가이드 돌기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drawing, for example, the guide protrusion 234 is shown at the end of the first surface 202 forming a part of the back surface 114 of the case body 110 among the supporting members 200, and correspondingly, the case body 110 is provided. It is shown as having a guide portion 180 having a guide groove 184 at the outer end of the bottom of one side 118b). However, on the contrary,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guide groove at the end of the first surface 202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and to configure the corresponding guide protrusion at the bottom outer end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또한, 도면에서는 받침 부재(200)의 제 1 면(202) 상단에 결합 돌기(202)를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 중 일측 하단에 홈 형태의 체결부(170)를 도시하였으나, 받침 부재(200)의 제 1 면 상단에 홈 형태의 체결부를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 중 일측 하단에 하향 돌출되는 결합 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114) 일부를 구성하는, 받침 부재(200)의 제 1 면(202)이 아니라,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일부(하단)를 구성하는, 받침 부재(200)의 제 2 면(204) 상단에 결합 돌기 또는 홈 형태의 체결부를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하단에 각각 이에 대응되는 홈 형태의 체결부 또는 결합 돌기를 형성하여 받침 부재(200)를 케이스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drawing, the coupling protrusion 202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rface 202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and the coupling part 170 having a groove shape is illustrated at on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fastening portion having a groove shape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and to form a coupling protrusion projecting downwardly at on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In addition, instead of the first surface 202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which constitutes a part of the back surface 114 of the case body 110, a part (bottom)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is formed. A coupling protrusion or groove-shape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second surface 204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and a groove-type coupling portion or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is respectively formed. Forming it will also be possible to configure the support member 200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110.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의 일부를 형성하는 받침 부재(200)가 평상시에는 케이스 본체(1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이 수려하다. 이를 위해서 받침 부재(200)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본체(110)와 동일한 소재, 예를 들어 전술한 경질 플라스틱 소재나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 소재나 카본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케이스 본체(110)와 받침 부재(200)는 상이한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In the portable terminal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ing member 200 forming a part of the case main body 110 is normally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main body 110, the aesthetics are beautiful.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case body 110,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the aforementioned hard plastic material or aluminum (alloy) or carbon fiber.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ase body 110 and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 본체(110)에 받침 부재(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케이스 본체(110) 전면의 수용부(112)로 안착시킴으로써,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가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반면에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지면 등에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본 고안의 받침 부재(200)를 분리하고, 예를 들어 받침 부재(200)의 제 1 면(202) 상단에 형성될 결합 돌기(220)를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114)에 형성된 지지홈(160)으로 삽지시킴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100) 내에 수용된 휴대용 단말기(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seats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accommodating part 112 on the front of the case main body 110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200 is coupled to the case main body 110, such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externally connected as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case. It protects against shocks.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5 to 6, whe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ground, etc., the support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110,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200 By inserting the engaging projection 220 to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202 of the support body 160 formed on the rear surface 114 of the case body 110, the portable accommodated in the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300 can be stably supported.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받침 부재(200)의 제 1 면(202)은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114) 일부를 형성하고, 제 2 면(204)은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받침 부재(200)의 제 2 면(204)은 제 1 면(202)과 비교할 때, 휴대용 단말기(200)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길이)만큼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 부재(200)가 지지홈(160)으로 삽지되는 경우에, 제 1 면(202)은 받침 부재(200)의 측벽을 형성하고, 제 2 면(204)은 자연스럽게 받침 부재(200)의 바닥면을 형성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rface 202 of the support member 200 forms a part of the back surface 114 of the case body 110, the second surface 204 is one side of the case body 110 ( 118b) form part of it. Accordingly, the second surface 204 of the support member 200 is bent by a height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when compared with the first surface 202. Accordingly, when the supporting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160, the first surface 202 forms a sidewall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and the second surface 204 naturally forms the supporting member 200. By forming the bottom surfac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200.

아울러, 본 고안의 받침 부재(200)는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114)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면(202)과,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면(204)이 직교하는 형태이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제 2 면(204)의 끝단이 될 수 있는 받침 부재(200)의 끝단(205)은 자연스럽게 만곡 또는 절곡되는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 부재(200)의 끝단(205)을 만곡 또는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일종의 지지발로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100)에 수용된 휴대용 단말기(200)를 책상 등의 지면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upporting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surface 202 constituting a part of the back surface 114 of the case body 110 and a second surface constituting a part of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204 is an orthogonal form. Accordingly, for example, the end 205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which may be the end of the second surface 204, may be processed in a naturally curved or bent form. By forming the end 205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in such a way as to bend or bent, the portable terminal 200 accommodated in the case 100 can be stable to the ground such as a desk because the end member 205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can be bent or bent. Will be able to support.

또한 받침 부재(200)의 제 3 면(206)은 걸림턱(116)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데, 걸림턱(116)의 전면부가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경우에는 제 3 면(206)은 제 1 면(20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3 면(206)은 제 1 면(202)과 대향되는 측벽으로서 기능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third surface 206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forms a part of the locking jaw 116. When the front portion of the locking jaw 116 is bent inward, the third surface 206 is the first surface. It may have a width substantially the same as face 202. In this case, the third surface 206 can function as a side wall facing the first surface 202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more stably.

도면에서는 예를 들어 제 1 면(202)의 단부에 결합 돌기(220)를 형성하면서 제 1 면(202)이 받침 부재(200)의 측벽을 형성하고, 제 2 면(204)이 받침 부재(2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전술한 것과 같이, 받침 부재(200)의 제 2 면(204)의 단부에 결합 돌기(220)를 형성하는 경우, 제 2 면(204)이 받침 부재(200)의 측벽을 형성하고, 제 1 면(202)이 받침 부재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면(202)의 끝단을 만곡 또는 절곡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drawing,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202 forms the sidewall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while the engaging protrusion 22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surface 202, and the second surface 204 is the supporting member ( 200 to form the bottom surface. 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22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surface 204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the second surface 204 forms the sidewall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One surface 202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In this case, the end of the first surface 202 may be configured to be curved or bent.

계속해서, 사용자는 지지홈(160)에 삽지된 받침 부재(200)를 분리한 뒤, 받침 부재(200)를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118b)에 형성된 가이드부(180)를 통하여 슬라이딩시키고, 케이스 본체(110)에 형성된 체결부(170)에 결합함으로서,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user removes the support member 200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160, and then slides the support member 200 through the guide part 180 formed on one side 118b of the case body 110. By coupling to the fastening unit 170 formed in the case body 110, it can be used as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case.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고, 이러한 사실은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해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Rath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conceiv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ased o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owe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fact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appended claims.

100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110 : 케이스 본체
112 : 수용부 114 : 배면
160 : 지지홈 170 : 체결부
180 : 가이드부 182a, 182b : 가이드 레일
184 : 가이드홈 200 : 받침 부재
220 : 결합 돌기 230 : 슬라이딩 부
232a, 232b : 슬라이더 234 : 가이드 돌기
100: portable terminal case 110: case body
112: receiving portion 114: back
160: support groove 170: fastening portion
180: guide portion 182a, 182b: guide rail
184: guide groove 200: support member
220: engaging projection 230: sliding part
232a, 232b: slider 234: guide protrusion

Claims (5)

휴대용 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본체에서 분리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지지홈으로 끼워지는 받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 부재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 측면으로 슬라이딩되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A case body detachably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Remov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to form a part of the case body, comprising a support member which is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is fitted into the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case body,
The support member is a portable terminal cas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e body in the form of sliding to one side of the case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 측면은 상기 받침 부재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딩된 받침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The portable terminal case of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case body includes a guide portion through which the support member is slidable, and a fasten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sliding support memb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체결부로 끼워지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The portable terminal case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 guide protrusion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and a coupling protrusion fitted to the fastening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부재가 상기 케이스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지지홈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The portable terminal case of claim 3,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case body while the support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case body.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부재의 끝단은 만곡 또는 절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is a portable terminal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or bent shape.
KR2020120002163U 2012-03-19 2012-03-19 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Member for Mobile Device KR20046963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63U KR200469634Y1 (en) 2012-03-19 2012-03-19 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Member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163U KR200469634Y1 (en) 2012-03-19 2012-03-19 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Member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48U KR20130005648U (en) 2013-09-27
KR200469634Y1 true KR200469634Y1 (en) 2013-10-28

Family

ID=5077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163U KR200469634Y1 (en) 2012-03-19 2012-03-19 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Member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634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934B1 (en) 2006-06-26 2008-08-29 김동주 Mobile phone support equipment
KR20120001577U (en) * 2010-08-26 2012-03-07 김재민 stand cellular phone case sepa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934B1 (en) 2006-06-26 2008-08-29 김동주 Mobile phone support equipment
KR20120001577U (en) * 2010-08-26 2012-03-07 김재민 stand cellular phone case s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48U (en)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162B1 (en) Mobilephone protect case for bar-type mobilephone
KR101892546B1 (en) Mobile phone cover
KR200468374Y1 (en) mobile phone case with exposure part of mobile phone
JP2004235897A (en) Portable telephone and slide mechanism
KR200455692Y1 (en) Cellular phone case combined with battery cover
KR10185775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foldable display
KR200465394Y1 (en) A case for cell phone with dual structure
KR20160018306A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85383B1 (en) Protecting case for mobile device
KR20150000251U (en) Notebook type portable phone case with phone holder with linear motion
KR20120000390U (en) i-Pad external acceptance style bag
KR200469634Y1 (en) 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Member for Mobile Device
KR200464932Y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76235Y1 (en) Mobilephone case
KR200473421Y1 (en) A phone case having a mirror
CN218071552U (en)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ve housing
KR200464019Y1 (en) The pouch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standing function
KR101717968B1 (en) Modules for attaching to a smart-phone
KR20110109668A (en) A case structure for handphone
KR200490393Y1 (en) Mobile phone case for both casing and accessary
KR101403220B1 (en) Mobile phone case
KR101424938B1 (en) Multipurpose Supporter
KR101373747B1 (en) Multipurpose handphone case having function of handphone stand
KR101224437B1 (en) apparatus of cradle case for mobile-phone
KR20170002529U (en) Handphon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