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546B1 - Mobile phone cover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546B1
KR101892546B1 KR1020160155241A KR20160155241A KR101892546B1 KR 101892546 B1 KR101892546 B1 KR 101892546B1 KR 1020160155241 A KR1020160155241 A KR 1020160155241A KR 20160155241 A KR20160155241 A KR 20160155241A KR 101892546 B1 KR101892546 B1 KR 101892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ssembly
split
beze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7071A (en
Inventor
최익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티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티케이
Priority to KR1020160155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546B1/en
Priority to PCT/KR2017/004497 priority patent/WO2018092996A1/en
Publication of KR2018005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5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50/273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76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50/273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78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가 개시된다.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베젤을 감싸는 연질의 베젤 커버부가 형성되고 베젤 커버부의 양쪽 측면 상에는 측면조립홈이 각각 형성되고 데이터 포트 조립부의 일측에는 락킹홀이 형성되는 소프트 커버와, 소프트 커버의 배면에 조립되도록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며 양쪽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가 형성되고 락킹홀에 대응하는 락커가 돌출형성되는 하드 커버와, 하드 커버의 분할 커버 조립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배면 커버가 형성되고 배면 커버의 양쪽 측면에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에 대응하여 상호조립되는 분할 커버 조립돌기가 형성된 분할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A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closed. A cover for prot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a soft bezel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bez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ide cover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ezel cover portion and a locking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data port assembly portion, A hard cover formed of a hard material so as to be assemb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hard cover and having a longitudinally long split cover assembling guide formed therein and a locker protruding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hole; And a split cover having a split cover assembly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ear cover so as to be mutually assembled corresponding to the split cover assembly guide.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Mobile phone cover}[0001] Mobile phone cover [0001]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충격이나 낙하 등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를 보호하고, 카드 홀더나 보조 배터리 기능과 함께 스피커, LCD 창, 스탠드, 거울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n external impact or falling, To a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기술의 발달로 단순 통화만 가능한 전화기의 수준을 넘어서 DMB, MP3, 카메라, 동영상이나 영화, 게임 및 인터넷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 기능 및 활용도가 다양화되고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휴대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액정의 크기는 점점 커지고 두께는 얇아지며 중량은 가벼워지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는 기술 집약체인 고가의 기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have been diversified and expanded in order to utilize DMB, MP3, camera, video, movie, game and internet beyond the level of a telephone capable of simple call on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ve. 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portability and usability,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becomes larger,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and the weight becomes lighter.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come a high-priced device which is a technology-intensive one.

위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우수한 휴대성과 다양한 기능으로 버스나 지하철 그리고 도보 및 운전 시에도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실이나 파손이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여서 고가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험이나 보호용 커버가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The above-mentio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tilized in real time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bus, subway, walking and driving with excellent portability and various functions. As a result, the loss or break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ing and the cover for protecting the expensi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eing developed.

여기서, 보호용 커버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감싸도록 연질 또는 경질의 수지로 형성되며, 다양한 모양과 색상으로 이루어져 이동통신단말기의 필수적인 패션 아이템으로 성장하고 있다.Here, the protective cover is formed of soft or hard resin so as to surrou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formed as various fashion and color, and is growing as an essential fashion i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술한 것처럼 갈수록 고성능화되고 있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용량의 증가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성능에 비해서 아직까지는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력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ecoming more and more advanc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capacity of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is required to increase. However, compared to the perform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battery has not been able to keep up with the technology for increasing the capacity while minimizing the volume. Therefore, various measures are being sought to solve such problems.

그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2812호에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삽입 배치되는 커버와, 커버에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 및 커버 내에 구비되는 보조 전원으로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 커버'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2582호에는 커버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롤러의 회전에 의해 전기를 발전하는 발전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모바일 기기용 자가발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82812 disclo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ver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erted, a cover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auxiliary power source provided in the cove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52582 discloses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provided with a generator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rotation of a roller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Self-generating device "

위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충전시 보조 전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별도의 연결수단을 구비해야 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충전에 필요한 전기를 발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above prior art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have a separate connection means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auxiliary power supply when the battery power is charged, or the user needs to directly develop electricity necessary for charging.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2812호(2010. 07. 20.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82812 (published on June 20, 20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2582호(2013. 05. 24.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52582 (published on May 24, 201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호용 커버에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의 카드를 끼워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고, 이동통신단말기와 보조 배터리와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을 구비하지 않고도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conveniently carry a card such as a credit card or a transportation car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charge a batte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cable.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에 카드 홀더나 보조 배터리 기능과 함께 스피커, LCD 창, 스탠드, 거울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add functions such as a speaker, an LCD window, a stand, and a mirror to a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a function of a card holder or an auxiliary battery.

상기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는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베젤을 감싸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베젤에 대응하는 형태로 베젤 커버부가 연질의 재료로 성형 형성되고 베젤 커버부 안쪽에는 수납공간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되, 베젤 커버부의 배면측으로는 베젤 커버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드 커버 조립부가 베젤 커버부에 대하여 단차가 진 구조로 형성되며, 베젤 커버부의 양쪽 측면 상에는 측면조립홈이 각각 형성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포트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데이터 포트 조립부가 형성되되 데이터 포트 조립부의 일측에는 락킹홀이 형성되는 소프트 커버; 소프트 커버의 배면에 조립되는 사각테 형태로 경질의 재료로 성형 형성되어 내측으로는 소프트 커버의 수납공간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분할커버 조립부가 형성되되 하드 커버 조립부에 대응하는 외곽 커버부가 형성되고 외곽 커버부의 양쪽에는 각각 측면조립홈에 대응하는 측면조립편이 돌출형성되며, 외곽 커버부의 양쪽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가 형성되고, 소프트 커버의 데이터 포트 조립부에 대응하는 하부보강테의 중간 부분이 전면을 향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보강테 상에는 락킹홀에 대응하는 락커가 돌출형성되는 하드 커버; 및 하드 커버의 분할 커버 조립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배면 커버가 형성되고, 배면 커버의 양쪽 측면에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에 대응하여 상호조립되는 분할 커버 조립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분할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ver for prot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ez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cover the bez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extending forward on both sides of the bezel cover, The bezel cover is form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storage space is opened. On the back side of the bezel cover, a hard cover assembly extending from the bezel cover is formed in a stepped relation with respect to the bezel cover. A soft cover in which a data port assembly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data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locking hole is formed at a side of the data port assembly; A split cover assembly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 portion of the soft cover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an outer cov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ard cover assembly portion is formed A side cover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side assembly groove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outer cover section. The divided cover assembly guid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over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cker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hole is formed on the lower reinforcing frame to protrude therefrom. And a split cover assembly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cover so as to be assembled to correspond to the divided cover assembly guide, the long and long protrusion being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vided cover cover assembly; May be constru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베젤 부분에 장착되는 소프트 커버가 연질의 재질로 성형되고, 소프트 커버의 배면에 결합되는 하드 커버가 연질의 재질로 성형되어 상호 결합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보조 배터리 팩이 구비된 분할 커버 또는 카드 슬롯이 형성된 분할 커버를 하드 커버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드 홀더 또는 보조 배터리 기능과 함께 스피커, LCD 창, 거울, 스탠드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ft cover mounted on a bezel por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a hard cover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soft cover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 split cover having a secondary battery pack or a split cover having a card slot can be assembled to a hard cover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dd functions such as a speaker, an LCD window, a mirror, a stand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card holder or the auxiliary battery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개시된 분할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의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A-A선,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개시된 분할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의 정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C-C선, D-D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의 분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closed in FIG. 1. FIG.
3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lit cover shown in Fig. 1 is separated; Fig.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cover for prot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closed in Fig. 1. Fig.
Figs.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and BB of Fig. 5;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lit cover shown in Fig. 8 is separated. 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cover for prot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closed in Fig.
Figs. 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CC and line DD of Fig. 10;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를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삭제dele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개시된 분할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의 정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의 A-A선, B-B선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for prot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closed in FIG. 1,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cover for prot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and FIGS. 6 and 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FIG. Line, BB line section.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10)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베젤 부분에 끼워져 이동통신단말기의 배면 일부분을 덮는 소프트 커버(300)와, 소프트 커버(300)에 이중으로 덧씌워지는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같은 경질이며 일정 수준의 탄성을 지닌 하드 커버(100) 및 하드 커버(1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될 수 있는 분할 커버(200)로 구성될 수 있다. 뒤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분할 커버(200)는 보조 배터리 팩이 고정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의 각종 카드를 끼워 보관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1 to 7, in order to prot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ver 10 for prot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bezel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hard cover 100 having a hard and constant level of elasticity such as plastic or metal that is double-padded on the soft cover 300 and a hard cover 100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ard cover 100 in a sliding manner And a split cover 200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FIG.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plit cover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uxiliary battery pack is fixedly mounted, or may be configured to store various cards such as a credit card and a traffic card.

소프트 커버(30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연질 재료로 성형공정을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하좌우의 각 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베젤을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베젤 부분을 감싸도록 이동통신단말기의 베젤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베젤 커버부(3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베젤을 안정감 있게 감쌀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각의 테 구조로 이루어지는 베젤 커버부(310)의 안쪽에는 수납공간부(340)가 개방된 창 구조로 형성된다.
소프트 커버(300)의 베젤 커버부(31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베젤에 끼워질 때에는 늘어나고 끼워진 후에는 수축이 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연질의 재질로 성형 제작된다. 베젤 커버부(310)의 배면측으로는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드 커버 조립부(312)가 연장 형성되는데, 하드 커버 조립부(312)는 하드 커버(100)가 베젤 커버부(310)에 외부 표면에 덮을 수 있도록 베젤 커버부(310)의 다른 주변에 비하여 낮게 단차가 진 구조로 형성된다.
The soft cover 300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so as to cushion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soft cover 3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lower, . The bezel cover 310 corresponding to the bez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surround the bez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bez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wrapped around the bezel. In the meantim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ezel cover 310 having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is formed with a window structure in which the storage space 340 is opened.
The bezel cover 310 of the soft cover 300 is stretched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bez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formed into a soft material so as not to be easily peeled off in the assembled state after being shrunk. 3, the hard cover assembly 312 is extended from the bezel cover 310. When the hard cover 100 is attached to the bezel cover 310, The bezel cover 310 is formed with a lower stepped structure than the other periphery of the bezel cover 310 so as to cover the surface.

삭제delete

소프트 커버(300)는 영상 촬영이나 음성 출력, 음성 수집, 이어폰 연결 등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이어폰 잭 등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양한 모양의 노출공(330)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 버튼이나 볼륨 업/다운 버튼 등과 연동되는 버튼(320)들이 구비된다. 또한, 소프트 커버(300)의 베젤 커버부(310) 양쪽 측면 상에는 하드 커버(100)와의 상호 조립을 위한 측면조립홈(35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소프트 커버(300)의 하측 부분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포트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트 조립부(360)가 형성되는데, 데이터 포트 조립부(360)의 일측에는 락킹홀(362)이 형성된다.The soft cover 300 may have various shapes of exposure holes 33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cameras, speakers, microphones, earphone jacks, et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not to interfere with video shooting, voice output, voice collection, And a button 320 interlocked with a power button or a volume up / down butt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de attachment grooves 350 for mutual assembly with the hard cover 10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ezel cover portion 310 of the soft cover 300, respectively. A data port assembly 360 corresponding to the data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oft cover 300. A locking hole 36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ata port assembly 360.

또한, 소프트 커버(300)의 중앙 부분에 개방된 창 구조로 형성되는 수납공간부(340)는 소프트 커버(300)에 대하여 하드 커버(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분할 커버(200)가 조립되는 공간이 된다.The storage space portion 34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oft cover 300 is formed by assembling the split cover 200 in a state where the hard cover 100 is assembled to the soft cover 300 It becomes space.

하드 커버(100)는 PP와 같이 일정 수준의 탄성을 지니면서 경질의 재료로 소프트 커버(300)의 배면에 상호 조립되도록 사각테 형태로 성형이 된다. 하드 커버(100)의 내측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소프트 커버(300)의 수납공간부(340)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태의 분할 커버 조립부(140)가 형성되며, 소프트 커버(300)의 하드 커버 조립부(31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외곽 커버부(112)가 형성된다. 외곽 커버부(112)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소프트 커버(300)에 형성된 측면조립홈(350)에 대응하는 측면조립편(110)이 전방을 향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측면조립편(110)의 끝은 소프트 커버(300)에 조립시 쉽게 분리되지 않게 그 끝단부가 안쪽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된다.The hard cover 10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frame shape so as to be assemb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oft cover 300 with a hard material having a certain level of elasticity such as PP. A split cover assembly 140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 340 of the soft cover 30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ard cover 100, An outer cover part 11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ver assembly part 312. Side side assemblies 110 corresponding to the side assembly grooves 350 formed in the soft cover 300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outer cover part 112 so as to protrude forward. The end of the side assembly piece 11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of the side assembly piece 110 is bent inward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when assembled to the soft cover 300.

하드 커버(100)의 측면조립편(110)은 소프트 커버(300)와 상호 조립되었을 대 쉽게 벗겨지지 않는 조립공차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assembly pieces 110 of the hard cover 100 are preferably designed to have an assembly tolerance that is not easily peeled off when assembled with the soft cover 300.

하드 커버(100)는 영상 촬영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출공(130)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 버튼이나 볼륨 업/다운 버튼 등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절개홈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하드 커버(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보강테(150)의 중간 부분이 전방을 향해 'ㄷ'자 구조로 돌출된 데이터 포트 가이드(160)가 형성되어 소프트 커버(300)에 형성된 데이터 포트 조립부(360)와 상호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데이터 포트 가이드(160) 상에는 소프트 커버(300)에 형성된 락킹홀(362)에 대응하는 락커(162)가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The hard cover 100 is formed with an exposure hole 1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mage capturing and has a power button or a volume up / An incision groove 120 is formed. A data port guide 160 protruding forward in a 'C' shape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a lower reinforcing frame 150 formed below the hard cover 100 to form data And can be assembled with the port assembly 360. The locker 162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hole 362 formed in the soft cover 300 protrudes from the data port guide 160.

또한, 하드 커버(100)의 외곽 커버부(112)의 양쪽 내측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도면에서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100a)가 형성된다.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100a)는 소프트 커버(300)와 하드 커버(100)의 상호 조립을 통해 후설할 분할 커버조립 가이드(100a)의 원만한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divided cover assembly guides 100a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over portion 112 of the hard cover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gure). As shown in FIG. 4, the divided cover assembly guide 100a guides the smooth movement of the divided cover assembly guide 100a, which is to be formed later, through the mutual assembly of the soft cover 300 and the hard cover 100. [

분할 커버(200)는 하드 커버(100)에 형성된 분할 커버 조립부(140)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는 배면 커버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배면 커버부(210)의 양쪽 측면에는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100a)에 대응하여 상호 조립되는 분할 커버 조립돌기(200a)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도면에서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프트 커버(300)와 하드 커버(100)가 상호 조립이 된 상태에서, 하드 커버(100)의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100a)에 분할 커버(200)의 분할 커버 조립돌기(200a)를 끼워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과 분해를 할 수 있게 된다. 분할 커버(200)의 배면 커버부(210) 내측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보조 배터리 팩(220)이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8 내지 도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분할 커버(200)의 배면 커버부(210) 내측에는 카드 수납공간(213)이 형성되고, 카드 수납공간(213)과 연통되어 사용자가 카드를 넣고 뺄 수 있도록 하는 카드 슬롯(212)이 배면 커버부(2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절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plit cover 200 includes a back cover 210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plit cover assembly 140 formed in the hard cover 100. The split cover 200 includes a pair of side covers 210, A divided cover assembly 200a which is assembled to correspond to the divided cover assembly guide 100a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gure) as shown in the figure. The user can attach the split cover assembly 200a of the split cover 200 to the split cover assembly guide 100a of the hard cover 100 while the soft cover 300 and the hard cover 100 are assembled together. So that it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a sliding manner. The auxiliary battery pack 220 may be fixedly mounted inside the rear cover 210 of the split cover 200 as shown in the figure. 8 to 13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a card storage space 213 is formed inside the rear cover part 210 of the divided cover 200, and the card storage space 213 is communicated with the card storage space 213 And a card slot 212 for allowing a user to insert and remove the card can be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side of the back cover 210.

전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 커버(300)와 하드 커버(100)가 상호 조립이 된 상태에서, 하드 커버(100)의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100a)에 분할 커버(200)의 분할 커버 조립돌기(200a)를 끼워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100a)가 분할 커버 조립돌기(200a)에 각각 상호 끼워맞춤되는 요철구조 형태의 체결수단(100b,200b)가 형성된다. 요철 구조의 체결수단(100b,200b)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3곳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하드 커버(100)에 대하여 분할 커버(200)를 조립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분할 커버(200)의 하단 양쪽에는 각각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손잡이 돌기(202)가 형성되고, 손잡이 돌기(202)에 대응하는 하드 커버(100)의 하부 양쪽에는 손잡이 돌기 조립부(102)가 형성된다.The divided cover assembling protrusion 200a of the divided cover 200 is attached to the divided cover assembling guide 100a of the hard cover 100 while the soft cover 300 and the hard cover 100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The engaging means 100b and 200b having a concave and convex structure in which the divided cover assembling guide 100a is fitted to the divided cover assembling protrusion 200a are formed in the sliding assembling process. The fastening means 100b and 200b of the concave and convex structure may be formed at three posi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in the figure. In addition, for the sake of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or separating the divided cover 200 with respect to the hard cover 100, the user has a handle projection 202 projecting outwardly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divided cover 200 And the knob protrusion assembly 10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ard cover 100 corresponding to the knob protrusion 202. [

삭제delete

분할 커버(200)는 성형시 보조 배터리 팩이 내입된 상태로 보조 배터리 팩과 일체형으로 몰딩되거나, 보조 배터리 팩과 별도로 제작되어 전면 또는 배면에 보조 배터리 팩이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조 배터리 팩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내부 커버(211)로 감싸진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plit cover 200 may be molded integrally with the auxiliary battery pack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pack is inserted during molding, or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auxiliary battery pack, and the auxiliary battery pack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r the back surface. In addition, the battery pack 200 may be configured so as to be surrounded by a separate inner cover 211 to protect the auxiliary battery pack from an external impact.

또한, 분할 커버(200)는 보조 배터리 팩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하드 커버(100)의 분할 커버 조립부(140)에 장착되었을 때, 이동통신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외부의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할 커버(200)의 하단부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 잭에 결합되는 데이터 포트(221a, 221b)가 구성된다. 데이터 포트(221a, 221b)는 분할 커버(200)의 하단 중앙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된 접속 부재(221)에 고정 장착된다.The split cover 2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auxiliary battery pack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split cover 200 is mounted on the split cover assembly unit 140 of the hard cover 100, The data ports 221a and 221b coupled to the power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plit cover 200. [ The data ports 221a and 221b are fixedly mounted on the connecting member 221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divided cover 200. [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보조 배터리 팩의 충방전을 위한 충방전회로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또는 분할 커버(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 배터리 팩의 전원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전원이 방전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충전되거나 혹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이 임의로 설정된 기준 레벨로 이하로 방전되었을 때 충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 dis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 dis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pack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divided cover 200. Since the battery power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charged, Or when the battery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charg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or lower.

삭제delete

또한, 분할 커버(200)에는 마이크(200c)와 스피커(200d)가 구비되어, 데이터 포트(221a, 221b)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split cover 200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200c and a speaker 200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data ports 221a and 221b.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한편, 분할 커버(200)에 스피커나 LCD 창 등이 부가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 배터리 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피커나 LCD 창이 커넥터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a speaker or an LCD window is attached to the split cover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aker or the LCD window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nnector as in the case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as described above.

또한, 보조 배터리 팩, 카드 홀더, 스피커, LCD 창, 스탠드, 거울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분할 커버를 보유한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보조 배터리 팩, 카드 홀더, 스피커, LCD 창, 스탠드, 거울 기능을 가지는 분할 커버 중 하나를 소프트 커버와 하드 커버의 결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f you have multiple split covers with auxiliary battery packs, card holders, speakers, LCD windows, stands, and mirrors, you can use auxiliary battery packs, card holders, speakers, LCD windows, One of the split covers can be selectively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ombination of the soft cover and the hard cov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하드 커버 100a :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
110 : 측면조립편 120 : 절개홈부
140 : 분할 커버 조립부 160 : 데이터 포트 가이드
162 : 락커 200 : 분할 커버
200a : 분할 커버 조립돌기 211 : 내부 커버
212 : 카드 슬롯 213 : 카드 수납공간
221 : 접속 부재 221a, 221b : 데이터 포트
300 : 소프트 커버 320 : 버튼
340 : 수납 공간부 350 : 측면조립홈
360 : 데이터 포트 조립부
100: hard cover 100a: split cover assembly guide
110: side assembly piece 120: incision groove
140: Split cover assembly part 160: Data port guide
162: Locker 200: Split cover
200a: split cover assembly projection 211: inner cover
212: card slot 213: card storage space
221: connection member 221a, 221b: data port
300: Soft cover 320: Button
340: storage space part 350: side assembly groove
360: Data port assembly section

Claims (8)

이동통신단말기의 베젤을 감싸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베젤에 대응하는 형태로 베젤 커버부가 연질의 재료로 성형 형성되고 상기 베젤 커버부 안쪽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조립되는 수납공간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베젤 커버부의 바깥쪽에는 상기 베젤 커버부와 연결되는 하드 커버 조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젤 커버부의 양쪽 측면 상에는 측면조립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포트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데이터 포트 조립부가 형성되되 상기 데이터 포트 조립부의 일측에는 락킹홀이 형성되는 소프트 커버;
상기 소프트 커버의 배면에 조립되는 사각테 형태로 경질의 재료로 성형 형성되어 내측으로는 분할커버 조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할커버 조립부의 양쪽 상에는 상기 측면조립홈에 대응하는 측면조립편이 형성되며, 상기 분할커버 조립부의 양쪽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소프트 커버의 데이터 포트 조립부에 대응하는 하부보강테의 중간 부분에는 데이터 포트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포트 가이드 상에는 상기 락킹홀에 대응하는 락커가 형성되는 하드 커버; 및
상기 하드 커버의 분할 커버 조립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배면 커버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면 커버부의 양쪽 측면에 상기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에 대응하여 상호조립되는 분할 커버 조립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분할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A bezel cover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corresponding to a bez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surround the bez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torage space for assemb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ed inside the bezel cover The bezel cover part is formed with a hard cover assembling part connected to the bezel cover part. The side bezel cov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ezel cover part. A soft cover in which a data port assembly is formed and a locking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ata port assembly;
Wherein the side cover is formed by a hard material in the shape of a square frame assemb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oft cover and formed with a divided cover assembling portion on the inside and side assembling pieces corresponding to the side assembling recess on both sides of the divided cover assembling portion, A data port guide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a lower reinforcing frame corresponding to the data port assembly portion of the soft cover, and the data port guide is formed on the data port guide. A hard cover on which a locker corresponding to the hole is formed; And
A split cover assembly having a rear cover portion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plit cover assembly portion of the hard cover and having split cover assembly projec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cover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lit cover assembly guide, And a cover for prot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커버의 안쪽에는 보조 배터리 팩이 고정 장착되며, 상기 분할 커버의 하단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 팩의 데이터 포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uxiliary battery pack is fixedly mounted inside the split cover and a data port of the auxiliary battery pack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plit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커버의 내측에는 카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분할 커버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상기 카드 수납공간에 연통되는 카드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ard storage space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plit cover, and a card slot communicating with the card storage space is form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split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커버 조립 가이드와 상기 분할커버 조립 돌기의 도중에는 조립 시 상호 끼워맞춤되는 요철구조의 체결수단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astening means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split cover assembly guide and the split cover assembly protrusion are formed at the time of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커버의 하단 양쪽에는 각각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손잡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하드 커버의 하부 양쪽에는 손잡이 돌기 조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andle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at both lower ends of the split cover and a knob protrusion assembly is formed at both lower portions of the hard cover corresponding to the knob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커버 조립부는 상기 베젤 커버부에 대하여 단차진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rd cover assembly has a steppe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bezel co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55241A 2016-11-21 2016-11-21 Mobile phone cover KR1018925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41A KR101892546B1 (en) 2016-11-21 2016-11-21 Mobile phone cover
PCT/KR2017/004497 WO2018092996A1 (en) 2016-11-21 2017-04-27 Cover assembly for protec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41A KR101892546B1 (en) 2016-11-21 2016-11-21 Mobile phone c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071A KR20180057071A (en) 2018-05-30
KR101892546B1 true KR101892546B1 (en) 2018-08-28

Family

ID=6214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241A KR101892546B1 (en) 2016-11-21 2016-11-21 Mobile phone cov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2546B1 (en)
WO (1) WO2018092996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261Y1 (en) * 2018-08-31 2019-05-24 주식회사 금강올텍 Smartphone case with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6310B2 (en) * 2018-06-15 2020-05-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rotective case for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CN209184646U (en) * 2018-09-30 2019-07-30 青岛同鑫创新实验室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ombined mobile phone charging back splint
CN109407370A (en) * 2018-12-19 2019-03-01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an-shaped display panel
US11311087B2 (en) * 2019-01-07 2022-04-26 Speculative Product Design, Llc Wallet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or mobile electronic device case
WO2021045273A1 (en) * 2019-09-05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auxiliary device coupled thereto
KR102273503B1 (en) * 2020-10-15 2021-07-06 카페24 주식회사 Portable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shock preven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978B1 (en) * 2014-09-02 2015-05-15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mobile phone case assembly
KR200478280Y1 (en) 2015-02-10 2015-09-16 주식회사 비투엠 A cell phone cas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812A (en) 2009-01-10 2010-07-20 정승용 Cellular phone shieding case
KR200473991Y1 (en) * 2010-06-29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 apparatus for exterior case having battery pack
KR20120052582A (en) 2010-11-16 201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vile device and self-generating device for movile device
KR101329031B1 (en) * 2012-08-30 2013-11-14 최택진 Handphone case having card acceptance structure
US9190639B2 (en) * 2013-08-05 2015-11-17 Justin Chiwon Kim Protecting c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978B1 (en) * 2014-09-02 2015-05-15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mobile phone case assembly
KR200478280Y1 (en) 2015-02-10 2015-09-16 주식회사 비투엠 A cell phone c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261Y1 (en) * 2018-08-31 2019-05-24 주식회사 금강올텍 Smartphone case with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071A (en) 2018-05-30
WO2018092996A1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546B1 (en) Mobile phone cover
KR100663535B1 (en) Spaker/replaceable cradle/charging combination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US9116665B2 (en) Modular protective cover with accessory slo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882595B2 (en) Housing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accessories
JP6842572B2 (en) Mobile device protection assembly, mobile device protection frame and battery case
KR20160043199A (en) Bluetooth earphone-integrated mobile terminal case
KR101247570B1 (en) Protection Cover for Mobile Phone with a Built-in Auxiliary Battery
KR200476233Y1 (en) Mobile phone case
US8192861B2 (en) Battery cover fixing means for portable terminal
KR200483087Y1 (en) a protect case for cellurlar phone within supplementary battery
KR200486136Y1 (en) Mobile Phone case Comprising Spare Battery and USB Cable
KR101794164B1 (en)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KR101717968B1 (en) Modules for attaching to a smart-phone
CN105915671B (en) A kind of mobile phone protecting case structure
CN204794143U (en) Cell -phone companion device
CN210075522U (en) Bluetooth headset charging seat subassembly with mirror function
KR20110109668A (en) A case structure for handphone
KR20140001056U (en) Auxiliary power providing device
CN209419690U (en) A kind of mobile phone protecting case that being convenient for carrying earphone and can charge to earphone
KR20130130921A (en) Portable charging battery with holder
KR100774369B1 (en) Case for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mobile phone
CN210225520U (en) Mobile phone case assembly with storage function
KR200469634Y1 (en) 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Member for Mobile Device
KR101583943B1 (en) Case for portable electric device
KR20230070551A (en) Double-sided Magsafe rechargeable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