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812A - Cellular phone shieding case - Google Patents
Cellular phone shieding 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2812A KR20100082812A KR1020090024180A KR20090024180A KR20100082812A KR 20100082812 A KR20100082812 A KR 20100082812A KR 1020090024180 A KR1020090024180 A KR 1020090024180A KR 20090024180 A KR20090024180 A KR 20090024180A KR 20100082812 A KR20100082812 A KR 201000828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mobile terminal
- terminal
- cover
- charging so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휴대단말기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보관하면서 보조 배터리를 간편하게 분실의 염려없이 휴대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 배터리의 방전시 배터리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의 필요없이 휴대단말기의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기본 배터리와 더불어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store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easily carried along with the mobile terminal without fear of loss while keeping to prevent damage and damage to the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capable of supplying power for continuous use of a portable terminal without the need for replacing a battery during discharge and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together with a main battery.
근래에 휴대단말기는 전화통화만 하는 단순한 전화기의 수준을 넘어서, DMB, 음악, 동영상 영화, 게임 및 와이브로 인터넷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그 기능 및 활용도가 점차 다양화되고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recent years, the mobile terminal is more than just a telephone call, and its functions and utilizations are gradually diversified and expanded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Internet through DMB, music, movies, games, and WiBro.
또한, 휴대단말기는 겉 표면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코팅과 같은 특별한 처리를 하지만 일상 생활에서 생길 수 있는 가벼운 손상을 모두 보호해 주지는 못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is a special treatment such as coating to protect the outer surfac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ut does not protect all the light damage that can occur in everyday life.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감싸 휴대함으로써 일생 생활에서 생길 수 있는 가벼 운 손상으로부터 휴대단말기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drawbacks, the protectiv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made of plastic is used to wrap and carry the portable terminal to prevent the damage and da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light damage that can occur in life.
한편,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 배터리는 일정시간 사용하거나 지나게 되면 배터리의 제한적인 용량에 의해서 방전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로부터 분리한 기본 배터리를 충전한 다음 재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보조 배터리로 교체해야만 지속적으로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attery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is discharged due to the limited capacity of the battery when used or pas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were continuously available.
그리고,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하여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해야만 하기 때문에 장시간 통화하거나 출장, 여행 등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고 다녀야만 하였다. In addition, in order to charge and reuse the discharged battery, the battery must be charged using a charger, and thus, it is necessary to carry the auxiliary battery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charge the battery for a long time, a business trip or a trip.
그러나,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는 방법은 단순하게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부피가 작은 보조 배터리를 분실할 염려가 있었다. However, the method of carrying the auxiliary battery is usually simply carried in a bag or a pocket of clothes, and there is a risk of losing a small auxiliary battery.
또한, 휴대단말기의 사용 중 기본 배터리의 용량한계에 의해서 휴대단말기 기능이 정지될때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에 보관된 보조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이 불편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In addition, it is inconvenient and inconvenient to replace the auxiliary battery stored in the bag or pocket of the clothes when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stopped due to the capacity limit of the main battery during use of the mobil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보관하면서 보조 배터리를 간편하게 분실의 염려없이 휴대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 배터리의 방전시 배터리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의 필요없이 휴대단말기의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기본 배터리와 더불어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o keep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easily carri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fear of loss while storing to prevent damage and da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for supplying power to enable the continuous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the need to replace the battery when the discharge of the primary battery, and to charge the secondary battery with the primary batte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삽입배치되는 제1배치홈을 형성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삽입배치되는 제2배치홈을 형성한 외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배치홈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부를 통하여 외부노출되도록 일측단에 충전소켓단자가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갖추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를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배치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ner case forming a first placement groove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and an outer case forming a second arrangement groove into which the inner case is inserted. Case part to be made; The circuit board is provided with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outer case and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placement groove and a charging socket terminal at one en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se.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disposed in a cavity form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케이스와 마주하는 내부케이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보조전원부가 배치되는 제3배치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3배치홈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소켓단자를 외부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facing the outer case is provided with a third arrangement groove in which the auxiliary power source is disposed, and one side of the third arrangement groov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ternally exposing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보조배터리를 덮어 보호하는 보호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덮개는 상기 충전소켓단자의 좌우양측과 접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충전소켓단자와 대응하는 외측테두리에 돌출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리브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protective cover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circuit board and the auxiliary battery,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protrudes from an outer edg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to suppor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And a pair of supporting ribs.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삽입배치되는 제1배치홈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제1배치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바닥판을 구비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삽입배치되는 제2배치홈을 형성한 외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배치홈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측단에 충전소켓단자가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갖추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를 상기 내부케이스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배치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recessing the first placement groov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the inner case having a bottom pl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lacement groove, and the inner case is inserted arrangement A case part having an outer case having a second arrangement groove to be formed; And a cover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outer case and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placement groove, and a circuit board having a charging socket terminal at one en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se part.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disposed at a cavity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he bottom plate, the auxiliary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판은 상기 내부케이스에 관통형성된 조립공에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조립턱을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한다. Preferably,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ssembly projection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formed through the inner case to be assembled.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판과 마주하는 내부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보조전원부가 배치되는 제3배치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3배치홈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소켓단자를 외부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facing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third arrangement groove in which the auxiliary power source is disposed, and one side of the third arrangement groov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ternally exposing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판은 상기 충전소켓단자의 상단과 접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충전소켓단자와 대응하는 외측테두리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리브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rib protruding to the outer edg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to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삽입배치되는 제1배치홈을 형성한 구비하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삽입배치되는 제2배치홈을 형성한 외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4배치홈을 형성한 외부덮개케이스와, 상기 제4배치홈에 삽입배치되고,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내부덮개케이스를 갖추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소켓단자를 일측단에 구비하는 회로기판을 갖추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를 상기 내부덮개케이스의 바닥면과 상기 덮개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배치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portion having an inner case having a first placement groove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and an outer case having a second placement groove into which the inner case is inserted; The mobile terminal has an inner cover cas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outer case, the outer cover case having a fourth placement groove, and an inner cover case inserted into the fourth placement groove and having a cover plate covering the open top.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front of the; And a circuit board having a charging socket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ver part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ary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ver case and the cover plate. Auxiliary power supply disposed in the;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comprising a.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 플레이트는 상기 내부덮개케이스에 관통형성된 조립공에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조립턱을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over plate i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ssembly jaw is formed to be protruded to be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formed through the inner cover case.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내부덮개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보조전원부가 배치되는 제3배치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3배치홈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소켓단자를 외부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ver case facing the cover plate is provided with a third arrangement groove in which the auxiliary power source is disposed, one side of the third arrangement groov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ternally exposing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 플레이트는 상기 충전소켓단자와 접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충전소켓단자와 대응하는 외측테두리에 절개형성되는 요홈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over plate is provided with a recess formed in the outer edg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so as to contact and support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 플레이트에는 자석편 또는 접촉편을 구비하고, 상기 내,외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자석편 또는 접촉편 중 나머지 하나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over plate includes a magnet piece or a contact piece, and either one of the inner and outer cases is provided with the other of the magnet piece or the contact piece.
또한, 휴대단말기가 삽입배치되는 제1배치홈을 구비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제1배치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바닥판을 구비하는 케이스부;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외부덮개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배치홈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측단에 충전소켓단자가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갖추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를 상기 케이스부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판과의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배치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case portion having a main body case having a first placement groove in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and a bottom pl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lacement groov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is extended from one side end of the outer cov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first placement groove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se portion. Provided with a circuit board provided, and an auxiliary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disposed in the cavity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portion and the bottom plate; provides a protective terminal including a mobile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판은 상기 본체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탄성편이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조립공을 갖는 조립턱을 하부면에 복수개 구비한다. Preferably,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ssembling jaws having a plurality of assembling holes in which the plurality of elastic pieces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case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판은 상기 본체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보스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하부면에 복수개 구비한다. Preferably,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on the lower surface i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boss holes extending from the body case fixed.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판과 마주하는 본체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보조전원부가 배치되는 제3배치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3배치홈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소켓단자를 외부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case facing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third arrangement groove in which the auxiliary power source is disposed, and one side of the third arrangement groov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ternally exposing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덮개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일측단에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일측단과 탄력적으로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제3걸림리브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over part is provided with a cover plate on one side facing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one side end of the cover plate is elastically in contact with one side end of the mobile terminal inserted into the main body case to generate a fixing force It has three locking ribs.
바람직하게,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본체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연 장되는 기판고정용 지지리브의 내측면에 접하여 움직임이 곤란하도록 배치된다. Preferably, the circuit board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rib for fixing the substrat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is difficult to move.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배터리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배터리고정용 지지리브의 내측면에 접하여 움직임이 곤란하도록 배치된다. Preferably, the auxiliary battery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fixing support rib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case is difficult to mov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고정용 지지리브 또는 배터리고정용 지지리브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보조배터리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단자가 걸림없이 배치되도록 절개부를 구비한다. More preferably, the substrate fixing support rib or the battery fixing support rib includes a cutout so that a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ircuit board and the auxiliary battery is disposed without jamming.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케이스는 일단에 휴대단말기의 일단과 탄력적으로 접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제1내부 걸림리브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inner case has a first inner locking rib to elastically contact one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to generate a locking force at one en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제1내부 걸림리브의 외부면에 접하여 중첩되는 제1외부 걸림리브를 구비한다. More preferably, the outer case includes a first outer locking rib overlapping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inner locking rib.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자석편 또는 접촉편을 구비하고, 상기 내,외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자석편 또는 접촉편 중 나머지 하나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over part is provided with a plate on one side facing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magnet piece or a contact piece, either of the inner and outer cases of the magnet piece or contact piece The other one.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전원부의 회로기판은 연결단자를 매개로 상기 보조배터리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일측면에 형성된 충전단자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접촉단자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ircuit board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auxiliary battery via a connection terminal, or the circuit board includes a contact terminal elastically contacting a charging terminal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소켓단자와 상기 보조 전원부의 보조배터리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젠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젠더부는 상기 전원 소켓단자에 삽입되는 제1삽입커넥터를 구비하는 제1젠더유니트와, 상기 케이스부 또는 덮개부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충전소켓단자에 삽입되는 제2삽입커넥터를 구비하는 제2젠더유니트 및 상기 제1젠더유니트와 제2젠더유니트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gender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socket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auxiliary battery of the auxiliary power unit, wherein the gender unit includes a first gender unit including a first insertion connector inserted into the power socket terminal. And a second gender unit having a second insertion connector inserted into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externally exposed through the case part or the cover part, and a connection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gender unit and the second gender unit. do.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젠더유니트 또는 제2젠더유니트는 충전기의 충전커넥터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입력단자홈을 구비한다. More preferably, the first gender unit or the second gender unit includes a power input terminal groove into which a charging connector of the charger is inser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단말기가 삽입배치되어 보관되는 케이스부, 외부전원에 의해서 충전가능한 보조배터리를 갖는 보조 전원부 및 또는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어 보호하는 덮개부를 갖추어 케이스부 또는 덮개부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충전소켓단자와 휴대단말기의 전원소켓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면서 보조 배터리를 분실의 염려없이 휴대단말기와 더불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 배터리의 방전시 배터리 교체작업의 필요없이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기본배터리와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nto and stored in the case portion, the auxiliary power source having a secondary battery that can be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or a cover portion covering and protecting the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se portion or the cover portion By electrically connecting between the charging socket terminal and the power socket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easily carri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fear of loss and damage while preventing damage and da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without the need for battery replacement, and the main battery and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charg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b)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3(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110), 덮개부(120) 및 보조전원부(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3 (a) and (b), the mobile terminal
상기 케이스부(110)는 상하 합형되어 적층되는 내부케이스(110a)와 외부케이스(110b)를 포함하는바, 상기 내부케이스(110a)는 상부면에 휴대단말기(1)를 삽입배치할 수 있도록 제1배치홈(111)을 함몰형성한 플라스틱 성형구조물로 이루어진다. The
이러한 내부케이스(110a)의 일단에는 보관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1)의 일단과 탄력적으로 접하여 상기 제1배치홈(1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1)의 외부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제1내부 걸림리브(112)를 구비한다. One end of the inner case (110a) is elastically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mobile terminal (1) to be stored so as to prevent the external sepa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inserted into the first placement groove 111 is disposed It has a first
여기서, 상기 제1내부 걸림리브(112)가 형성된 내부케이스(110a) 일단의 반대편 타단에도 상기 제1내부 걸림리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타단과 접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2내부 걸림리브(113)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inner locking rib so as to contact the oth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to generate a locking force in the other end opposite the one end of the inner case (110a) formed with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1내부 걸림리브(112)와 제2내부 걸림리브(11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내부케이스(110a)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된 다음 상기 휴대단말기(1)의 외측단에 접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고정대상물인 휴대단말기 측으로 절곡형성되고, 나머지는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One of the first
상기 내부케이스(110a)의 제1배치홈(111) 바닥면에는 상기 제1배치홈(111)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천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시트(111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lacement groove 111 of the inner case (110a)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sheet (111a) made of a soft cloth material to prevent surface damage of the mobile terminal disposed in the first placement groove (111) It is desirable to.
상기 외부케이스(110b)와 마주하는 내부케이스(110a)의 하부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와의 결합시 상기 보조전원부(130)가 정위치 배치될 수 있는 일정크기의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3배치홈(114)을 구비하며, 상기 제3배치홈(114)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충전소켓단자가 배치되어 이를 외부노출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구된 개구부(115)를 구비한다.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a) facing the outer case (110b) is recessed to a certain depth to form a cavity of a predetermined size that can be disposed in place when the
상기 내부케이스(110a)와 결합되는 외부케이스(110b)는 상기 내부케이스(110a)가 삽입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제2배치홈(116)을 구비한다. The
이러한 외부케이스(110b)의 일단에는 삽입배치된 내부케이스(110a)의 외부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와 접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제1외부 걸림리브(112a)를 구비하며, 상기 제1외부 걸림리브(112a)는 상기 내부케이스(110a)에 형성된 제1내부 걸림리브(112a)의 외부면에 접하여 중첩된다. One end of the outer case (110b) is provided with a first outer locking rib (112a) for generating a locking force in contact with the inner case so as to prevent the outer detachment of the inserted inner case (110a), the first The
여기서, 상기 제1외부 걸림리브(112a)가 형성된 외부케이스(110a) 일단의 반대편 타단에도 상기 제1외부 걸림리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 케이스(110a)의 타단과 접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2외부 걸림리브(113a)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outer end of the outer case (110a) formed with the first outer locking rib (112a), the second end so as to generate a holding forc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inner case (110a) like the first outer locking rib The
그리고, 상기 제1외부 걸림리브(112a)과 제2외부 걸림리브(113a) 중 어느 하나는 휴대단말기측으로 절곡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수직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ny one of the first
상기 외부케이스(110b)는 상기 내부케이스(110a)의 개구부(115)와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충전소켓단자(134)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노출공(118)을 구비한다.The
이에 따라, 상기 내부케이스(110a)가 외부케이스(110b)의 제2배치홈(116)에 삽입배치되도록 상하합형하게 되면, 상기 내,외부케이스(110a,110b)사이에는 상기 제2배치홈(116)에 의해서 상기 보조전원부(130)가 배치될 수 있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내부케이스(210a)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보조전원부의 충전소켓단자(134)는 상기 개구부와 일치되는 노출공(11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이러한 충전소켓단자(134)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제1배치홈(1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전원소켓단자(2)에 근접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10a)와 외부케이스(110b)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관통공(117a,117b)을 각각 관통형성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덮개부(120)는 상기 내부케이스(110a)의 제1배치홈(1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10b)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덮개부재이다. The
이러한 덮개부(120)는 상기 외부케이스(110b)의 폭보다는 좁은 크기를 갖는 연결덮개(122)를 매개로 하여 외부케이스(110b)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덮개부(120)는 가죽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외부케이스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케이스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접착제를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다. The
여기서 상기 연결덮개(122)는 상기 제2내부 걸림리브(113), 제2외부 걸림리브(113a)와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ng
상기 덮개부(12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플레이트(124)를 구비하고, 이러한 플레이트(124)에는 제1내부 걸림리브(112)의 단부에 구비되는 자석편(125a)과 대응하여 접하여 자성력에 의해서 밀착되는 금속편과 같은 접촉편(125)을 구비한다. The
여기서, 상기 접촉편(125)은 플레이트(124)에 구비되고, 상기 자석편(125a)은 상기 제1내부 걸림리브(112)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촉편(125)은 제1내부 걸림리브에 구비되고 상기 자석편은 플레이트(124)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편은 상기 자석편과 다른 극성으로 마주하는 다른 자석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Here, the
이에 따라, 상기 덮개부(120)의 닫힘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120)의 닫힘 상태는 상기 접촉편(125)에 자성력을 제공하는 자석편(125a)에 의해서 유지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closed state of the
또한, 상기 플레이트(124)의 전면에는 상기 덮개부(120)에 의해 덮어지는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천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시트(124)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보조전원부(130)는 회로기판(131), 보조배터리(132) 및 충전소켓단자(134)를 갖추어 상기 내부케이스(110a)와 외부케이스(110b)사이에 형성되는 일정크기의 공간인 캐비티에 배치되는 것이다. The auxiliary
상기 회로기판(131)은 상기 보조배터리(132)와 연결단자(133)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시 과충전을 방지하고 과방전을 방지하는 내부회로 및 전자부품이 탑재되어 상기 보조배터리(132)와 더불어 상기 제3배치홈(114)에 정위치되도록 배치된다. The
상기 충전소켓단자(134)는 상기 보조배터리(132)의 일측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의 개구부(115)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10b)의 노출공(118)을 통해 외부노출되고, 상기 휴대단말기(1)의 전원소켓단자(2)는 상기 내부케이스(110a)에 형성된 절개부(115a)와 상기 외부케이스(110b)에 형성된 다른 절개부(118a)에 대응배치되어 상기 내,외부케이스의 결합시 서로 중첩되는 절개부를 통해 외부노출된다. The charging
이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132)의 자체 충전시 상기 충전소켓단자(134)는 미도시된 충전기의 충전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정량의 전하를 충전하게 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된 기본배터리의 방전시 상기 충전소켓단자(134)가 후술하는 젠더부(4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소켓단자(2)와 연결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단말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상기 보조전원부(130)는 상기 제3배치홈(114)에 배치된 회로기판(131)과 보조배터리(132)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덮개(135)를 상기 외부케이스(110b)와 보조전원부(130)사이에 구비할 수도 있다. The
이러한 보호덮개(135)는 상기 충전소켓단자(134)의 좌우양측과 접하여 이를 지지하면서 상기 전원입력단자(134)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소켓단자와 대응하는 외측테두리에 돌출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리브(136)를 구비한다. The
상기 보호덮개(135)는 상기 보조배터리(132)의 사용 및 충전시 발생되는 열을 충분히 견디면서 열변형을 방지하고, 전기적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내열성 및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b)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200)는 도 4 내지 도 6(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210), 덮개부(220) 및 보조전원부(2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4 to 6 (a) and (b), the mobile terminal
상기 케이스부(210)는 상하로 합형되는 내부케이스(210a)와 외부케이스(210b)를 구비하는바, 상기 내부케이스(210a)는 휴대단말기(1)를 삽입배치할 수 있는 제1배치홈(211)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제1배치홈(211)에는 내부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바닥판(219)을 수평하게 구비하는 플라스틱 성형구조물로 이루어진다.The case part 210 is provided with an
상기 바닥판(219)은 상기 내부케이스(210a)에 관통형성된 조립공(219b)에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조립턱(219a)을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한다.The
이에 따라, 상기 바닥판(219)은 상기 조립턱과 조립공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내부케이스(210a)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두고 상부로 이격되어 수평상태를 갖도록 조립될 수 있는 한편, 상기 내부 케이스(210a)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그리고, 상기 바닥판(219)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219)의 상측에는 휴대단말기(1)가 삽입배치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상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바닥판(219)의 하측에는 상기 보조전원부(230)가 배치되는 하부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이러한 내부케이스(210a)의 일단에는 보관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1)의 일단과 탄력적으로 접하여 상기 제1배치홈(2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1)의 외부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제1내부 걸림리브(212)를 구비한다. One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제1내부 걸림리브(212)가 형성된 내부케이스(210a) 일단의 반대편 타단에도 상기 제1내부 걸림리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타단과 접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2내부 걸림리브(213)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inner locking rib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similarly to the first inner locking rib on the oth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1내부 걸림리브(212)와 제2내부 걸림리브(21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내부케이스(210a)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된 다음 상기 휴대단말기(1)의 외측단에 접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고정대상물인 휴대단말기측으로 절곡형성되고, 나머지는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One of the first
상기 바닥판(219)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배치홈(211)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천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시트(211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바닥판(219)과 마주하는 내부케이스(210a)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판와의 결합시 상기 보조전원부(230)가 정위치 배치될 수 있는 일정크기의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3배치홈(214)을 구비하며, 상기 제3배치홈(214)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충전소켓단자가 배치되어 외부노출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구된 개구부(215)을 구비한다. A third arrangement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내부케이스(210a)와 결합되는 외부케이스(210b)는 상기 내부케이스(210a)가 삽입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제2배치홈(216)을 구비한다. The
이러한 외부케이스(210b)의 일단에는 삽입배치된 내부케이스(210a)의 외부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와 접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제1외부 걸림리브(212a)를 구비하며, 상기 제1외부 걸림리브(212a)는 상기 내부케이스(210a)에 형성된 제1내부 걸림리브(212a)의 외부면에 접하여 중첩된다. One end of the outer case (210b) is provided with a first outer locking rib (212a) for generating a holding force in contact with the inner case to prevent the external separation of the inserted inner case (210a), the first The
여기서, 상기 제1외부 걸림리브(212a)가 형성된 외부케이스(210a) 일단의 반 대편 타단에도 상기 제1외부 걸림리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 케이스(210a)의 타단과 접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2외부 걸림리브(213a)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out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1외부 걸림리브(212a)와 제2외부 걸림리브(213a) 중 어느 하나는 휴대단말기측으로 절곡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수직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ny one of the first
상기 외부케이스(210b)는 상기 내부케이스(210a)의 개구부(215)와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충전소켓단자(234)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노출공(218)을 구비한다. The
이에 따라, 상기 내부케이스(210a)가 외부케이스(210b)의 제2배치홈(216)에 삽입배치되도록 상하합형하게 되면, 상기 내부케이스(210a)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보조전원부의 충전소켓단자(234)는 상기 개구부와 일치되는 노출공(21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이러한 충전소켓단자(234)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제1배치홈(1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1)의 전원단자(2)에 근접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210a)와 외부케이스(210b)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관통공(217a,217b)을 각각 관통형성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덮개부(220)는 상기 내부케이스(210a)의 제1배치홈(2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210b)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덮개부재이다. The
이러한 덮개부(220)는 상기 외부케이스(210b)의 폭보다는 좁은 크기를 갖는 연결덮개(222)를 매개로 하여 외부케이스(210b)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덮개부(220)는 가죽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외부케이스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케이스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접착제를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다. The
여기서 상기 연결덮개(222)는 상기 제2외부 걸림리브(213a)와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ng
상기 덮개부(22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플레이트(224)를 구비하고, 이러한 플레이트(224)에는 제1내부 걸림리브(212)의 단부에 구비되는 자석편(225a)과 대응하여 접하여 자성력에 의해서 밀착되는 금속편과 같은 접촉편(225)을 구비한다. The
여기서, 상기 접촉편(225)은 플레이트(224)에 구비되고, 상기 자석편(225a)은 상기 제1내부 걸림리브(212)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촉편(225)은 제1내부 걸림리브에 구비되고 상기 자석편은 플레이트(224)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편은 상기 자석편과 다른 극성으로 마주하는 다른 자석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Here, the
이에 따라, 상기 덮개부(220)의 닫힘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220)의 닫힘 상태는 상기 접촉편(225)에 자성력을 제공하는 자석편(225a)에 의해서 유지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closed state of the
또한, 상기 플레이트(224)의 전면에는 상기 덮개부(220)에 의해 덮어지는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천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시트(226)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보조전원부(230)는 회로기판(231), 보조배터리(232) 및 충전소켓단자(234)를 갖추어 상기 내부케이스(210a)와 바닥판(229)사이에 형성되는 일정크기의 공간인 캐비티에 배치되는 것이다. The auxiliary power supply 230 includes a
상기 회로기판(231)은 상기 보조배터리(232)와 연결단자(233)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과충전회로 및 전자부품이 탑재되어 상기 보조배터리(232)와 더불어 상기 내부케이스(210a)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3배치홈(214)에 정위치되도록 배치된다. The
상기 충전소켓단자(234)는 상기 보조배터리(232)의 일측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의 개구부(215)에 배치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210b)의 노출공(218)을 통해 외부노출되고, 상기 휴대단말기(1)의 전원소켓단자(2)는 상기 내부케이스(210a)에 형성된 절개부(215a)와 상기 외부케이스(210b)에 형성된 다른 절개부(218a)에 대응배치되어 상기 내,외부케이스의 결합시 서로 중첩되는 절개부를 통해 외부노출되며, 상기 개구부(215)는 절개부와 연결된다. The charging
이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232)의 자체 충전시 상기 충전소켓단자(234)는 미도시된 충전지의 충전소켓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정량의 전하를 충전하게 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된 기본배터리의 방전시 상기 충전소켓단자(234)는 젠더부(4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의 전원단자(2)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도 휴대단말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상기 보조전원부(230)는 상기 내부케이스(210a)에 조립되는 바닥판(219)에 덮어져 보호되며, 이러한 바닥판(219)은 상기 충전소켓단자(234)의 상단과 접하여 이를 지지하면서 상기 전원입력단자(234)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소켓단자와 대응하는 외측테두리에 돌출형성된 돌출리브(219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uxiliary power supply 230 is covered and protected by the
상기 바닥판(219)은 상기 보조배터리(232)의 사용 및 충전시 발생되는 열을 충분히 견디면서 열변형을 방지하고, 전기적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내열성 및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a)(b)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a) (b) is a state dia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300)는 도 7과 도 8(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310), 덮개부(320) 및 보조전원부(3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7 and 8 (a) and (b),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케이스부(310)는 상하로 합형되는 내부케이스(310a)와 외부케이스(310b)를 구비하는바, 상기 내부케이스(310a)는 상부면에 휴대단말기(1)를 삽입배치할 수 있도록 제1배치홈(311)을 함몰형성하는 플라스틱 성형구조물로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내부케이스(310a)의 일단에는 보관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1)의 일단과 탄력적으로 접하여 상기 제1배치홈(3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1)의 외부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제1내부 걸림리브(312)를 구비한다. One end of the inner case (310a) is elastically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mobile terminal (1) to be stored so as to prevent the external sepa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inserted into the first placement groove (311). It has a first
여기서, 상기 제1내부 걸림리브(312)가 형성된 내부케이스(310a) 일단의 반대편 타단에도 상기 제1내부 걸림리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타단과 접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2내부 걸림리브(313)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inner locking rib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similarly to the first inner locking rib on the oth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1내부 걸림리브(312)와 제2내부 걸림리브(31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내부케이스(310a)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된 다음 상기 휴대단말기(1)의 외측단에 접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고정대상물인 휴대단말기측으로 절곡형성되고, 나머지는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One of the first
상기 내부케이스(310a)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배치홈(311)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천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시트(311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310a)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rotective sheet (311a) made of a soft cloth material to prevent surface damage of the mobile terminal disposed in the first placement groove (311).
상기 내부케이스(310a)와 결합되는 외부케이스(310b)는 상기 내부케이스(310a)가 삽입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제2배치홈(316)을 구비한다. The
이러한 외부케이스(310b)의 일단에는 삽입배치된 내부케이스(310a)의 외부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케이스와 접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제1외부 걸림리브(312a)를 구비하며, 상기 제1외부 걸림리브(312a)는 상기 내부케이스(310a) 에 형성된 제1내부 걸림리브(312)의 외부면에 접하여 중첩된다. One end of the outer case (310b) is provided with a first outer locking rib (312a) for generating a locking force in contact with the inner case to prevent the outer separation of the inserted inner case (310a), the first The
여기서, 상기 제1외부 걸림리브(312a)가 형성된 외부케이스(310a) 일단의 반대편 타단에도 상기 제1외부 걸림리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케이스(310a)의 타단과 접하여 걸림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2외부 걸림리브(313a)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out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제1외부 걸림리브(312a)와 제2외부 걸림리브(313a) 중 어느 하나는 휴대단말기측으로 절곡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수직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ny one of the first
상기 외부케이스(310b)는 상기 내부케이스(310a)에 형성된 절개부(319a)와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제1배치홈(3111)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원소켓단자(2)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다른 절개부(319b)를 구비한다. The
이에 따라, 상기 내부케이스(310a)가 외부케이스(310b)의 제2배치홈(216)에 삽입배치되도록 상하합형하게 되면, 상기 내부케이스(310a)의 절개부(319a)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휴대단말기의 전원소켓단자(2)는 상기 절개부와 일치되는 다른 절개부(319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이러한 전원소켓단자는 상기 덮개부의 닫힘시 이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보조전원부의 충전소켓단자(334)에 근접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310a)와 외부케이스(310b)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관통공(317a,317b)을 각각 관통형성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덮개부(320)는 상기 내부케이스(310a)의 제1배치홈(3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310b)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덮개케이스(320b)와, 이에 삽입배치되는 내부덮개케이스(320a)를 포함하는 덮개부재이다. The
상기 외부덮개케이스(320b)는 상기 내부덮개케이스(320a)가 삽입배치되도록 제4배치홈(321b)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외부케이스(210b)의 폭보다는 좁은 크기를 갖는 연결덮개(322)를 매개로 하여 외부케이스(310b)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외부덮개케이스(320b)는 가죽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외부케이스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케이스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접착제를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다. The
여기서 상기 연결덮개(322)는 상기 제2외부 걸림리브(313a)와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ng
상기 내부덮개케이스(320b)는 상기 제4배치홈에 삽입배치되고,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 플레이트(324)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 플레이트(324)와 마주하는 내부덮개케이스(310a)의 바닥면에는 상기 보조전원부(330)가 삽입배치되는 제3배치홈(321a)을 구비하며, 상기 제3배치홈(321a)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전원부의 충전소켓단자(324)를 외부노출시키는 개구부(329a)를 구비한다.The
여기서, 상기 외부덮개케이스(310b)는 상기 내부덮개케이스(310a)의 개구부(329a)와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개구부에 배치된 충전소켓단자(334)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노출공(329b)을 구비한다. Here, the
이에 따라, 상기 내부덮개케이스(310a)가 외부덮개케이스(310b)의 제4배치 홈(321b)에 삽입배치되도록 상하합형하게 되면, 상기 내부덮개케이스(310a)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보조전원부의 충전소켓단자(334)는 상기 개구부와 일치되는 노출공(329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이러한 충전소켓단자(334)는 상기 덮개부의 닫힘시 상기 내부케이스의 제1배치홈(3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1)의 전원단자(2)에 근접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상기 덮개 플레이트(324)는 상기 내부덮개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휴대단말기의 전면과 마주하는 덮개부의 일측면에 구비하고, 이러한 덮개 플레이트(324)에는 제2내부 걸림리브(312a)의 단부에 구비되는 자석편(325a)과 대응하여 접하여 자성력에 의해서 밀착되는 금속편과 같은 접촉편(325)을 구비한다. The
여기서, 상기 접촉편(325)은 덮개 플레이트(324)에 구비되고, 상기 자석편(325a)은 상기 제2내부 걸림리브(312a)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촉편(325)은 제2내부 걸림리브에 구비되고 상기 자석편은 덮개 플레이트(324)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편은 상기 자석편과 다른 극성으로 마주하는 다른 자석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Here, the
이에 따라, 상기 덮개부(320)의 닫힘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320)의 닫힘 상태는 상기 접촉편(325)에 자성력을 제공하는 자석편(325a)에 의해서 유지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closed state of the
또한, 상기 플레이트(324)의 전면에는 상기 덮개부(320)에 의해 덮어지는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천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시트(326)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덮개 플레이트(324)는 상기 내부덮개케이스(310a)에 관통형성된 조립공(328)에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조립턱(3248a)을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한다.The
이에 따라, 상기 덮개플레이트(324)는 상기 내부덮개케이스(310a)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밀폐하면서 상기 보조전원부(330)가 배치되는 캐비티를 형성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상기 보조전원부(330)는 회로기판(331), 보조배터리(332) 및 충전소켓단자(334)를 갖추어 상기 내부덮개케이스(310a)와 덮개플레이트(224)사이에 형성되는 일정크기의 공간인 캐비티에 배치되는 것이다.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30 is a cavity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med between the
상기 회로기판(331)은 상기 보조배터리(332)와 연결단자(333)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과충전회로 및 전자부품이 탑재되어 상기 보조배터리(332)와 더불어 상기 내부덮개케이스(310a)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3배치홈(321a)에 정위치되도록 배치된다. The
상기 충전소켓단자(334)는 상기 보조배터리(332)의 일측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덮개케이스의 개구부(329a)에 배치되면서 상기 외부덮개케이스(310b)의 노출공(329b)을 통해 외부노출된다. The charging
이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332)의 자체 충전시 상기 충전소켓단자(334)는 미도시된 충전지의 충전소켓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정량의 전하를 충전하게 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된 기본배터리의 방전시 상기 충전소켓단자(334)는 젠더부(4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의 전원단자(2)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도 휴대단말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상기 보조전원부(330)는 상기 내부덮개케이스(310a)에 조립되는 덮개 플레이트(324)에 덮어져 보호되며, 이러한 덮개 플레이트(324)는 상기 충전소켓단자(334)와 접하여 이를 지지하면서 상기 전원입력단자(334)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소켓단자와 대응하는 외측테두리에 절개형성되는 고정홈(324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uxiliary power source 330 is covered and protected by a
상기 덮개 플레이트(324)는 상기 보조배터리(332)의 사용 및 충전시 발생되는 열을 충분히 견디면서 열변형을 방지하고, 전기적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내열성 및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9(a)(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9 (a) and (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a) (b) is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of use of the cas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400)는 도 4 내지 도 6(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410), 덮개부(420) 및 보조전원부(4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4 to 6 (a) and (b), the mobile terminal
상기 케이스부(410)는 본체케이스(410a)와 바닥판(419)를 구비하는바, 상기 본체케이스(410a)는 휴대단말기(1)가 삽입배치되는 제1배치홈(411)을 함몰형성하 고, 상기 제1배치홈(41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바닥판(419)을 수평하게 구비하는 플라스틱 성형구조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바닥판(419)은 상기 본체케이스(410a)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탄성편(419b)이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조립공을 갖는 조립턱(419a)을 하부면에 복수개 구비한다.The
또한, 상기 바닥판(419)은 상기 본체케이스(410a)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보스홀(419d)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419c)를 하부면에 복수개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상기 바닥판(419)은 상기 조립턱과 탄성편의 결합 또는 상기 고정돌기와 보스홀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본체케이스(410a)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두고 상부로 이격되어 수평상태를 갖도록 조립될 수 있는 한편, 상기 본체 케이스(410a)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그리고, 상기 바닥판(419)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바닥판(219)의 상측에는 휴대단말기(1)가 삽입배치되도록 상부로 개방된 상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바닥판(219)의 하측에는 상기 보조전원부(230)가 배치되는 하부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이러한 본체케이스(410a)에는 보관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1)의 외측테두리와 탄력적으로 접하여 상기 제1배치홈(4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1)의 외부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제1걸림리브(412a)와 한쌍의 제2걸림리브(412b)를 모서리부에 구비한다. The main body case (410a) has a holding force to elastically contact the outer edge of the mobile terminal (1) to be stored to prevent the external departure of the mobile terminal (1) inserted into the first placement groove (411). A pair of
상기 바닥판(419)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배치홈(211)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의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천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시트(411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바닥판(419)과 마주하는 내부케이스(410a)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판와의 결합시 상기 보조전원부(230)가 정위치 배치될 수 있는 일정크기의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3배치홈(414)을 구비하며, 상기 제3배치홈(414)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충전소켓단자가 배치되어 외부노출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구된 개구부(415)을 구비한다. A third arrangement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에 따라, 상기 본체케이스(410a)의 개구부(415)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보조전원부(430)의 충전소켓단자(434)는 상기 개구부(41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이러한 충전소켓단자(234)는 상기 본체케이스(410a)의 제1배치홈(4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1)의 전원단자(2)에 근접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charging
여기서, 상기 개구부(415)의 일측에는 이를 외부노출되는 충전소켓단자(434)측으로의 이물혼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구부(415)를 밀폐시키는 마개부재(415)를 구비할 수도 있다. Here,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410a)와 바닥판(419)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관통공(417a,417b)을 각각 관통형성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덮개부(420)는 상기 본체케이스(210a)의 제1배치홈(4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케이스(410a)의 하부면에 일체로 부착되거나 조립되는 외부덮개(421)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덮개부 재이다. The
이러한 덮개부(220)는 상기 외부덮개(421)의 폭보다는 좁은 크기를 갖는 연결덮개(422)를 매개로 하여 외부덮개(210b)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덮개부(420)는 가죽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외부덮개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덮개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접착제를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다. The
여기서 상기 연결덮개(422)는 한쌍의 제2걸림리브(412b)사이에 형성되는 본체케이스의 개방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onnecting
상기 덮개부(42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덮개플레이트(424)를 구비하고, 이러한 덮개 플레이트(424)의 일측단에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제1배치홈(411)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일측단과 탄력적으로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제3걸림리브(425)를 구비한다. The
또한, 상기 덮개플레이트(424)의 전면에는 상기 덮개부(420)에 의해 덮어지는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천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시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보조전원부(430)는 회로기판(431), 보조배터리(432) 및 충전소켓단자(434)를 갖추어 상기 본체케이스(410a)와 바닥판(419)사이에 형성되는 일정크기의 공간인 캐비티에 배치되는 것이다. The auxiliary
상기 회로기판(431)은 상기 보조배터리(432)와 연결단자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과충전회로 및 전자부품이 탑재되어 상기 보조배터리(432)와 더불어 상기 본체케이스(410a)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3배치홈(414)에 정위치되도록 배치된 다. The
상기 충전소켓단자(434)는 상기 보조배터리(432)의 일측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케이스의 개구부(415)에 배치되어 이를 통해 외부노출되고, 상기 휴대단말기(1)의 전원소켓단자(2)는 상기 개구부(415)와 근접하도록 본체케이스에 형성된 절개부(415a)에 대응배치되어 이를 통해 외부노출된다. The charging
이에 따라, 상기 보조배터리(432)의 자체 충전시 상기 충전소켓단자(434)는 미도시된 충전기의 충전소켓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정량의 전하를 충전하게 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된 기본배터리의 방전시 상기 충전소켓단자(434)는 젠더부(5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의 전원단자(2)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도 휴대단말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상기 보조전원부(430)는 상기 본체부케이스(410a)에 조립되는 바닥판(419)에 의해서 덮어져 보호되며, 이러한 바닥판(419)은 상기 보조배터리(432)의 사용 및 충전시 발생되는 열을 충분히 견디면서 열변형을 방지하고, 전기적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내열성 및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431)은 상기 본체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기판고정용 지지리브(436)의 내측면에 접하여 움직임이 곤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판고정용 지지리브(436)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로기판(431)에 탄력적으로 접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돌기(436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또한, 상기 보조배터리(432)는 상기 기판고정용 지지리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배터리고정용 지지리브(437)의 내측면에 접하여 움직임이 곤란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기판고정용 지지리브(436) 또는 배터리고정용 지지리브(437)에는 상기 회로기판(431)과 보조배터리(432)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단자가 걸림없이 배치되도록 절개부(43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한편, 상기 보조전원부(130,230,330.430)는 상기 충전소켓단자를 일측단에 구비하는 회로기판(131,231,331,431)이 연결단자(113,233,333,433)를 매개로 상기 보조배터리(132,232,332,432)와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과 보조배터리가 서로 분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보조배터리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즉, 상기 충전소켓단자(134,234,334,434)를 일측단에 일체로 구비하는 회로기판(131,231,331,431)은 도 11(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배터리(132,232,332,432)의 일측면에 형성된 충전단자(132a,232a,332a,432a)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접촉단자(131a,231a,331a,431a)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접촉단자(131a,231a,331a,431a)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충전단자와의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편 형태의 단자부재로 이루어지거 도전성 코일부재로 이루질 수 있으며, 상기 접촉단자와 탄력적으로 접하는 충전단자를 갖는 보조배터리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내장되는 기본배터리와 동일한 형태의 배터리일 수 있다. Here, the contact terminals (131a, 231a, 331a, 431a) may be made of an elastic piece-shaped terminal member or conductive coil member to maintain a contact state with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contact terminal The auxiliary battery having the charging terminal elastically contact may be a battery of the same type as the basic battery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도 12(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채용되는 젠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3(a)(b)(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채용되는 젠더부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휴대단말기(1)의 전원소켓단자(2)와 상기 보조 전원부(130,230,330,430)의 보조배터리(132,232,332,432)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젠더부(500)를 포함한다. 12 (a) and (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gender part employed in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a) (b) (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the gender part employed in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the
이러한 젠더부(500)는 제1젠더유니트(510)와 제2젠더유니트(520) 및 연결케이블(530)를 포함하는바, 상기 제1젠더유니트(510)는 상기 휴대단말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원소켓단자(2)에 삽입되는 제1삽입커넥터(512)를 구비하고, 상기 제1삽입커네터가 외부노출되도록 이를 일측단에 구비하는 기판을 몸체내부에 내장하는 것이다. The
상기 제2젠더유니트(510)는 상기 보조전원부(130,230,330,430)의 보조배터리(132,232,332,4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부(110,210,410) 또는 덮개부(320)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충전소켓단자(132,232,332,432)에 삽입되는 제2삽입커넥터(522)를 구비하고, 상기 제2삽입커넥터가 외부노출도록 이를 일측단부에 구비하는 기판을 몸체내부에 내장한 것이다. The
상기 연결케이블(530)은 상기 제1삽입커넥터(512)와 제2삽입커넥터(522)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제1젠더유니트(510)와 제2젠더유니트(520)사이를 연결하는 일정길이의 케이블부재이다. The
또한 상기 제1젠더유니트 또는 제2젠더유니트에는 미도시된 충전기의 충전커 넥터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입력단자홈(501)을 구비하며, 이러한 전원입력단자홈(401)은 상기 제1삽입커넥터(512) 또는 제2삽입커넥터(522)가 돌출되는 일측단의 정반대편인 제1젠더유니트 또는 제2젠더유니트의 타측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gender unit or the second gender unit is provided with a power
이에 따라, 상기 젠더부(5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와 보조배터리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에 충전된 전하는 상기 제1,2삽입커넥터 및 연결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됨으로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외부전원에 의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그리고, 상기 젠더부(500)는 상기 제1,2삽입커넥터(512,522)가 삽입배치되는 젠더보호캡(540)을 구비하고, 상기 젠더보호캡(540)은 상기 케이스부 또는 휴대단말기와 일정길이의 스트랩(55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젠더보호캡(540)의 일측단에는 상기 스트랩(550)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공(542)을 구비한다. The
즉,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배터리의 충전량을 모두 소모하여 휴대단말기의 연속적인 사용이 곤란해지는 경우,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보호케이스의 케이스부에 삽입배치한 다음, 상기 젠더부(500)의 제1젠더유니트(510)에 구비된 제1삽입커넥터(512)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소켓단자(2)에 삽입되고, 상기 제2젠더유니트(520)에 구비된 제2삽입커넥터(522)는 상기 케이스부 또는 덮개부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보조전원부의 충전소켓단자에 삽입된다. That is, when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use the portable terminal by exhausting the charge amount of the basic battery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inserts the portable terminal into the case portion of the protective case, and then the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보조전원부의 보조배터리는 서로 전기 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보조배터리에 충전된 전하를 휴대단말기측으로 전달하여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배터리를 분리하여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필요없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auxiliary battery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harges charged in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transferr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Continuous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ossible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battery and replace it with a new one.
또한, 상기 젠더부(500)에 의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소켓단자(2)와 상기 케이스부 또는 덮개부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보조전원부의 충전소켓단자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2젠더유니트(510,5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전원입력단자홈(501)으로 충전기의 충전커넥터(3)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배터리를 충전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전원부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3 (a) and 3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6 (a) and 6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b)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8 (a) and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9 (a) and 9 (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10 (a) and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mobile terminal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구비되는 분리형 보조 전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1 (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etachabl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채용되는 젠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12 (a) and 12 (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gender part employed in a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b)(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채용되는 젠더부의 사용상태도이다. 13 (a), (b) and (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gender unit employed in the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휴대단말기 2 : 전원소켓단자1: Mobile terminal 2: Power socket terminal
100,200,300,400 : 보호케이스 110,210,310,410 : 케이스부 100,200,300,400: Protective case 110,210,310,410: Case part
110a,210a,310a : 내부케이스 110b,210b,310b : 외부케이스110a, 210a, 310a:
111,211,311,411 : 제1배치홈 112,212,312 : 제1내부걸림리브111,211,311,411: First placement groove 112,212,312: First internal locking rib
112a,212a,312a :제1외부걸림리브 120,220,320,430 : 덮개부112a, 212a, 312a: first
122,222,322,432 : 연결덮개 125,225,325 : 접촉편122,222,322,432: Connecting cover 125,225,325: Contact piece
125a,225a,325a : 자석편 130,230,330,430 : 보조 전원부125a, 225a, 325a: Magnet piece 130,230,330,430: auxiliary power supply
131,231,331,431 : 회로기판 132,232,332,432 : 보조 배터리131,231,331,431: Circuit board 132,232,332,432: Spare battery
134,234,334,434 : 충전소켓단자 500 : 젠더부134,234,334,434: Charging socket terminal 500: Gender part
510 : 제1젠더유니트 520 : 제2젠더유니트510: first gender unit 520: second gender unit
512 : 제1삽입커넥터 522 : 제2삽입커넥터512: first insertion connector 522: second insertion connector
Claims (2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2114 | 2009-01-10 | ||
KR20090002114 | 2009-01-1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2812A true KR20100082812A (en) | 2010-07-20 |
Family
ID=4264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4180A KR20100082812A (en) | 2009-01-10 | 2009-03-20 | Cellular phone shieding ca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82812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9775B1 (en) * | 2011-01-27 | 2013-01-21 | 시스텍엔지니어링 (주) | Mobile device recharging and mounting apparatus |
KR200465034Y1 (en) * | 2012-11-06 | 2013-02-01 | 손창복 | Case for mobile phone |
KR101247570B1 (en) * | 2011-02-24 | 2013-03-26 | 김남철 | Protection Cover for Mobile Phone with a Built-in Auxiliary Battery |
KR200476233Y1 (en) * | 2013-05-06 | 2015-02-09 | 박상률 | Mobile phone case |
KR20170002571U (en) * | 2016-01-07 | 2017-07-17 | (주)보토코리아 | Mobile Phone case Comprising Spare Battery and USB Cable |
KR20180057071A (en) | 2016-11-21 | 2018-05-30 | 주식회사 에이티티케이 | mobile phone protection cover assembly |
KR20220095738A (en) | 2020-12-30 | 2022-07-07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Recovering Method of Rare Earth Element from Waste Phosphor Powder Using Acid Leaching |
-
2009
- 2009-03-20 KR KR1020090024180A patent/KR20100082812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9775B1 (en) * | 2011-01-27 | 2013-01-21 | 시스텍엔지니어링 (주) | Mobile device recharging and mounting apparatus |
KR101247570B1 (en) * | 2011-02-24 | 2013-03-26 | 김남철 | Protection Cover for Mobile Phone with a Built-in Auxiliary Battery |
KR200465034Y1 (en) * | 2012-11-06 | 2013-02-01 | 손창복 | Case for mobile phone |
WO2014073832A2 (en) * | 2012-11-06 | 2014-05-15 | Son Chang Bok | Portable terminal case |
WO2014073832A3 (en) * | 2012-11-06 | 2014-07-03 | Son Chang Bok | Portable terminal case |
KR200476233Y1 (en) * | 2013-05-06 | 2015-02-09 | 박상률 | Mobile phone case |
KR20170002571U (en) * | 2016-01-07 | 2017-07-17 | (주)보토코리아 | Mobile Phone case Comprising Spare Battery and USB Cable |
KR20180057071A (en) | 2016-11-21 | 2018-05-30 | 주식회사 에이티티케이 | mobile phone protection cover assembly |
KR20220095738A (en) | 2020-12-30 | 2022-07-07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Recovering Method of Rare Earth Element from Waste Phosphor Powder Using Acid Leach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82812A (en) | Cellular phone shieding case | |
RU2212768C2 (en) | Portable telephone set with changeable battery | |
JP5062983B2 (en) | Battery pack | |
KR20020070653A (en) | Battery pack | |
KR20070071233A (en) | Secondary battery | |
US20110129700A1 (en) | Battery pack | |
CN107925031A (en) | For battery pack electronic box and use its battery pack structure | |
KR20140081658A (en) | Battery pack | |
US20060164031A1 (en) | Battery pack equipped with detachable rechargeable batter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battery pack | |
US20100323224A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036060B1 (en) | Connector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 |
JP2008112654A (en) | Secondary battery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
JP2006093135A (en) | Pack case for secondary battery | |
KR101726777B1 (en) | Jig for Assembling of Battery To Capable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And Battery Prepared Using the Same | |
CN220358272U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1420090B1 (en) | Battery changable mobile device without power cut | |
KR100709868B1 (en) | Pack case for secondary battery | |
KR100949006B1 (en) | Battery pack | |
KR20100070471A (en) | Battery pack | |
KR20050059891A (en) | A mobile-phone secondary battery pack for its intensity reinforcement | |
KR200367091Y1 (en) | bag structure for a large capacity battery | |
KR20120013691A (en) | Battery pack | |
KR20100058116A (en) | Battery pack for handheld terminal | |
KR200307358Y1 (en) | Portable hand phone case having electric charging function | |
JP2004207137A (en)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battery pack charging adapter fixed on 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