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869B1 - Smart phone supporting cradle - Google Patents
Smart phone supporting crad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0869B1 KR102200869B1 KR1020190109750A KR20190109750A KR102200869B1 KR 102200869 B1 KR102200869 B1 KR 102200869B1 KR 1020190109750 A KR1020190109750 A KR 1020190109750A KR 20190109750 A KR20190109750 A KR 20190109750A KR 102200869 B1 KR102200869 B1 KR 1022008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phone
- magnet
- convex surface
- main body
- smart pho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각도 변경이 자유로워서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cradl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smart phone cradle that can be installed detachably and detachably on a mobile phone and is easy to use because the angle is free to change.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휴대폰의 기능 또한 단순한 통화 내지 문자전송의 기능을 넘어 인터넷 검색, 영상정보의 송,수신, DMB, MP3, 게임, 팩스, 이메일 등 복합적인 하나의 휴대용 컴퓨터 개념으로 확대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라 통칭하여 사용되고 있다.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unction of mobile phones goes beyond simple calls or text transmission, but also includes Internet search, video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DMB, MP3, game, fax, e-mail, etc. It has been expanded to and is generally used collectively as a smartphone.
이에,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스마트폰이라는 기기를 통해 시,공간에 구애받음 없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 정보를 검색, 습득, 공유함은 물론,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ly, people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can search, acquire, and share real-time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and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necessary through a device called a smartphone.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등산이나 낚시를 즐기는 가운데 음악을 감상하고, 이동중 영화 등 동영상을 시청하며, 외근이나 출장중 이메일이나 업무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이 그 예라 할 수 있다.Typical examples include listening to music while enjoying mountaineering or fishing through a smartphone, watching videos such as movies while on the move, and receiving e-mail or work data while working outside or on a business trip.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첨단기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물품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취급 부주의 등에 따른 낙하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보호할 필요성, 및 영화나 드라마 등의 동영상을 좀 더 편리하게 감상할 필요가 있는 바, 대다수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좀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폰 거치대를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다.As such, smartphones not only have high-tech functions, but als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expensive items, so it is necessary to safely protect the smartphone from the risk of dropping and damage due to careless handling, and more convenient viewing of videos such as movies and dramas. It is necessary to do so, and most of the smartphone users purchase and use various types of smartphone holders as a separate auxiliary means for safer and more convenient use of smartphones.
대표적인 스마트폰 거치대로서, 스마트폰의 배면에 납작하게 부착되며 휴대폰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어 볼록한 부분을 누르면 휴대폰과 멀어지는 쪽으로 스스로 말려서 굽힘 변형을 유지하고, 말려진 부분에 휴대폰 쪽을 향해 힘을 가하여 펴면 다시 본래의 형상으로 펼쳐지는 가압식 변형 거치대를 들 수 있다.As a representative smartphone cradle, it is flatly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martphone and has a convex cross-sec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obile phone.When the convex part is pressed, it curls itself away from the mobile phone to maintain bending deformation, and the mobile phone side is placed on the rolled part. There is a pressurized deformable cradle that expands back to its original shape by applying a force toward i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압식 변형 거치대의 경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한번 부착된 후 떼어낼 수 없기 때문에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스마트폰을 파지하는데 불편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회전이 불가능하여 안정적인 거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pressurized deformable holder, it occupies a lot of volume because it cannot be removed after being attached to a smartphone or a smartphone case, and there is inconvenience in gripping the smartphone. There was this.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목적은 스마트폰에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여 파지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정된 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phone cradle capable of being attached and detached and rotated on a smart phone, so that it is easy to grip, as well as stable mountin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본체를 포함하되,Including a plate-shaped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본체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볼록면과 오목면을 포함하여 상기 볼록면을 누르면 상기 볼록면 쪽으로 말려서 변형하며, 상기 오목면에는 소정의 통과용 폭을 가지는 X자형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viewed from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one direc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convex surface and a concave surfac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and when the convex surface is pressed, it is rolled toward the convex surface and deformed, and the concave surface has a predetermined width for pass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X-shaped coupling groove is formed having.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에 부착되기 위한 자석을 더 포함하되,The smartphone holder further comprises a magnet for attaching to the smartphone,
상기 자석은 상기 통과용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본체는 상기 자석에 의해 끌리는 자성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gnet has a width equal to the width for passage, and the body at least partially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attracted by the magnet.
상기 오목면과 대향하는 상기 자석의 표면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urface of the magnet facing the concave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concave.
상기 본체의 일측변에 대한 서로 교차하는 2개의 결합홈의 경사각은 45도와 135도로 각각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two coupling grooves cross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re set to 45 degrees and 135 degrees, respectively.
상기 결합홈은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ody along the one direction.
상기 결합홈의 바닥은 상기 오목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flat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concave surfac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본체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볼록면과 오목면을 포함하여 상기 볼록면을 누르면 상기 볼록면 쪽으로 말려서 변형하며, 상기 오목면에는 소정의 통과용 폭을 가지는 X자형 결합홈이 형성되므로 사용중 스마트폰의 바닥을 흔들림 없이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dy includes a plate-shaped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when viewed from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one direction, the body includes a convex surface and a concave surfac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hen the convex surface is pressed, it is rolled toward the convex surface to deform, and an X-shaped coupl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 passage is formed in the concave surface, so that the bottom of the smartphone can be easily supported without shak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부착되기 위한 자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자석은 상기 통과용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본체는 상기 자석에 의해 끌리는 자성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있어, 스마트폰에 착탈 및 회전이 가능하여 파지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정된 거치가 가능하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magnet for attaching to a smartphone, wherein the magnet has a width equal to the width for passage, and the body at least partially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attracted by the magnet, Since it is detachable and rotated, it is not only easy to grip, but also has the effect that stable mounting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일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일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에 스마트폰 거치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에 스마트폰 거치대가 결합된 평상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에 스마트폰 거치대가 결합된 사용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6에서 자석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smart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smart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martphone holder is coupled to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and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rmal example in which a smart phone holder is coupled to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a) and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when a smart phone holder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smart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gnet in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10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본체(10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볼록면(110)과 오목면(120)을 포함하며, 상기 오목면(120)에는 소정의 통과용 폭(W)을 가지며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까지 가로질러 연장되는 X자형 결합홈(130)이 형성된다.1 to 3, the
특히, 상기 본체(100)는 볼록면(110)을 누를 때 상기 볼록면(110) 쪽으로 곡선형으로 말려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를 다시 펼치도록 힘을 가하면 본래 형상으로 용이하게 복원되는 복원성을 함께 가진다.In particular, the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중앙을 눌러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0)를 고리형으로 변형시킨 상태에서 새끼 손가락을 고리형 본체(100)에 넣어 걸리도록 한 후 상기 본체(100)의 결합홈(130)의 통과용 폭(W)을 스마트폰(P)의 하단 폭에 일치시키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0)가 스마트폰(P)의 하단에 결합되어 스마트폰(P)을 흔들림 없이 지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P)의 사용중 부주의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볼록면(110)을 눌러서 상기 본체(100)가 상기 볼록면(110) 쪽으로 말려서 변형될 때 상기 본체(100)는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도록 고리형으로 변형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by pressing the center of the
That is, 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the
특히, 상기 결합홈(130)은 X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스마트폰(P)의 폭 방향과 다소 어긋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을 상기 고리형으로 변형된 본체(100)에 삽입하기가 한결 수월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130)의 바닥은 상기 오목면(120)보다 낮은 위치에서 편평하게 형성되므로 스마트폰(P)의 하단이 결합하는데 지장이 없다.As shown in Fig. 3, the bottom of the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0)는 스마트폰(P)에 부착하기 위한 자석(20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이 경우, 상기 자석(200)은 상기 결합홈(130)의 통과용 폭(W)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본체(100)는 상기 자석(200)에 의해 끌리는 자성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즉, 상기 본체(100) 자체가 자성체일 수도 있고, 합성 수지 내부에 자성체를 내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P) 상에 상기 자석(200)이 부착될 때, 상기 스마트폰(P)의 일측변에 대한 상기 자석(200)의 경사각을 45도로 설정하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변에 대한 서로 교차하는 2개의 결합홈(130)의 경사각을 45도와 135도로 각각 설정하면 상기 스마트폰(P)의 일측변에 대하여 상기 본체(100)가 평행하거나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6 to 8, when the
상기 결합홈(130)의 통과용 폭(W)은 일정한 값을 가지고 있어 상기 스마트폰(P)이나 자석(200)이 상기 결합홈(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width (W) for passage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자석(200)이나 스마트폰(P)을 상기 결합홈(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최적의 거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도 9에는 이와 같이 스마트폰(P)에 스마트폰 거치대(10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그 외에, 일반적인 사용예와 마찬가지로 스마트폰 거치대(1000)가 바닥에 닿도록 하여 스마트폰(P)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동영상 등을 감상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in a general use example, the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면(120)과 대향하는 상기 자석(200)의 표면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의 오목면(120)과의 사이에 비교적 큰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눌림량을 증가시켜서 본체(100)의 한층 용이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0, a relatively large space between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석(200)의 표면에 적절한 크기의 홈(210)을 형성할 수 있다.Preferably, a
이 경우, 상기 자석(200)에 의한 본체(100)의 인력이 지나치게 저하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attractive force of the
더욱이, 상기 결합홈(130)을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100)의 중앙에 배치하여 상기 결합홈(130)과 자석(200)의 홈(210) 사이의 공간이 한층 커지므로 함으로써 상기 중앙 부분을 누를 때 한층 용이하게 본체(100)가 굽힘 변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by arranging th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본체
110... 볼록면
120... 오목면
130... 결합홈
200... 자석
210... 홈
P... 스마트폰
W... 통과용 폭100... main body
110... convex surface
120... concave
130... mating groove
200... magnet
210... home
P... smartphone
W... width for passage
Claims (6)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본체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볼록면과 오목면을 포함하여 상기 볼록면을 누르면 상기 볼록면 쪽으로 말려서 변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오목면의 바닥보다 낮은 위치에서 편평한 바닥을 가지며 소정 크기의 통과용 폭을 가지는 X자형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X자형 결합홈의 서로 교차하는 2개의 결합홈은 각각 상기 본체의 양측면까지 가로질러 연장되고,
상기 본체가 상기 볼록면 쪽으로 말려서 변형될 때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도록 고리형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Including a plate-shaped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When viewed from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one direc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convex surface and a concave surfac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and is rolled toward the convex surface to deform when pressing the convex surface,
In the longitudinal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an X-shaped coupling groove having a flat bottom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concave surface and having a width for passag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Two coupling grooves intersecting each other of the X-shaped coupling groove extend across both sides of the body, respectively,
When the body is rolled toward the convex surface and deformed, it is transformed into a ring shap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 finger.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에 부착되기 위한 자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자석은 상기 통과용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본체는 상기 자석에 의해 끌리는 자성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오목면과 대향하는 상기 자석의 표면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phone holder further comprises a magnet for attaching to the smartphone,
The magnet has a width equal to the width for passage, and the body at least partially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attracted by the magnet,
A smartphon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a concave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gnet facing the concave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9750A KR102200869B1 (en) | 2019-09-04 | 2019-09-04 | Smart phone supporting crad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9750A KR102200869B1 (en) | 2019-09-04 | 2019-09-04 | Smart phone supporting crad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0869B1 true KR102200869B1 (en) | 2021-01-11 |
Family
ID=7412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9750A KR102200869B1 (en) | 2019-09-04 | 2019-09-04 | Smart phone supporting crad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0869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8622B1 (en) * | 2011-10-10 | 2012-12-06 | 첸코안 | Tilt support structure for prtable device |
KR20150129978A (en) | 2014-05-13 | 2015-11-23 | 김성준 | Supporting means for smartphone and tablet pc and case for smartphone and tablet pc having the same |
KR20170005790A (en) * | 2013-11-24 | 2017-01-16 | 하마마, 야니브 | Slim-form charger for a mobile phone |
-
2019
- 2019-09-04 KR KR1020190109750A patent/KR10220086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8622B1 (en) * | 2011-10-10 | 2012-12-06 | 첸코안 | Tilt support structure for prtable device |
KR20170005790A (en) * | 2013-11-24 | 2017-01-16 | 하마마, 야니브 | Slim-form charger for a mobile phone |
KR20150129978A (en) | 2014-05-13 | 2015-11-23 | 김성준 | Supporting means for smartphone and tablet pc and case for smartphone and tablet pc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52028B2 (en) | Wristwatch type smart terminal | |
US20190326767A1 (en) | Adjus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 |
US9277038B1 (en) | Attachable kickstand with multiple positions for cellular phone | |
KR101534488B1 (en) | Cable that can be put away cell phone case | |
US20130114232A1 (en) | Portable electronic module having a holder | |
US20170230488A1 (en) | Mobile Device Securing System | |
US20170163063A1 (en) | Portable phone charger with auxiliary functions | |
TWM565934U (en) | Protective casing | |
KR200463097Y1 (en) | Case of portable terminal with rell type earphone and detachable rell type earphone | |
US7722264B2 (en) | Camera integrated with deformable supporting structure | |
KR102200869B1 (en) | Smart phone supporting cradle | |
US20160037249A1 (en) | Wireless headset system | |
US20100210329A1 (en) | Hand held, ergonomic grip having a portable telephone device removably coupled thereto | |
EP2947782A1 (en) | Holder for mobile terminal | |
KR101215073B1 (en) | Case for smart-phone | |
US9247035B1 (en) | Twisted case | |
US20180041059A1 (en) | Multi-purpose storage container having cover for charging stand | |
CN210517256U (en) | Multifunctional switching data line | |
JP6178815B2 (en) |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KR20140001471U (en) | Pouch for mobile terminal | |
KR101946952B1 (en) | Mobile phone case | |
KR200470736Y1 (en) | Tablet pc case | |
KR20150129978A (en) | Supporting means for smartphone and tablet pc and case for smartphone and tablet pc having the same | |
KR102306904B1 (en) | Multipurpose holder for mobile terminal | |
KR200461377Y1 (en) | A case for tablet p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