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521U -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 - Google Patents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521U
KR20160000521U KR2020140005872U KR20140005872U KR20160000521U KR 20160000521 U KR20160000521 U KR 20160000521U KR 2020140005872 U KR2020140005872 U KR 2020140005872U KR 20140005872 U KR20140005872 U KR 20140005872U KR 20160000521 U KR20160000521 U KR 201600005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unit
studio
support plate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구
Original Assignee
위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5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521U/ko
Publication of KR20160000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5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04H60/05Mobile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8Mobile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에 관한 것으로, 이동성이 높아 장소의 제약 없이 방송을 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아 보관하기 용이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는 내부에 받침판(110)이 구비되는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 내부의 바닥면과 상기 받침판(1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110)을 상기 몸체(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리프트부(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판(110) 상단에 방송을 하기 위한 카메라(310), 모니터(320), 마이크(330), 조명장치(340)가 구비되는 방송장치부(300); 상기 받침판(110)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방송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부(400); 상기 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배경판(510)과, 상기 몸체(100)와 상기 배경판(510)을 연결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520)로 이루어져,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튜디오 배경부(500); 및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수단(60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MOVABLE MINI BROADCAST STUDIO}
본 고안은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물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여 장소의 제약 없이 방송을 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아 보관이 용이한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방송 스튜디오는 방송 장치들이 구비된 특정한 공간(방송실)에서 방송이 가능하였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쉽게 방송을 접할 수 있는 일이 드물었다. 또한, 방송장치들은 상당히 비싼 고가의 장비들이 많고, 방송장치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특정한 교육을 받아야 하며, 방송장치를 다룰 수 있는 기술을 익혀야 했다. 이러한 방송장치들은 일반인들이 쉽게 접하고 다룰 수 있는 일이 드물었기 때문에, 방송기술자들만이 방송장치들을 주로 사용하였다. 또한, 방송장치들은 크기가 크고, 구성품이 많이 이동이 불편하여 야외나 방송실 이외의 장소에서 방송을 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0237호("텔레스코픽 이동식 방송스튜디오", 공개일 2009.01.08., 선행기술)는 이동이 가능한 방송스튜디오에 관한 것으로, 도1은 텔레스코픽 이동식 방송스튜디오의 단면도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텔레스코픽 이동식 방송스튜디오는 켄테이너 박스와 같은 캐빈(10,20,30)들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캐빈(10,20,30) 내부에 방송장치들이 설치되어, 차량으로 이동하여 방송을 할 수 있는 이동식 방송스튜디오이다. 다만, 선행기술의 이동식 방송스튜디오는 차량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일반인들이 손쉽게 이동시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으며, 보관하기 위해 일반 창고가 아닌 버스와 같은 크기의 차가 주차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형 방송스튜디오는 일반인들이 손쉽게 이동시켜 방송장치를 다룰 수 있는 교육이나, 실질적인 방송을 할 수 있는 이동형 미니 스튜디오가 요구되어 지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0237호("텔레스코픽 이동식 방송스튜디오", 공개일 2009.01.08.)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인들이 방송장치를 쉽게 접할 수 있게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여 건물 내의 이동이 자유롭고, 보관 시 공간을 작게 차지하는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소의 제약 없이 교육 또는 방송을 할 수 있는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에 관한 것으로,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는 내부에 받침판(110)이 구비되는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 내부의 바닥면과 상기 받침판(1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110)을 상기 몸체(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리프트부(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판(110) 상단에 방송을 하기 위한 방송장치가 구비되는 방송장치부(300); 상기 받침판(110)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방송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장치가 구비되는 편집부(400); 상기 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배경판(510)과, 상기 몸체(100)와 상기 배경판(510)을 연결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520)로 이루어져,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튜디오 배경부(500); 및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수단(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지면과 수평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520)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520)가 상기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130)이 포함되며, 상기 연결부(520)는 상기 레일(130)과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520)가 상기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는 레일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경판(510)은 상기 몸체(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배경판(510a)이 상기 힌지 결합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100)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100)의 상단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520)는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를 상기 몸체(100)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장치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면방향 또는 후면방향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3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에 관한 것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여 건물 내의 이동이 자유롭고, 보관 시 공간을 작게 차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는 장소의 제약 없이 방송을 위한 교육 또는 실시간 방송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텔레스코픽 이동식 방송스튜디오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의 단면도
도3a, b는 본 고안의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의 몸체의 접힘과 펼침의 실시예
도4는 본 고안의 스튜디오 배경부의 실시예1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스튜디오 배경부의 실시예1의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스튜디오 배경부의 실시예2의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스튜디오 배경부의 실시예2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고안의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의 단면도이며, 도3a는 상기 몸체(100)가 펼쳐진 상태의 실시예이고, 도3b는 상기 몸체(100)가 접혀진 상태의 실시예이다.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는 방송장치가 구비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가 이동되기 위한 이동수단(600) 및 방송 배경이 되는 스튜디오 배경부(50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방송장치부(300) 및 편집부(400)가 구비된 받침판(110)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110)을 상기 몸체(100)의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리프트부(2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는 리프트부(200)에 의해 받침판(110)이 승하강되고, 상기 몸체(100)와 스튜디오 배경부(500) 사이에 방송인(방송을 하는 사람)이 위치하여 방송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는 스튜디오 배경부(500)의 연결부(520)에 의해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접힘 상태에서는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펼침 상태에서는 방송을 위한 교육 및 실시간 방송을 할 수 있다.
도3a,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몸체(100)는 내부에 방송장치부(300) 및 편집부(400)가 구비되는 받침판(110)과 상기 받침판(110)을 상기 몸체(10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승하강시키는 리프트부(200) 및 상기 몸체(100)가 이동되기 위한 이동수단(60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몸체(100)는 받침판(110)이 리프트부(200)에 의해 승하강되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방송장치부(300)를 사용할 때는 받침판(110)이 리프트부(200)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상부방향으로 승강되어 방송장치부(3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 및 보관 시에는 리프트부(200)에 의해 상기 받침판(110)이 하강하여, 상기 방송장치부(300)가 몸체(10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받침판(110)은 상단에 방송을 하기 위한 방송장치부(300)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110)의 하단에는 방송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부(4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110)은 리프트부(200)에 의해 승하강되어 몸체(100)의 접힘과 펼침 상태를 이루어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리프트부(200)는 상기 몸체(100) 내부의 바닥면과 상기 받침판(1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110)을 상기 몸체(100)의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프트부(200)는 상기 받침판(110)과 몸체(100)의 바닥면을 연결하고 상기 받침판(11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를 구동시켜 상기 받침판(11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트부(200)는 각각의 지지대(210)가 X자 형태로 교차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220)에 의해 접힘과 펼침이 이루어져 상기 받침판(110)을 승하강시킨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각각의 지지대(210)가 받침판(110)과 몸체(100) 의 각 모서리에 X자 형태로 교차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고, 각 지지대(210)는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된 나사와 연결된다. 상기 나사는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나사가 회전되면 상기 지지대(210)가 접히거나 펼쳐져 상기 받침판(110)을 승하강시킨다. 상기 지지대(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200)는 몸체(100)로부터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이동 및 보관이 이용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110)이 승하강될 때, 상기 받침판(11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100)와 받침판(110) 사이에 가이드레일(1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편집부(40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서랍(410)에 방송을 편집하는 믹서장치(4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믹서장치(420)는 방송 영상, 음향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서랍(410)은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몸체(100)로부터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동 및 보관 시 용이하게 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믹서장치(420)를 사용할 때는 상기 서랍(410)을 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당겨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 및 보관 시에는 상기 서랍(410)을 몸체(100)의 내측방향으로 밀어 넣어 상기 서랍(410)이 몸체(100) 내부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스튜디오 배경부(500)는 상기 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에 구비되는 배경판(510)과, 상기 몸체(100)와 배경판(510)을 연결하는 연결부(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는 연결부(520)에 의해 상기 몸체(100)로부터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5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방송 상황에 따라 배경판(510)을 상기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의 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4 내지 도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스튜디오 배경부의 실시예1의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스튜디오 배경부의 실시예1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6은 본 고안의 스튜디오 배경부의 실시예2의 사시도이며, 도7은 본 고안의 스튜디오 배경부의 실시예2의 단면도이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실시예1에 대해 설명하면, 스튜디오 배경부(500)는 상기 배경판(510)과 연결부(5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경판(510)은 상부배경판(510a)과 하부배경판(510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는 지면과 수평되게 레일(130)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130)은 연결부(52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520)는 상기 레일(130)과 결합되는 레일결합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연결부(52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상기 레일(130)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를 몸체(100)로부터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방송을 할 때는 상기 연결부(520)가 레일(130)을 따라 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경판(510)이 상기 몸체(100)와 이격된 거리에 위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이동 또는 보관 시에는 상기 연결부(520)가 레일(130)을 따라 몸체(10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부배경판(510b)은 상기 몸체(100)의 측면과 밀착되며, 이 때 상부배경판(510a)은 상기 몸체(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상부배경판(510a)이 상기 힌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몸체(100)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100)의 상단과 밀착되고, 상기 상부배경판(510a)은 몸체(100)의 덮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상부배경판(510a)이 상기 몸체(100)의 상단을 덮을 때는 방송장치들이 손상되지 않기 위해 받침판(110)이 하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520)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배경판(510)을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의 하단에는 상기 배경판(510)의 처짐을 방지하고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배경판지지수단(530)이 더 구비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실시예2에 대해 설명하면, 스튜디오 배경부(500)는 상기 배경판(510)과 연결부(5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경판(510)은 상부배경판(510a)과 하부배경판(51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520)는 몸체(100)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를 상기 힌지 결합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100) 방향으로 180ㅀ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가 상기 힌지 결합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100) 방향으로 180ㅀ 회전하게 되면, 연결부(520)는 몸체(100)의 상단과 밀착되고, 상부배경판(510a)은 몸체(100)의 측면과 밀착된다. 또한, 하부배경판(510b)은 상기 상부배경판(510a)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 상태를 접힌 상태라고 한다. 상기와 같이 접힌 상태가 되면, 이동이 용이하고, 보관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펼친 상태는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를 상기 힌지 결합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100) 외측 방향으로 180ㅀ 회전시켜, 상기 배경판(510)이 몸체(100)와 이격된 거리에 위치시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520)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 방송 시 상기 배경판(510)을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의 하단에는 상기 배경판(510)의 처짐을 방지하고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배경판지지수단(530)이 더 구비된다.
이동수단(600)은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수단(600)을 구동하는 구동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손잡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데, 상기 손잡이는 손으로 파지하여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를 밀거나 끌어 당겨, 접힌 상태의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의 이동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은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의 이동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교실, 강의실, 사무실 및 집 등으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어 일반인과 같이 방송장치를 손쉽게 접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더욱 쉽게 다가갈 수 있다. 또한,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로 이동이 가능하여 고층 건물로 이동하는데 어려움이 없어, 이동성 및 접근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방송장치부(300)는 카메라(310), 모니터(320), 마이크(330), 조명장치(340)와 같은 방송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310)는 받침판(110)의 상단 또는 모니터(320)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방송인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방송인이 카메라(310)의 영상 촬영 범위의 중앙 또는 밖에 위치할 경우 상기 카메라(310)가 움직여 방송인을 카메라(310)의 영상 촬영 범위 안에 들어오게 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카메라(310)를 움직이는 구동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320)는 상기 받침판(110) 상단에 상기 몸체(100)의 전면방향 또는 후면방향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방송인과 편집인(믹서장치를 조작하는 사람)이 카메라(310)로 촬영되는 영상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320)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방송을 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3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방송인과 편집인의 음성 신호를 받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340)는 상기 받침판(110)은 상단에 구비되어, 밝기를 조절한다. 이외에도 상기 방송장치부(300)는 실시간 중계를 위한 방송장치나 음향장치와 같은 다양한 방송장치들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방송 내용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2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는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여 사무실 및 강의실과 같은 건물 내의 진입 및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어 방송을 위한 교육 및 체험이나, 실시간 방송에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몸체
110 : 받침판
120 : 전원공급장치
130 : 레일
200 : 리프트부
210 : 지지대
220 : 구동부
300 : 방송장치부
310 : 카메라
320 : 모니터
330 : 마이크
340 : 조명장치
400 : 편집부
410 : 서랍
420 : 믹서장치
500 : 스튜디오 배경부
510 : 배경판
510a : 상부배경판
510b : 하부배경판
520 : 연결부
530 : 배경판지지수단
600 : 이송수단

Claims (5)

  1. 내부에 받침판(110)이 구비되는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 내부의 바닥면과 상기 받침판(1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110)을 상기 몸체(1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리프트부(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판(110) 상단에 방송을 하기 위한 방송장치가 구비되는 방송장치부(300);
    상기 받침판(110)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방송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장치가 구비되는 편집부(400);
    상기 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배경판(510)과, 상기 몸체(100)와 상기 배경판(510)을 연결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520)로 이루어져,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튜디오 배경부(500); 및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수단(6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지면과 수평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520)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520)가 상기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130)이 포함되며,
    상기 연결부(520)는
    상기 레일(130)과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520)가 상기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는 레일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판(510)은
    상기 몸체(100)의 상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배경판(510a)이 상기 힌지 결합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100)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100)의 상단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20)는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를 상기 몸체(100)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스튜디오 배경부(500)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장치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면방향 또는 후면방향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3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
KR2020140005872U 2014-08-05 2014-08-05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 KR201600005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872U KR20160000521U (ko) 2014-08-05 2014-08-05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872U KR20160000521U (ko) 2014-08-05 2014-08-05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21U true KR20160000521U (ko) 2016-02-15

Family

ID=5535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872U KR20160000521U (ko) 2014-08-05 2014-08-05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52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559A (ko) * 2017-08-18 2019-02-27 김현옥 포터블 포토 스튜디오
KR20210083046A (ko) 2019-12-26 2021-07-06 (주)자유자재 조립식 부스
KR20210133451A (ko) 2020-04-29 2021-11-08 신희영 휴대 가능한 이동식 스튜디오
KR20220163601A (ko) 2021-06-03 2022-12-12 김홍일 이동식 스튜디오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559A (ko) * 2017-08-18 2019-02-27 김현옥 포터블 포토 스튜디오
KR20210083046A (ko) 2019-12-26 2021-07-06 (주)자유자재 조립식 부스
KR20210133451A (ko) 2020-04-29 2021-11-08 신희영 휴대 가능한 이동식 스튜디오
KR20220163601A (ko) 2021-06-03 2022-12-12 김홍일 이동식 스튜디오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6014B1 (en) Lectern
US6545863B2 (en) Compact configurable computer and mixed media workstation and enclosure
KR20160000521U (ko) 이동형 미니 방송 스튜디오
EP2186435B1 (en) Meeting table
CN101128137A (zh) 薄屏幕封闭体
US8023187B1 (en) Cabinet projection screen with automatic push-pull structural function
CN209750285U (zh) 多功能学习课桌
WO2014125364A2 (en) An entertainment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WM495045U (zh) 可旋轉折疊的電視支撐架
KR100806540B1 (ko) 멀티미디어강의대용 높낮이조절형 거치대
WO2006091876A3 (en) Unseen flat screen
KR200478172Y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KR101633093B1 (ko) 승하강식 칠판
CN201331849Y (zh) 便携式移动电教平台用机箱
CN106023660A (zh) 一种交互式教学系统
CN206252133U (zh) 具有隐藏式影音系统的组合式厅柜
CN213934525U (zh) 一种屏幕可卷曲的便携式投影系统
CN210954598U (zh) 一种图书馆3d投影幕布
KR20150064301A (ko) 전자 교탁
CN113349550A (zh) 一种英语视听教育用公共课堂演讲辅助设备
CN206191218U (zh) 一种多功能带台夹直播视频支架
KR100466848B1 (ko) 다목적용 교탁
CN209931843U (zh) 一种中文演讲多功能演讲台
CN220022995U (zh) 一种带投影及置物功能的户外电瓶音箱
KR200483007Y1 (ko) 침대용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