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405U -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405U
KR20160000405U KR2020140005598U KR20140005598U KR20160000405U KR 20160000405 U KR20160000405 U KR 20160000405U KR 2020140005598 U KR2020140005598 U KR 2020140005598U KR 20140005598 U KR20140005598 U KR 20140005598U KR 20160000405 U KR20160000405 U KR 201600004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propeller boss
foreign matter
cutter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철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5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405U/ko
Publication of KR20160000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4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63H5/165Propeller guards, line cutters or other means for protecting propellers or rud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고안은, 선체의 선미에 고정되어 후방의 프로펠러 보스로 이어지는 회전축을 감싸는 로프가드와; 프로펠러 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로프가드에 설치되는 로프커터; 및 로프커터가 프로펠러 보스에 접촉되지 않게 설치되도록 로프커터를 로프가드에 결합시키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APPARATUS FOR PROVENTING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AND VESSEL THEREWITH}
본 고안은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미관 수밀장치에 구비되어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내에 설치된 엔진에 선미관(Stern tube)을 관통하여 프로펠러 샤프트(Propeller shaft)의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프로펠러 샤프트의 타단은 프로펠러(Propeller)에 고정 결합되고 프로펠러의 안쪽 끝 부분에는 라이너(Liner)가 결합되어 엔진에 의해 샤프트와 프로펠러 그리고 라이너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때, 프로펠러는 선박의 외부로 돌출되어 수중에 위치하게 되고, 프로펠러와 결합된 라이너와 선미관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통해 선내로 유입된 해수는 선내의 오일 등과 혼합되어 오염 물질로 축적되어 선내를 부식시키고, 이러한 오염 물질이 해수로 배출되는 경우 해양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선내의 부식 및 해양 오염 그리고 해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라이너와 선미관 사이의 선미관 말단에 고정되는 선미관 수밀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선미관 수밀장치의 경우, 로프 또는 그물 등 외부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선미관 수밀장치에는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가 설치될 필요성이 있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신안공보 제10-2009-0061736호, 2009년 06월 17일 공개, 고안의 명칭 : 로프가드)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선미관 수밀장치에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는: 선체의 선미에 고정되어 후방의 프로펠러 보스로 이어지는 회전축을 감싸는 로프가드와; 프로펠러 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로프가드에 설치되는 로프커터; 및 로프커터가 프로펠러 보스에 접촉되지 않게 설치되도록 로프커터를 로프가드에 결합시키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로프가드는, 프로펠러 보스의 폭방향으로 프로펠러 보스의 외주면과 동일 선상 또는 프로펠러 보스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간격조절부는, 로프가드의 외측에 설치되어 로프커터를 프로펠러 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자 하는 설정간격만큼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격조절부는, 설정간격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로프커터는 간격조절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가 구비된 선박은: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프로펠러가 설치되며, 선체의 선미 측에 구비되어 회전축에 설치되는 프로펠러 보스; 및 프로펠러 보스와 인접되도록 회전축을 감싸는 로프가드와, 프로펠러 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로프가드에 설치되는 로프커터, 및 로프커터가 프로펠러 보스에 접촉되지 않게 설치되도록 로프커터를 로프가드에 결합시키는 간격조절부를 구비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따르면, 회전축과 프로펠러 보스 간의 조립공차에 영향받지 않고 로프커터가 프로펠러 보스와 설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로펠러 보스와 로프커터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한 어망, 로프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로프커터가 프로펠러 보스에 접촉되어 프로펠러 보스 및 로프커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설정간격에 따라 알맞는 두께의 간격조절부를 선택하여 설치 또는 교체하는 것만으로 대상 선박에 적합한 규격으로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프로펠러 보스와 로프커터 간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가 구비된 선박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유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은, 회전축(110)과, 프로펠러 보스(120) 및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150)를 포함한다.
회전축(110)은 선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축(110)은 선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의 프로펠러 보스(120) 측으로 이어지도록 연장되게 구비되며, 선박에 설치된 엔진(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프로펠러 보스(120)는 선체(1)의 선미 측에 구비된다. 프로펠러 보스(120)는 회전축(110)에 설치되어 회전축(110)에 의해 회전되고, 이러한 프로펠러 보스(120)에는 선박(100)을 운행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130)가 설치된다.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150)는, 선체(1)의 선미 측에 구비되며, 로프가드(160)와, 로프커터(170) 및 간격조절부(180)를 포함한다.
로프가드(160)는 선체(1)의 선미에 고정되고, 후방의 프로펠러 보스(120)와 인접되도록 회전축(110)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로프가드(160)는 선체(1)의 선미와 프로펠러 보스(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커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프로펠러(130) 및 주변 구조물에 대한 직접적인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로프가드(160)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선체(1)의 선미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로프커터(170)는 프로펠러 보스(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로프가드(160)에 설치된다. 로프커터(170)는 프로펠러(130) 측을 향한 단부와 양측면에 커터날이 형성되어 어망, 로프와 같은 이물질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로프커터(170)는 프로펠러(130) 주변에 부유하는 어망, 로프와 같은 이물질을 절단함으로써, 이러한 이물질이 프로펠러(130) 측으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간격조절부(180)는 로프커터(170)가 프로펠러 보스(120)에 접촉되지 않게 설치되도록 로프커터(170)를 로프가드(160)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간격조절부(180)는 로프가드(160)와 로프커터(170) 사이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프가드(160)는 프로펠러 보스(120)의 폭방향으로 프로펠러 보스(120)의 외주면과 동일 선상 또는 프로펠러 보스(12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간격조절부(180)는 이처럼 설치된 로프가드(160)의 외측에 설치되어 로프커터(170)를 프로펠러 보스(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자 하는 설정간격(d)만큼 이격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간격조절부(180)는 설정간격(d)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로프커터(170)는 이러한 간격조절부(180)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로프커터(170)는, 프로펠러 보스(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프로펠러 보스(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설정간격(d)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로프커터(170)가 프로펠러 보스(120)로부터 이격되는 설정간격(d)은, 프로펠러 보스(120)와 로프커터(17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어망, 로프 등이 유입될 수 없도록 되도록 좁게 설정되되, 회전축(110)의 길이, 프로펠러 보스(120)의 크기 등 여러 측면을 감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서, 설정간격(d)은 프로펠러 보스(120)와 로프커터(17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한 어망, 로프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도록 좁게 설정되되, 회전축(110)과 프로펠러 보스(120)의 조립시 발생될 수 있는 조립공차로 인해 변화될 수 있는 프로펠러 보스(120)와 로프커터(170) 간의 간격보다는 넓게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설정간격(d)은, 프로펠러 보스(120)와 로프커터(17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한 어망, 로프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도 로프커터(170)가 프로펠러 보스(120)에 접촉되어 프로펠러 보스(120) 및 로프커터(17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인 것으로 예시된다.
아울러 간격조절부(180)는 설정간격(d)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제조될 수 있으며, 회전축(110)의 길이, 프로펠러 보스(120)의 크기 등 여러 측면을 감안하여 결정된 설정간격(d)에 따라 이에 알맞는 두께의 간격조절부(180)를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만으로, 대상 선박에 적합한 규격으로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15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150) 및 이를 구비한 선박(100)은, 회전축(110)과 프로펠러 보스(120) 간의 조립공차에 영향받지 않고 로프커터(170)가 프로펠러 보스(120)와 설정간격(d)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로펠러 보스(120)와 로프커터(17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한 어망, 로프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로프커터(170)가 프로펠러 보스(120)에 접촉되어 프로펠러 보스(120) 및 로프커터(17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150) 및 이를 수비한 선박(100)은, 설정간격(d)에 따라 알맞는 두께의 간격조절부(180)를 선택하여 설치 또는 교체하는 것만으로 대상 선박에 적합한 규격으로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15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프로펠러 보스(120)와 로프커터(170) 간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를 구비한 선박
110 : 회전축 120 : 프로펠러 보스
130 : 프로펠러 150 :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160 : 로프가드 170 : 로프커터
180 : 간격조절부

Claims (4)

  1. 선체의 선미에 고정되어 후방의 프로펠러 보스로 이어지는 회전축을 감싸는 로프가드;
    상기 프로펠러 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로프가드에 설치되는 로프커터; 및
    상기 로프커터가 프로펠러 보스에 접촉되지 않게 설치되도록 로프커터를 로프가드에 결합시키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가드는, 프로펠러 보스의 폭방향으로 프로펠러 보스의 외주면과 동일 선상 또는 프로펠러 보스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로프가드의 외측에 설치되어 로프커터를 프로펠러 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자 하는 설정간격만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설정간격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프커터는 간격조절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4.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프로펠러가 설치되며, 선체의 선미 측에 구비되어 회전축에 설치되는 프로펠러 보스; 및
    상기 프로펠러 보스와 인접되도록 회전축을 감싸는 로프가드와, 프로펠러 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로프가드에 설치되는 로프커터, 및 로프커터가 프로펠러 보스에 접촉되지 않게 설치되도록 로프커터를 로프가드에 결합시키는 간격조절부를 구비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가 구비된 선박.
KR2020140005598U 2014-07-25 2014-07-25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600004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98U KR20160000405U (ko) 2014-07-25 2014-07-25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98U KR20160000405U (ko) 2014-07-25 2014-07-25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05U true KR20160000405U (ko) 2016-02-03

Family

ID=5535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598U KR20160000405U (ko) 2014-07-25 2014-07-25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40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759B1 (ko) * 2018-10-23 2019-05-20 (주)성덕산업 프로펠러용 로프커터
KR20190097968A (ko) * 2018-02-13 2019-08-21 창원문성대학교산학협력단 추진장치 및 조타장치 보호가드
KR102110946B1 (ko) * 2019-09-24 2020-05-27 주식회사 한진펌프 교반기의 협잡물 걸림방지 및 커팅 장치
KR102210363B1 (ko) * 2019-11-26 2021-02-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수밀장치 보호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968A (ko) * 2018-02-13 2019-08-21 창원문성대학교산학협력단 추진장치 및 조타장치 보호가드
KR101979759B1 (ko) * 2018-10-23 2019-05-20 (주)성덕산업 프로펠러용 로프커터
KR102110946B1 (ko) * 2019-09-24 2020-05-27 주식회사 한진펌프 교반기의 협잡물 걸림방지 및 커팅 장치
KR102210363B1 (ko) * 2019-11-26 2021-02-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수밀장치 보호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0405U (ko)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EP2311726B1 (en) Marine propeller with reverse thrust cup
AU2016268754B2 (en) Waterjet propulsion system and watercraft having a waterjet propulsion system
KR101641882B1 (ko) 보호망을 구비한 코트 노즐 프로펠러
CN103770925A (zh) 船舶艉轴密封组保护装置
KR200479789Y1 (ko) 선박용 추진 시스템
KR20110003513U (ko) 선박의 그물 커터기 설치구조
KR200326951Y1 (ko) 선박용 프로펠러 로프 커터
KR20150050918A (ko) 추진 장치
US5501622A (en) Marine mammal guard
EP1578662B1 (en) Arrangement in a propulsion system
US9302756B1 (en) Stern drives and flywheel housings for stern drives
US8197292B2 (en) Propulsion system for marine vessel
KR102179639B1 (ko) 보트 선외기의 추진프로펠러 보호장치
KR20160000207U (ko) 러더 벌브를 구비한 선박용 추진 시스템
JP6282872B2 (ja) 船外機
KR20160000147A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1652382B1 (ko) 환기 장치를 구비한 해상구조물
KR20150099094A (ko) 워터제트 선박용 추진축 보호장치
KR20140118516A (ko) 부식방지용 워터젯 추진기가 구비된 선박
AU2002240916B2 (en) Marine propulsion system
KR101616415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1955413B1 (ko) 선박 연료 절감형 다이버젠트 프로펠러 커버캡
US6981902B1 (en) Marine reaction thruster
KR102051420B1 (ko) 추진장치 및 조타장치 보호가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