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339U - 다단식 접시 - Google Patents

다단식 접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339U
KR20160000339U KR2020140005450U KR20140005450U KR20160000339U KR 20160000339 U KR20160000339 U KR 20160000339U KR 2020140005450 U KR2020140005450 U KR 2020140005450U KR 20140005450 U KR20140005450 U KR 20140005450U KR 20160000339 U KR20160000339 U KR 201600003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tube
plate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226Y1 (ko
Inventor
한기탁
Original Assignee
한기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탁 filed Critical 한기탁
Priority to KR2020140005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2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3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8Plate-holder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많은 양의 음식을 담을 수 있으면서 차지하는 면적이 좁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다단식 접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는 하부접시(11)와 상부접시(12)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봉(20)에 의해 고정됨으로, 많은 음식물을 담으면서도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지지봉(20)의 길이를 축소시켜 전체 크기를 줄임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단식 접시{multistage dish}
본 고안은 많은 양의 음식을 담을 수 있으면서 차지하는 면적이 좁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다단식 접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시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담을 때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233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대에 여러 개의 접시를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하여 접시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받침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음식물 받침대는 여러개의 접시가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접시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각각의 접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의 크기가 커서 보관 및 운반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 들어 캠핑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이러한 캠핑을 할 때는 테이블의 면적이 좁아서 넓은 음식물 받침대를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많은 양의 음식을 담을 수 있으면서 차지하는 면적이 좁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다단식 접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접시(11)와, 상하로 연장된 봉형태로 구성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접시(11)에 고정된 지지봉(20)과,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20)의 중간부 또는 상단에 결합되는 1개 이상의 상부접시(1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20)은 상호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관체(21,22)로 구성되어, 상기관체(21,22)를 슬라이드시켜 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접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봉(20)은 하단이 상기 하부접시(11)에 고정되는 지지관체(21)와, 상기 지지관체(21)의 외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관체(2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접시(12)는 각 승강관체(22)의 하단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20)의 길이를 신축시키면 상기 상, 하부접시(11,12)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접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봉(20)은 하단이 상기 하부접시(11)에 고정되는 지지관체(21)와, 상기 지지관체(2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관체(2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접시(12)는 상기 지지관체(21)와 승강관체(22)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접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접시(11)와 상부접시(12)는 상기 지지봉(20)에 결합된 지지부(13)와, 상기 지지부(13)의 둘레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회동부(14)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부(14)는 상기 상, 하부접시(11,12)의 둘레부를 방사방향의 절취선으로 잘라낸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14)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상, 하부접시(11,12)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접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관체(21) 또는 승강관체(22)에는 탄성부재(23a)에 의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되는 스토퍼(23)가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23)에 승강관체(22)가 걸려 상승된 승강관체(22)가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접시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는 하부접시(11)와 상부접시(12)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봉(20)에 의해 고정됨으로, 많은 음식물을 담으면서도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지지봉(20)의 길이를 축소시켜 전체 크기를 줄임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를 도시한 측단면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의 제2 실시예의 상, 하부접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 접시를 도시한 것으로, 하부접시(11)와, 상하로 연장된 봉형태로 구성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접시(11)에 고정된 지지봉(20)과,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20)의 중간부 또는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상부접시(1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접시(11)는 둘레면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일반적인 접시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견고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봉(20)이 고정결합되는 결합공(11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20)은 상호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관체(21,22)로 구성되어, 상기 관체(21,22)를 슬라이드시켜 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봉(20)을 이루는 관체(21,22)는 하단이 상기 하부접시(11)에 고정되는 지지관체(21)와, 상기 지지관체(21)의 외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상, 하부 2개의 승강관체(2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체(21)는 상기 하부접시(11)의 결합공(11a) 하단에 걸리는 걸림턱(21a)이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접시(11)의 결합공(11a)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승강관체(22) 중에서 하측에 위치된 하부승강관체(22b)는 상기 지지관체(21)에 비해 지름이 크게 구성되어 상기 지지관체(21)의 외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승강관체(22b)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승강관체(22a)는 상기 하부승강관체(22b)에 비해 지름이 크게 구성되어, 상기 하부승강관체(22b)의 외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 하부승강관체(22a,22b)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접시(12)의 하측면이 걸리는 걸림턱(22c)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관체(21)의 상단과 하부승강관체(22b)에는 탄성부재(23a)에 의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되는 스토퍼(23)가 출몰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 하부승강관체(22a,22b)를 상승시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23)에 의해 상, 하부승강관체(22a,22b)의 하단이 걸려 상, 하부승강관체(22a,22b)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기 상부접시(12)는 상기 하부접시(11)와 동일하게 둘레면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합성수지 재질의 접시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하 2개로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상, 하부승강관체(22a,22b)가 관통결합되는 결합공(12a)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접시(11)와 상부접시(12)를 상기 지지관체(21)와 상, 하부승강관체(22a,22b)의 외부에 끼우면, 상기 상, 하부접시(11,12)의 하단이 상기 걸림턱(21a)에 걸려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21)와 상, 하부승강관체(22a,22b)를 상호 조립하면 상기 스토퍼(23)에 의해 상기 상, 하부승강관체(22a,22b)가 지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접시(11)와 2개의 상부접시(12)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3)를 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 하부승강관체(22a,22b)를 하강시켜 지지봉(20)의 길이를 줄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승강관체(22a,22b)와 함께 2개의 상부접시(12)가 하강되어, 하부접시(11)와 상부접시(12)가 상호 밀착되도록 겹쳐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단식 접시는 하부접시(11)와 상부접시(12)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봉(20)에 의해 고정됨으로, 많은 음식물을 담으면서도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지지봉(20)의 길이를 축소시켜 전체 크기를 줄임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접시(12)는 각 승강관체(22)의 하단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20)의 길이를 신축시키면 상기 상, 하부접시(11,12)의 간격이 조절됨으로, 다단식 접시 전체의 부피를 줄이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승강관체(22)는 상, 하부 2개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접시(12) 역시 2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승강관체(22)의 개수와 상부접시(1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접시(11,12)는 상기 지지봉(20)의 외부에 끼움결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상, 하부접시(11,12)는 지지봉(20)의 외부에 접착고정되거나 나사나 기타 다양한 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하부접시(11)와 상부접시(12)는 상기 지지봉(20)에 결합되는 지지부(13)와, 상기 지지부(13)의 둘레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회동부(14)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동부(1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접시(11,12)의 둘레부를 방사방향의 절취선으로 잘라낸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 하부접시(11,12)의 둘레부를 8등분하여 각각의 회동부(14)가 상기 지지봉(20)을 중심으로 하는 45°의 부채꼴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각 회동부(14)의 내측단은 상기 지지부(13)의 둘레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축(15)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14)를 지지부(13)에 결합되게 하는 각각의 힌지축(15)은 지지부(13)의 중앙부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14)를 상측으로 회동시킬 때 각각의 회동부(14)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위치된 접시의 지지부(13)는 상측에 위치된 접시의 지지부(13)에 비해 지름이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14)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상, 하부접시(11,12)를 편 상태에서 상, 하부접시(11,12)의 상부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14)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상, 하부접시(11,12)를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단식 접시는 상, 하부접시(11,12)가 지지부(13)와 회동부(14)로 구성되어, 회동부(14)를 접어 접시의 크기를 더욱 줄일 수 있음으로, 단순히 상, 하부접시(11,12)를 겹치도록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상, 하부접시(11,12)의 지름을 줄일 수 있음으로, 보관 및 운반이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동부(14)는 상, 하부접시(11,12)를 8등분 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회동부(14)는 상, 하부접시(11,12)를 8등분 이상으로 더욱 작게 잘라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봉(20)을 이루는 관체(21,22)는 하단이 상기 하부접시(11)에 고정되는 지지관체(21)와, 상기 지지관체(2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관체(22)로 구성된다.
이때, 승강관체(22)의 하단에는 탄성부재(23a)에 의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되는 스토퍼(23)가 출몰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관체(21)의 상단에는 상기 스토퍼(23)가 맞물리는 고정공(2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접시(11)는 상기 지지관체(21)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접시(12)는 상기 지지관체(21)와 승강관체(22)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접시(11)에는 상기 지지관체(21)가 결합되는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하측면이 상기 지지관체(21) 하단의 걸림턱(21a)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관체(21)에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20)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상부접시(12)에는 상기 승강관체(22)가 결합되는 결합공(12a)이 형성되어, 하측면이 상기 지지관체(21)에 걸리도록 승강관체(2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가장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접시(12)의 하측면에는 상기 승강관체(22)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홈(12b)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20)을 연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관체(21)의 하단에 상기 하부접시(11)를 결합하고, 상기 지지관체(21)의 상단과 승강관체(22)의 상단에 상기 상부접시(12)를 각각 결합하여, 각각의 접시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접시(12)와 하부접시(11)를 분리한 후, 상기 지지봉(20)의 길이를 줄여 보관할 수 있다.상기 지지관체(21)의 하단과 상단, 그리고, 상기 승강관체(22)의 상단에 하부접시(11)와 상부접시(12)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접시(11)와 상부접시(12)를 지지봉(20)의 상측으로 빼내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 하부접시(11,12)를 지지봉(20)과 별도로 분리함으로써, 다단식 접시의 부피를 더욱 줄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승강관체(22)는 1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승강관체(22)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측에 위치된 승강관체(22)가 하측에 위치된 승강관체(22)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접시(12)의 개수 역시 이에 대응되도록 증가될 수 있다.
11. 하부접시 12. 상부접시
20. 지지봉

Claims (5)

  1. 하부접시(11)와,
    상하로 연장된 봉형태로 구성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접시(11)에 고정되는 지지봉(20)과,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20)의 중간부 또는 상단에 결합되는 1개 이상의 상부접시(1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20)은 상호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관체로 구성되어, 상기 관체를 슬라이드시켜 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접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은
    하단이 상기 하부접시(11)에 고정되는 지지관체(21)와,
    상기 지지관체(21)의 외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관체(2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접시(12)는 승강관체(22)의 하단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20)의 길이를 신축시키면 상기 상, 하부접시(11,12)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접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0)은
    하단이 상기 하부접시(11)에 고정되는 지지관체(21)와,
    상기 지지관체(2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관체(2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접시(12)는 상기 지지관체(21)와 승강관체(22)의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접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접시(11)와 상부접시(12)는
    상기 지지봉(20)에 결합된 지지부(13)와,
    상기 지지부(13)의 둘레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회동부(14)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부(14)는 상기 상, 하부접시(11,12)의 둘레부를 방사방향의 절취선으로 잘라낸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14)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상, 하부접시(11,12)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접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체(21) 또는 승강관체(22)에는 탄성부재(23a)에 의해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되는 스토퍼(23)가 구비되어, 상승된 승강관체(22)가 상기 스토퍼(23)에 걸려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접시.
KR2020140005450U 2014-07-21 2014-07-21 다단식 접시 KR200482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450U KR200482226Y1 (ko) 2014-07-21 2014-07-21 다단식 접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450U KR200482226Y1 (ko) 2014-07-21 2014-07-21 다단식 접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39U true KR20160000339U (ko) 2016-01-29
KR200482226Y1 KR200482226Y1 (ko) 2017-01-02

Family

ID=5531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450U KR200482226Y1 (ko) 2014-07-21 2014-07-21 다단식 접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15Y1 (ko) * 2018-04-09 2018-10-11 이국찬 다단 제사용 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167B1 (ko) * 2021-11-18 2023-11-07 최영민 바비큐 그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862A (ko) * 2003-09-08 2005-03-14 주식회사명진공업 파라솔
KR20080002068U (ko) * 2006-12-19 2008-06-24 조건희 다단구조의 음식물받침대
JP2012165855A (ja) * 2011-02-14 2012-09-06 Kai R & D Center Co Ltd 調理用蒸し台
KR20130005897U (ko) * 2012-03-30 2013-10-10 김윤균 다단식 접시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862A (ko) * 2003-09-08 2005-03-14 주식회사명진공업 파라솔
KR20080002068U (ko) * 2006-12-19 2008-06-24 조건희 다단구조의 음식물받침대
JP2012165855A (ja) * 2011-02-14 2012-09-06 Kai R & D Center Co Ltd 調理用蒸し台
KR20130005897U (ko) * 2012-03-30 2013-10-10 김윤균 다단식 접시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15Y1 (ko) * 2018-04-09 2018-10-11 이국찬 다단 제사용 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226Y1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82617S1 (en) Collapsible cup assembly with container lid
RU2689209C2 (ru) Складываем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US8584598B2 (en) Collapsible table
US20140261203A1 (en) Portable Animal Feeder
USD749373S1 (en) Combined collapsible salad or vegetable spinner and cleaner
US9615654B2 (en) Slimfold table
AU2014201882B2 (en) Expanding food storage container
KR200482226Y1 (ko) 다단식 접시
US9555926B2 (en) Collapsible storage bucket
US9003980B1 (en) Foldable table with stacking arrangement
US9284094B2 (en) Collapsible container
JP6753172B2 (ja) 折り畳み式ラック
CN203938019U (zh) 管件存储装置
KR101654910B1 (ko) 사단 접이식 테이블
KR101743573B1 (ko) 절첩식 파레트
CN201289139Y (zh) 一种带折叠支撑脚的烤盘
CN107192211B (zh) 一种折叠层架和冰箱
KR200469926Y1 (ko) 다단식 접시 받침대
CN219584747U (zh) 一种组合式收纳盒
CA2823471A1 (en) Expandable and collapsible table with nesting leaves
CN207897801U (zh) 面包发酵箱托盘
JP3181560U (ja) 收納箱を安全に重ねて積むための位置固定装置
CN213832511U (zh) 伸缩篮
CN220375046U (zh) 一种物流托盘
KR20110036718A (ko) 조립식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