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53U - 방향제 케이스 - Google Patents

방향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53U
KR20160000253U KR2020140005274U KR20140005274U KR20160000253U KR 20160000253 U KR20160000253 U KR 20160000253U KR 2020140005274 U KR2020140005274 U KR 2020140005274U KR 20140005274 U KR20140005274 U KR 20140005274U KR 20160000253 U KR20160000253 U KR 201600002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upper body
lower body
pres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2020140005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253U/ko
Publication of KR201600002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 재질의 반구(半球) 형태의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 몸체의 내주부와 결합되도록 상부에는 끼움부재가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반구(半球) 형태의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 양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홈과 체결되어 고정, 결합되는 걸림돌기과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결합하면 마련되는 내부의 공간부에 수용되어 형성되는 방향제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 표면에는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기 위해 원(圓) 형태로 배열되어 각각 형성되는 향 분사공과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 끝단에 형성되는 장식부재와 상기 하부 몸체의 하부 또는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상기 하부 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방향제 케이스는 몸체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취급이 비교적 안전할 뿐만아니라 장식품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향제 케이스 {Aromatic Case}
본 고안은 방향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 등에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방향제를 사용할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방향제는 자동차나 가게 등의 실내 영업장 등을 비롯하여 가정 내의 화장실등과 같은 곳에서 불쾌한 냄새를 제거함은 물론이며, 쾌적하고 신선한 실내 공기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는 식물의 잎, 줄기, 과실, 꽃. 뿌리 등에서 채취하거나 화학물질의 결합을 통한 휘발성 향기로서, 주로 사람의 기분을 상쾌하게 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그 수요가 증가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향제를 고정시키고 수용하기 위한 용기인 방향제 케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기의 내부에 충전된 방향제가 휘발되도록 하여 방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방향제를 휘발시켜 후각을 자극하는 기능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으며, 방향제가 소모되면 다시 새로운 방향제를 충전하여 재사용하거나 새로운 방향제 용기 및 방향제를 구입해야 함으로써 비용의 발생과 쓰레기의 배출량을 증대시키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방향제는 향기로운 액체를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 병에 넣어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만큼 마개를 개방하여 사용하거나, 일정한 모양의 두꺼운 종이에 방향제를 묻혀서 실내나 차량 내부 등 원하는 위치에 놓아 사용하였다.
그런데,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방향제가 주입된 용기를 넘어뜨리거나 파손할 경우, 액체로 제조된 방향제를 쉽게 손실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KR1999-0034713 20 KR2008-0004960 20 KR2013-0002216 20
본 고안은 케이스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하여 가정, 사무실 및 차량 등의 실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방향제 케이스 내부에 있는 방향제가 소진되면 꺼내어 새 것을 집어 넣을수 있어, 반복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방향제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합성수지 재질의 반구(半球) 형태의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 몸체의 내주부와 결합되도록 상부에는 끼움부재가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반구(半球) 형태의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 양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홈과 체결되어 고정, 결합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결합하면 마련되는 내부의 공간부에 수용되어 형성되는 방향제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 표면과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기 위해 원(圓) 형태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각각 형성되는 향 분사공과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 끝단에 형성되는 장식 부재와 상기 하부 몸체의 밑면 또는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상기 하부 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의 표면에는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광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공이 하부 몸체의 하부 끝단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는 흡착부재이며, 하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는 집게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제 케이스는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취급이 안전하고 방향제 케이스를 장식품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몸체의 상단에 케릭터 형태의 부재가 설치되므로 식별력이 있어 상품성이 향상된다.
또한, 하부 몸체의 일측이나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수단으로 인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휴대도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분해 조립도.
도 1c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제2실시예의 분해 조립도.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결합한 상태의 도면.
본 고안의 구성적 특징은 합성수지 재질의 반구(半球) 형태의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 몸체의 내주부와 결합되도록 상부에는 끼움부재가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반구(半球) 형태의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 양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홈과 체결되어 고정, 결합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결합하면 마련되는 내부의 공간부에 수용되어 형성되는 방향제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 표면과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기 위해 원(圓) 형태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각각 형성되는 향 분사공과 상기 상부 몸체의 상부 끝단에 형성되는 장식 부재와 상기 하부 몸체의 밑면 또는 일측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상기 하부 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에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공이 하부 몸체의 하부 끝단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는 흡착부재이며, 하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는 집게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분해 조립도이고, 도 1c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제2실시예의 분해 조립도이고,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결합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100)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기로 한다.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半球) 형태의 상부 몸체(10)와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결합되는 역시 반구(半球) 형태의 하부 몸체(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몸체(10)와 상기 하부 몸체(20)의 재질은 합성수지(Synthetic resin)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품이 가볍고 전기나 열의 절연성이 좋은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몸체(10)의 표면에는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광물질이 도포된다. 따라서, 야간에도 본 고안의 방향제 케이스(100)의 형체를 명백히 인식할 수 있으며 위치의 파악을 비롯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b를 보면,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부 양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도시는 생략)과 상기 하부 몸체(20)의 상부 양측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과 체결되어 고정, 결합되는 걸림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25)와 걸림홈을 서로 결합하고, 끼움부재(15)를 통해 끼워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를 조립하여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제 케이스(1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를 결합하면 마련되는 내부의 공간부에 는 방향제(미도시)가 수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방향제(미도시)는 소정의 약봉지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향(香)이 수용되어 있는 공지된 형태의 것이다. 따라서, 내부의 방향제가 소진되어 향기의 질이 떨어지면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를 해제하여 사용했던 방향제를 빼내고, 새로운 방향제로 몸체(10,20)의 내부로 집어 넣고, 몸체(10,20)를 다시 결합하는 방식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 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가 결합되어 내부 공간에 있는 방향제(30)에서 향기가 분사되도록 상부 몸체(10)의 상부 표면에는 원(圓) 형태로 각각 배열되어 있으며, 몸체(10,20)의 양측에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향 분사공(40)이 마련된다. 따라서, 방향제 케이스(100)의 앞과 측면의 양쪽에서 향이 분사되는 효율성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부에는 장식 부재(5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본 고안의 방향제 케이스(100)가 장식품으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하부 몸체(20)의 하부 끝단에는 일정한 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60)에 형성된 고정홈(65)과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케이스(100)의 고정부재(60)는 고정을 위하여 하부 몸체(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인데, 흡착부재(즉, 뽁뽁이)의 형태인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60)에 대한 자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공지된 것이며,본 고안의 특징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서, 하부 몸체(20)의 하부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60)가 흡착부재인 경우이므로, 평평한 곳에 고정부재(60)를 직접 손으로 가압하여 고정을 시킬 수 있어 고정의 편의를 가져다 주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어느정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제1 실시예와 구성이 거의 동일하며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고정부재(60)의 위치가 하부 몸체(20)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55)을 통하여 고정되어 형성된 점이 차이점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방향제 케이스(100)를 고정시키는 위치를 특히, 하절기에 차량의 에어컨의 주변에 위치하여 놓으면 에어컨 바람에 의한 송풍으로 상기 향 분사공(40)을 통한 향기의 발산이 더욱 잘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실시예의 고정부재(60)가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에어콘 부위 등과 같은 제1실시예의 구성으로는 고정시키기 곤란한 위치에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함을 줄 수가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고정부재(60)는 탄성력이 있도록 하거나 소정의 부재를 가미하여 상부 몸체(10) 또는 하부 몸체(20)를 손으로 밀게 되면 탄성력에 의한 반동으로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100)가 다시 원 위치로 회복하게 하는 등의 기능도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방향제 케이스(100)는 후각적인 효과는 물론이며,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송풍수단 주변에 본 고안의 방향제 케이스(100)를 위치해 놓으면 더욱 방향(芳香) 효과가 있으며, 내부의 방향제를 다 사용하고 나면,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를 해제와 결합을 하여 방향제를 새 것으로 교체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장식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용기의 표면에 형광물질을 처리하여 외관이 미려하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장시간 사용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55)을 하부 몸체(20)의 밑면과 일측의 모두에 각각 구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1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합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고정부재(60)를 상기 통공(55)이 형성된 곳(하부 몸체(20)의 밑면 또는 일측)에 방향제 케이스(100)를 부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선택하여 고정시킬 수가 있으므로, 어떤 위치에서도 본 고안의 방향제 케이스(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융통성과 편익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 : 상부 몸체 15 : 끼움부재
20 : 하부 몸체 25 : 걸림돌기
40 : 향 분사공
50 : 장식 부재 55 : 통공
60 : 고정부재 65 : 고정홈
100 : 방향제 케이스

Claims (3)

  1. 방향제 케이스(100)에 있어서,
    합성수지 재질의 반구(半球) 형태의 상부 몸체(10);와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 몸체(10)의 내주부와 결합되도록 상부에는 끼움부재(15)가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반구(半球) 형태의 하부 몸체(20);와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부 양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하부 몸체(2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홈과 체결되어 고정, 결합되는 걸림돌기(25);과
    상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를 결합하면 마련되는 내부의 공간부에 수용되어 형성되는 방향제;와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부 표면과 상기 상부 몸체(10)와 상기 하부 몸체(20)의 양측에는 상기 방향제(30)의 향기가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기 위해 원(圓) 형태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각각 형성되는 향 분사공(40);과
    상기 상부 몸체(10)의 상부 끝단에 형성되는 장식 부재(50);와
    상기 하부 몸체(20)의 밑면 또는 일측에 형성된 통공(55)을 통하여 상기 하부 몸체(2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홈(65)이 형성되는 고정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0)의 표면에는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광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55)이 하부 몸체(2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60)는 흡착부재이며, 하부 몸체(20)의 일측에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60)는 집게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케이스.

KR2020140005274U 2014-07-14 2014-07-14 방향제 케이스 KR201600002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74U KR20160000253U (ko) 2014-07-14 2014-07-14 방향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74U KR20160000253U (ko) 2014-07-14 2014-07-14 방향제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53U true KR20160000253U (ko) 2016-01-22

Family

ID=5531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274U KR20160000253U (ko) 2014-07-14 2014-07-14 방향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25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5582B1 (en) Fragrance emanation system
US9486551B2 (en) Air freshener system
KR20170022916A (ko) 자동차 벤트 청정 장치
US9770524B2 (en) Volatile material dispenser and method of attaching a refill or refills to same
WO2011120073A1 (en) Spill-resistant fragrance diffuser
US20200399023A1 (en) Fragrance Bottle With Diffuser
US20130126630A1 (en) Air freshening system
KR200453589Y1 (ko) 장식용 발향기
KR20160000253U (ko) 방향제 케이스
KR102127721B1 (ko) 향기 방출용 디퓨저
CN202715064U (zh) 多用途香味散发器
US8960566B2 (en) Spill-proof dispersion device for dispersing volatile liquids
CN202173618U (zh) 一种香薰机
KR200406741Y1 (ko) 방향장식물의 방향체 결합구조
KR200308497Y1 (ko) 용기 호환성을 갖는 방향제 자동분사장치
JP3150641U (ja) 消毒用などの携帯型スプレーボトル
KR200343059Y1 (ko) 아로마향료가 수용된 목걸이
KR102079175B1 (ko) 인테리어용 데코시트
KR100556111B1 (ko) 공기조화기용 항균-탈취-방향제 담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8778A (ko) 금속 발향 용기
KR20090107590A (ko) 방향제 휘산 장치
JP3145736U (ja) 揮発性物質の発生装置
JP3212503U (ja) 造花
KR200343060Y1 (ko) 아로마 향료가 수용된 휴대용 악세서리
KR200352677Y1 (ko) 도어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