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50A - 가공 장치와 이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 및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 장치와 이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 및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50A
KR20160000250A KR1020140077407A KR20140077407A KR20160000250A KR 20160000250 A KR20160000250 A KR 20160000250A KR 1020140077407 A KR1020140077407 A KR 1020140077407A KR 20140077407 A KR20140077407 A KR 20140077407A KR 20160000250 A KR20160000250 A KR 20160000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guide rails
cutting
machin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순남
Original Assignee
전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남 filed Critical 전순남
Priority to KR102014007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250A/ko
Publication of KR2016000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the shaping of preshaped articles, e.g. by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45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smo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2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moving parts of the articles by cu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가공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는, 단차를 갖는 가공물을 종단 곡선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가공 장치로서, 상기 가공물의 상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공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절단 공간이 형성되는 절단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공 장치와 이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 및 가공 방법 {MACHINING APPARATUS AND MACHINED PRODUCT FORMED THEREBY, AND MACHIN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공 장치와 이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 및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차를 갖는 가공물을 종단 곡선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보도와 차도의 구분이 있는 도로에서는 보차도 경계석의 설치 높이가 차도와 일치하지 않아 장애인과 노약자가 휠체어, 유모차 등을 사용하여 보행 및 주행하는데 있어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에는 횡단보도 턱낮춤 등의 개선 시공을 위해,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턱낮춤을 철거한 후 자재를 수급하여 경계석을 시공하였으며. 이후 인접한 보도를 철거한 후 재시공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다량의 건설 폐기물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건설 폐기물을 수차례 운반 처리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적 측면의 부담이 있었다. 또한, 횡단보도 등의 보행자의 통행이 많은 곳의 개선 시공에 있어서, 종래에는 브레이커, 절단기 등의 소음으로 인해 보행자의 통행이 적은 야간에 주로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야간 공사로 인한 추가적인 비용 부담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8059호 (2010.03.1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행자의 안전과 보행권을 보장하기 위해 보도, 차도, 보차도 경계석 등의 턱을 개선하는데 사용되는 가공 장치, 가공 방법 및 이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를 갖는 가공물을 종단 곡선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가공 장치로서, 상기 가공물의 상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 및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공물을 절단하는 절단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절단 공간이 형성되는 절단바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절단바는, 상기 종단 곡선 형태 또는 상기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가공 장치.
상기 가공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절단바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동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공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공물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가공 장치에 의해 종단 곡선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가공되는, 가공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를 갖는 가공물을 종단 곡선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가공 방법으로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가공물의 상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단계; 및 상기 가공물을 절단하는 절단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절단 공간이 형성되는 절단바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공 방법은, 복수 개의 이동 바퀴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절단바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 및 절단바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단차를 갖는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레일 및 절단바가 종단 곡선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공물의 가공을 좀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절단바를 통해 절단기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시공으로 인한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도와 차도의 턱낮춤 개선 시공에 있어서 단차가 형성되는 경사 구간에 종단 곡선을 적용함으로써, 보행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가 적용될 가공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가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가 적용될 가공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물은 가공 대상이 되는 물건으로서, 예를 들어, 보도(102), 차도(104) 및 보차도 경계석(106)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도(102)와 차도(104)의 구분이 있는 도로에서는 보차도 경계석(106)의 설치 높이가 차도(104)와 일치하지 않아 장애인과 노약자가 휠체어, 유모차 등을 사용하여 보행 및 주행하는데 있어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차도(104)와 보차도 경계석(106) 간의 단차 부분(A), 보도(102)와 보차도 경계석(106) 간의 단차로 인한 보도(102)의 절곡 부분(B) 등을 종단 곡선(Vertical Curve)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과 보행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여기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가 적용될 가공물이 보도(102), 차도(104) 및 보차도 경계석(106) 중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종단 곡선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가공이 필요한 여러 가지 물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200)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가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A 부분과 B 부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200)를 적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 장치(200)는 가이드 레일(202 : 202-1, 202-2, 202-3, 202-4), 절단바(204 : 204-1, 204-2), 이동 바퀴(206 : 206-1, 206-2, 206-3, 206-4) 및 지지부(208)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202)은 가공물의 상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202)은 하나 이상의 지지부(208)에 의해 지지되어 가공물의 상측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202)은 가공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가공물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 1 가이드 레일(202-1) 및 제 2 가이드 레일(202-2)이 가공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제 3 가이드 레일(202-3) 및 제 4 가이드 레일(202-4)이 가공물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제 1 가이드 레일(202-1)과 제 2 가이드 레일(202-2)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3 가이드 레일(202-3)과 제 4 가이드 레일(202-4)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02) 간의 이격 거리는 예를 들어, 약 50cm 내외가 될 수 있으며 가공물의 종류, 크기,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202) 각각에는 이동 바퀴(206)를 가이드하기 위한 소정 크기의 가이드 홈(미도시)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이동 바퀴(206)는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 바퀴(206)는 가이드 레일(20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202)의 가이드 홈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 바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바퀴는 가이드 홈 상의 이동 바퀴(206)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 바퀴(206)를 사이에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바퀴는 이동 바퀴(206)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바퀴(206)를 이동시켜 가공물의 가공 위치를 결정한 후, 보조 바퀴를 이동 바퀴(206)에 접촉시켜 이동 바퀴(206)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 바퀴는 이동 바퀴(206)에 비해 마찰력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보조 바퀴의 일 측면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 바퀴를 이동시킬 때 걸림 돌기를 보조 바퀴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으며 보조 바퀴를 고정시킬 때 걸림 돌기를 보조 바퀴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가이도 레일(202)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걸림 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홈(미도시)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는 걸림홈에 삽입되어 보조 바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202) 각각은 가공물의 최종 가공 형태인 종단 곡선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레일(202-1) 및 제 2 가이드 레일(202-2)은 제 1 종단 곡선 형태(C)와 동일한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가이드 레일(202-3) 및 제 4 가이드 레일(202-4)은 제 2 종단 곡선 형태(D)와 동일한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202) 사이에 위치하는 절단바(204)의 절단 공간(S)에 절단기(250)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여 가공물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레일(202)의 각각이 가공물의 최종 가공 형태인 종단 곡선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가공물은 종단 곡선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절단바(204)는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가공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25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절단 공간(S)이 형성된다. 여기서, 절단기(250)는 가공물을 종단 곡선 형태(또는 직선 형태)로 절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석재 절단 기계가 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날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바(204)의 양측면에는 복수 개의 이동 바퀴(20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절단바(204-1)의 양측면에는 제 1 이동 바퀴(206-1) 및 제 2 이동 바퀴(206-2)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이동 바퀴(206-1) 및 제 2 이동 바퀴(206-2)는 제 1 가이드 레일(202-1) 및 제 2 가이드 레일(202-2)을 따라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바퀴(206)가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절단바(204) 또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절단바(204-2)는 제 1 절단바(204-1)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 3 가이드 레일(206-3) 및 제 4 가이드 레일(206-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절단바(204-1) 및 제 2 절단바(204-2)를 이동시켜 가공물의 가공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절단바(204-1)는 제 3 가이드 레일(202-3) 및 제 4 가이드 레일(202-4)과 동일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절단바(204-2)는 제 1 가이드 레일(202-1) 및 제 2 가이드 레일(202-2)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02)은 최종 가공 형태인 종단 곡선 형태(또는 직선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절단바(204)의 절단 공간(S)에 삽입된 절단기(250)의 삽입 깊이를 유지한 채 가공물을 절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공물은 종단 곡선 형태(또는 직선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한편, 충격 완화를 위한 종단 곡선의 길이(L)는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V는 설계 속도(km/h), S는 종단 경사 차이값(S1, S2)(%)을 의미하며, 360은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을 충격의 변화율에서 정하여진 정수(계수)이다. 예를 들어, V가 100km/h이며 S가 4%인 경우 종단 곡선의 길이(L)는 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202) 및 절단바(204)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단차를 갖는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레일(202) 및 절단바(204)가 종단 곡선 형태(또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공물의 가공을 좀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절단바(204)를 통해 절단기(25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시공으로 인한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절단기(250)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절단기(250) 사용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 친화적 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과정을 통해 가공물을 가공한 이후, 가공된 가공물, 예를 들어 개선된 석재의 표면을 석재 마감 판을 이용하여 마감할 수 있다. 석재 마감 판은 예를 들어, 철재, 고무, 목재 등의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석재 마감 판을 통해 개선된 석재 표면의 미끄럼 방지(도드락, 잔다듬, 정다듬 등) 처리가 가능하다.
한편, 여기서는 두 개의 절단바(204-1, 204-2)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절단바(204)의 형성 위치, 개수 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절단바(204)의 절단 공간(S)은 절단기(250)의 날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으로서 절단기(250)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동 바퀴(206)는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절단바(204)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바퀴(206)는 가이드 레일(202)의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208)는 가이드 레일(202)을 지지한다. 지지부(208)는 가이드 레일(202)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202)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02)은 복수 개의 지지부(208)를 통해 가공물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는, 4개의 지지부(208)가 가이드 레일(202)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지지부(208)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 방법은,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202)이, 가공물의 상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단계, 가공물을 절단하는 절단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절단 공간이 형성되는 절단바(204)가,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단계, 복수 개의 이동 바퀴(206)가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20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절단바(204)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하였는바, 여기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2 : 보도
104 : 차도
106 : 보차도 경계석
200 : 가공 장치
202-1, 202-2, 202-3, 202-4 : 가이드 레일
204-1, 204-2 : 절단바
206-1, 206-2, 206-3, 206-4 : 이동 바퀴
208 : 지지부
250 : 절단기

Claims (8)

  1. 단차를 갖는 가공물을 종단 곡선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가공 장치로서,
    상기 가공물의 상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공물을 절단하는 절단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절단 공간이 형성되는 절단바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절단바는, 상기 종단 곡선 형태 또는 상기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가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절단바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동 바퀴를 더 포함하는, 가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공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공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공물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공 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공 장치에 의해 종단 곡선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가공되는, 가공물.
  7. 단차를 갖는 가공물을 종단 곡선 형태 또는 직선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가공 방법으로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가공물의 상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단계; 및
    상기 가공물을 절단하는 절단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절단 공간이 형성되는 절단바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복수 개의 이동 바퀴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절단바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공 방법.
KR1020140077407A 2014-06-24 2014-06-24 가공 장치와 이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 및 가공 방법 KR20160000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07A KR20160000250A (ko) 2014-06-24 2014-06-24 가공 장치와 이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 및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407A KR20160000250A (ko) 2014-06-24 2014-06-24 가공 장치와 이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 및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50A true KR20160000250A (ko) 2016-01-04

Family

ID=5516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407A KR20160000250A (ko) 2014-06-24 2014-06-24 가공 장치와 이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 및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2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059B1 (ko) 2009-03-17 2010-03-19 정광옥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059B1 (ko) 2009-03-17 2010-03-19 정광옥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3126A1 (en) Multipurpose woodworking device
KR101537730B1 (ko) 콘크리트 포장 시공용 평탄 작업장치
DE50306089D1 (de) Abstreif- und Sammelschild für Oberflächenfräsmaschinen
WO2016052143A1 (ja) 走行路の研削装置、及び走行路の研削方法
KR20120116026A (ko) 천연석재를 이용한 미끄럼방지용 도로경계석의 절단가공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39498A (ko) 브릿지형 석재 절단 장치
CN101712322B (zh) 吊椅式升降机的座椅及吊椅式升降机的运行方法
KR100794379B1 (ko) 보도블럭 절단장치
ATE381412T1 (de) Maschine zur feinbearbeitung eines gegenstands wie eines profilierten elements, eines paneels o. ä.
KR20160000250A (ko) 가공 장치와 이에 의해 가공되는 가공물, 및 가공 방법
KR101099632B1 (ko) 줄다듬 자연석 제조방법 및 줄다듬 자연석
DE60002842D1 (en) Planiergerät
CN206406262U (zh) 耐火砖修边机构
CN203266950U (zh) 一种框架式石材大切机
CN205816953U (zh) 板分割设备
US4387929A (en) Milling roller mounting support on milling machines for milling road surfaces
KR200450540Y1 (ko) 형강 가공장치
ES551534A0 (es) Instalacion regulable de moldeo para fabricacion de elementos en hormigon
CN203266946U (zh) 一种框架式龙门大切机
WO2015199565A1 (en) Self-propelled machine for slicing rocks by means of diamond wire for the transformation of hewn slabs into blocks
CN205522016U (zh) 一种台式地砖切割机用的尺寸调节机构
DK163311B (da) Aftraekningsorgan til etablering af en jaevn overflade
KR101545284B1 (ko) 보도용 데크의 가공장치
CN106062279A (zh) 检测和保障线路上部工程用机械的稳定的作业位置的方法
CN214647801U (zh) 公交车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