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22U - 릴레이 - Google Patents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22U
KR20160000222U KR2020140005232U KR20140005232U KR20160000222U KR 20160000222 U KR20160000222 U KR 20160000222U KR 2020140005232 U KR2020140005232 U KR 2020140005232U KR 20140005232 U KR20140005232 U KR 20140005232U KR 20160000222 U KR20160000222 U KR 201600002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agnet
movable
contactor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815Y1 (ko
Inventor
이수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5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15Y1/ko
Priority to US14/709,335 priority patent/US9691577B2/en
Priority to CN201510363833.9A priority patent/CN105321779B/zh
Priority to EP15171150.4A priority patent/EP2975625A1/en
Priority to JP2015134239A priority patent/JP6110436B2/ja
Publication of KR20160000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이격된 제1 고정접촉자와 제2 고정접촉자를 연결 및 분리하는 가동접촉자 및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제1 고정접촉자가 서로 접촉 및 분리되는 제1 접점부와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가 서로 접촉 및 분리되는 제2 접점부를 사이에 두고 반대의 극성면들이 서로 평행하게 대면되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점부는 상기 제2 자석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자석까지의 거리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제1 자석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2 자석까지의 거리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극성면들이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를 잇는 가상의 축에 평행하지 않게 구비된다. 이에 의하여, 전류가 어느 방향으로 흐르더라도 각 접점부들에서 발생된 아크가 한 곳으로 모이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가동접촉자에 흐르는 전류의 적어도 일부가 자석들의 극성면들에 평행하지 않게 흐름으로써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에 의해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들 사이의 접압력이 감소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릴레이{RELAY}
본 고안은,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을 구비하여 아크를 소호할 수 있는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개폐장치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기적인 접점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서, 차량,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릴레이의 전체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릴레이의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릴레이가 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릴레이가 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릴레이는,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부(S) 및 상기 개폐부(S)를 구동하는 구동부(D)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S)는 제1 고정접촉자(10), 제2 고정접촉자(20), 상기 제1 고정접촉자(10)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20)(이하, '고정접촉자들'이라 함)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가동접촉자(30) 및 상기 가동접촉자(30)가 상기 제1 고정접촉자(10)와 접촉 및 분리되는 제1 접점부(C1)와 상기 가동접촉자(30)가 상기 제2 고정접촉자(20)와 접촉 및 분리되는 제2 접점부(C2)(이하, '접점부들'이라 함)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의 극성면들(42, 52)이 대면되는 제1 자석(40)과 제2 자석(50)(이하, '자석들'이라 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D)는, 예를 들면, 전기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이하, 종래의 릴레이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D)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가동접촉자(30)는 상기 구동부(D)에 의해 상기 고정접촉자들(10, 20)에 접촉되는 방향(도 2의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접촉자들(10, 20)에 접촉된다. 상기 가동접촉자(30)가 상기 고정접촉자들(10, 20)과 접촉되면, 회로가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로가 연결되면, 전류는 상기 제1 고정접촉자(10)에서 상기 가동접촉자(30)를 통해 상기 제2 고정접촉자(20) 측으로 흐르거나, 상기 제2 고정접촉자(20)에서 상기 가동접촉자(30)를 통해 상기 제1 고정접촉자(10) 측으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서 상기 제1 고정접촉자(10)가 차량의 배터리와 같은 전기저장소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정접촉자(20)가 차량의 구동부와 같이 전기를 소비하고 발전도 할 수 있는 장치(이하, '전기 소비-생산 장치'라 함)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기저장소에서 상기 전기 소비-생산 장치로 방전(이하, '전기저장소의 방전'이라 함)될 때에는 상기 전기저장소에서 상기 제1 고정접촉자(10)로 인입된 전류가 상기 가동접촉자(30)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20)를 통해 상기 전기 소비-생산 장치로 인출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전기 소비-생산 장치에서 상기 전기저장소로 충전(이하, '전기저장소의 충전'이라 함)될 때에는 상기 전기 소비-발전 장치에서 상기 제2 고정접촉자(20)로 인입된 전류가 상기 가동접촉자(30)와 상기 제1 고정접촉자(10)를 통해 상기 전기저장소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D)에 전원 공급이 중지되면, 상기 가동접촉자(30)는 상기 구동부(D)에 의해 상기 고정접촉자들(10, 2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도 2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접촉자들(10, 2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가동접촉자(30)가 상기 고정접촉자들(10, 20)과 분리되면, 회로가 차단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동접촉자(30)가 상기 고정접촉자들(10, 20)에 접촉 및 분리될 때 상기 접점부들(C1, C2)에서 아크가 발생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부들(C1, C2)에서 발생된 아크는 상기 자석들(40, 50)에 의해 소호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접점부들(C1, C2)은 상기 제1 자석(40)에서 상기 제2 자석(50)으로 흐르는 자기장(도면상 하방으로 흐르는 자기장)의 범위 내에 구비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저장소의 방전 시,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의 전류(IC1)는 상기 제1 고정접촉자(10)에서 상기 가동접촉자(30) 측(도면상 지면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흐른다. 또, 상기 가동접촉자에서의 전류(I30)는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상기 제2 접점부(C2) 측(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흐른다. 또,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의 전류(IC2)는 상기 가동접촉자(30)에서 상기 제2 고정접촉자(20) 측(도면상 지면에 나오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힘(F11)을 받아 상기 제1 접점부(C1)의 외측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힘(F21)을 받아 상기 제2 접점부(C2)의 외측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접점부들(C1, C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아크는 예를 들어 공기와 같은 소호물질에 의해 냉각되면서 소호된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저장소의 충전 시,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의 전류(IC2')는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에서 상기 가동접촉자(30) 측(도면상 지면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흐른다. 또, 상기 가동접촉자(30)에서의 전류(I30')는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상기 제1 접점부(C1) 측(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흐른다. 또,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의 전류(IC1')는 상기 가동접촉자(30)에서 상기 제1 고정접촉자(10) 측(도면상 지면에 나오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힘(F11')을 받아 상기 제1 접점부(C1)의 내측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힘(F21')을 받아 상기 제2 접점부(C2)의 내측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접점부들(C1, C2)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아크는 예를 들어 공기와 같은 소호물질에 의해 냉각되면서 소호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릴레이에 있어서는, 상기 접점부들(C1, C2)은 서로 대면되는 상기 제1 자석의 극성면(42)과 상기 제2 자석의 극성면(52)(이하, '극성면들'이라 함)에 직교되는 가상의 평면상에 구비된다. 또, 상기 제1 접점부(C1)는 상기 제1 자석(40)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 자석(50)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곳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접점부(C2)는 상기 제1 자석(40)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 자석(50)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곳이 위치된다. 달리 말해, 상기 자석들(40, 50)은 상기 극성면들(42, 52)이 상기 접점부들(C1, C2)을 잇는 가상의 축(A)에 평행하게 구비된다. 이에 의하여, 각 접점부들(C1, C2)에서 발생된 아크들은 상기 가상의 축(A)을 따라 이동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저장소의 충전 시, 아크들이 접점부들(C1, C2)의 중심(상기 가동접촉자의 중심) 측으로 모이게 된다. 이에 따라, 접점부들(C1, C2)의 중심(상기 가동접촉자의 중심)에 과도한 열이 발생되고, 개폐부(S)(더욱 정확히는, 상기 가동접촉자(30))에 손상이 발생된다.
한편, 종래의 릴레이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접촉자(30)에 흐르는 전류(I30, I30')가 상기 자석들(40, 50)의 상기 극성면들(42, 52)에 평행하게 흐른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30)에 흐르는 전류(I30, I30')와 상기 자석들(40, 50)의 자기장(B)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30)에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이 가해지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저장소의 방전 시, 상기 힘은 상기 가동접촉자(30)가 상기 고정접촉자들(10, 2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도면상 지면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가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30)와 상기 고정접촉자들(10, 20) 사이의 접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류가 어느 방향으로 흐르더라도 각 접점부들에서 발생된 아크가 한 곳으로 모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에 의해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들 사이의 접압력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릴레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점부가 제2 자석에 가깝게 위치되고 제2 접점부가 제1 자석에 가깝게 위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대면되는 제1 자석의 극성면과 제2 자석의 극성면이 제1 접점부와 제2 접점부를 잇는 가상의 축에 평행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류가 어느 방향으로 흐르더라도 각 접점부들에서 발생된 아크가 한 곳으로 모이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가동접촉자에 흐르는 전류의 적어도 일부가 자석들의 극성면들에 평행하지 않게 흐름으로써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에 의해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들 사이의 접압력이 감소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릴레이의 전체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릴레이의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릴레이가 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릴레이가 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릴레이가 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5의 릴레이가 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릴레이가 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릴레이가 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릴레이가 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릴레이가 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릴레이가 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릴레이가 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
도 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릴레이가 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
도 19는 도 17의 릴레이가 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할 극성면들(142, 152)에 수직한 방향(도 1 상 지면에 들어가고 나오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하고, 후술할 가상의 평면상에서 극성면들(142, 152)에 평행한 방향(도 1 상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하며, 폭 방향과 길이 방향에 모두 수직한 방향(도 1 상 상하 방향)을 깊이 방향이라 하겠다.
도 1은 릴레이의 전체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릴레이가 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릴레이가 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는,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부(S) 및 상기 개폐부(S)를 구동하는 구동부(D)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S)는 제1 고정접촉자(110),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에 이격되는 제2 고정접촉자(120),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이하, '고정접촉자들'이라 함)를 연결 및 분리하는 가동접촉자(130) 및 상기 가동접촉자(130)와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가 서로 접촉 및 분리되는 제1 접점부(C1)와 상기 가동접촉자(130)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가 서로 접촉 및 분리되는 제2 접점부(C2)(이하, '접점부들'이라 함)를 사이에 두고 반대의 극성면들(142, 152)이 서로 평행하게 대면되는 제1 자석(140)과 제2 자석(150)(이하, '자석들'이라 함)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 상기 가동접촉자(130) 및 상기 접점부들(C1, C2)은 릴레이의 외함(C)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자석들(140, 150)은 상기 외함(C)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점부(C1)는 상기 제2 자석(150)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자석(140)까지의 거리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접점부(C2)는 상기 제1 자석(140)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2 자석(150)까지의 거리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자석들(140, 150)의 극성면들(서로 대면되는 제1 자석의 극성면(142)과 제2 자석의 극성면(152))이 상기 접점부들(C1, C2)을 잇는 가상의 축(A)에 평행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자석들(140, 150)은 상기 극성면들(142, 152)이 상기 가상의 축(A)에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전기저장소의 충전 시 아크들이 한 곳으로 모이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접점부(C1)는 상기 제2 자석(150)에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자석(150)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2 접점부(C2)는 상기 제1 자석(140)에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자석(140)에 가깝게 위치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 상기 가동접촉자(130) 및 상기 자석들(140, 150)은 다음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은 상기 외함(C)에 고정 지지되고, 일측에서 릴레이의 외부요소, 예를 들면 차량의 배터리와 같은 전기저장소 또는 차량의 구동부와 같은 전기를 소비하고 발전도 할 수 있는 장치(이하, '전기 소비-생산 장치'라 함)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에서 상기 가동접촉자(130)에 접촉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는, 대략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함(C)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는, 축방향이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단부(112)가 상기 외함(C)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부(114)가 상기 외함(C)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12)는,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직교되는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가동접촉자(130)의 후술할 제1 접촉단부(134)와 접촉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접촉자의 타단부(114)는 상기 전기저장소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는 대략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함(C)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는, 축방향이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단부(122)가 상기 외함(C)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부(124)가 상기 외함(C)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22)는, 상기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가동접촉자(130)의 후술할 제2 접촉단부(136)와 접촉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접촉자의 타단부(124)는 상기 전기 소비-생산 장치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은 상기 고정접촉자들의 일단부들(112, 122)이 폭 방향(도 6 상 상하방향)과 길이 방향(도 6 상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은, 상기 고정접촉자들의 일단부들(112, 122)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고정접촉자들의 일단부들(112, 122)을 잇는 가상의 축(A)이 상기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는 그 제1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12)가 상기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제2 자석(150)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자석(140)까지의 거리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는, 그 제2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22)가 상기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제1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12)로부터 길이방향(도 6 상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고, 그 제2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22)가 상기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자석(140)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2 자석(150)까지의 거리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바와 같이 전기저장소의 충전 시 아크들이 한 곳으로 모이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는 그 제1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12)가 상기 제2 자석(150)에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자석(150)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는 그 제2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22)가 상기 제1 자석(140)에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자석(140)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접촉자(13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심부(132), 상기 중심부(132(의 일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12)와 접촉 및 분리되는 제1 접촉단부(134) 및 상기 중심부(132)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 접촉단부(134)의 절곡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22)와 접촉 및 분리되는 제2 접촉단부(13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촉단부(134)는 상기 제1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12)와 상기 제1 접점부(C1)를 이루고, 상기 제2 접촉단부(136)는 상기 제2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22)와 상기 제2 접점부(C2)를 이룰 수 있다.
또, 상기 가동접촉자(130)는, 그 가동접촉자(130)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에 접촉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부(132)의 폭이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의 폭 방향(도 6 상 상하방향) 이격거리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촉단부(134)의 길이가 상기 중심부(132)로부터 상기 제1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12)까지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촉단부(136)의 길이가 상기 중심부(132)로부터 상기 제2 고정접촉자의 일단부(122)까지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가동접촉자(130)는, 그 가동접촉자(130)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에 접촉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중심부(132)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직교하고 상기 제1 접촉단부(134)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평행하며 상기 제2 접촉단부(136)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가동접촉자(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상의 평면에 직교되는 방향(도 5 상 하방)으로 평행 이동되어 상기 고정접촉자들의 일단부들(112, 122)에 분리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동접촉자(130)는, 상기 중심부(132)가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직교되고 상기 접촉단부들(134, 136)이 각각 상기 고정접촉자들의 일단부들(112, 122)와 대면되며 상기 접촉단부들(134, 136)이 각각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가상의 평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접촉자들의 일단부들(112, 122)에 접촉 및 분리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140)은 상기 접점부들(C1, C2)에 자기장을 가할 수 있는 소정의 길이와 깊이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140)의 길이는 그 길이방향 상 상기 접점부들(C1, C2)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접점부들(C1, C2)의 길이 방향 이격거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접점부들(C1, C2)의 외측 방향으로 안내되는 아크가 상기 접점부들(C1, C2)로부터 벗어나더라도 계속 자기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자석(140)의 길이는 상기 접점부들(C1, C2)의 길이 방향 이격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1 자석(140)의 일단부(144)와 타단부(146)가 각각 상기 외함(C)의 내벽까지 이를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140)의 깊이는 그 깊이방향 상 상기 접점부들(C1, C2)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가동접촉자(130)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 사이의 이격거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접촉자(130)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 사이의 이격거리란 상기 가동접촉자(130)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에 분리되었을 때 상기 접촉단부들(134, 136)과 상기 고정접촉자들의 일단부들(112, 122) 사이의 이격거리를 지칭한다.
상기 제2 자석(150)은 상기 제1 자석(140)과 대칭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제1 자석(140)은 N극을 띠는 극성면(142)이 상기 접점부들(C1, C2)에 대면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석(150)은 S극을 띠는 극성면(152)이 상기 접점부들(C1, C2)에 대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석들(140, 150)은 상기 극성면들(142, 152)이 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자석들(140, 150)은 상기 극성면들(142, 152)이 상기 접점부들(C1, C2)을 잇는 가상의 축(A)에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석들(140, 150)은 아크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가열되어 자기력이 약해지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접점부들(C1, C2)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외함(C)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D)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기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D)는 주지된 관용기술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D)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가동접촉자(130)는 상기 구동부(D)에 의해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에 접촉되는 방향(도 5의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30)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과 접촉되면, 회로가 통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로가 연결되면, 전류는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에서 상기 가동접촉자(130)를 통해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 측으로 흐르거나,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에서 상기 가동접촉자(130)를 통해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 측으로 흐를 수 있다. 즉, 상기 전기저장소의 방전 시에는, 상기 전기저장소에서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로 인입된 전류가 상기 가동접촉자(130)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를 통해 상기 전기 소비-생산 장치로 인출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전기저장소의 충전 시에는 상기 전기 소비-발전 장치에서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로 인입된 전류가 상기 가동접촉자(130)와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를 통해 상기 전기저장소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D)에 전원 공급이 중지되면, 상기 가동접촉자(130)는 상기 구동부(D)에 의해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도 5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30)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과 분리되면, 회로가 차단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동접촉자(130)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에 접촉 및 분리될 때 상기 접점부들(C1, C2)에서 아크가 발생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부들(C1, C2)에서 발생된 아크는 상기 자석들(140, 150)에 의해 소호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저장소의 방전 시 아크가 소호되는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접점부들(C1, C2)은 상기 제1 자석(140)에서 상기 제2 자석(150)으로 흐르는 자기장(도면상 하방으로 흐르는 자기장)(B)의 범위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의 전류(IC1)는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에서 상기 가동접촉자(130) 측(도면상 지면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또, 상기 가동접촉자(130)에서의 전류(I130)는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상기 제2 접점부(C2) 측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30)에서의 전류 방향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접촉단부(134)에서의 전류(I1)는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상기 중심부(132)에 연결된 부분 측(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평행하게 흐를 수 있다. 상기 중심부(132)에서의 전류(I2)는 상기 제1 접촉단부(134)에 연결된 부분에서 상기 제2 접촉단부(136)에 연결된 부분 측(도면상 상방)으로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수직되게 흐를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단부(136)에서의 전류(I3)는 상기 중심부(132)와 연결된 부위에서 상기 제2 접점부(C2) 측(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평행하게 흐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의 전류(IC2)는 상기 가동접촉자(130)에서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 측(도면상 지면에 나오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과 전류에 의하여,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힘(F11)을 받고,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힘(F21)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인접한 제2 자석(150) 측(도면상 하방)으로 힘(F12)을 받고,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인접한 제1 자석(140) 측(도면상 상방)으로 힘(F22)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아크에는 각 자석들(140, 150)이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상기 접점부들(C1, C2)이 상기 자석들(40, 50)의 가운데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제1 자석(40)이 끌어당기는 힘과 상기 제2 자석(50)이 끌어당기는 힘의 크기가 동일하고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상기 자석들이 끌어당기는 힘들은 서로 상쇄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어느 한 접점부가 어느 한 자석보다 다른 자석에 더 가깝게 배치될 경우에는 상기 자석들이 끌어당기는 힘들의 합력은 가깝게 배치된 자석 측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C1)가 상기 제1 자석(140)보다 상기 제2 자석(150)에 더욱 가깝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자석들(140, 150)이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발생된 아크를 끌어당기는 힘들의 합력(F12)은 상기 제2 자석(150) 측(도면상 하방)으로 작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접점부(C2)가 상기 제2 자석(150)보다 상기 제1 자석(140)에 더욱 가깝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자석들(140, 150)이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발생된 아크를 끌어당기는 힘들의 합력(F22)은 상기 제1 자석(140) 측(도면상 상방)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F11, F21)과 자석이 아크를 끌어당기는 힘(F12, F22)의 합력(F1, F2)에 의해,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상기 제1 접점부(C1)의 외측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자석(150) 측(도면상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도면상 좌하방)으로 이동되며, 예를 들어 공기와 같은 소호물질에 의해 냉각되어 소호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상기 제2 접점부(C2)의 외측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자석(140) 측(도면상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도면상 우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소호물질에 의해 냉각되어 소호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저장소의 방전 시, 상기 접점부들(C1, C2)에서 발생된 아크들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인 상기 접점부들의 외부(도면상 좌하방과 우상방)로 이동되기 때문에 한 곳으로 모이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접촉자(130)에 흐르는 전류(I130) 중 상기 중심부(132)에 흐르는 전류(I2)가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수직되게 흐름으로써, 전기저장소의 방전 시 상기 가동접촉자(130)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 사이의 접압력이 감소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접촉자(130)에 흐르는 전류(I130)와 상기 자석들(140, 150)의 자기장(B)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130)에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이 가해지는데, 전기저장소의 방전 시 상기 힘은 상기 가동접촉자(130)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도 6상 지면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130)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 사이의 접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동접촉자(130)에 흐르는 전류(I130) 중 상기 중심부(132)에 흐르는 전류(I2)는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수직되게 흐름으로써 상기 자석들(140, 150)에 의한 자기장(B)의 방향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부(132)에는 상기 자석들(140, 150)에 의한 자기장(B)과 상기 가동접촉자(130)에 흐르는 전류(I130)에 의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의 크기가 영(0)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130) 전체에 작용되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들의 합력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저장소의 방전 시 상기 가동접촉자(130)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 사이의 접압력이 감소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저장소의 충전 시 아크가 소호되는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접점부들(C1, C2)은 상기 제1 자석(140)에서 상기 제2 자석(150)으로 흐르는 자기장(도면상 하방으로 흐르는 자기장)(B)의 범위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의 전류(IC2')는 상기 제2 고정접촉자(120)에서 상기 가동접촉자(130) 측(도면상 지면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또, 상기 가동접촉자(130)에서의 전류(I130')는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상기 제1 접점부(C1) 측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가동접촉자(130)에서의 전류 방향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접촉단부(136)에서의 전류(I3')는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상기 중심부(132)에 연결된 부분 측(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평행하게 흐를 수 있다. 상기 중심부(132)에서의 전류(I2')는 상기 제2 접촉단부(136)에 연결된 부분에서 상기 제1 접촉단부(134)에 연결된 부분 측(도면상 하방)으로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수직되게 흐를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단부(134)에서의 전류(I1')는 상기 중심부(132)와 연결된 부위에서 상기 제1 접점부(C1) 측(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평행하게 흐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의 전류(IC1')는 상기 가동접촉자(130)에서 상기 제1 고정접촉자(110) 측(도면상 지면에 나오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자기장과 전류에 의하여,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힘(F11')을 받고,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힘(F21')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인접한 제2 자석(150) 측(도면상 하방)으로 힘(F12)을 받고,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인접한 제1 자석(140) 측(도면상 상방)으로 힘(F22)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F11', F21')과 자석이 아크를 끌어당기는 힘(F12, F22)의 합력(F1', F2')에 의해,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상기 제1 접점부(C1)의 내측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자석(150) 측(도면상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도면상 우하방)으로 이동되며, 예를 들어 공기와 같은 소호물질에 의해 냉각되어 소호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상기 제2 접점부(C2)의 내측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자석(140) 측(도면상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도면상 좌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소호물질에 의해 냉각되어 소호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점부(C1)가 상기 제2 자석(150)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2 접점부(C2)가 제1 자석(140)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접점부들(C1, C2)에서 발생된 아크는 상기 자석들(140, 150)이 아크를 끌어당기는 힘(F12, F22)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또, 전기 저장소의 충전 시, 상기 제1 접점부(C1)에서 발생된 아크에 작용되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F11')의 작용축과 상기 제2 접점부(C2)에서 발생된 아크에 작용되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F21')의 작용축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저장소의 충전 시에도 상기 접점부들(C1, C2)에서 발생된 아크가 한 곳으로 모이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접점부(C1)는 상기 제2 자석(150)에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자석(150)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2 접점부(C2)는 상기 제1 자석(140)에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자석(140)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자석들(140, 150)이 아크를 끌어당기는 힘(F12, F22), 다시 말해 아크들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힘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또, 각 아크에 작용되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F11', F21')의 작용축들 사이 이격거리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저장소의 충전 시 아크들이 한 곳으로 모이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릴레이가 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릴레이가 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의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가동접촉자(230)는, 제1 접촉단부(234)와 제2 접촉단부(236)(이하, '접촉단부들'이라 함)가 중심부(232)에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중심부(232)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경사지고, 상기 접촉단부들(234, 236)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230)에 흐르는 전류(I230, I230') 중 상기 중심부(232)에 흐르는 전류(I2, I2')는 상기 자석들(140, 150)에 의한 자기장(B)의 방향과 경사져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부(232)에 작용되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의 크기는 전술한 실시예보다는 커지지만 종래보다는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저장소의 방전 시, 상기 가동접촉자(230)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 사이의 접압력이 감소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릴레이가 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릴레이가 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의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가동접촉자(330)는, 제1 접촉단부(334)와 제2 접촉단부(336)(이하, '접촉단부들'이라 함)가 중심부(332)에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중심부(332)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직교되고 상기 접촉단부들(334, 336)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330)에 흐르는 전류(I330, I330') 중 상기 중심부(332)에 흐르는 전류(I2, I2')는 상기 자석들(140, 150)에 의한 자기장(B)의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부(332)에 작용되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의 크기가 영(0)이 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상기 접촉단부들(334, 336)에 흐르는 전류(I1, I1', I2, I2')는 상기 자석들(140, 150)에 의한 자기장(B)의 방향과 경사져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단부들(334, 336)에 작용되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의 크기는 전술한 실시예보다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저장소의 방전 시, 상기 가동접촉자(330)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 사이의 접압력이 감소되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보다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릴레이가 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릴레이가 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의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가동접촉자(430)는 일 직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가동접촉자(430)는 접촉단부들(434, 436)이 중심부(432)에 대하여 절곡되지 않고, 상기 중심부(423)와 상기 접촉단부들(434, 436)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430)에 흐르는 전류(I430, I430')는 상기 자석들(140, 150)에 의한 자기장(B)의 방향에 경사져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430)에 작용되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의 크기는 종래보다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저장소의 방전 시, 상기 가동접촉자(430)와 상기 고정접촉자들(110, 120) 사이의 접압력이 감소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의 개폐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릴레이가 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릴레이가 충전될 때 아크의 소호 방향을 보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릴레이의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가동접촉자(530)는 일 직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직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가동접촉자(530)는 접촉단부들(534, 536)이 중심부(532)에 대하여 절곡되지 않고, 상기 중심부(532)와 상기 접촉단부들(534, 536)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142, 152)에 직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530)에 흐르는 전류(I530, I530')는 상기 자석들(140, 150)에 의한 자기장(B)의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530)에 작용되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의 크기가 영(0)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저장소의 방전 시, 상기 가동접촉자(530)와 고정접촉자들(510, 520) 사이의 접압력이 감소되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보다 더욱 억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510: 제1 고정접촉자 112, 512: 제1 고정접촉자의 일단부
120, 520: 제2 고정접촉자 122, 522: 제2 고정접촉자의 일단부
130, 230, 330, 430, 530: 가동접촉자
132, 232, 332, 432, 532: 중심부
134, 234, 334, 434, 534: 제1 접촉단부
136, 236, 336, 436, 536: 제2 접촉단부
140: 제1 자석 142: 극성면
150: 제2 자석 152: 극성면
B: 자기장 C: 외함
C1: 제1 접점부 C2: 제2 접점부
D: 구동부 F1, F1', F2, F2': 합력
F11, F11', F21, F21':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
F12, F22: 자석이 아크를 끌어당기는 힘
I130, I130': 가동접촉자에서 흐르는 전류
I1: 제1 접촉단부에서의 전류 I2: 중심부에서의 전류
I3: 제2 접촉단부에서의 전류 IC1, IC1' : 제1 접점부에서의 전류
IC2, IC2': 제2 접점부에서의 전류 S: 개폐부

Claims (9)

  1. 제1 고정접촉자;
    상기 제1 고정접촉자에 이격되는 제2 고정접촉자;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를 연결 및 분리하는 가동접촉자; 및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제1 고정접촉자가 서로 접촉 및 분리되는 제1 접점부와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가 서로 접촉 및 분리되는 제2 접점부를 사이에 두고 반대의 극성면들이 서로 평행하게 대면되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점부는 상기 제2 자석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자석까지의 거리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제1 자석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2 자석까지의 거리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는 상기 제2 자석에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자석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제1 자석에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자석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3. 제1 고정접촉자;
    상기 제1 고정접촉자에 이격되는 제2 고정접촉자;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를 연결 및 분리하는 가동접촉자; 및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제1 고정접촉자가 서로 접촉 및 분리되는 제1 접점부와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가 서로 접촉 및 분리되는 제2 접점부를 사이에 두고 반대의 극성면들이 서로 평행하게 대면되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극성면들이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를 잇는 가상의 축에 평행하지 않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극성면들에 직교되는 가상의 평면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접촉 및 분리되는 제1 접촉단부; 및
    상기 중심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 접촉단부의 절곡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 고정접촉자와 접촉 및 분리되는 제2 접촉단부;를 포함하는 릴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단부와 상기 제2 접촉단부는 각각 상기 중심부에 대해 수직되게 절곡되고,
    상기 가동접촉자는 상기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중심부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에 직교하고 상기 제1 접촉단부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에 평행하며 상기 제2 접촉단부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에 평행한 상태로,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에서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접촉 및 분리되고,
    타단부에서 상기 제2 고정접촉자와 접촉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는,
    일 직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극성면들에 경사진 상태로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는,
    일 직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가동접촉자의 연장방향이 상기 극성면들에 직교되는 상태로 상기 제1 고정접촉자와 상기 제2 고정접촉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KR2020140005232U 2014-07-11 2014-07-11 릴레이 KR200486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32U KR200486815Y1 (ko) 2014-07-11 2014-07-11 릴레이
US14/709,335 US9691577B2 (en) 2014-07-11 2015-05-11 Relay
CN201510363833.9A CN105321779B (zh) 2014-07-11 2015-05-29 继电器
EP15171150.4A EP2975625A1 (en) 2014-07-11 2015-06-09 Relay
JP2015134239A JP6110436B2 (ja) 2014-07-11 2015-07-03 リレ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32U KR200486815Y1 (ko) 2014-07-11 2014-07-11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22U true KR20160000222U (ko) 2016-01-20
KR200486815Y1 KR200486815Y1 (ko) 2018-07-03

Family

ID=5329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232U KR200486815Y1 (ko) 2014-07-11 2014-07-11 릴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91577B2 (ko)
EP (1) EP2975625A1 (ko)
JP (1) JP6110436B2 (ko)
KR (1) KR200486815Y1 (ko)
CN (1) CN1053217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7048A (zh) * 2019-08-28 2022-04-05 Ls电气株式会社 电弧路径形成部及包括其的直流继电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9363B (zh) * 2016-07-28 2017-10-03 孙健春 一种含有黑磷层的太阳能电池及黑磷层的制备方法
GB2575684A (en) 2018-07-20 2020-01-22 Eaton Intelligent Power Ltd Switching device and switching arrangement
JP7077890B2 (ja) * 2018-09-14 2022-05-3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WO2020208159A1 (de) * 2019-04-09 2020-10-15 Schaltbau Gmbh Bidirektional schaltendes schütz mit z-förmiger kontaktbrücke
KR20210025961A (ko) * 2019-08-28 2021-03-10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JP7255440B2 (ja) * 2019-10-02 2023-04-1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7444041B2 (ja) * 2020-12-15 2024-03-06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電源コンセン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7470A (ja) * 2009-05-14 2010-11-25 Nippon Soken Inc 電磁継電器
JP2011204480A (ja) * 2010-03-25 2011-10-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接点装置
JP2012256482A (ja) * 2011-06-08 2012-12-27 Anden 継電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1057B2 (ja) 2010-03-25 2014-05-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接点装置
JP5521852B2 (ja) 2010-03-30 2014-06-18 アンデ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12038684A (ja) 2010-08-11 2012-02-23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開閉器
KR101086907B1 (ko) 2010-10-15 2011-1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계전기
JP2012104366A (ja) 2010-11-10 2012-05-31 Panasonic Corp 接点装置
JP5838920B2 (ja) 2011-07-18 2016-01-06 アンデン株式会社 継電器
KR101216824B1 (ko) 2011-12-30 2012-1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CN202487498U (zh) 2012-03-21 2012-10-10 温州市明达电器有限公司 双向磁场消弧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7470A (ja) * 2009-05-14 2010-11-25 Nippon Soken Inc 電磁継電器
JP2011204480A (ja) * 2010-03-25 2011-10-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接点装置
JP2012256482A (ja) * 2011-06-08 2012-12-27 Anden 継電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7048A (zh) * 2019-08-28 2022-04-05 Ls电气株式会社 电弧路径形成部及包括其的直流继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21779A (zh) 2016-02-10
US20160012991A1 (en) 2016-01-14
CN105321779B (zh) 2018-06-01
US9691577B2 (en) 2017-06-27
JP6110436B2 (ja) 2017-04-05
JP2016021394A (ja) 2016-02-04
KR200486815Y1 (ko) 2018-07-03
EP2975625A1 (en)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815Y1 (ko) 릴레이
KR101696952B1 (ko) 직류 릴레이
JP5303022B2 (ja) 自動車リチウムイオン電池システムにおける直線状高電圧接触器用の2重双極性磁界
US9576760B2 (en) Contact device
CN102893360B (zh) Dc开关装置
US10242829B2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coil terminal
JP2021535548A (ja) 直流リレー
JP6444103B2 (ja) 強磁性側面部材上の小型永久磁石と一群のアーク分離板とを備えた双方向直流電気スイッチング装置
JP5918424B2 (ja) 電磁接触器
JP5093015B2 (ja) 電磁継電器
KR20160031897A (ko) 전자접촉기
CN105470052A (zh) 直流继电器
US8901445B2 (en) Magnetic contactor
JP2021536100A (ja) 直流リレー
JP2016072020A (ja) 接点装置
KR20180043316A (ko) 전기 스위치용 접속 장치 및 전기 스위치
CN104303251A (zh) 线路保护开关
KR20200096195A (ko) 직류 릴레이
KR20130000096U (ko) 회로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CN205542600U (zh) 一种接触器式继电器
CN103854926A (zh) 电磁接触器
JP2007214034A (ja) 電磁継電器
CN202871727U (zh) 直流断路器吹弧装置
CN102915894B (zh) 直流断路器吹弧装置
KR102508804B1 (ko) 직류 차단기용 자기소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