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10A - 유아용 흔들침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흔들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10A
KR20160000210A KR1020140077304A KR20140077304A KR20160000210A KR 20160000210 A KR20160000210 A KR 20160000210A KR 1020140077304 A KR1020140077304 A KR 1020140077304A KR 20140077304 A KR20140077304 A KR 20140077304A KR 20160000210 A KR20160000210 A KR 20160000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upper base
baby
bas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태오
김상원
김진삼
김평규
차미정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210A/ko
Publication of KR2016000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47D9/057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drive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유아용 흔들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홈부가 형성된 하부 베이스, 저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홈부 및 중간에 중간홈부가 형성된 상부 베이스, 상기 하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의 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상기 하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의 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상부 베이스의 중간 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모터의 회전으로 회전되는 회전 링크가 구비된 구동장치를 마련하여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부 베이스를 상하 요동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아의 부모 또는 보호자가 유아를 안고서 흔들어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유아의 머리가 항상 위쪽을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유아용 흔들침대{Baby Rocking Bed}
본 발명은 유아용 흔들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머리를 상부로 향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흔들어 줌으로써 유아를 재울 수 있는 유아용 흔들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가 보채거나 재우려 할 때 이들의 부모 또는 보호자는 유아를 흔들어 줌으로써, 유아는 편안하고 안정상태를 유지하거나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종래에는 대부분 안거나 업고 유아를 흔들어 주었으나 최근에는 흔들침대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정적으로 흔들어 주어 휴식하거나 재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같은 종래의 유아용 흔들침대는 일반적인 흔들의자의 원리를 이용하거나 흔들침대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즉, 종래의 흔들침대는 기본적으로 방바닥 또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본체케이스, 일단이 본체케이스에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지대, 지지대의 타단부에 회전 또는 스윙 가능하게 고정되며 유아가 누울 수 있는 침대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흔들침대는 부모 또는 보호자가 침대를 직접 흔들어주어야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부모 또는 보호자가 최소한 일정시간 간격으로 침대를 흔들어 주기 위하여 흔들침대 옆에 위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침대를 흔드는 힘 또는 속도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유아가 놀라거나 안정적으로 수면을 취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유아용 흔들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에는 상부가 절곡된 장방형의 아기침대,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흔들림유도판 및 흔들림작동판, 각각의 흔들림작동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봉 형상의 단면을 갖는 흔들림작동바 상기 아기침대를 지지해주는 수직지지대, 각각의 흔들림유도판과 흔들림작동판을 상호 연결해주는 수평지지바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기침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전동모터,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 상기 아기침대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조종리모콘, 상기 아기침대 저면부의 기어박스, 기어박스 내부에 장착된 한 쌍의 종동베벨기어 및 차동 베벨기어, 상기 베벨기어의 일단에 결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중심외측에 연결된 연결축, 일측이 연결축에 결합되며 타측이 흔들림작동바에 결합되는 로드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유아용 흔들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에는 방바닥 또는 지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액튜에이터,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장치 및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유아가 좌우로 흔들릴 수 있도록 상기 회동장치에 연계되는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96281호(2000년 7월 5일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22653호(2001년 2월 22일 등록)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는 모터에 의해 로드가 상하로 왕복 운동하면서 흔들림 작동판을 왕복 요동시켜 흔들침대를 앞뒤로 흔들어 줄 수 있으나 요동이 작아 유아의 수면을 초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는 침대에 누워 있는 유아를 좌우로 흔들어 줌으로써 부모 또는 보호자가 업거나 안아 준 상태에서의 동작이 달라 유아의 수면을 초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대에 누운 유아를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흔들어 줌으로써 부모 또는 보호자가 유아를 재우는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할 수 있는 유아용 흔들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의 머리가 항상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유아의 취침 시 유아가 안정적인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유아용 흔들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는 상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홈부가 형성된 하부 베이스, 저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홈부 및 중간에 중간홈부가 형성된 상부 베이스, 상기 하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의 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상기 하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의 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상부 베이스의 중간 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모터의 회전으로 회전되는 회전 링크가 구비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 베이스의 일측이 타측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하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하부 베이스 상면에 안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으로 편심 회전되는 제1 회전 링크, 상기 제1 회전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베이스의 중간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는 상기 하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에 4절 링크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 베이스를 상하 요동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에 의하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부 베이스를 상하 요동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아의 부모 또는 보호자가 유아를 안고서 흔들어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유아의 머리가 항상 위쪽을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를 보인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를 보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의 상부 베이스가 요동 및 전후 방향으로의 동작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의 상부 베이스가 요동 및 전후 방향으로의 동작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를 보인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를 보인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는 상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홈부(11)가 형성된 하부 베이스(10), 저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홈부(21) 및 중간에 중간홈부(22)가 형성된 상부 베이스(20), 상기 하부 베이스(10) 및 상부 베이스(20)의 홈부(11, 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30), 상기 하부 베이스(10) 및 상부 베이스(20)의 홈부(11, 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40), 상기 상부 베이스(20)의 중간 홈부(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모터(51)의 회전으로 회전되는 회전 링크(52)가 구비된 구동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베이스(10)는 일정 크기 및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좌우 양측에 각각 홈부(11)가 형성된다. 이러한 홈부(11)는 하부 베이스(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 베이스(10)에는 상기 홈부(1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1 링크(30) 및 제2 링크(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핀구멍(1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베이스(20)는 침대(미도시)을 받치면서 침대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상부 베이스(20)는 하부 베이스(10)와 같이 일정 두께 및 크기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저면에는 좌우 양측에 홈부(21)가 형성된다.
또한 저면의 중간에는 중간홈부(22)가 형성되며, 홈부(21) 및 중간홈부(22)와 직교하는 방향에는 핀구멍(2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링크(30)는 하부 베이스(10)와 상부 베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양측에는 각각 핀구멍(12, 23)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결합구멍(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링크(30)는 하부 베이스(10)와 상부 베이스(20)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또한 제2 링크(40)는 하부 베이스(10)와 상부 베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데, 제1 링크(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양측에는 각각 핀구멍(12, 23)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결합구멍(41)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2 링크(40)는 제1 링크(30)와 달리 하부 베이스(10)와 상부 베이스(20)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며, 제2 링크(40)의 일단은 하부 베이스(10)의 끝단에 결합되며, 제2 링크(40)의 타단은 상부 베이스(20)의 중간 위치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상부 베이스(20)를 상하 요동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 시키는 구동장치(50)가 마련된다.
이와 함께 하부 베이스(10)와 제1 링크(30) 및 제2 링크(4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핀(45)이 구비된다.
구동장치(50)는 하부 베이스(10) 상면에 안착되는 모터(51), 모터(51)의 회전으로 상기 상부 베이스(20)를 요동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 되게 결합되는 회전 링크(5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링크(52)는 모터(51)의 회전축(51a)에 고정되는 제1 회전 링크(53) 및 제1 회전 링크(53)와 상부 베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링크(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링크(53)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1 회전 링크(53)에는 모터(51)의 회전축(51a)이 끼워지는 제1 구멍(53a)과 제2 회전 링크(54)와 결합되는 제2 구멍(53b)이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제2 회전 링크(54)는 제1 회전 링크(53)와 상부 베이스(20)의 중간홈부(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모터(51)의 회전력으로 상부 베이스(20)를 상하 요동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 되게 한다.
제2 회전 링크(54)는 제1 회전 링크(53)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지며, 제1 회전 링크(53)의 제2 구멍(53b)과 대응되는 제1 구멍(54a)과 고정핀(45)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 구멍(54b)이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는 하부 베이스(10)와 상부 베이스(20)를 소정의 높이로 결합하며, 상부 베이스(20)의 상면에는 침대(미도시)를 지지한다.
하부 베이스(10)와 상부 베이스(20)에는 한 쌍의 제1 링크(30)와 제2 링크(40)를 결합하는데, 제1 링크(3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구멍(31)은 하부 베이스(10)의 홈부(11)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핀(45)을 핀구멍(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1 링크(3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멍(31)은 상부 베이스(20)의 홈부(21)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핀(45)을 핀구멍(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부 베이스(20)의 중간홈부(22)에는 제2 회전 링크(54)의 제2 구멍(54b)을 함께 결합한다.
이들 제1 링크(30)는 하부 베이스(30)와 상부 베이스(20)에 대하여 수직으로 결합한다.
상기 제2 링크(4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구멍(41)은 하부 베이스(10)의 홈부(11)에 끼운 상태에서 핀구멍(12)에 고정핀(45)을 끼워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 제2 링크(4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멍(41)은 상부 베이스(20)의 홈부(21)에 끼운 상태에서 핀구멍(23)에 고정핀(45)을 끼워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아울러 제2 링크(40)의 일단은 하부 베이스(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2 링크(40)의 타단은 상부 베이스(20)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 핀구멍(23)에 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한다.
또한 제2 회전 링크(54)의 제1 구멍(54a)에는 제1 회전 링크(53)의 제2 구멍(53b)을 리벳 형태로 이루어진 핀(46)을 끼워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아울러 제1 회전 링크(53)의 제1 구멍(53a)은 모터(51)의 회전축(51a)에 끼워 고정한다.
이러한 모터(51)의 회전축(51a)과 제1 회전 링크(53)는 회전축(51a)에 의해 제1 회전 링크(53)가 회전되도록 고정된다. 즉, 제1 회전 링크(53)는 회전축(51a)에 의해 회전되도록 고정되며, 제1 회전 링크(53)와 제2 회전 링크(54)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제2 회전 링크(54)의 제1 구멍(54a)은 회전축(51a)을 중심으로 소정의 직경으로 회전된다. 아울러 하부 베이스(10) 상면에는 모터(51)를 안정되게 장착한다.
다음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의 상부 베이스가 요동 및 전후 방향으로의 동작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흔들침대의 상부 베이스가 요동 및 전후 방향으로의 동작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흔들침대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모터(51)가 회전되고, 모터(5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51a)이 회전된다.
이때 회전축(51a)에 고정되어 있는 제1 회전 링크(53)는 회전축(51a)을 중심으로 소정의 원을 그리면서 회전된다. 즉, 제1 회전 링크(53)의 제1 구멍(53a)은 회전축(51a)과 함께 회전됨에 따라 제2 구멍(53b)은 제1 구멍(53a)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전 링크(53)의 제2 구멍(53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 회전 링크(54)는 제1 회전 링크(53)의 제2 구멍(53b)과 동일한 원을 그리면서 회전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링크(53)의 제2 구멍(53b)이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제1 링크(30)는 대략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이므로 상부 베이스(20)는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제2 링크(40)는 하부 베이스(10)의 핀구멍(12)과 상부 베이스(20)의 핀구멍(23)에 초기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링크(53)가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 회전 링크(54)는 도면상 시계(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 링크(30)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됨과 함께 제2 링크(40)는 핀구멍(12, 2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부 베이스(20)의 오른쪽 부분이 상승하게 된다.
이는 4절 링크의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하부 베이스(10)의 핀구멍(12) 간의 거리, 상부 베이스(20)의 핀구멍(23) 간의 거리, 제1 링크(30) 및 제2 링크(40)의 거리는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게 되며, 구동장치(50)에 결합된 회전 링크(52) 즉, 제1 회전 링크(53)와 제2 회전 링크(54)의 회전에 의해 제1 링크(30)와 제2 링크(40)의 각도가 변화하게 된다.
이에 상부 베이스(20)는 이들 제1 링크(30) 및 제2 링크(40)의 각도 변화에 따라 상부 베이스(20)의 일측(도면상 오른쪽)이 상승 또는 하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링크(5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회전 링크(53)의 제2 구멍(53b)의 위치가 수평선을 기준으로 -45°의 각도로 회전되면, 상부 베이스(20)의 도면상 오른쪽 부분이 가장 높게 상승된다.
이어서 제1 회전 링크(53)의 제2 구멍(53b)은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됨에 따라 상부 베이스(20)의 오른쪽 부분은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또한 제1 링크(30) 및 제2 링크(40)는 회전 링크(52)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하부 베이스(10)의 핀구멍(12)과 상부 베이스(20)의 핀구멍(2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부 베이스(20)를 상하로 요동시킴과 함께 전후 방향, 즉 도 3 내지 도 5의 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 하게 된다.
한편 상부 베이스(20)의 오른쪽 부분은 상하로 요동이 이루어지더라도 왼쪽 부분에 비하여 상승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유아의 머리가 위를 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하부 베이스 11: 홈부
12: 핀구멍 20: 상부 베이스
21: 홈부 22: 중간홈부
23: 핀구멍 30: 제1 링크
31: 결합구멍 40: 제2 링크
41: 결합구멍 45: 고정핀
46: 핀 50: 구동장치
51: 모터 51a: 회전축
52: 회전 링크 53: 제1 회전 링크
53a: 제1 구멍 53b: 제2 구멍
54: 제2 회전 링크 54a: 제1 구멍
54b: 제2 구멍

Claims (4)

  1. 상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홈부가 형성된 하부 베이스,
    저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홈부 및 중간에 중간홈부가 형성된 상부 베이스,
    상기 하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의 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상기 하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의 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상부 베이스의 중간 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모터의 회전으로 회전되는 회전 링크가 구비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흔들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 베이스의 일측이 타측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하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흔들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하부 베이스 상면에 안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으로 편심 회전되는 제1 회전 링크,
    상기 제1 회전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베이스의 중간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흔들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는 상기 하부 베이스 및 상부 베이스에 4절 링크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 베이스를 상하 요동 및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흔들침대.
KR1020140077304A 2014-06-24 2014-06-24 유아용 흔들침대 KR20160000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304A KR20160000210A (ko) 2014-06-24 2014-06-24 유아용 흔들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304A KR20160000210A (ko) 2014-06-24 2014-06-24 유아용 흔들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10A true KR20160000210A (ko) 2016-01-04

Family

ID=5516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304A KR20160000210A (ko) 2014-06-24 2014-06-24 유아용 흔들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21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324A (ko) 2018-03-08 2019-09-18 최흥만 유아용 흔들침대
KR20190002473U (ko) 2019-09-23 2019-10-02 최흥만 유아용 흔들침대
USD888342S1 (en) 2019-01-14 2020-06-23 Telebrands Corp. Skin treatment device
AU2019275677B1 (en) * 2019-12-08 2020-08-06 Ruoey Lung Enterprise Corp. Base Seat for Bed, Chair or Sofa
CN112932155A (zh) * 2019-12-11 2021-06-11 锐龙兴业股份有限公司 用于床、椅或沙发的底座
USD1023468S1 (en) 2021-03-29 2024-04-16 Telebrands Corp. Foot fi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281Y1 (ko) 2000-04-24 2000-09-15 이인근 유아용 흔들침대
KR200222653Y1 (ko) 2000-11-17 2001-05-15 최진태 유아용 흔들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281Y1 (ko) 2000-04-24 2000-09-15 이인근 유아용 흔들침대
KR200222653Y1 (ko) 2000-11-17 2001-05-15 최진태 유아용 흔들침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324A (ko) 2018-03-08 2019-09-18 최흥만 유아용 흔들침대
USD888342S1 (en) 2019-01-14 2020-06-23 Telebrands Corp. Skin treatment device
KR20190002473U (ko) 2019-09-23 2019-10-02 최흥만 유아용 흔들침대
AU2019275677B1 (en) * 2019-12-08 2020-08-06 Ruoey Lung Enterprise Corp. Base Seat for Bed, Chair or Sofa
CN112932155A (zh) * 2019-12-11 2021-06-11 锐龙兴业股份有限公司 用于床、椅或沙发的底座
USD1023468S1 (en) 2021-03-29 2024-04-16 Telebrands Corp. Foot f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0210A (ko) 유아용 흔들침대
EP2617329B1 (en) Infant care apparatus
US20160066708A1 (en) Wave-motion infant seat
TWI522072B (zh) 兒童擺動裝置
US10016068B2 (en) Infant support with panning and swaying motions
CN203634433U (zh) 按摩装置以及设有该按摩装置的座椅式按摩器
CN104840041A (zh) 幼儿载具
CN105747686A (zh) 一种齿轮式自动摇动婴儿摇摆床
US9066604B2 (en) Baby swing and bouncer
CN111839093A (zh) 一种可自动摇摆的摇摆装置及婴儿床
WO2017152805A1 (zh) 一种自动摇摆装置
CN201939684U (zh) 一种按摩椅机架
WO2017031783A1 (zh) 一种婴儿床的摇摆装置
CN111887666A (zh) 一种智能婴儿床
CN212678782U (zh) 一种可自动摇摆的摇摆装置及婴儿床
CN102525760B (zh) 一种侧翻护理床
CN101756561A (zh) 婴儿摇椅
CN115153260A (zh) 一种儿童用品
KR20110084702A (ko) 모형손을 이용한 아기요람 장치
CN104856520B (zh) 升降变动式婴儿头型防扁机
CN110626413A (zh) 摇摆驱动装置及摇摆车
CN210760931U (zh) 摇摆驱动装置及摇摆车
CN219479668U (zh) 儿童用品
KR100393278B1 (ko) 유아용 흔들침대
JP2700098B2 (ja) 揺動装置付きゆりか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