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150U - 전동 헤어 클리퍼 - Google Patents

전동 헤어 클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150U
KR20160000150U KR2020140005070U KR20140005070U KR20160000150U KR 20160000150 U KR20160000150 U KR 20160000150U KR 2020140005070 U KR2020140005070 U KR 2020140005070U KR 20140005070 U KR20140005070 U KR 20140005070U KR 20160000150 U KR20160000150 U KR 201600001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case
vibration actuator
cap
hair cl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이삭
Original Assignee
황이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이삭 filed Critical 황이삭
Priority to KR2020140005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150U/ko
Publication of KR201600001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 헤어 클리프는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에 대하여 왕복 운동하는 이동날을 갖는 커터부와, 상기 이동날을 진동시키는 진동 액츄에이터와, 상기 진동 엑츄에이터가 수납되는 케이스와, 상기 이동날과 상기 진동 엑츄에이터를 연결하는 판 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진동 엑츄에이터에 고정하며, 상기 판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스프링, 및 상기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판스프링을 덮는 조절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 헤어 클리퍼{ELECTROMOTIVE HAIR CLIPPER}
본 고안은 전동 헤어 클리퍼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절 캡을 갖는 전동 헤어 클리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진동형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헤어 클리퍼는, 빗살 형상의 고정날에 대향하는 빗살 형상의 가동날을 진동형 리니어액츄에이터로 왕복진동시킨다.
헤어 클리퍼에 진동형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채용하여, 빗살 형상의 가동날을 빗살 형상의 고정날에 밀어붙임용 스프링부재로 밀어붙인 상태에서, 가동날을 진동형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왕복 진동시킨다.
스프링부재를 이용하여 가동날을 고정날에 가압할 때, 스프링부재가 가동날을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헤어 클리퍼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텐션이 약해지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 헤어 클리퍼는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를 분리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77442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판 스프링의 텐션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동 헤어 클리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굴곡진 부분을 용이하게 자를 수 있는 전동 헤어 클리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 헤어 클리프는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에 대하여 왕복 운동하는 이동날을 갖는 커터부와, 상기 이동날을 진동시키는 진동 액츄에이터와, 상기 진동 엑츄에이터가 수납되는 케이스와, 상기 이동날과 상기 진동 엑츄에이터를 연결하는 판 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진동 엑츄에이터에 고정하며, 상기 판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스크류, 및 상기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판스프링을 덮는 조절 캡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호형으로 만곡된 탄성 변형부, 및 상기 탄성 변형부에서 굴곡되어 상기 이동날에 고정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캡에는 상기 텐션스크류를 노출시키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캡은 상기 커터부와 연결된 선단부 상기 선단부에서 만곡된 홈부가 형성된 하면를 갖고, 상기 홈부는 상기 케이스의 폭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은 상기 선단부의 폭이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날의 최대폭을 L1이라 하고, 상기 선단부의 폭을 L2라 할 때, L1은 L2의 2배 내지 5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은 상기 조절 캡의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하면과 상기 조절 캡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하면 및 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캡은 상기 케이스에 나사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헤어 클리퍼는 구동을 위한 PCB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PCB 전원부에는 너트가 매립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헤어 클리프는 조절 캡을 구비함으로써 조절 캡 만을 이탈 시켜서 용이하게 판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헤어 클리프는 회피 홈을 구비하여 굴곡진 부분을 용이하게 자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에서 제어 캡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액츄에이터와 커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의 조절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의 조절 캡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에서 제어 캡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액츄에이터와 커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헤어 클리퍼(101)는 커터부(20)와 진동 액츄에이터(60)와 케이스(10)와 판 스프링(40), 텐션스프링(44) 및 조절 캡(31)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에 필요한 PCB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상부 커버(11)와 하부 커버(12)를 포함하고, 이 케이스(10) 내에 진동 액츄에이터(60)가 수납된다. 케이스(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진동 액츄에이터(60)는 이동날(23)을 진동시키며 가동자(61)와 스테이터 코어(62)를 포함한다. 스테이터 코어(62)는 철판을 적층한 스테이터에 와이어가 감겨진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 가동자(61)는 자성부재인 요크를 포함하며, 스테이터 코어(62)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변할 때 가동자(61)가 좌우로 움직인다. 스테이터 코어(62)에는 스테이터 코어(62)를 지지하는 유지부재(63)가 설치되는데, 유지부재(63)는 스테이터 코어(62)를 케이스 내에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구동을 위한 내부에 실장되는 PCB 전원부(미도시)는 너트가 매립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코드의 교체 시 전원 코드의 탈부착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가동자(61)에는 판 스프링(40)이 연결 설치되며, 유지부재(63)에는 지지판(50)이 고정 설치된다. 커터부(20)는 고정날(21)과 고정날(21)에 대하여 왕복 운동하는 이동날(23)을 포함한다. 이동날(23)은 판 스프링(40)을 매개로 가동자(61)와 연결되는데, 이동날(23)은 가동자(61)에 의하여 M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판 스프링(40)은 이동날(23)을 고정날(21)에 가압하여 밀착시킨다. 이동날(23)이 고정날(21)에 밀착되어야 절삭이 용이하며, 이동날(23)이 고정날(21)에서 이격되면 절삭력이 저하된다.
판 스프링(40)은 진동 액츄에이터(60)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41)와 제1 지지부(41)에서 호형으로 만곡된 탄성 변형부(42), 및 탄성 변형부(42)의 선단에서 굴곡 형성되어 이동날(23)에 고정된 제2 지지부(43)를 갖는다. 제1 지지부(41)는 가동자(61)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판 스프링(40)은 가동자(61)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제1 지지부(41)에는 텐션스프링(44) 및 고정 나사(45)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고정 나사(45)는 제1 지지부(41)를 관통하여 가동자(61)에 삽입 고정된다.
텐션스프링(44)은 제1 지지부(41)를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판 스프링(40)의 텐션을 조절한다. 텐션스프링(44)을 너무 세게 조이면 판 스프링(40)이 이동날(23)을 고정날(21)에 너무 가압하여 이동날(23)이 잘 움직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텐션스프링(44)를 너무 헐겁게 조이면 이동날(23)이 고정날(21)에 밀착되지 못하여 절삭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지지판(50)에는 지지 돌기(51)가 형성되는데, 지지 돌기(51)는 케이스(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날(21)을 지지한다. 지지 돌기(51)에는 나사가 체결되는데, 나사는 지지 돌기(51)의 홀(52)과 고정날(21)의 홀(21a)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에 따라 고정날(21)은 지지판(50)을 매개로 케이스(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조절 캡(31)은 판 스프링(40)을 덮도록 설치되며 케이스(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 캡(31)은 나사에 의하여 케이스(10) 고정되며 케이스에는 나사와 체결되는 보스(13)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절 캡(31)은 케이스(10)에 끼움 결합되거나 돌기에 의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르면 조절 캡(31)이 설치되므로 케이스(10)를 분리하지 아니하고, 케이스(10)에서 조절 갭(31)만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판 스프링(4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102)는 조절 캡(131)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102)는 고정날과 이동날을 포함하는 커터부(120)와 진동 액츄에이터가 내장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조절 캡(131)을 포함한다.
조절 캡(131)에는 고정 나사를 노출시키는 홀(135)이 형성되는데, 홀(135)은 고정 나사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홀(135)에는 고무로 이루어진 튜브(132)가 끼워지며 튜브(132)의 내측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고정 나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의 조절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의 조절 캡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용 헤어 클리퍼(103)는 진동 액츄에터가 내장되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절 캡(230), 및 조절 캡에 연결된 커터부(220)를 포함한다.
커터부(220)는 커터부(220)는 고정날(221)과 고정날(221)에 대하여 왕복 운동하는 이동날(223)을 포함한다. 이동날(223)은 판 스프링을 매개로 가동자와 연결되는데, 이동날(223)은 가동자에 의하여 왕복 운동한다.
조절 캡(230)은 커터부(220)와 연결된 선단부(238)와 선단부(238)에서 만곡된 홈부(232)가 형성된 하면(231)을 갖는다. 홈부(232)는 케이스(210)의 폭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호형 또는 삼각형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홈부(232)는 산단부(238)에서 케이스(210)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홈부(232)가 형성되면 굴곡면을 보다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다.
한편, 조절 캡(230)은 선단부(238)의 폭이 가장 작게 형성되며, 고정날(221) 최대폭을 L1이라 하고, 선단부(238)의 폭을 L2라 할 때, L1은 L2의 2배 내지 5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선단부(238)의 폭이 작게 형성되면 귀 뒤 등 복합한 부분을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다.
하면(231)은 조절 캡(230)의 측면(236)과 연결되고, 하면(231)과 조절 캡(230)의 측면(236) 사이에는 하면(231) 및 측면(236)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절 캡(230)의 내부에 판 스프링이 설치되며 조절 캡(230)에는 판 스프링의 텐선을 조절하는 고정 나사(245)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 캡(230) 만을 케이스에서 분리하여 판스프링의 텐션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102, 103: 전동용 헤어 클리퍼
10, 110, 210: 케이스
11: 상부 커버
12: 하부 커버
20, 120, 220: 커터부
21: 고정날
23: 이동날
31, 131: 조절 캡
40: 판 스프링
41: 제1 지지부
42: 탄성 변형부
43: 제2 지지부
44: 텐션 스프링
45: 고정 나사
60: 진동 액츄에이터
61: 가동자
62: 스테이터 코어
132: 튜브
135: 홀

Claims (9)

  1.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에 대하여 왕복 운동하는 이동날을 갖는 커터부;
    상기 이동날을 진동시키는 진동 액츄에이터;
    상기 진동 엑츄에이터가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이동날과 상기 진동 엑츄에이터를 연결하는 판 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진동 엑츄에이터에 고정하며, 상기 판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스프링; 및
    상기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판스프링을 덮는 조절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헤어 클리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호형으로 만곡된 탄성 변형부, 및 상기 탄성 변형부에서 굴곡되어 상기 이동날에 고정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헤어 클리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캡에는 상기 텐션스프링을 노출시키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헤어 클리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캡은 상기 커터부와 연결된 선단부 상기 선단부에서 만곡된 홈부가 형성된 하면를 갖고, 상기 홈부는 상기 케이스의 폭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헤어 클리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은 상기 선단부의 폭이 가장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헤어 클리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의 선단의 폭을 L1이라 하고, 상기 선단부의 폭을 L2라 할 때, L1은 L2의 2배 내지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헤어 클리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은 상기 조절 캡의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하면과 상기 조절 캡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하면 및 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헤어 클리퍼.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캡은 상기 케이스에 나사를 매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헤어 클리퍼.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헤어 클리퍼는 구동을 위한 PCB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PCB 전원부에는 너트가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헤어 클리퍼.
KR2020140005070U 2014-07-07 2014-07-07 전동 헤어 클리퍼 KR201600001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070U KR20160000150U (ko) 2014-07-07 2014-07-07 전동 헤어 클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070U KR20160000150U (ko) 2014-07-07 2014-07-07 전동 헤어 클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50U true KR20160000150U (ko) 2016-01-15

Family

ID=5517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070U KR20160000150U (ko) 2014-07-07 2014-07-07 전동 헤어 클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1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4000A1 (en) * 2018-12-14 2020-06-18 Andis Company Snap fastened drive cap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4000A1 (en) * 2018-12-14 2020-06-18 Andis Company Snap fastened drive cap assembly
CN113165194A (zh) * 2018-12-14 2021-07-23 安迪思公司 卡扣紧固式驱动器盖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6919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EP1915814B1 (en) An electromechanical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7239053B2 (en) Vibrator motor
CN105415405A (zh) 具有嵌入弹簧的刀片组件
JP2006175595A (ja) 手持式工具装置用のサイドグリップ
JP4487650B2 (ja) 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往復式電気かみそり
CN108736683B (zh) 振动型线性致动器以及体毛处理器
US20120030950A1 (en) Vibrator motor
JP2020505098A5 (ko)
KR20160000150U (ko) 전동 헤어 클리퍼
JP5260927B2 (ja) 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102294805B1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JP2009081920A (ja) 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102611699B1 (ko) 진동형 리니어 액추에이터 및 절단 장치
US2283551A (en) Vibratory electric motor apparatus
KR101821953B1 (ko) 관성형 가진기
US1695516A (en) Clipper
US1833191A (en) Clipper
JP4023473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KR100872539B1 (ko) 헤어 커터
JP3190272U (ja) 理科教材
KR20130103006A (ko) 진동 팩트
JP2007083073A (ja) 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014004723A (ja) 携帯用丸のこ
WO2014155970A1 (ja) 電気かみそ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