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132U - 낚시 좌대 - Google Patents

낚시 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132U
KR20160000132U KR2020140005027U KR20140005027U KR20160000132U KR 20160000132 U KR20160000132 U KR 20160000132U KR 2020140005027 U KR2020140005027 U KR 2020140005027U KR 20140005027 U KR20140005027 U KR 20140005027U KR 20160000132 U KR20160000132 U KR 201600001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anel
bolt
insertion hol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146Y1 (ko
Inventor
이희선
Original Assignee
이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선 filed Critical 이희선
Priority to KR2020140005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14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낚시 좌대는 판 형태의 사각 패널과 패널 가장자리에 하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측면들을 포함하고, 패널의 외곽측 4 모서리 부분에는 봉 형태의 지지부가 관통되는 제1 삽입공이 형성되고, 측면들에는 제1 삽입공에 관통된 지지부의 외주면과 인접한 위치에 홀 형태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패널부 및, 상하로 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서 제1 삽입공을 관통한 지지부가 통공을 관통되도록 제2 삽입공이 형성되고 제1 결합공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 형태의 제2 결합공이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재와, 일측은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은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볼트가 형성되며 제1 삽입공을 관통한 지지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어 지지부를 고정하도록 제1 결합공을 관통한 볼트가 제2 결합공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제1 삽입공과 제2 삽입공에 관통되는 지지부를 조임볼트부재로 고정시킴으로써, 조임볼트부재의 볼트 단부가 지지부 외측면 중 볼트 단부가 고정시키는 위치에 따라 낚시 좌대의 높이를 조절하고 미세한 높이 조절까지 가능한 낚시 좌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 좌대{THE SEATING PLACE FOR A FISHING}
본 고안은 낚시 좌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가나 해안가 등에 설치되는 휴대용 낚시 좌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낚시 좌대는 얕은 강가나 바닷가에 설치되어 낚시하는 사람들이 발판으로 삼거나 낚시대를 설치하고 기타 물건 등을 놓기 위한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낚시 좌대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평한 형태의 패널부와 패널부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보관 및 이동시에는 낚시 좌대가 접혀져 전체 크기가 축소됨으로써 그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손쉽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낚시 좌대의 패널부를 2등분으로 접히게 제작하면서 지지부도 소형화되어 패널부와 지지부가 일체형일 경우 지지부의 길이가 제한적이고 짧아지고,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판 형태의 사각 패널과 패널 가장자리에 하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측면들을 포함하고, 패널의 외곽측 4 모서리 부분에는 봉 형태의 지지부가 관통되는 제1 삽입공이 형성되고, 측면들에는 제1 삽입공에 관통된 지지부의 외주면과 인접한 위치에 홀 형태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패널부 및, 상하로 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서 제1 삽입공을 관통한 지지부가 통공을 관통되도록 제2 삽입공이 형성되고 제1 결합공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 형태의 제2 결합공이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재와, 일측은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은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볼트가 형성되며 제1 삽입공을 관통한 지지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어 지지부를 고정하도록 제1 결합공을 관통한 볼트가 제2 결합공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제1 삽입공과 제2 삽입공에 관통되는 지지부를 조임볼트부재로 고정시킴으로써, 조임볼트부재의 볼트 단부가 지지부 외측면 중 볼트 단부가 고정시키는 위치에 따라 낚시 좌대의 높이를 조절하고 미세한 높이 조절까지 가능한 낚시 좌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널부의 사각 패널이 서로 대칭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로 구성되고,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됨으로써,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서로 수평으로 회동하거나 평행으로 회동이 가능한 낚시 좌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제2 결합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의 받침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제2 삽입공에 통공되는 지지부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낚시 좌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의 낚시 좌대는 판 형태의 사각 패널과 상기 패널 가장자리에 하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의 외곽측 4 모서리 부분에는 봉 형태의 지지부가 관통되는 제1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들에는 상기 제1 삽입공에 관통된 지지부의 외주면과 인접한 위치에 홀 형태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패널부;와 상하로 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서 상기 제1 삽입공을 관통한 상기 지지부가 상기 통공을 관통되도록 제2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공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 형태의 제2 결합공이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재와, 일측은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볼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공을 관통한 지지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결합공을 관통한 상기 볼트가 상기 제2 결합공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널부는 상기 사각 패널이 서로 대칭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결합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의 받침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의 낚시 좌대는 판 형태의 사각 패널과 패널 가장자리에 하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측면들을 포함하고, 패널의 외곽측 4 모서리 부분에는 봉 형태의 지지부가 관통되는 제1 삽입공이 형성되고, 측면들에는 제1 삽입공에 관통된 지지부의 외주면과 인접한 위치에 홀 형태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된 패널부 및, 상하로 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서 제1 삽입공을 관통한 지지부가 통공을 관통되도록 제2 삽입공이 형성되고 제1 결합공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 형태의 제2 결합공이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재와, 일측은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은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볼트가 형성되며 제1 삽입공을 관통한 지지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어 지지부를 고정하도록 제1 결합공을 관통한 볼트가 제2 결합공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제1 삽입공과 제2 삽입공에 관통되는 지지부를 조임볼트부재로 고정시킴으로써, 조임볼트부재의 볼트 단부가 지지부 외측면 중 볼트 단부가 고정시키는 위치에 따라 낚시 좌대의 높이를 조절하고 미세한 높이 조절까지 가능한 낚시 좌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널부의 사각 패널이 서로 대칭하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로 구성되고,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됨으로써,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서로 수평으로 회동하거나 평행으로 회동이 가능한 낚시 좌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제2 결합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의 받침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제2 삽입공에 통공되는 지지부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낚시 좌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 좌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고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부에 지지부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고정부에 지지부가 결합되고, 조임볼트로 고정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패널부가 서로 대칭하게 2등분으로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지지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fms 다양한 형태로 구형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낚시 좌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 좌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패널부(100)가 서로 대칭하도록 2등분으로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지지부(3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은 판 형태의 사각 패널과 상기 패널 가장자리에 하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의 외곽측 4 모서리 부분에는 봉 형태의 지지부(300)가 관통되는 제1 삽입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들에는 상기 제1 삽입공(120)에 관통된 지지부(300)의 외주면과 인접한 위치에 홀 형태의 제1 결합공(130)이 형성된 패널부(100); 및 상하로 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서 상기 제1 삽입공(120)을 관통한 상기 지지부(300)가 상기 통공을 관통되도록 제2 삽입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공(130)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 형태의 제2 결합공(214)이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재(210)와, 일측은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볼트(23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공(120)을 관통한 지지부(30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300)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결합공(130)을 관통한 상기 볼트(232)가 상기 제2 결합공(214)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부재(230)를 포함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부(11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평한 형태의 사각 패널(110)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110)의 외곽측 4 모서리 부분에 지지부(300)의 직경보다 더 넓게 상하로 관통형성된 제1 삽입공(110)이 형성되어 지지부(300)가 관통되고, 상기 패널(110)의 측면들에는 조임볼트부재(230)의 볼트(23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공(1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널부(100)는 서로 대칭하는 제1 패널(110a)과 제2 패널(110b)로 구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접촉면 하측에 서로 수평하게 펼쳐지거나 평행하게 접힐 수 있도록 경첩으로 연결하여, 수납 및 이동시에는 상기 제1 패널(110a)과 상기 제2 패널(110b)이 서로 평행하도록 접힌 상태로 만들고, 낚시 좌대로 사용시에는 상기 제1 패널(110a)과 상기 제2 패널(110b)이 서로 수평하도록 펼친 생태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결합공(214)과 대향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의 받침돌기(216)가 형성하여, 상기 조임볼트부재(230)의 볼트(232)가 제2 결합공(214)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 삽입공(212)에 관통되는 상기 지지부(300)를 고정시킬 때, 상기 볼트(232)의 단부가 상기 지지부(300)의 일측 외주면과 밀착되고 상기 지지부(300)의 타측 외주면을 상기 제2 삽입공(212)에 형성된 받침돌기(216)가 받쳐줌으로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부재(230)는 상기 제2 결합공(214)에 상기 조임볼트부재(230)의 볼트(232)가 나사결합할때, 상기 볼트(232)에 베어링(220)을 결합함으로써, 보다 더 견고하고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300)는 제1 지지대(310)와 제2 지지대(320)가 고정돌기(322)와 안착홀(312)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고 지면의 굴곡 등에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유동성을 갖고 받침대(33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330)는 지면과 닿는 부분에 상기 받침대(330)가 미끌어지거나 받치고 있는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패널부 110 : 패널
110a : 제1 패널 110b : 제2 패널
120 : 제1 삽입공 130 : 제1 결합공
200 : 고정부 210 : 고정부재
212 : 제2 삽입공 214 : 제2 결합공
216 : 받침돌기 220 : 베어링
230 : 조임볼트부재 232 : 볼트
300 : 지지부 310 : 제1 지지대
312 : 안착홀 320 : 제2 지지대
322 : 고정돌기 330 : 받침대

Claims (3)

  1. 판 형태의 사각 패널(110)과 상기 패널 가장자리에 하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의 외곽측 4 모서리 부분에는 봉 형태의 지지부(300)가 관통되는 제1 삽입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들에는 상기 제1 삽입공에 관통된 지지부의 외주면과 인접한 위치에 홀 형태의 제1 결합공(130)이 형성된 패널부(100);
    상하로 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서 상기 제1 삽입공을 관통한 상기 지지부가 상기 통공을 관통되도록 제2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공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 형태의 제2 결합공이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부재(210)와, 일측은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볼트(23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공을 관통한 지지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결합공을 관통한 상기 볼트가 상기 제2 결합공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부재(230)를 포함하는 고정부(200); 를 포함하는 낚시 좌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사각 패널이 서로 대칭하는 제1 패널(110a)과 제2 패널(11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좌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결합공과 대향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의 받침돌기(2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좌대.
KR2020140005027U 2014-07-03 2014-07-03 낚시 좌대 KR200480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027U KR200480146Y1 (ko) 2014-07-03 2014-07-03 낚시 좌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027U KR200480146Y1 (ko) 2014-07-03 2014-07-03 낚시 좌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32U true KR20160000132U (ko) 2016-01-13
KR200480146Y1 KR200480146Y1 (ko) 2016-04-18

Family

ID=5517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027U KR200480146Y1 (ko) 2014-07-03 2014-07-03 낚시 좌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9773A (zh) * 2018-04-08 2018-08-21 朱德金 一种便于携带的钓鱼台
KR20190094909A (ko) * 2018-02-06 2019-08-14 배미선 낚시 좌대의 다리 조립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9932A (ko) 2022-10-11 2024-04-18 이희선 낚시용 좌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114Y1 (ko) 2006-04-03 2006-06-28 임광선 낚시 좌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909A (ko) * 2018-02-06 2019-08-14 배미선 낚시 좌대의 다리 조립구조체
CN108419773A (zh) * 2018-04-08 2018-08-21 朱德金 一种便于携带的钓鱼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146Y1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47882A1 (zh) 支撑架及拍摄设备
US8636429B2 (en) Easily adjustable tripod
WO2022047883A1 (zh) 旋转组件、支撑架及拍摄设备
KR200480146Y1 (ko) 낚시 좌대
US7581703B1 (en) Radial tripod stabilizer
KR200475981Y1 (ko) 데스크 램프
US10927999B1 (en) Support assembly
US9215923B1 (en) Portable table apparatus
US20130174712A1 (en) Quick-release cymbal felt locating device
WO2012125485A1 (en) Tripod stand
TW202035889A (zh) 旋轉球頭及萬向接頭組件
KR101227828B1 (ko) 카메라 삼각대
KR100693476B1 (ko) 낚시대용 받침대
CN204213563U (zh) 带支架的遥控器
US10538297B2 (en) Surfboard leash plug adapter with mounting mechanism for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101046675B1 (ko) 파라솔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
KR20120077857A (ko) 테트라 포드용 낚시대 받침대 고정구
CN207349216U (zh) 一种家具连接结构
KR200415611Y1 (ko) 낚시대용 받침대
KR20140011007A (ko) 텐트고정용 팩
CN109588868A (zh) 可折叠课桌装置
AU2017272248A1 (en) Spacer parts carrying element
KR200475178Y1 (ko) 부채형 석쇠
KR200377048Y1 (ko)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
US20160309896A1 (en) Outdoor furniture stab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