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178Y1 - 부채형 석쇠 - Google Patents

부채형 석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178Y1
KR200475178Y1 KR2020140001989U KR20140001989U KR200475178Y1 KR 200475178 Y1 KR200475178 Y1 KR 200475178Y1 KR 2020140001989 U KR2020140001989 U KR 2020140001989U KR 20140001989 U KR20140001989 U KR 20140001989U KR 200475178 Y1 KR200475178 Y1 KR 200475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rim
leg
fa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환
김혜원
Original Assignee
전영환
김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환, 김혜원 filed Critical 전영환
Priority to KR2020140001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1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1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채형 석쇠에 있어서, 살대의 결합 중심이 되는 조인트부; 상기 조인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된 내부살대와, 상기 내부살대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된 외부살대를 구비한 부채살부; 및 상기 부채살부의 살대 펼침 각도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구비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살대 및 상기 외부살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조인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살대의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살대의 타측 단부가 상기 테두리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부채형 석쇠{FOLDING FAN TYPE GRILL}
본 고안은 부채형 석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부채꼴 형상으로서, 접어 보관하거나 펼쳐서 캠핑용 바비큐 철판, 구이판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부채형 석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쇠는 육류, 어패류 등의 음식을 올려놓고 직화를 통해 음식을 굽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석쇠는 가열기구와 함께 사용되나, 가열 면적 확보를 위하여 두께에 비하여 면적이 대단히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캠핑, 야외 취사 활동 중에 사용함에 있어서, 부피 또는 면적을 많이 차지하여 수납이 어려운 상황이다.
근래에는 캠핑 등의 야외활동이 활성화되면서, 가볍고 작으면서 편리성을 곁들인 제품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석쇠는 기본적으로 음식을 직화로 가열할 수 있는 기본 기능 이외에, 부피 또는 면적을 줄이거나, 조립식으로 구성되어서, 수납 및 운반 등과 같이 휴대 기능이 요구된다.
예컨대, 고안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1의 휴대용 조립식 그릴은 받침대와 연결대를 분리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휴대용 조립식 그릴은 수개의 살대를 받침대와 연결대 사이에 배치하고, 각각의 살대의 양단을 받침대 또는 연결대의 고정홈에 각각 결합하여야 함으로써,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신속한 조립 또는 분리가 불가능하다.
또한, 특허문헌2의 휴대용 조립식 그릴도 살대와 지지대를 분리 및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되, 외통과 내통이 서로 분리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통과 내통에는 수개의 살대와 지지대 부분이 결합 되는 탈착식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외통과 내통에는 수개의 살대를 각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 및 절개홈을 형성하고, 상기 살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2의 휴대용 조립식 그릴은 사용자가 외통으로부터 내통을 빼내고, 그 내통으로부터 다수의 살대 및 지지대를 꺼낸 이후, 해당 구멍을 통해 살대 및 지지대를 결합시켜야 함으로써,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조립 시간 또는 분해 시간이 과도하게 요구되어서, 신속하게 조립 또는 분리되기가 매우 어렵다.
즉,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살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외통 및 내통의 사이에 결합시키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뚜껑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도중 수개의 살대들 중 일부가 분실될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1)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813호(2008.07.23)
(특허문헌2)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7-0000441호(2007.04.12)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채 구조로서 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수납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그릴 형태를 만들 수 있는 부채형 석쇠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살대의 결합 중심이 되는 조인트부; 상기 조인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된 내부살대와, 상기 내부살대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된 외부살대를 구비한 부채살부; 및 상기 부채살부의 살대 펼침 각도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구비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살대 및 상기 외부살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조인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살대의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살대의 타측 단부가 상기 테두리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형 석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부채살부를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제 1 다리부; 상기 제 1 다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1 다리부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제 1 나사부; 상기 제 1 나사부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고, 상기 제 1 나사부의 끝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 1 수납부; 및 상기 제 1 수납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너트와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나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살대 및 상기 외부살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조인트부의 상기 제 1 나사부 또는 상기 제 2 나사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고리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외부살대의 타측 단부는 제 1 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링부가 상기 테두리부의 끝단의 제 2 링부에 겹쳐지고, 상기 제 1 링부 및 상기 제 2 링부를 통해서 외부다리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외부다리는, 상기 외부살대 및 상기 테두리부를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제 2 다리부; 상기 제 2 다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다리부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제 3 나사부; 상기 제 3 나사부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고, 상기 제 3 나사부의 끝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 2 수납부; 및 상기 제 2 수납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너트와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나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채살부는 상기 조인트부와 내부다리를 서로 연결하는 체결살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내부다리를 기준으로 양분되도록 일측 테두리와 타측 테두리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테두리와 상기 타측 테두리에는 상기 내부다리에 결합되는 후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살대의 결합 중심이 되고 볼트의 몸체 끝단에 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인트부; 상기 조인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된 내부살대와, 상기 내부살대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고 절곡된 끝단부를 갖는 외부살대를 구비한 부채살부; 및 상기 부채살부의 살대 펼침 각도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과, 양측 끝단부의 내측면에 상기 절곡된 끝단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살대 및 상기 외부살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조인트부의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살대의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살대의 상기 절곡된 끝단부가 상기 체결부의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형 석쇠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살대 및 상기 외부살대는 살대 간격을 축소시키기 위해서 양측으로 확장된 면적을 갖는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부채형 석쇠에 의하면, 조인트부를 기준으로 부채살부를 접어 보관하거나, 펼쳐서 그릴 또는 석쇠 형태로 변형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편리성 및 수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부채형 석쇠에 의하면, 다리 역할을 수행하는 조인트부와, 외부다리 및 내부다리가 부채살부 또는 테두리부에 관절과 같은 구조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부채살부의 살대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수납위치 또는 살대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다리위치로 변위될 수 있어서, 부품의 분실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부채형 석회에 의하면, 너트 및 나사결합을 통해 각각의 부품을 완전히 분해 또는 조립이 가능하므로, 완벽한 세척 및 소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부채형 석회에 의하면, 부채살부의 내부살대, 외부살대에서 조인트부에 연결되는 부위가 테두리부에 연결되는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부채살부가 펼쳐졌을 때 내부살대와 외부살대간 단차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석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인트부와 부채살부간의 결합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두리부와 외부다리와 내부다리 및 부채살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외부다리의 수납위치 및 다리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석쇠의 분리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부채형 석쇠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석쇠의 평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할 부채형 석쇠는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통상의 석쇠 또는 그릴에 사용될 수 있도록 열에 강한 재질로서, 부식성, 내식성이 강한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부채형 석쇠의 테두리부는 얇은 스트립과 같이 길이에 비해 두께가 얇고, 재질 특성상 탄성에 의한 휨변형 및 복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석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인트부와 부채살부간의 결합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테두리부와 외부다리와 내부다리 및 부채살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외부다리의 수납위치 및 다리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조인트부(100), 부채살부(200) 및 테두리부(300)를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100)는 다리역할과 관절역할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수납위치와 다리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부채살부(200)의 내부살대(210) 및 외부살대(220) 또는 중간살대(230)에 해당하는 각종 살대의 결합 중심이 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는 조인트부(100)와 이격된 위치로서 테두리부(300)를 따라서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다리들, 즉 2개의 외부다리(110,130)와 내부다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인트부(100), 외부다리(110,130), 및 내부다리(120)의 사이즈는 펼쳐진 상태의 부채살부(200)를 거의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정해질 수 있다.
부채살부(200)는 조인트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된 내부살대(210)와, 상기 내부살대(2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된 외부살대(220)를 구비한다. 또한, 부채살부(200)는 조인트부(100)와 내부다리(120)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살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살대(210) 및 외부살대(220) 또는 중간살대(230)의 총 개수는 10개에서 20개가 될 수 있고, 펼쳐지는 면적, 석쇠 크기 등에 따라 상기 개수가 정해질 수 있으므로 특정 개수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테두리부(300)는 부채살부(200)의 살대 펼침 각도(a)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301)을 구비한다. 여기서, 살대 펼침 각도(a)는 각 살대 사이의 사이 각도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301)은 원형, 직각형, 삼각형, 다각형 또는 슬릿 형상과 같이 장공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살대(210) 및 상기 외부살대(220)의 일측 단부(211,221)는 하기에 설명할 바와 같이 고리부를 구비하여 조인트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중간살대(230)의 일측 단부(231)도 내부살대(210) 및 상기 외부살대(220)와 동일한 결합 구조로 조인트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내부살대(210)의 타측 단부(212)는 각각 상기 테두리부(100)의 관통구멍(301)에 삽입된다.
또한, 외부살대(220)의 타측 단부(222)는 하기에 설명할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300)의 끝단, 즉 테두리부(300)의 양측 끝단에서 외부다리(110)를 통해 각각 연결된다.
이때, 관통구멍(301)의 이격 간격이 상기 살대 펼침 각도(a)에 대응하게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부채살부(200)의 살대 간격은 테두리부(300)쪽에서 조인트부(100)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진다.
따라서, 내부살대(210)의 타측 단부(212)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100)의 관통구멍(301)에 단순히 삽입되어 있지만, 테두리부(300)는 원호 형상으로 굽힘 변형에서 원래의 일자 형태로 복원하려는 힘에 의해 테두리부(300) 쪽으로 이동되다가 상기 관통구멍(301)의 이격 간격과 상기 부채살부(200)의 살대 간격이 동일하게 되는 지점에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채살부(200)의 복수개의 내부살대(210)의 타측 단부(212)를 종전과 같은 방식으로 너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그릴 조립 또는 해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인트부(100)는 부채살부(200)를 기준면[예: 조인트부(100)의 하단부가 접촉하는 표면]으로부터 조인트부(100) 자체 및 조인트부(100)의 위에 놓여질 대상을 상향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미리 정한 길이를 갖는 제 1 다리부(101)와, 상기 제 1 다리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1 다리부(101)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제 1 나사부(1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나사부(102)의 길이는 부채살부(200)의 모든 살대를 적층시켜 다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리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크기로 정해질 수 있다. 즉, 제 1 나사부(102)의 직경은 삽입 유격을 고려하여서 부채살부(200)의 내부살대(210) 및 외부살대(220)의 일측 단부(211,221)의 고리부(211-1,221-1)의 내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리부(211-1,221-1)의 내경 크기는 제 1 나사부(102) 또는 제 2 나사부(104)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부(100)는 제 1 나사부(102)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제 1 수납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납부(103)는 제 1 나사부(102)의 끝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모든 살대가 상기 제 1 나사부(102)로부터 이동될 때의 수납위치에 해당 한다.
즉, 부채살부(200)의 내부살대(210) 및 외부살대(220) 등의 고리부(211-1,221-1)는 사용자에 의해 제 1 나사부(102)로부터 빠져나와 제 1 수납부(103)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 1 다리부(101) 또는 제 1 나사부(102)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 1 수납부(103)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제 1 다리부(101) 또는 제 1 나사부(1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다리부(101) 및 제 1 나사부(102)는 내부살대(210) 및 외부살대(22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놓일 수 있게 되어 수납이 편리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부(100)는 상기 제 1 수납부(103)의 끝단에 형성되고, 너트(105)와 취부 가능하게 결합, 즉 나사 결합되는 제 2 나사부(104)를 포함한다. 너트(105)는 부채살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너트부(105)는 부채살부(200)가 제 1 나사부(102) 쪽으로 옮겨졌을 때, 제 2 나사부(104)로부터 제 1 수납부(103)를 경유하여 제 1 나사부(102)의 끝단에 나사결합되어 석쇠로서 사용될 때 부채살부(200)를 제 1 나사부(102) 쪽에 구속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너트(105)의 나사 구멍은 제 2 나사부(104)에서 나사 이동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 1 수납부(103) 및 절곡된 부위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사이즈를 갖는다.
특히, 결합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고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위해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채살부(200)의 내부살대(210), 외부살대(220) 또는 중간살대의 일측 단부(211,221)는 상기 조인트부(100)의 상기 제 1 나사부(102) 또는 상기 제 2 나사부(104)를 삽입시킬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고리부(211-1,221-1)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제 1 다리부(101)의 직경은 제 1 나사부(10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부살대(210), 외부살대(220) 또는 중간살대가 다리위치 쪽으로 옮겨졌을 때, 각 살대의 일측 단부(211,221)인 고리부(211-1,221-1)의 하부를 제 1 다리부(101)가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살대(220)의 타측 단부(222)는 제 1 링부(222-1)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링부(222-1)가 상기 테두리부(300)의 끝단의 제 2 링부(311)에 겹쳐지고, 상기 제 1 링부(222-1) 및 상기 제 2 링부(311)를 통해서 외부다리(11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다리(110)는 외부살대(220) 및 테두리부(300)를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제 2 다리부(111)와, 상기 제 2 다리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다리부(111)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제 3 나사부(112)와, 상기 제 3 나사부(112)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고, 상기 제 3 나사부(112)의 끝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 2 수납부(113)와, 상기 제 2 수납부(113)의 끝단에 형성되고, 외부다리(110)용 너트(115)와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나사부(114)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인트부 및 외부다리(110)는 전체적으로 한글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때, 중간다리(120)도 앞서 설명한 외부다리(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다리(110)가 수납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15)가 제 4 나사부(114)에 나사결합되고, 외부다리(110)가 다리 역할을 수행하는 다리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15)가 제 3 나사부(11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부채살부(200)의 중간살대(230)는 조인트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다리(120)에 연결되기 위하여, 제 3 링부(232)를 포함한다.
이때, 테두리부(300)는 상기 내부다리(120)를 기준으로 양분되도록 일측 테두리(310)와 타측 테두리(320)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테두리(310)와 상기 타측 테두리(320)에는 상기 내부다리(120)에 결합되는, 더욱 상세하게 내부다리(120)의 제 5 나사부(122) 또는 제 3 수납부(123)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부(312,322)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312,322)는 영문 C자 형태로서 후크부(312,322)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내부다리(120)의 제 5 나사부(122) 또는 제 3 수납부(123)에 체결될 수 있다.
테두리부(300)도 상기 일측 테두리(310)와 상기 타측 테두리(320)로 양분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제 2 링부(311)에 의해서 제 2 수납부(113)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전체 수납사이즈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내부다리(120)도 앞서 설명한 조인트부 또는 외부다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살대(23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수납위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다리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또한, 내부다리(120)용 너트(125)는 내부다리(120)의 제 5 나사부(122)에 결합될 때, 도 1과 같이 후크부(312,322) 및 제 3 링부(232)를 구속하는 역할을 담당하거나, 또는 제 6 나사부(124)에 나사결합되어 내부다리(120) 자체가 상기 제 3 링부(2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결합된 제 1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부채살부(200)가 펼쳐지고, 부채살부(200)는 다리위치 상태의 외부다리(110,130), 내부다리(120) 및 조인트부(100)를 통해서 지탱된다. 이후, 제 1 실시예는 부채살부(200)의 아래에 숯불(미 도시) 등을 위치시켜서 다리가 구비된 석쇠로서의 역할, 예컨대 고기 구이용 그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는 조인트부(100) 내지 외부다리(110)를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납위치로 변형시켜서, 체적을 줄일 수 있고, 별도의 파우치 또는 주머니(미 도시)에 넣을 수 있는 크기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외부다리(110)는 너트(115)를 완전히 분리시켰을 때, 테두리부(300) 또는 외부살대(220)로부터 완전 분해되어 세척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너트(115)를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는 대신, 너트(115)를 제 3 나사부(112)로부터 풀어서 제 4 나사부(114)로 체결한 후, 제 2 다리부(111)를 외부살대(220)의 연장 방향쪽으로 비틀어 이동(M)시킴과 동시에, 외부다리(110)의 제 2 수납부(113)를 테두리부(300)의 제 2 링부(311) 및 외부살대(220)의 제 1 링부(222-1)에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외부다리(110)의 제 2 수납부(113)를 기준으로 제 2 다리부(111)를 외부살대(220) 쪽으로 회전(N)시킬 경우, 외부다리(110)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 2 다리부(111) 및 제 3 나사부(112)가 외부살대(220)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예: 수납위치). 이에 따라 제 1 실시예는 외부다리(110)의 수납 사이즈를 다리위치에 비해 수납위치에서 상대적으로 협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는 외부다리(110) 등을 완전히 분해 조립하여 보관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외부다리(110) 등의 다리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의 변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부채형 석쇠는 다리 구조가 없고, 부채살부의 외부살대의 끝단부가 절곡되어서 테두리부의 체결부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할 수 있다. 그러하므로, 도 1 내지 도 9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먼저,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석쇠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부채형 석쇠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는 다리가 없는 타입의 석쇠 또는 그릴로서, 살대의 결합 중심이 되고 볼트(109)의 몸체 끝단에 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인트부(100a)와, 상기 조인트부(1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된 내부살대(210a)와, 상기 내부살대(210a)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고 절곡된 끝단부(229)를 갖는 외부살대(220a)를 구비한 부채살부(200a)를 포함한다. 즉, 조인트부(100a)는 부채살부(200a)의 힌지 샤프트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부채살부(200a)의 내부살대(210a) 또는 외부살대(220a)는 테두리부(300a)에 연결되는 외측부위(208)에 비하여, 조인트부(100a)에 연결되는 내측부위(209)를 압착시켜서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부채살부(200a)가 펼쳐졌을 때 내부살대(210a)와 외부살대(220a)가 적층된 영역의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내부살대(210a)와 외부살대(220a)의 외측부위(208)간 단차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300a)도 제 1 실시예와 같이 일측 테두리와 타측 테두리로 양분되게 구비되고, 테두리를 서로 취부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체결 수단(예: 후크 또는 걸쇠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는 부채살부(200a)의 살대 펼침 각도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301)과, 양측 끝단부의 내측면에 상기 절곡된 끝단부(229)와 체결되는 체결부(330)를 구비한 테두리부(300a)를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부(330)는 꺽쇠 형상, 후크 형상 등과 같이 상기 절곡된 끝단부(229)를 걸어 체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로 다양하게 변경 제작 가능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부채살부(200a)는 내부살대(210a) 및 상기 외부살대(220a)의 고리부 형상의 일측 단부(211,221)를 상기 조인트부(100a)의 볼트(10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6의 부채살부(200a)를 일반 부채를 펼칠때와 같이 펼쳐서 도 7과 같은 상태를 만든다.
이후, 내부살대(210a)의 타측 단부(212)는 각각 상기 테두리부(300a)의 관통구멍(301)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살대(220a)의 상기 절곡된 끝단부(229)는 테두리부(300a)의 체결부(330)의 결합구멍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과 같은 상태로서, 제 2 실시예의 조인트부(100a), 부채살부(200a) 및 테두리부(300a)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조립된 상태의 조인트부(100a), 부채살부(200a) 및 테두리부(300a)는 숯불을 갖는 화로대의 그릴브릿지(10)(grill bride)에 놓여지고, 부채살부(200a)의 위쪽에 조리 대상물인 고기 등이 놓여짐에 따라, 고기를 굽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부채형 석쇠는 부채살부의 외부살대 및 내부살대에 확장부가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 제 2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하므로, 도 1 내지 도 10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부채형 석쇠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부채살부(200b)의 살대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살대 간격(Q)을 상대적으로 협소한 간격(S)으로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살대 간격(Q)은 1.5 ~ 2㎝ 정도의 크기이나, 확장부(240)에 의해서 1.5 ~ 2㎝ 정도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부채살부(200b)의 내부살대(210b) 및 상기 외부살대(220b)는 살대 간격(Q)을 상대적으로 협소한 간격(S)으로 축소시키기 위해서 양측으로 확장된 면적을 갖는 확장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부(240)는 테두리부(300b) 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증가하는 테이퍼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부채 구조의 특성상 테두리부(300b) 쪽으로 갈수록 살대 간격(Q)이 증가될 수 있으나, 기존 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확장부(240)에 의해서 협소한 간격(S)으로 만들 수 있음으로, 고기 등의 구이 대상물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살대 간격(Q)을 통해 빠지는 현상을 억제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100a : 조인트부 110,130 : 외부다리
120 : 내부다리 200,200a,200b : 부채살부
210,210a,210b : 내부살대 220,220a,220b : 외부살대
230 : 중간살대 240 : 확장부
300,300a,300b : 테두리부 301 : 관통구멍

Claims (9)

  1. 삭제
  2. 살대의 결합 중심이 되는 조인트부;
    상기 조인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된 내부살대와, 상기 내부살대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된 외부살대를 구비한 부채살부; 및
    상기 부채살부의 살대 펼침 각도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구비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살대 및 상기 외부살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조인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살대의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살대의 타측 단부가 상기 테두리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부채살부를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제 1 다리부; 상기 제 1 다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1 다리부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제 1 나사부; 상기 제 1 나사부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고, 상기 제 1 나사부의 끝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 1 수납부; 및 상기 제 1 수납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너트와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형 석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살대 및 상기 외부살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조인트부의 상기 제 1 나사부 또는 상기 제 2 나사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고리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형 석쇠.
  4. 살대의 결합 중심이 되는 조인트부;
    상기 조인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된 내부살대와, 상기 내부살대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된 외부살대를 구비한 부채살부; 및
    상기 부채살부의 살대 펼침 각도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구비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살대 및 상기 외부살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조인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살대의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살대의 타측 단부가 상기 테두리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살대의 타측 단부는 제 1 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링부가 상기 테두리부의 끝단의 제 2 링부에 겹쳐지고, 상기 제 1 링부 및 상기 제 2 링부를 통해서 외부다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형 석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다리는,
    상기 외부살대 및 상기 테두리부를 기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제 2 다리부;
    상기 제 2 다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다리부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는 제 3 나사부;
    상기 제 3 나사부보다 좁은 단면적을 갖고, 상기 제 3 나사부의 끝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제 2 수납부; 및
    상기 제 2 수납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너트와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형 석쇠.
  6. 삭제
  7. 삭제
  8. 살대의 결합 중심이 되고 볼트의 몸체 끝단에 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인트부;
    상기 조인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된 내부살대와, 상기 내부살대의 일측 또는 타측에 배치되고 절곡된 끝단부를 갖는 외부살대를 구비한 부채살부; 및
    상기 부채살부의 살대 펼침 각도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과, 양측 끝단부의 내측면에 상기 절곡된 끝단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살대 및 상기 외부살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조인트부의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살대의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테두리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살대의 상기 절곡된 끝단부가 상기 체결부의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형 석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살대 및 상기 외부살대는 살대 간격을 축소시키기 위해서 양측으로 확장된 면적을 갖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형 석쇠.
KR2020140001989U 2014-03-12 2014-03-12 부채형 석쇠 KR200475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89U KR200475178Y1 (ko) 2014-03-12 2014-03-12 부채형 석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89U KR200475178Y1 (ko) 2014-03-12 2014-03-12 부채형 석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178Y1 true KR200475178Y1 (ko) 2014-11-12

Family

ID=5228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989U KR200475178Y1 (ko) 2014-03-12 2014-03-12 부채형 석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1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490U (ko) 2021-04-09 2022-10-18 김영수 캠핑용 화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862A (ja) 1998-07-29 2000-02-15 Miyajima:Kk 加熱調理具
KR20080106743A (ko) * 2007-06-04 2008-12-09 유원근 휴대용 조립식 석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862A (ja) 1998-07-29 2000-02-15 Miyajima:Kk 加熱調理具
KR20080106743A (ko) * 2007-06-04 2008-12-09 유원근 휴대용 조립식 석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490U (ko) 2021-04-09 2022-10-18 김영수 캠핑용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08837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barbecue grill
US7004063B1 (en) Barbeque grill assembly with a foldable side rack
JP6141698B2 (ja) 折り畳み式テーブル
US20170234544A1 (en) Collapsible Cooking Stove
US20110232503A1 (en) Grilling plate
KR200475178Y1 (ko) 부채형 석쇠
KR101487184B1 (ko) 휴대용 조립식 멀티테이블
KR101797097B1 (ko) 바베큐 구이 장치
KR101904470B1 (ko) 휴대용 바비큐 그릴
KR101466142B1 (ko) 접철식 바베큐 구이 장치
US9357875B1 (en) Combination outdoor cooking and firewood support apparatus
KR20060110252A (ko) 절첩 조립식 휴대용 로스터
KR20160054914A (ko) 구이장치
KR20140045476A (ko) 구이기
US20140251316A1 (en) Collapsible Grill
KR200480146Y1 (ko) 낚시 좌대
US2521220A (en) Barbeque spit structure
US6327967B1 (en) Assembled multi-functional meat roast frame
EP3315056B1 (en) Collapsible barbecue
KR20160086601A (ko) 야외용 로스터
CN209750802U (zh) 一种便于携带的烧烤架
CN107661025B (zh) 一种便携蒸笼
RU169444U1 (ru) Мангал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US20070261569A1 (en) Chicken wing & leg grill rack
US20170347835A1 (en) Double hinge double level camping gr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