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048Y1 -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048Y1
KR200377048Y1 KR20-2004-0034222U KR20040034222U KR200377048Y1 KR 200377048 Y1 KR200377048 Y1 KR 200377048Y1 KR 20040034222 U KR20040034222 U KR 20040034222U KR 200377048 Y1 KR200377048 Y1 KR 200377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spikes
hole
rotating body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안일
Original Assignee
황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안일 filed Critical 황안일
Priority to KR20-2004-0034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0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0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자리에서만 회전되는 회전체에 의해 스파이크만이 출몰되게 하는 한편, 스파이크가 다리의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삼각대의 외관이 미려하게 될 수 있게 하는 한편, 휴대시 가방 또는 의복에 걸리적거리지 않게 하고, 스파이크에 녹이 발생되지 않게 하며, 진동이나 접촉에도 스파이크가 돌출 되지 않도록 하는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에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A SPIKE APPARATUS FOR FIXING CAMERA TRIPOD}
본 고안은 안정된 촬영을 위해 카메라 삼각대 다리에 설치되는 스파이크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자리에서만 회전되는 회전체에 의해 스파이크만이 출몰되게 함으로써, 회전체가 다리에 연장되어 있는 형태로 삼각대의 외관이 미려하게 될 수 있게 하고, 스파이크가 다리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게 하여 가방 또는 의복에 걸리게 되는 것과, 스파이크에 녹이 발생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게 하며, 다리에 내장되는 스파이크를 스프링이 잡아 주는 구조로 되어 있어 진동이나 접촉에도 회전체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스파이크가 돌출 될 염려가 없도록 하는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에 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메라 삼각대는 도 1 및 도 2 도시와 같이 다리(10)의 하단부에 스파이크(12)가 고정되게 하는 고정체(11)가 내삽 되고, 상기 스파이크(12)의 나사부(12a)에 회전체(13)의 인서트너트(13a)가 나사 조임 되는 상태로 결합되었다.
그리고 도 2 도시와 같이 회전체(13)가 스파이크(12)의 하부에 위치되게 하는 한편, 구멍(13b) 안에 쐐기부(12b)가 위치되게 하여서 보관 및 휴대되게 하고, 사용시에는 회전체(13)를 돌려서 도 3 도시와 같이 회전체(13)의 상부면이 고정체(11)의 저면에 닿게 함으로써, 스파이크(12)가 돌출 된 상태가 되게 하고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휴대하고 이동할 때 진동이나 외부 접촉에 의해 회전체(13)가 가볍게 회전하게 되어 스파이크(12)의 쐐기부(12b)가 회전체(13)의 구멍(13b) 밖으로 돌출 되어 휴대자 또는 다른 사람의 신체, 가방, 의복에 손상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미 사용시에도 스파이크(12)의 나사부(12a)가 외부에 노출 된 상태가 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녹이 발생될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자리에서만 회전되는 회전체에 의해 스파이크만이 출몰되게 하는 한편, 스파이크가 다리의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첫째, 삼각대의 외관이 미려하게 될 수 있게 하는 한편, 휴대시 가방 또는 의복에 걸리적거리지 않게 하고, 둘째, 스파이크에 녹이 발생되지 않게 하며, 셋째, 진동이나 접촉에도 스파이크가 돌출 되지 않도록 하는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카메라 삼각대 다리에 스파이크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부에는 사각형을, 그 하부에는 원형을 이루게 되는 홈이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고, 상부면에는 덮개가 결합되며, 상기 다리의 하단부에 내삽 되는 고정체와; 상부에는 사각의 머리부가, 하부의 둘레면에는 나사부가, 하단부에는 뾰족한 쐐기부가 연속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홈에 삽입되되, 머리부는 상부의 사각형 홈에, 나사부와 쐐기부는 하부의 원형 홈에 각각 위치되어 나사부와 쐐기부가 고정체의 하부로 노출되는 스파이크와; 상기 사각형 홈에 위치하는 스파이크의 둘레면에 위치하게 되는 한편, 상부는 머리부의 하부에, 하부는 사각형 홈과 원형 홈의 경계에 위치하는 스프링 걸림턱에 걸림 되는 스프링과; 중앙에 수직으로 구멍이 관통되는 한편, 상부의 중앙에 인서트너트가 설치되고, 상기 인서트너트가 상기 스파이크의 나사부에 나사 조임 되어 상부면이 고정체의 저면에 맞닿은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스파이크의 쐐기부가 상기 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 되게 하거나 또는 구멍의 내부에 위치되게 하는 회전체로 구성되는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4 및 도 5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는 다리(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고정체(110)와, 이 고정체(110)에 설치되는 스파이크(120)와, 이 스파이크(120)가 출몰되게 하는 회전체(1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체(110)는 다리(1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원형의 통체로 형성되는 한편, 다리(100)의 하단부 내주면에 억지 끼움 되어 긴밀하게 결합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앙에 수직으로 홀(111)이 형성되는데, 상부는 사각형의 홀이, 하부에는 원형의 홀이 형성되고, 원형의 홀이 사각형의 홀 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경계하는 위치에 스프링 걸림턱(111a)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면에는 고정체(110)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게 되는 덮개(112)가 나사(113)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덮개(112)는 상기의 스파이크(120)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고정체(110)와 일체가 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120)는 상부는 사각형을 이루게 되는 머리부(121)가 형성되고, 하부의 둘레면에는 나사부(122)가 형성되며, 최 하단부에는 뾰족한 쐐기부(123)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파이크(120)는 머리부(121)와 나사부(122)가 시작되는 부분이 고정체(110)의 홀(111) 중 도 7 도시와 같이 사각형의 홀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나사부(122)는 원형의 홀에 위치하게 되며, 나사부(122)의 일부와 쐐기부(123)는 상기 원형의 홀을 통해 외부에 노출 된 상태가 된다.
상기 회전체(130)는 상기 고정체(110)와 동일한 형상의 통체로 형성되고, 중앙에 수직으로 구멍(132)이 관통되며, 상부면의 중앙에 인서트너트(131)가 설치되는데, 상기 인서트너트(131)의 나사 구멍은 상기 구멍(132)과 동일 중심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30)는 인서트너트(131)가 스파이크(120)의 나사부(122)에 나사 조임 됨으로써, 결합되는데, 회전체(130)의 상부면이 고정체(110)의 저면에 맞닿은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도 6 도시와 같이 스파이크(120)의 나사부(122) 중 일부와 쐐기부(123)가 회전체(130)의 구멍(132)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로, 회전체(130)를 회전시키면, 도 8 도시와 같이 스파이크(120)만이 회전체(130)의 구멍(132)을 통해 돌출 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6 도시와 같이 스파이크(120)의 쐐기부(123)가 회전체(130)의 구멍(132)에 위치하게 하여 보관 및 휴대를 하게 되고, 회전체(130)를 돌려 스파이크(120)의 쐐기부(123)가 회전체(130)의 구멍(132)을 통해 외부로 돌출 되게 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회전체(130)는 제자리에서만 회전하게 되며, 홀(111)의 사각형 홀에 머리부(121)가 위치하게 되는 스파이크(120) 만이 스프링(124)을 압축하면서 회전체(130)의 구멍(132)을 통해 돌출 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체(13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면, 스파이크(120)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는 한편, 스프링(124)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체(130)는 제자리에서만 회전하게 되고, 스파이크(120) 만이 상,하로 출몰하게 되는 것으로, 회전체(130)를 인위적으로 회전시키기 전에는 진동이나 외부의 접촉에 의해 회전체(130)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한편, 스파이크(120)가 스프링(124)에 의해 지지되어 더욱이 움직이지 않게 되어 돌출 될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파이크(120)가 고정체(110)와 회전체(1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외부 노출이 없어 녹이 발생될 염려도 없게 되고, 다리(100)의 하단부에 회전체(130)만이 위치하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한편, 휴대시 휴대자 또는 다른 사람, 가방, 의복에 걸리적거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자리에서만 회전하는 회전체에 의해 스파이크만이 출몰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한편, 휴대시 가방 또는 의복에 걸리적거리지 않게 되고, 스파이크가 다리의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충격에 의한 진동이나 접촉에도 스파이크가 돌출 되지 않게 되는 한편, 스파이크에 녹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파이크 구조를 갖는 삼각대 다리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로써, 스파이크의 사용전 상태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스파이크가 돌출 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파이크 구조를 갖는 삼각대 다리의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로써, 스파이크의 사용전 상태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 스파이크가 돌출 된 상태도 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다리 110 ... 고정체
111 ... 홀 112 ... 덮개
113 ... 나사 120 ... 스파이크
121 ... 머리부 122 ... 나사부
123 ... 쐐기부 124 ... 스프링
130 ... 회전체 131 ... 인서트너트
132 ... 구멍

Claims (1)

  1. 카메라 삼각대 다리에 스파이크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부에는 사각형을, 그 하부에는 원형을 이루게 되는 홈(111)이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고, 상부면에는 덮개(112)가 결합되며, 상기 다리(100)의 하단부에 내삽 되는 고정체(110)와;
    상부에는 사각의 머리부(121)가, 하부의 둘레면에는 나사부(122)가, 하단부에는 뾰족한 쐐기부(123)가 연속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110)의 홈(111)에 삽입되되, 머리부(121)는 상부의 사각형 홈에, 나사부(122)와 쐐기부(123)는 하부의 원형 홈에 각각 위치되어 나사부(122)와 쐐기부(123)가 고정체(110)의 하부로 노출되는 스파이크(120)와;
    상기 사각형 홈에 위치하는 스파이크(120)의 둘레면에 위치하게 되는 한편, 상부는 머리부(121)의 하부에, 하부는 사각형 홈과 원형 홈의 경계에 위치하는 스프링 걸림턱(111a)에 걸림 되는 스프링(124)과;
    중앙에 수직으로 구멍(132)이 관통되는 한편, 상부의 중앙에 인서트너트(131)가 설치되고, 상기 인서트너트(131)가 상기 스파이크(120)의 나사부(122)에 나사 조임 되어 상부면이 고정체(110)의 저면에 맞닿은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스파이크(120)의 쐐기부(123)가 상기 구멍(132)을 통해 외부로 돌출 되게 하거나 또는 구멍(132)의 내부에 위치되게 하는 회전체(130)로 구성되는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
KR20-2004-0034222U 2004-12-02 2004-12-02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 KR200377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222U KR200377048Y1 (ko) 2004-12-02 2004-12-02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222U KR200377048Y1 (ko) 2004-12-02 2004-12-02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048Y1 true KR200377048Y1 (ko) 2005-03-08

Family

ID=4367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222U KR200377048Y1 (ko) 2004-12-02 2004-12-02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0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656B1 (ko) 2009-02-09 2011-01-13 류한호 카메라 거치 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656B1 (ko) 2009-02-09 2011-01-13 류한호 카메라 거치 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96000A1 (en) Extension-type holder
US9951931B1 (en) LED lamp
US20050129482A1 (en) Retention device
KR200377048Y1 (ko) 카메라 삼각대의 스파이크 장치
KR101227828B1 (ko) 카메라 삼각대
US2975999A (en) Portable lantern stand
RU99104495A (ru) Дополнительный корпус для крепления дальномера
US10638840B2 (en) Mounting system
KR200480146Y1 (ko) 낚시 좌대
KR101929007B1 (ko) 낚싯대 거치장치
KR101676014B1 (ko) 천장 매립등
JP6400343B2 (ja) 物干し装置用延長器具
RU214822U1 (ru) Пластмассовая заглушка для овальных отверстий в листовом металле
KR200219942Y1 (ko) 교자상
KR100508772B1 (ko) 탄성력을 이용한 화재감지기 부착기
TWM554212U (zh) 鼓皮張力調整裝置
CN109367978A (zh) 五金组件存放箱
JP2006153047A (ja) 三脚
KR970001911Y1 (ko) 가방용 잠금장치
JP3146860U (ja) 岩塩ランプ
KR930006902Y1 (ko) 절첩식 상다리
KR20000014911U (ko) 지팡이 겸용 카메라 삼각대
JP2009297012A (ja) 釣り竿の保持具
JPS6013424Y2 (ja) 吊金具
KR960001759Y1 (ko) 낚시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