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014U - 화물량 계측 선박 - Google Patents

화물량 계측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014U
KR20160000014U KR2020140004772U KR20140004772U KR20160000014U KR 20160000014 U KR20160000014 U KR 20160000014U KR 2020140004772 U KR2020140004772 U KR 2020140004772U KR 20140004772 U KR20140004772 U KR 20140004772U KR 20160000014 U KR20160000014 U KR 201600000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ilt
holds
measurement sensors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014U/ko
Publication of KR20160000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량 계측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화물창들을 포함하는 선체, 상기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와 해수면 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 및 상기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 각각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따라 화물 적재량을 산출하는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여 적재될 수 있는 화물량을 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량 계측 선박{SHIP MEASURING CARGO AMOUNT}
본 고안은 화물량 계측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여 적재될 수 있는 화물량을 산출할 수 있는 화물량 계측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Liquefied Natural Gas)(이하, 액화천연가스)는 기체 상태인 천연가스를 영하 163도까지 냉각하여 생성된 액체 상태의 가스이다. LNG 운반선은 액화천연가스가 화물창(Cargo Tank)에 선적되거나 또는 하역되는데, 선적 또는 하역되는 액화천연가스의 양은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높은 본선용 화물창 측심표(Cargo Tank Calibration Table)와 화물량 계측장비(Custody Transfer Measurement System, CTMS)를 통해 결정된다.
화물창에 선적 또는 하역된 화물량은 액화천연가스의 레벨, 온도, 압력 및 화물창의 기울기에 따라 결정 되는데, 이 모든 것이 화물창 측심표에 반영 되어야 하고 관련 게이지들이 절차에 따라 확인 및 검사 되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4970호는 LNG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LNG 운반선의 적재운항 중 LNG 저장탱크의 LNG 체적 계산 및 안전밸브 설정압력 확인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LNG 저장탱크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대용량의 LNG 저장탱크의 제조가 가능하고 BOG(Boil-Off Gas) 낭비도 줄일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101836호는 운항중인 선박의 흘수, 트림 및 배수량에 대한 최적의 트림을 산출하여 최적의 운항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선박의 최적트림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선박의 트림을 산출하여 선박 운항 중 받게 되는 저항을 최소로 유지하고 선박 운항에 필요한 연료를 절감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497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101836호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여 적재될 수 있는 화물량을 산출할 수 있는 화물량 계측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 대한 선체의 길이 방향 및 길이에 수직인 방향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화물량 계측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 적재될 수 있는 화물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화물량 계측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량 계측 선박은 복수의 화물창들을 포함하는 선체, 상기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와 해수면 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 및 상기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 각각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따라 화물 적재량을 산출하는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은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기울기를 측정하는 복수의 트림 측정 센서들 및 상기 선체의 길이의 수직 방향으로 기울기를 측정하는 복수의 리스트 측정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트림 측정 센서와 하나의 리스트 측정 센서가 상기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하단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은 상기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하단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화물창들 별로 상기 화물 적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은 상기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 대한 화물 적재량 허용 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산출된 화물 적재량을 숫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하는 화물 적재량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량 계측 선박은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여 적재될 수 있는 화물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량 계측 선박은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 대한 선체의 길이 방향 및 길이에 수직인 방향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량 계측 선박은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 적재될 수 있는 화물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화물량 계측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량 계측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화물량 계측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트림 측정 센서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화물량 계측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리스트 측정 센서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기존의 화물량 계측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화물량 계측 선박은 거주구에 트림(Trim) 및 리스트(List)를 측정하는 기울기 측정 센서가 설치된다. 기존의 화물량 계측 선박은 화물창 및 선체의 갑판에 적재되는 화물량에 따라 선수, 선미 및 선수와 선미의 중앙부 각각의 기울기(화물량에 따라 처짐(또는 휨) 현상 발생)가 달라지는데 거주구에 설치된 하나의 기울기 측정 센서로는 트림 및 리스트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하단에 설치되어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 대한 트림(Trim) 및 리스트(List)를 측정하여 화물량 계측 선박(100)(예를 들어, LNG 운반선)에 적재 가능한 화물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량 계측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물량 계측 선박(100)은 선체(110), 기울기 측정 센서(120),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 및 화물 적재량 디스플레이 유닛(140)을 포함한다.
선체(110)는 화물량 계측 선박(100)의 전반(즉, 선수부터 선미까지)에 걸쳐 형성되고 해치커버를 통해 갑판과 복수의 화물창들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선체(110)는 갑판과 복수의 화물창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물창들은 횡격벽을 통해 상호 분리되어 적어도 하나의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기울기 측정 센서(120)는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어 선체(110)와 해수면 간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울기 측정 센서(120)는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스틸 커버(Steel Cover)에 배치되어 선체(110)와 해수면 간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기울기 측정 센서(120)는 파이프 덕트(Pipe Duct) 내의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하단 중심에 배치되어 선체(110)와 해수면 간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기울기 측정 센서(120)는 제1 화물창의 선수측 기울기와 선미측 기울기 간의 차를 기초로 제1 화물창과 해수면 간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제2 화물창의 선수측 기울기와 선미측 기울기 간의 차를 기초로 제2 화물창과 해수면 간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기울기 측정 센서(120)는 복수의 트림 측정 센서들(120-1) 및 복수의 리스트 측정 센서들(120-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트림 측정 센서들(120-1)은 선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기울기를 측정하고, 복수의 리스트 측정 센서들(120-2)은 선체(110)의 길이의 수직 방향으로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트림 측정 센서들(120-1) 및 복수의 리스트 측정 센서들(120-2)은 복수의 화물창들의 하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서, 복수의 트림 측정 센서들(120-1)은 화물 적재에 따라 선체(110)의 길이 방향(a)으로 발생하는 처짐(또는 휨) 현상에 따른 기울기를 복수의 화물창들 별로 측정할 수 있다. 도 3b에서, 복수의 리스트 측정 센서들(120-2)은 화물 적재에 따라 선체(110)의 폭 방향(b)으로 발생하는 처짐(또는 휨) 현상에 따른 기울기를 복수의 화물창들 별로 측정할 수 있다.
기울기 측정 센서(120)는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과 연결되어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으로 송신할 수 있다. 기울기 측정 센서(120)와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은 1:1 또는 1:N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울기 측정 센서(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과 연결될 수 있다. 기울기 측정 센서(120)는 케이블을 통해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으로 송신할 수 있다. 기울기 측정 센서(12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또는 무선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은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120)과 연결되어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120) 각각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따라 화물 적재량을 산출한다.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120)로부터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수신할 수 있다.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은 복수의 화물창들과 해수면 간의 기울기에 따라 적재 가능한 화물 무게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은 미리 저장된 기울기에 따른 화물 무게를 기초로 화물 적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은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하단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복수의 화물창들 별로 화물 적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은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 대한 화물 적재량 허용 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은 복수의 화물창들 별로 화물 적재량의 화물 무게 허용 범위(예를 들어, 화물 무게 x톤 ~ y톤)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은 복수의 화물창들 별로 화물 적재량의 허용 범위(예를 들어, 화물 x개)를 산출할 수 있다.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은 화물 적재량 디스플레이 유닛(140)과 연결되어 적재 가능한 화물 무게 및 화물 적재량 중 적어도 하나를 화물 적재량 디스플레이 유닛(140)으로 송신할 수 있다.
화물 적재량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과 연결되어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130)에서 산출된 화물 적재량을 숫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화물 적재량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화물 적재량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복수의 화물창들 별로 화물 적재량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화물 적재량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화물창1, 화물창2, 화물창3 각각에 대한 화물 적재량의 화물 무게를 숫자로 표시하거나 또는 화물 적재량의 화물 무게 허용 범위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4b에서, 화물 적재량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화물창1, 화물창2, 화물창3 각각에 대한 화물 적재량을 시각적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화물 적재량 디스플레이 유닛(140)은 예를 들어 설명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화물창들 별로 화물 적재량(즉, 적재 가능한 화물 개수)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물량 계측 선박
110: 선체
120: 기울기 측정 센서
120-1: 트림 측정 센서 120-2: 리스트 측정 센서
130: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
140: 화물 적재량 디스플레이 유닛

Claims (7)

  1. 복수의 화물창들을 포함하는 선체;
    상기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선체와 해수면 간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 및
    상기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 각각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따라 화물 적재량을 산출하는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을 포함하는 화물량 계측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은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기울기를 측정하는 복수의 트림 측정 센서들; 및
    상기 선체의 길이의 수직 방향으로 기울기를 측정하는 복수의 리스트 측정 센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량 계측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트림 측정 센서와 하나의 리스트 측정 센서가 상기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하단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량 계측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들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량 계측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은
    상기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의 하단에서 측정된 기울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화물창들 별로 상기 화물 적재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량 계측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은
    상기 복수의 화물창들 각각에 대한 화물 적재량 허용 범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량 계측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적재량 산출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산출된 화물 적재량을 숫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하는 화물 적재량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량 계측 선박.
KR2020140004772U 2014-06-25 2014-06-25 화물량 계측 선박 KR201600000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72U KR20160000014U (ko) 2014-06-25 2014-06-25 화물량 계측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72U KR20160000014U (ko) 2014-06-25 2014-06-25 화물량 계측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14U true KR20160000014U (ko) 2016-01-05

Family

ID=5517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772U KR20160000014U (ko) 2014-06-25 2014-06-25 화물량 계측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01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143A (ko) * 2017-12-29 2019-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래싱 시스템 하중 계측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836A (ko) 2003-05-27 2004-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최적트림 제어방법
KR100804970B1 (ko) 2007-03-20 2008-02-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운반선의 적재운항 중 lng 저장탱크의 lng체적 계산 및 안전밸브 설정압력 확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836A (ko) 2003-05-27 2004-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최적트림 제어방법
KR100804970B1 (ko) 2007-03-20 2008-02-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운반선의 적재운항 중 lng 저장탱크의 lng체적 계산 및 안전밸브 설정압력 확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143A (ko) * 2017-12-29 2019-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래싱 시스템 하중 계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848B1 (en) Marine probe with no moving parts for a marine tank
US97093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sloshing in the cargo tank of a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KR20160000014U (ko) 화물량 계측 선박
KR20210154144A (ko) 매스틱 비드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024665A (ko) 선박의 흘수 측정 장치 및 선박의 흘수 측정 방법
KR200460409Y1 (ko) 탱크 감시 장치를 가지는 독립형 저장탱크
KR20210091165A (ko) 선박의 유지 관리 방법
KR101271042B1 (ko) 선박의 경하중량 산정을 위한 수정 계수 결정방법
JP2006160287A (ja) タンクローリ及びその質量管理システム
KR20100122594A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탱크 감시장치
KR20170126624A (ko) 선박의 평형계측 장치 및 평형계측 방법
KR20180001741U (ko) 탱크 레벨 측정 장치 및 이를 갖는 선박
KR20120048194A (ko) 화물창용 온도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20180127976A (ko) 선박의 해치 커버(hatch cover)의 중량 및 컨테이너와 같은 그 위의 부하의 중량을 결정하기 위한 배열과, 지지 부재(a support member)
KR101594247B1 (ko) 액체저장탱크 관리 시스템
EP4269227A1 (en) State estimation system and state estimation method for watercraft liquified gas tank
KR102403859B1 (ko) 슬로싱 모니터링 장치
KR101884759B1 (ko)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US9581473B2 (en) Flow rat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correcting gradient
KR101903757B1 (ko) 해상 벙커링 터미널 및 벙커링 선박의 계류 방법
KR20100113663A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지지구조
KR20210104413A (ko) 선박의 액체화물의 슬로싱 감시 저장탱크
KR101551797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및 단열성능 유지방법
KR10178502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보강장치
KR102583480B1 (ko) Lng 저장 탱크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